KR20070103809A - 물품수납대 - Google Patents

물품수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809A
KR20070103809A KR1020060035594A KR20060035594A KR20070103809A KR 20070103809 A KR20070103809 A KR 20070103809A KR 1020060035594 A KR1020060035594 A KR 1020060035594A KR 20060035594 A KR20060035594 A KR 20060035594A KR 20070103809 A KR20070103809 A KR 2007010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umbrella
vertical support
suppor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143B1 (ko
Inventor
김갑범
Original Assignee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아트와이어 filed Critical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to KR102006003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14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하부지지판;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 지점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에는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가 설치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봉; 및 상기 제2회전부재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단우산의 걸이용 고리를 끼우기 위한 단우산걸이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빗물등에 의해서 오염된 장우산과 단우산들을 일정한 높이의 다수의 걸이구에 의해서 구획 정렬하고, 전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게함으로써, 쉽고 깨끗하게 수납 및 인출 할 수 있다.
물품수납대, 지지판, 수직지지대, 회전부재, 장우산

Description

물품수납대{Case for Keeping Goo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의 외관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지지판 20: 상부지지판
21: 끼움봉 22: 부싱
22a, 31: 구멍 30: 수직지지대
40: 제1회전부재 41: 축부
42: 받침판 43: 지지프레임
44: 지지링 45: 밀착관
46: 체결너트 47: 조임너트
50: 제2회전부재 60: 연결봉
70: 단우산걸이대
본 발명은 물품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우산과 같은 물품을 가지런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 보관된 우산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수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주택이나 아파트의 현관출입구 벽면에는 신발장이나 벽장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신발장이나 벽장에는 우산을 세워서 보관하기 위한 특별한 지지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통상적으로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장우산을 비스듬하게 세워서 대각선으로 보관하였기 때문에 한 두 개의 우산을 수납시키는 경우에도 수납장의 내부가 꽉 차게 되어 수납의 효율성을 전혀 기대할 수가 없고, 또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꺼내기 위하여 도어를 개폐시에는 보관되어 있던 장우산의 일부가 경우에 따라서는 앞쪽으로 쏠려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키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장우산과 단우산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우산과 단우산의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또 우산도 비교적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는 회전식 우산 보관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회전식 우산보관대는 대부분 내부에 우산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부재를 중첩하여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장우산과 단우산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다 수의 구획대를 형성시키면서 또 장우산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수직프레임 사이에 힌지에 의해서 부착되는 도어를 로킹부재와 함께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우산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한 도어를 사용자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우산을 다른 우산과 중첩되지 않도록 우산을 정리해 가면서 보관하여야 하고, 또 우산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다시 본체의 일측에 형성한 도어를 사용자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우산을 다른 우산을 정리하면서 우산을 인출하여야 하므로 실제로 우산의 수납이나 인출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고, 또 그 구조도 복잡하게 이루어져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가 깔끔하게 정돈되지 못하여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요인도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체 내부에 장우산과 단우산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 보관된 우산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우산을 임의의 위치에서 손쉽게 인출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관의 향상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는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면과 이격져서 위치하는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측 지점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에는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가 설치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봉; 및 상기 제2회전부재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단우산의 걸이용 고리를 끼우기 위한 단우산걸이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둘레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축부가 회전할 때에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축부의 둘레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와, 상기 축부와 이탈방지테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 일지점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품수납용 선반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납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대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10), 상부지지판(20), 수직지지대(30), 제1회전부재(40), 제2회전부재(50), 연결봉(60), 단우산걸이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판(1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장이나 벽장의 하면에 나사(미도시) 등에 의해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판(20)은 상기 하면과 이격져서 위치하는 상면에 나사(미도시) 등에 의해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수직지지대(30)에 형성된 구멍(31)에 끼워져 상기 수직지지대(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끼움봉(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봉(21)은 중앙에 구멍(22a)이 형성된 부싱(22)을 개재하여 수직지지대(30)에 형성된 구멍(31)에 끼워진다.
상기 수직지지대(30)는 봉형상이나 파이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은 하부지지판(10)과 용접을 하고, 상단은 상부지지판(20)의 중앙에 형성한 끼움봉(21)이 끼워지도록 하여 하부지지판(10)과 상부지지판(20)의 사이에 고정설치할 수가 있으며, 그 이외에 다양한 구조에 의해서 하부지지판(10)과 상부지지판(20)의 사이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 대(30)의 하측 지점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30)의 하측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41)와, 상기 축부(41)의 둘레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축부(41)가 회전할 때에 상기 축부(41)와 함께 회전되며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42)과, 상기 받침판(42)을 상기 축부(41)의 둘레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부(41)는 상기 수직지지대(30)의 하측 지점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그 내부에 지지링(44)과 밀착관(45)과 체결너트(46)와 조임너트(47)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수단이 끼워진다.
상기 지지링(44)은 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지지대(30)의 하측 지점에 끼워져서 상기 축부(41)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그 상부면에는 원형을 이루는 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관(45)은 상기 축부(41)가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밀착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수직지지대(30)보다는 내경이 크고, 축부(41)보다는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에는 나사산부(45a)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수직방향으로는 일정 폭을 갖는 절취홈(45b)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는 적어도 축부(4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축부(41)보다 외경이 큰 걸림턱(45c)이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지지링(44) 상부면의 홈(44a)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턱(4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너트(46)는 상기 밀착관(45)의 외주에 끼워지는 축부(41)를 밀착관(45)과 고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먼 저 밀착관(45)을 끼우고, 상기 밀착관(45)의 외주에 축부(41)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밀착관(45)의 외주에 체결너트(46)를 체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조임너트(47)는 상기 밀착관(45)이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밀착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밀착관(45)의 외주를 조여주는 너트로서, 상기 조임너트(47)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밀착관(45)의 절취홈(45b)이 오므라들게 되어 상기 밀착관(45)이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축부(41)가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유격이 없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우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링(44)을 수직지지대(30)의 하측지점에 끼우고, 밀착관(45)을 상기 지지링(44)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착관(45)의 외주에 축부(41)를 끼운다. 