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572A -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 Google Patents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572A
KR20070103572A KR1020060035312A KR20060035312A KR20070103572A KR 20070103572 A KR20070103572 A KR 20070103572A KR 1020060035312 A KR1020060035312 A KR 1020060035312A KR 20060035312 A KR20060035312 A KR 20060035312A KR 20070103572 A KR20070103572 A KR 2007010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height adjustment
por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9888B1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102006003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888B1/en
Publication of KR200701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A stretching pillar for a receiving shelf is provided to have excellent pressurizing and adhering power by the length adjustment, and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minutely in the state that the stretch pillar is installed between a ceiling and a bottom. A stretching pillar for a receiving shelf includes first and second pillar rods(10,20), an upper support rod(30), a length adjusting portion(40), a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a buffering portion(60).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s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rod that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to adjust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 rods. The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ing portion supports stabl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llar rod. The buffering portion makes the first and second pillar rod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ing portion.

Description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Extension pillar for storing shelf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의 사용 예를 보인 개략 정면도;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n elastic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의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etchabl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의 조립 측 단면도;3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etchabl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봉의 길이 조절에 따른 가압구의 확장 상태를 보인 발췌 조립 단면도;Figure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pressure port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holding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의 미세 조절 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5 and 6 are excerpts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control state of the elastic stru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의 A-A 선내의 평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신축 지주 2: 천정1: extension pillar 2: ceiling

3: 바닥 4: 수납 선반3: bottom 4: storage shelf

10, 20: 제1 및 제2지주봉 30: 상부 받침부10, 20: first and second support rod 30: upper support portion

31: 상부 받침구 32: 받침 캡31: upper support hole 32: support cap

40: 길이 조절부 41: 조작구40: length adjustment part 41: operation tool

41: 가압구 50: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41: pressure port 50: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ment portion

51: 하부 받침구 52: 높낮이 조절구51: lower base 52: height adjustment

53: 승강 조절 캡 54: 승강 조작구53: elevating adjustment cap 54: elevating operation tool

55: 너트 60: 완충부55: nut 60: buffer part

311: 탄성 패드 312: 탄성 축311: elastic pad 312: elastic shaft

313: 접촉돌기 321: 관통공313: contact protrusion 321: through hole

411: 조작구 본체 412: 나사 축411: operation tool body 412: screw shaft

413: 연장봉 414: 걸림턱413: extension rod 414: locking jaw

421: 나선 홈 422: 걸림공421: helix groove 422: hook hole

423,424: 절개홈 425: 확장편들423,424: Incision groove 425: Expansion pieces

426: 가압 돌출편 426a: 접촉면426: pressurizing protrusion 426a: contact surface

511: 탄성패드 512, 523: 중공부511: elastic pads 512, 523: hollow part

521: 소경부 522: 대경부521: small diameter part 522: large diameter part

524: 장 볼트 525: 다각봉524: long bolt 525: polygon bar

526: 조작편 527: 접촉돌기526: operation piece 527: contact projection

528: 통기공 531: 암나사공528: ventilator 531: female threader

541: 다각홈 542: 숫나사부541: multi-groove 542: male part

본 발명은 주방이나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실내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각종 형태의 수납 선반들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기둥 용도의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지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주봉의 설치 완료 후에도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 완충 작용을 통한 자체 충격흡수가 가능하여 신축지주의 설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tchable support for a storage shelf for pillars, which is installed between an indoor ceiling and a floor, such as a kitchen, a bathroom, a veranda, and the like, to support various types of storage shelves. Not only this is possible, but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heigh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holding rods, and also to the elastic props for the storage shelf to further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new construction by the shock absorbing effect through the buffering action.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장소에는 각종 용품들을 간편하게 정리 사용하기 위한 각종 형태의 수납 선반들이 설치되는데, 이때 수납 선반들은 통상적으로 별도의 지지 기둥, 즉 지주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각종 형태의 수납 선반들은 대개 천정과 바닥 사이에 개재되는 양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 이용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storage shelves are installed in a place such as a kitchen, a bathroom, a veranda, and the like, so that various items can be conveniently arranged. The storage shelves are usually installed by using a separate support pillar, that is, a support post. Therefore, storage racks of various types are usually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both struts interpos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그러나, 종래 알려진 지주는, 지주의 설치시 상이한 직경의 지주봉들이 단순히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주의 설치 후 천정과 벽면 사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대해 능동적인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known struts have a structure in which strut rods of different diameters are simply adjustable in length when the struts are installed. Therefore, the struts have a proactive response to external forces such as vibration or shock appli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wall after the struts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또한, 지주봉의 설치 완료 후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항상 상이한 직경의 지주봉을 일일이 회전 조작시켜야 하고 그때마다 각 지주봉의 길이를 재조정해야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고, 또 길이조정의 경우에도 양 지주봉이 천정과 바닥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강제 회전에 따른 지주의 설치 위치가 이동되거나, 천정 또는 바닥의 손상 우려도 전혀 배제할 수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fine adjustment is requir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ro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e work that the rods of different diameters must be rotated one by one and the length of each rod is adjusted each time.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rod with the rod tightly support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is not only very difficult and smooth,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o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hore due to forced rotation or damaging the ceiling or the floor could not be excluded at all. .