이때, 상기 밀착관(45)은 상기 축부(41)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너트(46)를 밀착관(45)의 외주에 끼워 체결시키게 되면 축부(41)와 밀착관(45)이 서로 고정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밀착관(45)의 외주에 조임너트(47)를 체결시키게 되면, 조임너트(47)에 의해서 밀착관(45)의 상부쪽에 벌어져 있는 절취홈(45b)이 수직지지대(30)에 밀착되게 되므로 상기 축부(41)는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밀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42)은 상기 축부(41)의 둘레에 후술하는 지지프레임(43)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며, 축부(41)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3)은 상기 받침판(42)을 상기 축부(41)의 둘레에 고정설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판(42)을 얹어 놓기 위한 안치턱(43c)이 형성된 테두리(43a)와 상기 테두리(43a)를 축부(41)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대(43b)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5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재(40)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40)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3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51)와, 상기 축부(51)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52)와, 상기 축부(51)와 이탈방지테(52)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부재(50)의 축부(51)는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일 지점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그 내부에 밀착관(54)과 체결너트(55)와 조임너트(56)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수단이 끼워진다.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제1회전부재(40)의 축부(41)에 끼워지는 회전지지수단과 비교할 때, 지지링(44)이 생략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회전부재(40)의 축부(41)에 끼워지는 회전지지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봉(6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재(40)와 제2회전부재(50)가 상기 수직지지대(30)에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50)를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40)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며, 그 세부적인 구성은 여러 형태의 것이 구현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40)의 연결구와 제2회전부재(50)의 연결구와 나사(64)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61)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61)은 그 중간에 제2회전부재(50)의 이탈방지테(52) 내부에 끼워진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테(62)를 상기 프레임(61)의 중간에 부착한 테(63)에 끼워지도록 하여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단우산걸이대(70)는 상기 제2회전부재(50)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50)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회전부재(5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50)의 연결구(53)에 고정부착되는 환형부재(71)와 상기 환형부재(7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구(72)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구(72)에는 단우산들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우산을 보관하였다가 꺼낼 때에도 걸이구(72) 부분에 정돈된 우산들을 돌려가면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단우산걸이대(70)는 위의 예에서는 환형부재(71)가 그 구성요소의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환형부재(71) 이외에도 단우산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것들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상부 일지점에는 상기 수직지지대(3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품수납용 선반(80)이 더 설치되도록 하면, 신발장이나 벽장 내에서 흔히 비치할 수 있는 구두약이나 솔 기타 소품들을 편리하면서도 가지런히 정돈되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물품수납용 선반(80)은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일 지점에 여러 형태의 것들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부(81)와, 받침판(82)과, 지지프레임(83)과, 지지링(84)과, 밀착관(45)(85)과, 체결너트(86)와, 조임너트(87)로 이루어지는 물품 수납용선반(80)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물품 수납용선반(80)은 상기 제1회전부재(40)와 비교할 때, 상기 물품용 수납용선반(80)이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상부 임의 지점에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30)의 일지점에 형성한 구멍(32)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핀(33)이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우산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회전부재(50)의 이탈방지테(52) 내부에 형성되는 임의의 공간에 장우산을 끼우게 되면, 상기 장우산의 하단부는 제1회전부재(40)의 받침판(42) 상에 얹어지게 되어 장우산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가 있게 되며, 단우산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회전부재(50)에 고정 부착된 단우산걸이대(70)의 걸이구(72)에 단우산을 끼우기만 하면 단우산이 가지런하게 정돈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할 수가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물품 수납대에 의하면 장우산과 단우산을 최소의 공간 내에서 편리하면서도 가지런하게 보관되도록 할 수가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로 하는 우산 즉 장우산이나 단우산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회전부재(50)를 회전시켜서 필요로 하는 우산을 임의의 위치에서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꺼낼 수가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수납대는 일정한 높이로 구획 정렬되어진 장우산과 단우산을 아주 쉽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고, 또, 수직지지대(30)의 상부 일지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물품 수납용선반(80)에 의해서 신발장이나 벽장 등에서 자주 꺼내 쓸 수 있는 물품들 예를 들면, 구두약이나 구두주걱 또는 구두솔 등도 쉽게 인출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수납대는 신발장이나 벽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체 내부에 장우산과 단우산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 보관된 우산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우산을 임의의 위치에서 손쉽게 인출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관의 향상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대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면과 이격져서 위치하는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의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 지점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에는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가 설치되어 있는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격져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1회전부재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봉; 및
    상기 제2회전부재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제2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단우산의 걸이용 고리를 끼우기 위한 단우산걸이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측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와, 상기 축부 의 둘레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축부가 회전할 때에 상기 축부와 함께 회전되며 장우산을 받쳐 놓을 수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상기 축부의 둘레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이격져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내부에 끼워지는 장우산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테와, 상기 축부와 이탈방지테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 일지점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물품수납용 선반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대.
KR1020060035594A 2006-04-20 2006-04-20 물품수납대 KR10077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94A KR100774143B1 (ko) 2006-04-20 2006-04-20 물품수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94A KR100774143B1 (ko) 2006-04-20 2006-04-20 물품수납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09A true KR20070103809A (ko) 2007-10-25
KR100774143B1 KR100774143B1 (ko) 2007-11-07