또한, 길이 조절시 지주봉의 결합 부위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지 못하 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주의 설치 완료 후에 선반의 무게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사용도중 직경이 적은 지주봉이 직경이 큰 지주봉 속으로 밀려 들어가 그 조절 길이가 임의적으로 변형되는 등 구조상의 여러 문제 들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strut is adjusted, the coupling part of the strut rod cannot b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Many structural problems could not be avoided, such as arbitrarily deforming the adjustment lengt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조절에 따른 가압 밀착력이 우수하고, 또 신축지주를 천정과 바닥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한 상태에서도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천정과 바닥 사이의 외력에 의한 능동적인 자체 신축 작용을 통한 신축 지주의 설치 안정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선반용 신축지주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pressure adhesion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and fine height even in a state where the stretch holder is closely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as well as to provide a stretch holder for the storage shelf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expansion post through the active self-expanding actio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선반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지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지주봉과; 상기 천정으로 위치되는 제1지주봉의 일단 부에 장착 받침되는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제2지지봉의 일 단부에 삽설 지지되는 제1지주봉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재와; 상기 바닥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지주봉의 타 단부를 안정되게 받침 함과 동시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부재를 통해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제1 및 제2지주봉이 상기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재에 대해 신축자재 되도록 탄성 받침 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납 선반용 신축지주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an elastic pos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loor to fix and support the storage shelf: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 upper support member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positioned to the ceiling; A length adjusting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rod inserted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ro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A lower support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s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enabling fine height adjustment at the same time; And a cushion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in the state in which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member so as to be stretch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Is achiev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지주(1)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지주(1)는 주방이나 욕실, 베란다, 거실 등의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벽과 벽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각종 용품들을 보관하는 공지의 수납 선반(4)들을 안정되게 고정 지지하는 기둥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수납 선반(4)은 특정의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주로 와이어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납 선반(4)은 양 신축 지주(1)에 대해 별도의 고정구(5)를 이용하여 조립 고정된다.First, reference is made to FIG. 1.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tretch colum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 colum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floor (3) of the kitchen or bathroom, porch, living room, etc. It is u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between the wall and the wall is used for the column use to stably hold the known storage shelves (4)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The storage shelf 4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but mainly refers to one manufactured using a wire material, and the storage shelf 4 is a separate fastener for both elastic struts 1. (5) is assembled and fixed.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길이 조절이 되기 전의 조립 측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축 지주(1)는, 크게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지주봉(10)(20)과; 상기 천정(2)으로 위치되는 제1지주봉(10)의 일단 부에 장착 받침되는 상부 받침부(30)와; 상기 제2지지봉(20)의 일 단부에 삽설 지지되는 제1지주봉(10)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40)와; 상기 바닥(3)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지주봉(20)의 타 단부를 안정되게 받침 함과 동시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 및 상기 길이 조절부(40)를 통해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제1 및 제2지주봉(10)(20)이 상기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에 대해 신축자재 되도록 탄성 받침 하기 위한 완충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Next, reference is made to FIGS. 2 and 3.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etchable suppor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before the length adjustment is made. Referring to this, the stretchable suppor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ly different diameter.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20); An upper support part 30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10 positioned as the ceiling 2; Length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10 is inserted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20) Section 40; A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ment unit 50 for s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20 positioned at the bottom 3 and enabling fine adjustment of height; And a buff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part 40 so as to be stretch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It comprises a portion 60.

상기와 같이 신축 지주(1)가 조립 구성됨으로써,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길이 조절에 따른 제1지주봉(10)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고, 또 신속한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미세한 높낮이 조절을 통한 신축 지주(1)의 설치를 더욱 안정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천정(2)이나 바닥(3)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관계없이 자체적인 완충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elastic strut 1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rod 10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It is easy to operate the rotation,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quickly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tretchable support 1 can be made more stable and smooth through fine height adjustment, and it can be generated from the ceiling 2 or the floor 3. Self-absorbing ac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vibration or external shock.

제1 및 제2지주봉(10)(20)은, 스테인리스 소재의 파이프를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 사용하고, 조립시 천정(10)으로 위치되는 제1지주봉(10)은 직경이 적고, 바닥(3)으로 위치되는 제2지주봉(20)은 직경을 크게하여 신축 지주(1)의 구성이 상기 제1지주봉(10)이 상기 제2지주봉(20)에 끼워지는 상태로 조립 구성된다. 한편, 제2지주봉(20)은, 필요한 경우 동일한 직경을 갖는 여러 개의 파이프가 다단으로 조립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and 20 cut and use a stainless steel pipe as necessary, and the first holding rod 10 positioned as the ceiling 10 at the time of assembly has a small diameter and has a bottom ( The second holding rod 20 positioned at 3) has a larger diameter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stretchable holding post 1 is assembled in such a state that the first holding rod 10 is fitted to the second holding rod 20.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lding rod 20, if necessary, several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may be used in multiple stages.

상부 받침부(30)는, 천정(2)과 당접되는 상면으로 탄성패드(311)가 구비되고, 그 하면으로는 탄성 축(312)이 분할 형성된 상부 받침구(31) 및 상기 상부 받침구(31)의 탄성 축(312)이 회전자재 되게 탄성 결합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주봉(10)의 일 단부가 삽설 지지되는 중공부(322)가 일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받침 캡(32)으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pport part 3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311 as an upper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2), the lower support upper portion 31 and the upper support hole (31) in which the elastic shaft 312 is divided A through hole 32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shaft 312 of the 31 to be rotated material is formed, the hollow portion 322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10 is inserted and supported is formed to open in one direction It consists of a support cap 32.

한편, 상기 상부 받침구(31)의 저면으로는 받침 캡(32)의 회전 자재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길이 조절에 따른 회전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 한 접촉돌기(3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313)는 받침구(31)의 저면과 접촉되는 받침 캡(32)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hole 31 is formed with a contact projection 313 for minimizing the contact area during rotation of the support cap 32 to facilitate the ro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 The contact protrusion 3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cap 32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opening 31.

길이 조절부(40)는, 제2지주봉(30)의 일 단부로 끼워지는 제1지주봉(10)의 타단부에 일체로 고정 조립되는 조작구 본체(411)와, 상기 조작구 본체(41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 축(412)과, 상기 나사 축(412)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413)과, 상기 연장봉(413)의 단부로 형성된 걸림턱(414)으로 이루어진 조작구(41) 및 상기 나선 축(412)에 나사 결합되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원추형 나사홈(421)과, 상기 연장봉(413)의 걸림턱(414)에 걸려지도록 상기 원추형 나사홈(421)과 연통되게 형성된 걸림공(422)과, 상부 또는 하부로 대응되게 트여진 대향 절개홈(423)(424)에 의해 외연으로 확장조작되는 확장편들(425)과, 상기 확장편들(425)의 직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접촉면(426a)이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 돌출편(426)을 포함하는 가압구(42)로 이루어져지며, 상기 가압 돌출편(426)의 접촉면(426a)은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조립시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벽면을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탄성 접촉된다.The length adjusting part 40 includes an operation tool main body 411 fixedly assemb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rod 10 fitted to one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30, and the operation tool main body ( An operation consisting of a screw shaft 412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411, an extension rod 413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412, and a locking jaw 414 formed of an end of the extension rod 413. Conical screw groove 421 which is screwed to the sphere 41 and the spiral shaft 412 but is formed narrower toward the bottom, and the conical screw groove (414)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414 of the extension rod 413 421, the engaging hole 422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piece 425 is extended to the outer edge by the opposing incision groove 423, 424 ope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or lower, and the expansion piece ( The contact surface 426a which protrudes outward more than the diameter of 425 is the pressurized stone for providing a constant pressing forc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It consists of a pressing port 42 including a piece 426, the contact surface 426a of the pressing protrusion 426 is the second holding rod when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20 Elastic contact is made in the state which always presses the inner peripheral wall surface of (20).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42)의 확장편들(425)은 조작구(41)에 의해 확장 조작되기 이전에는 제2지주봉(20)의 내경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제1지주봉(10) 및 제2 지주봉(20)의 이동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구(41)의 나사 축(412)에 결합되어진 가압구(42)는, 상기 확장편들(425)에 형성된 가압 돌출편(426)의 접촉면(426a)이 상기 제2지 주봉(20)의 내주 벽면과 마찰되는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신축 지주(1)의 길이 조절시 상기 조작구(41)의 조임 또는 해제 조작시 상기 조작구(41)를 따라 도는 것이 방지된다.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3, the expansion pieces 425 of the pressing hole 42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before being extended by the operation tool 41.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ing rod 10 and the second holding rod 20 can be made smoothly. In addition, the pressing tool 42 coupled to the screw shaft 412 of the operating tool 41 has a contact surface 426a of the pressing protrusion 426 formed on the extension pieces 425 in the second paper main rod. Since it is assembled in a state of rubb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20, it is prevented from turning along the operating tool 41 during the tighten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tool 41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support 1.

바닥(3)으로 위치되는 제2지주봉(20)의 타단으로 구비되는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는, 바닥(3)과 당접되는 하부면으로 탄성패드(511)가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중공부(512)를 갖는 하부 받침구(51)와, 상기 하부 받침구(51)의 중공부(512)의 내부로 하단의 소경부(521)가 회전자재 되게 안착지지 되고, 상기 소경부(512)에 대해 단지게 형성된 대경부(522)로는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523)가 단지게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523)의 내부로는 장 볼트(524)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진 다각봉(525)이 수직 설치되고, 대경부(522)의 외주면으로는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조작편(526)이 구비된 높낮이 조절구(52)와,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중공부(523) 내에 삽설지지 되되, 그 일단 부가 상기 제2지주봉(20)의 타 단부에 고정 조립되며, 내부 중앙으로 암나사공(531)이 형성된 승강 캡(53)과, 상기 승강 캡(53)의 암나사공(531)에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542)가 외주면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으로는 상기 다각봉(525)에 끼워지는 다각홈(541)이 관통 형성된 승강 조작구(54) 및 상기 다각봉(525)의 외부로 노출 되어진 장 볼트(524)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승강 조작구(5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조임되는 너트(55)로 이루어진다.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positioned at the bottom 3 are provided with elastic pads 511 at the lower surface contacted with the bottom 3. The lower support port 51 having a hollow portion 512 open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512 of the lower support hole 51 is seated and supported to rotate,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2 formed only with respect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512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523 having a shape that is open upward, and a long bolt 524 is integrated into the hollow portion 523. The low-insert injection-molded polygon bar 525 is installed vertically,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iece 526 that can be held and operat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2, the height adjustment opening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523 of the 52, one end is fixedly assemb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the internal thread hole 531 to the inner center The formed lifting cap 53 and the male screw portion 542 which is screwed to the female thread hole 531 of the lifting cap 53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polygon rod 525 at the center thereof. The groove 541 is screwed to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54 through which the groove 541 is formed and the long bolt 52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lygonal rod 525 to be screwed to prevent the lifting operation tool 54 from being separated. It consists of a nut 55.