Family

ID=3881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94A KR100774143B1 (ko) 2006-04-20 2006-04-20 물품수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1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214A (zh) * 2018-11-05 2019-02-15 泉州市博采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家用鞋柜
CN111297067A (zh) * 2020-03-12 2020-06-19 青岛农业大学 悬挂式除臭鞋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25Y1 (ko) 2002-06-04 2002-09-11 장두진 신발걸이대
KR200368937Y1 (ko) 2004-09-17 2004-12-03 김관식 현관 수납장용 물품 수납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214A (zh) * 2018-11-05 2019-02-15 泉州市博采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家用鞋柜
CN111297067A (zh) * 2020-03-12 2020-06-19 青岛农业大学 悬挂式除臭鞋柜
CN111297067B (zh) * 2020-03-12 2021-06-29 青岛农业大学 悬挂式除臭鞋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143B1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151B2 (en) Shelving system with obscurable shelving
US9943192B2 (en) Shelving system with obscurable shelving
US10485338B2 (en) Shoe carousel device
US7987983B1 (en) Tubular container
CA2941672A1 (en) Shelving system with obscurable shelving
US20110036793A1 (en) Multi purpose recreational vehicle garment bar
CN111150263B (zh) 一种具有多功能桌子的双层床
US10779668B2 (en) Collapsible hat rack
KR100774143B1 (ko) 물품수납대
KR200485956Y1 (ko) 레져용 탈착식 소품선반
CN108523594A (zh) 一种伸缩式晾衣撑的使用方法
US10415744B1 (en) Hinge hanger and accessory components
KR101755663B1 (ko) 사물함 옷걸이 구조
KR101884982B1 (ko) 이동식 선반장치용 선반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선반장치
KR200268555Y1 (ko)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KR200175398Y1 (ko) 회전행거
KR200395676Y1 (ko) 다용도 선반
KR200287561Y1 (ko) 신발걸이구
AU2019101403A4 (en) Metal shrinkable outdoor drying rack
CN215190278U (zh) 一种可挂衣物的床头柜组合结构
CN210630856U (zh) 多功能衣柜
CN211911170U (zh) 一种可调节服装展示柜
JP2013081631A (ja) 物干し具
US20220322892A1 (en) Bathroom Space Saver and Organizer
US20170295955A1 (en) Easy reach basket carou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