상기 하부 받침구(51)에 대해 회전자재 되는 높낮이 조절구(52)의 소경부(521) 바닥으로는 회전 조작에 따른 하부 받침구(51)의 바닥면에 대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접촉돌기(527)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소경부(521)의 바닥면으로는 그 중공부(523)와 연통되는 통기공(528)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공(528)의 형성으로 인해 하부 받침구(51)에 대한 높낮이 조절구(52)의 장착시 공기가 소통되어 이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 하부 받침구(51)에 대한 높낮이 조절구(52)의 회전 조작이 그만큼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Contact projections for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 51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to the bottom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tha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port (51) ( 527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nt 528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523. Due to the formation of the vent 528, the air is communicated when the height adjusting port 52 is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hole 51 so that the combination thereof is easily made, and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hole 51 is also increased. Rotating operation of the adjuster 52 can be made so smoothly and smoothly.

그리고, 하부 받침구(51)에 회전자재 되게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구(52)는 언더컷 방식으로 상호 조립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is installed in the lower support hole 51 to be rotatable material is preferably assembled to each other in an undercut manner to prevent arbitrary separation.

완충부(60)는,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중공부(523) 내에 수직 설치되는 다각봉(525)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 조작구(54)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받침하는 압축 또는 인장스프링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한 완충부(60)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10)(20)은 천정이나 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능동적인 신축조작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shock absorbing portion 60 is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ygonal bar 525 vertically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523 of the height adjusting opening 52 to compress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54 elastically. Or the tension spring form is most preferred,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10) of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by the action of the buffer unit 60 ( 20) active telescopic operation can be done by itself even by the impact or vibration from the ceiling or floor.

그리고, 상기 완충부(60)는 다각봉(525)으로 부터 승강 조작구(5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 볼트(524)에 체결되는 너트(55)를 조이고 푸는 조작에 따라 그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해 진다. 예컨대 승강 조작구(54)로 부터 승강 캡(53)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55)를 더 조이게 되면, 상기 승강 조작구(54)는 다각봉(525)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하부에 받침되어진 완충부재(60)는 더 압축되어 지고, 또 반대로 너트(56)를 풀어주면 상대적으로 이완되어 지는 것이어 서 완충부재(60)의 적정한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60 adjusts the buffer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ightening and releasing the nut 55 fastened to the long bolt 524 to prevent the lifting bar 5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lygon rod 525. This become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nut 55 is further tighte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cap 53 is removed from the elevating operating tool 54, the elevating operating tool 54 moves downward along the polygonal bar 525. The buffer member 60 supported on the lower side is further compress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nut 56 is released, the buffer member 60 is relatively relaxed, so that the appropriate buffering force of the buffer member 60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축 지주(1)는, 도 3과 같은 상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선반(4)의 설치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지는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tretchable pos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installation shelf 4 is required 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신축 지주(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받침부(30) 및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가 장착되지 않은 제1지주봉(10)의 단부를 이보다 직경이 큰 제2지주봉(20)의 대응 단부 속으로 밀어 끼워 조립한다. 그러면 이때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10)(20)은 길이 조절부(40)가 조임 조작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필요한 길이 만큼 상호 자유로운 인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호 조립된 제2지주봉(20)의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가 하부 바닥(3)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상부 받침부(30)가 천정(2)에 닿을 때까지 제1지주봉(10)을 상측으로 인출 조작시켜 길이를 조절하여 준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먼저 제1지주봉(10)의 상부 받침부(30)가 천정(2)에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 제1지주봉(10)으로부터 제2지주봉(20)을 하부로 잡아 당겨 그 단부에 구비된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가 하부 바닥(3)에 닿도록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First, when the expansion support (1) is to be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the first support rod 10, the upper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50 is not mounted The end of) is pushed into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ssembled.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and 20 are before the length adjustment part 40 is tightened, the mutually free draw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required length. Therefore,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of the second support rod 20 assembl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s described above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bottom 3 and then the upper support 30. The first holding rod 10 is pulled out to adjust the length until it reaches the ceiling (2). Of course, on the contrary, first,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30 of the first holding rod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2, and then the second holding rod 20 is pulled downward from the first holding rod 10. The installation length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provided at the end thereof contact the lower bottom 3.

이렇게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설치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완충부(60)로 탄력 설치된 상기 제2지주봉(20)을 한 손으로 잡고 강제 눌러 압축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제1지주봉(10)을 잡고 반시계 방향(조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지주봉(10)은 길이 조 절부(40)에 의해 상기 제2지주봉(20)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저지되는 상태로 조임 조작되어 진다.The second support rod 20 is elastically installed as a buffer unit 60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is completed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The first holding rod 10 has a length adjusting portion by holding the first holding rod 10 with the other hand and simultaneously rotating i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ightening direction) while holding the first holding rod with the other hand for compression. 40) is tightened in a state that the vertical movement is preven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lding rod (20).

이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지주봉(1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이의 단부로 조립된 길이 조절부(40)의 조작구(41)에 구비된 나사 축(412)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나사 축(412)은 이에 결합된 가압구(42)의 원추형 나사 홈(42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 축(412)의 나선 이동에 의해 원추형 나사 홈(421)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장편들(425)은 상하 대응되게 형성된 절개홈(422)(423)에 의해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지주봉(20)의 내주벽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연으로 확장 조작되어 지면서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 벽면에 가압 밀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확장편들(425)은 상하로 대응되게 트여진 형태의 절개홈(422)(423)에 의해 전체 부분이 상호 균등하게 벌어지면서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 벽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강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holding rod 1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crew shaft 412 provided in the operation tool 41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 assembled to the end thereof rotates. The screw shaft 41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conical screw groove 421 of the pressure port 42 coupled thereto. Therefore, since the conical screw groove 421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by the spiral movement of the screw shaft 412, the extension pieces 425 are formed by the incision grooves 422 and 423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as shown in Figure 3 is expanded to the outer periphery as shown in Figure 4 while pressing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It is done. At this time, the expansion pieces 425 to press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while the entire portions are evenly spread by the cutting grooves 422 and 423 of the shape that are opened up and down correspondingly. As a result, strong adhesion is maintained.

그리고, 상기 나사 축(412)의 회전 조작시 원추형 나사 홈(421)이 나사 결합된 가압구(42)는 걸림공(422)에 대하여 연장 봉(413)의 걸림턱(414)이 상호 걸려지는 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고, 또 가압구(42)는 가압 돌출편(426)의 접촉면(426a)이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면을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나사축(421)의 회전 조작시 따라 도는 것이 방지되어 가압구(42)에 대한 조작구(41)의 회전 조작이 그만큼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rew shaft 412 is rotated, the pressing hole 42 in which the conical screw groove 421 is screwe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414 of the extension rod 413 with respect to the locking hole 422. Since it is fitted in the state, the arbitrary separation is prevented, and the pressure port 42 has the contact surface 426a of the pressure protruding piece 426 enlarg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as shown in FIG. Since it is assembled in a state of constantly pressing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421 is prevented to follow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tool 41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port 42 can be made as quickly and easily.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지주봉(10)(20)은, 상기 제1지주봉(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임 조작되는 길이 조절부(40)를 통해 일정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또 길이 조절 과정에서 상기 제1지주봉(10)을 강제로 회전 조작하더라도 상기 제1지주봉(10)에 조립된 받침 캡(32)이 천정(2)에 밀착 지지된 상부 받침구(31)를 중심으로 회전자재 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지주봉(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천정(2)의 손상이나 회전 자국을 전혀 남기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and 20 are fixed to the fixed length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40 which is tightened by rotating the first holding rod 10 counterclockwise. It becomes possible, and even when the first holding rod 10 is forcibly rotated in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the support cap 32 assembled to the first holding rod 10 is closely supported on the ceiling (2) Since the base is rotated around the support hole 31, the damage or rotation marks of the ceiling 2 due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rst holding rod 10 are not left at all.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로 설치되어진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높낮이 조절구(52)의 미세 조절에 의해 제2지주봉(20)의 단부에 일체로 조립 고정된 승강 캡(53)이 승강 조작구(54)에 대해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 조절된 상태의 발췌 조립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A-A 선내의 평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stat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ods 10 and 20 that are installed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is finely described will be described. do. 5 and 6 are the lifting cap 53, which is integral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by the fine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to the lower or upper with respect to the lifting operation port 54. An excerpt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ement-adjusted state, and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 받침구(51)에 소경부(521)가 회전 자재되게 안착된 높낮이 조절구(52)를 대경부(522)에 구비된 조작편(526)을 이용하여 반 시계 방향(하강) 또는 시계방향(상승)으로 회전 조작하여 주면,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중공부(523)내에 수직 설치된 다각봉(525)과 이 다각봉(525)에 다각홈(541)이 삽설 지지된 승강 조작구(54)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고, 동시에 상기 승강 조작구(54)의 숫나사부(542)에 대해 암나사부(531)가 결합되어진 승강 캡(53)은 상기 승강 조작구(54)의 숫나사부(542) 범위 내에서 하방 또는 상방 으로 직선 이동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10)(20)은 승강 조작구(54)의 숫나사부(542) 범위 내에서 승강 캡(53)이 상하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그 높낮이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and 20 is to be finely adjusted,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may be rotated to the lower support 51. When the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52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ownward) or clockwise direction (upward) by using the operation piece 526 provided in the large-diameter portion 522, the height adjustment door 52 The vertical bar 525 vertically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523 of the hollow part 523 and the lifting operation tool 54 in which the polygon groove 541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polygon bar 525 are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elevating cap 53, to whic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531 is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542 of the sphere 54, is linearly moved downwardly or upwardly within the male threaded portion 542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54. .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and 20 are finely adjusted by the lifting cap 53 being moved up and down within the male screw portion 542 of the lifting operation tool 54. This will be possibl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구(52)의 회전 조작시 승강 조작구(54)는 다각봉(525)에 대해 동일한 형태의 다각봉(525)이 상호 끼워지기 때문에 겉돌지않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ure 7,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54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opening 52 is not turned back because the same bar of the polygon bar 525 of the same shape with respect to the polygon bar 525. .

한편, 제1지주봉(10)과 높낮이 조절구(52)의 회전 조작시 상기 제1지주봉(10)은 이에 조립된 받침 캡(32)이 상부 받침구(31)로 형성된 접촉돌기(313)와 접촉 회전되어 지고, 또 상기 높낮이 조절구(52)는 그 하부로 형성된 접촉돌기(527)와 통기공(528)을 통한 공기 소통에 의해 회전 조작이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first holding rod 10 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the first holding rod 10 has a contact protrusion 313 formed with the upper support hole 31, the support cap 32 assembled thereto. ) 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is rotated by the air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tact protrusions 527 and the vent hole 528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made very smooth and smooth.

또한, 제1 및 제2 지주봉(10)(20)은 그 상 하부로 각각 조립된 상하 받침구(31)(51)에 구비된 각 탄성패드(311)(511)에 의해 더욱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게 된다. 또 높낮이 조절 과정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52)는 하부 받침구(51)를 중심으로 회전자재 되기 때문에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회전 조작에 따른 바닥(3)의 손상이나 회전 자국 역시 전혀 남기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are further stabilized by the respective elastic pads 311 and 511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holes 31 and 51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respectively.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process,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is rotated around the lower support port 51, so that no damage or rotation marks of the bottom 3 due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remain. Will not.

이와 같이 신축 지주(1)에 대한 길이 및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도 1과 같이 양 신축 지주(1)와의 사이에 수납 선반(4)을 걸어 지지하면 되고, 사용 도중 천정(2)이나 바닥(3)에 진동이나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신축지주(1)는 완충부(60)에 의한 자체적인 신축 작용이 가능함에 따라 신축 지주(1)의 설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지는 것이다.Thus, when length and height adjustment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 stretching support 1 are completed, as shown in FIG. 1,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old the storage shelf 4 between both expansion-supports 1, and to use the ceiling 2 or the floor ( 3) Even if vibration or impact is applied to the stretch colum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lf-stretching action by the buffer unit 60 is possible, the installation stability of the stretch column 1 is greatly improved.

그리고, 신축 지주(1)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지주봉(10)을 시계방향(해제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역으로 조작구(41)의 나사 축(412)이 가압구(42)의 원추형 나선홈(421)으로 부터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도 4와 같이 강제로 벌어져 있던 확장편들(425)이 다시 도 3의 원호 안에 확대 도시된 상태로 원상 복귀되어 지고, 이러한 확장편들(425)의 복귀 조작에 의해 제2지주봉(20)의 내주 벽면에 대한 가압 밀착력은 해제된다.In addition, when the elastic support 1 is to be removed, when the first holding rod 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lease direction), the screw shaft 412 of the operation tool 41 is reversely pressed by the pressure port 42. By extension from the conical spiral groove 421 of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pieces 425, which are forcibly opened as shown in Figure 4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enlarged state in the circular arc of Figure 3, and these expansion pieces ( The pressing adhes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urfac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is released by the return operation of 425.

따라서 상기 제1지주봉(10)은 제2지주봉(20)에 대한 가압력의 해제로 인해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상태로 됨에 따라 천장(2)과 바닥(3)으로부터의 해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holding rod 10 is to be dismantled from the ceiling (2) and the floor (3) as the length adjustment is made free by the release of the pressing force on the second holding rod (20). .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3)으로 위치되는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의 내부로 완충부재(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조절부재(40)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축지주(1)를 천정(2)과 바닥(3)으로부터 분리해내고자 하는 경우 신축지주(1)를 잡고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신축지주(1)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것보다는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이 보다 자연스럽고 적은 힘이 들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ffer member 60 is installed in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is positioned in the bottom (3), the stretch holder without adjusting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0 If you want to separate (1) from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it can be removed naturally by holding the stretch holding (1) and pressing downward. For example, rather than lifting the stretch column (1) to the top, the downward movement is more natural and takes less for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 지주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지주봉의 길이 조작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신축지주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신축지주의 설치를 더욱 안정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완충부재의 구비로 인해 천정이나 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관계없이 자체적인 완충 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축지주의 휘어짐이나 유동 발생 없이 항상 긴밀하고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constituting the elastic support can be made quickly and reliably, and even if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fine height adjustment of the elastic support is possible. It can be installed more stably and smoothly, and the cushioning member can provide its own buffering effect regardless of vibration or external impact from ceiling or floor, so it is always tight without bending or flow And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또한, 신축 지주의 길이 조절이나 높낮이 조절시 상부 및 하부 받침구에 대하여 제1지주봉에 결합된 받침 캡과 높낮이 조절구가 회전자재 되고, 또 각 받침구로 탄성패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조절이나 높낮이 조절에 따른 천정 또는 바닥의 손상이나 회전 및 설치 자국을 전혀 남기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adjustment or height adjustment of the elastic strut, the support cap and the height adjustment por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relative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holes are rotated, and the elastic pads are provided at each support hole to adjust the length. The height adjustment provides the effect of leaving no damage to the ceiling or floor or turning and installation marks.

또한, 각 받침구에 대해 회전자재 되는 제1지주봉의 받침 캡과 높낮이 조절구는 접촉돌기에 의한 선 접촉을 통해 회전 조작되기 때문에 회전 조작이 그만큼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cap and the height adjustment tool of the first support rod that is rotated for each support port are rotated through the line contact by the contact protrusion, the rotation operation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smooth and smooth operation.

또한, 완충부재가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재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 지주의 하방 누름 동작을 통한 신축지주의 분리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ㅇ이점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buffer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removal of the stretch holder through the downward pressing operation of the stretch column.

본 발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업자에 의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수납선반(4)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천정(2)과 바닥(3)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 지주(1)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telescopic strut 1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2 and the bottom 3 to fix and support the storage shelf 4: 상이한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지주봉(10)(20)과;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having different diameters; 상기 천정(2)으로 위치되는 제1지주봉(10)의 일단 부에 장착 받침되는 상부 받침부(30)와;An upper support part 30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10 positioned as the ceiling 2; 상기 제2지지봉(20)의 일 단부에 삽설 지지되는 제1지주봉(10)의 타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주봉(10)(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40)와;Length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rods 10,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lding rod 10 is inserted and support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20) Section 40; 상기 바닥(3)으로 위치되는 상기 제2지주봉(20)의 타 단부를 안정되게 받침함과 동시에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 및A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ment unit 50 for s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20 positioned at the bottom 3 and enabling fine adjustment of height; And 상기 길이 조절부(40)를 통해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제1 및 제2지주봉(10)(20)이 상기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에 대해 신축자재 되도록 탄성 받침 하기 위한 완충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용 신축지주.A buffer uni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10 and 20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 so as to be stretch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Stretch holder for storage shelve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10)는, 천정(2)과 당접되는 상면으로 탄성패드(311)가 구비되고, 그 하면으로는 탄성 축(312)이 분할 형성된 상부 받침 구(31) 및 상기 상부 받침구(31)의 탄성 축(312)이 회전자재 되게 탄성 결합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주봉(10)의 일 단부가 삽설 지지되는 중공부(322)가 일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받침 캡(3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용 신축지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10,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31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sphere 31 is formed with the elastic shaft 312 divided And a through hole 321 elast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shaft 312 of the upper supporter 31 so as to be rotatable, and a hollow portion 322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rod 10 is inserted and supported. Stretch holder for storage shelv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cap 32 is formed to open in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 상기 제2지주봉(30)의 일 단부로 끼워지는 제1지주봉(10)의 타 단부에 일체로 조립 고정되는 조작구 본체(411)와, 상기 조작구 본체(41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 축(412)과, 상기 나사 축(412)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봉(413)과, 상기 연장봉(413)의 단부로 형성된 걸림턱(414)으로 이루어진 조작구(41) 및An operation tool body 411 integrally assembl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rod 10 fit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rod 30, and extend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tool body 411. An operating tool 41 including a screw shaft 412, an extension rod 413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412, and a locking jaw 414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rod 413; 상기 나사 축(412)에 나사 결합되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원추형 나사 홈(421)과, 상기 연장봉(413)의 걸림턱(414)에 걸려지도록 상기 원추형 나사 홈(421)과 연통되어진 걸림공(422)과, 상부 또는 하부로 대응되게 트여진 대향 절개홈(423)(424)에 의해 외연으로 확장 조작되는 확장편들(425)과, 상기 제2지주봉(20)의 내주벽면에 대해 일정한 가압 상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편들(425)의 직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접촉면(426a)을 갖는 가압 돌출편(426)을 포함하는 가압구(4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신축지주.Communicate with the conical screw groove 421 to be engaged with the screw shaft 412, the conical screw groove 421 having a form narrowing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he engaging jaw 414 of the extension rod 413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and the expansion piece 425 which is extended to the outer periphery by the engaging hole 422, the opposing incision grooves 423, 424 opened to correspond to the top or botto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essure port 42 comprising a pressing projection 426 having a contact surface 426a protruding outwardly than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pieces 425 to provide a constant pressure always against the wall surface Telescopic column for storage shel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 및 높낮이 조절부(50)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 and height adjustment unit 50, 바닥(3)과 당접되는 하부면으로 탄성패드(511)가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중공부(512)를 갖는 하부 받침구(51)와,An elastic pad 511 is provided as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3, and has a lower support hole 51 having a hollow portion 512 open to the top, 상기 하부 받침구(51)의 중공부(512) 내부로 하단의 소경부(521)가 회전자재 되게 안착지지 되고, 또 상기 소경부(521)에 대해 단지게 형성된 대경부(522)의 내부로는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중공부(523)가 단지게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523)의 내부로는 장 볼트(524)가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진 다각봉(525)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대경부(522)의 외주면으로는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조작편(526)이 구비된 높낮이 조절구(52)와,Inside the hollow portion 512 of the lower support 51,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at the lower end is seated and supported to rotate, and the in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2 formed only with respect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521. The hollow portion 523 of the open shape to the top is formed to be merely,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523 is a vertical rod 525,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ng bolt 524 is integrally installed, the vertical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522, the height adjusting opening 52 provided with an operation piece 526 which can be held and operated by hand,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중공부(523) 내에 삽설 지지되되, 그 일단 부가 상기 제2지주봉(20)의 타 단부에 고정 조립되며, 내부 중앙으로 암나사공(531)이 형성된 승강 캡(53)과,Lifting cap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hollow portion 523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lding rod 20, the female screw hole 531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 53), 상기 승강 캡(53)의 암나사공(531)에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542)가 외주면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으로는 상기 다각봉(525)에 끼워지는 다각홈(541)이 관통 형성된 승강 조작구(54) 및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542 which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hole 531 of the elevating cap 5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olygonal groove 541 fitted into the polygonal rod 525 is penetrated at the center thereof. Sphere (54) and 상기 다각봉(524)의 외부로 노출 되어진 장 볼트(524)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승강 조작구(5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 조임되는 너트(5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선반용 신축지주.Expansion and contraction shelf for storag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55 is screwed to the long bolt 52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lygon bar 524 is screw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tool 54 landlord.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구(31)의 저면과, 상기 높낮이 조절구(52)의 저면으로는 회전 조작을 부드럽게 유도하기 위한 접촉돌기(313)(527) 가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신축지주.5. The contact surface 313 or 527 of claim 2 or 4,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 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are provided with contact protrusions 313 and 527 for smoothly inducing a rotation operation. Telescopic column for storing shelf characterized by bagg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구(52)로는 하부 받침구(51)에 대한 안정된 장착을 유도하기 위한 통기공(528)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신축지주.The stretcher hold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port (52)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nt (528) for inducing a stable mounting on the lower support port (5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는 압축 또는 인장 스프링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선반용 신축지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unit 60 is a stretch holder for a storag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or tension spring form.
KR1020060035312A 2006-04-19 2006-04-19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KR100819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12A KR100819888B1 (en) 2006-04-19 2006-04-19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12A KR100819888B1 (en) 2006-04-19 2006-04-19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72A true KR20070103572A (en) 2007-10-24
KR100819888B1 KR100819888B1 (en) 2008-04-07

Family

ID=3881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312A KR100819888B1 (en) 2006-04-19 2006-04-19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8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54B1 (en) 2008-06-03 2011-05-27 주식회사 우성인터내셔날 Framework shelf having changable bracket and partitioning using framework shelf
KR101243142B1 (en) 2010-09-30 2013-03-14 박정건 Buttress having a structure of adjusting hight and safty door for space division using thereof
KR101789581B1 (en) * 2015-08-31 2017-10-25 박수경 Post of the hanger
KR102257595B1 (en) * 2019-10-29 2021-05-28 (주)수성이엔지 Wheelset pres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25U (en) * 1998-11-14 1999-02-25 김도형 Shelf Support
JP2000210150A (en) 1999-01-25 2000-08-02 Sekisui Jushi Co Ltd Support
KR200334963Y1 (en) 2003-08-18 2003-12-03 박우희 Hanger post
KR200351036Y1 (en) 2004-02-17 2004-05-22 전영채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KR20050089776A (en) * 2005-08-19 2005-09-08 전영채 Stopper apparatus for length controlling of elasticity p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888B1 (en)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79B1 (en) Kickstand of furniture
KR101434278B1 (en) Kickstand of furniture
KR100819888B1 (en)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JP3161736U (en) Exhibition equipment
JP3161736U7 (en)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JP3182846U (en) Telescopic rod (stretching rod) support member
CN102641070A (en)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mmodity shelf
KR101659662B1 (en) Adjustable height stool table
KR101866530B1 (en) Kickstand of sink
KR102345824B1 (en) Kickstand of furniture
KR200420174Y1 (en) Fixture for storage shelf
JP5205060B2 (en) Telescopic device
KR200432651Y1 (en) Hanger for clothes rack
KR200439858Y1 (en) A length control pipe
KR101599413B1 (en) Bidirectional interlock lifting type kickstand of furniture
KR20040060892A (en) the length controler of post for hanger
KR200173946Y1 (en) A control equipment of post height
KR200320995Y1 (en) Dish rack
CN108020011B (en) Refrigerator door body and refrigerator
KR200320996Y1 (en) Fixing structure of adjustable ribs of dish rack
KR200351036Y1 (en) Support bar for installing cookery shelf
KR200444762Y1 (en) A corner shelf
KR200399635Y1 (en) High and low regulater of furniture for leg
KR100778772B1 (en) Hanger for clothes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