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008A -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2008A KR20070102008A KR1020060033590A KR20060033590A KR20070102008A KR 20070102008 A KR20070102008 A KR 20070102008A KR 1020060033590 A KR1020060033590 A KR 1020060033590A KR 20060033590 A KR20060033590 A KR 20060033590A KR 20070102008 A KR20070102008 A KR 20070102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network
- home
- command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홈서버 200 : 통신 인터페이스부100: home server 200: communication interface
202 : 데이터 송수신부 204 : 데이터 처리부202: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04: data processing unit
206 : 저장부 208 : 제어부206: storage unit 208: control uni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기능을 가지는 홈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erver hav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building a multimedia environment in a home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에 구비된 각종 TV,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The home network has been star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central control system that can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TV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and the like.
홈 네트워크 관련 기술은 현재 여러 단체로부터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형태도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분류된다. Home network related technologies are currently being standardized by various organizations, and their types are classified into wired and wireless.
유선 형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홈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IEEE 1394 및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 PLC)이 있으며, 무선 형태로는 Bluetooth, HomeRF(Home Radio Frequency),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가 있다. Representative wire types include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PNA), IEEE 1394,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wireless types include Bluetooth, HomeRF (Home Radio Frequency), and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술 중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전력선 통신을 들 수 있다. Power line communication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mong home network technologies using wired communication.
전력선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이란, 가정이나 사무실에 가설되어 있는 전력선에 통신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꿔 실어 보내고 이를 고주파 필터를 이용, 따로 분리해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력선은 전화선과 마찬가지로 구리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굵기가 전화선의 10배나 된다. 따라서 전력선이 통신용으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는 아이디어가 제기된 지는 이미 오래이다.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efers to a method of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on a power line installed in a home or office, and receiving the signal separately by using a high frequency filter. Power lines, like telephone lines, consist of copper and are ten times as thick as telephone lines. So it's been a long time since the idea that power lines can be used enough for communication.
그러나, 전력선의 통신선으로서의 활용은 심한 노이즈와 감쇄 현상 및 잦은 접속 단절 등 기술적인 문제점 때문에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90년대 들어 노이즈 현상을 해결해 주는 에러보정법이 개발되었고 여타의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점차 해결되기 시작하면서 전력선통신의 상용화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However, the use of power lines as communication line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echnical problems such as severe noise, attenuation and frequent disconnection. However, in the 1990s, error correc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noise phenomenon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gradually began to be solved, opening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power line communication.
특히, 1990년 미국 소비자 가전연합이 개방형 기술인 E-Bus 프로토콜을 개발한 이후, 세계 각지의 다양한 전력선통신 관련 기업들이 이를 응용한 제품들을 활발히 개발해오고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US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developed the E-Bus protocol, which is an open technology in 1990, various power line communication compan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products applying the same.
전력선통신의 홈 네트워킹 및 가입자망 솔루션으로서의 활용도 중 가장 큰 장점은 경제성이라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력선은 이미 가설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활용할 경우 적은 비용으로 홈 네트워킹 및 가입자망 등의 옥내/외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The biggest advantage of powerline communication as a home networking and subscriber network solution is economical. Since power lines are already hypothesized worldwide, it is possible to build indoor / outdoor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home networking and subscriber networks at low cost.
전력선통신이 댁내 망에 응용될 경우 홈 네트워킹의 연결 매체 및 일종의 운용체제라 할 수 있는 미들웨어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 중/저속 기술을 응용한 전력선제품들은 가전기기, 조명기기 등의 제어에 사용되고 있어 홈 네트워킹 솔루션으로의 채택이 확산되고 있다. When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s applied to the home network, it can be used as a middleware,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and a kind of operating system of home networking. Recently, power line products applying the medium / low speed technology are being used to control home appliances and lighting devices, and thus, the adoption of home networking solutions is spreading.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홈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도록 높은 사양의 멀티미디어 환경을 갖추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trend is to build a high-quality multimedia environment to build a home network and enjoy a variety of entertainment on the home network using such a technology.
하나의 예로, 가정의 거실에 대형 화면의 텔레비전 수상기, DVD 시스템, 5.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을 포함하는 홈시어터를, 각 방에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해 놓음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For example, a home theater including a large-screen television receiver, a DVD system, and a 5.1-channel sound system in a living room of a home is provided with a personal computer in each room, thereby upgrading the multimedia environment.
하지만,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환경을 갖추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고성능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구비됨으로써 가능하므로 비용을 증대시킨다. However, in order to provide such a multimedia environment, a plurality of high-performance multimedia devices can be provided, thereby increasing the cos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상에 낮은 비용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데이터 처리기능을 가지는 홈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server hav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enabling a multimedia environment to be constructed at a low cost on a home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기능을 가지는 홈서버는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들과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입력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소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명령을 전송받은 경우, 그 전송받은 데이터 처리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입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디코딩된 데이터가 상기 해당 데이터의 처리명령을 전송한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server hav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nected to one or more devices on the home network; A data processor for decoding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data; And receiving a data processing command for predetermined data from a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nputting the corresponding data into the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processing command, and the data deco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be used. And a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processing command to th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ocessing comman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는 상이한 통신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와 상기 홈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저장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 저장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network and the home network based on different communic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When a data storage command for data existing on the external network is received from a device connected to the device, the data storage command acquires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storage command. do.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는 전력선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랜이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력선통신 트랜시버;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랜 트랜시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홈 네트워크 또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 기기로 전송되도록 해당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전력선통신 트랜시버 또는 상기 랜 트랜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home network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external network is a LA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devices on the home network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 LAN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device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or the LAN transceiver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so that data input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or the external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기능을 가지는 홈서버의 동작 방법은 홈서버가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기들로부터 소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그 전송받은 데이터 처리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가 상기 해당 데이터의 처리명령을 전송한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ethod of operating a home server hav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home server receives a data processing command for predetermined data from one or more devices connected on a home network, the home server operates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processing command. Decoding the data; And causing the decoded data to be transmitted to a device that has transmitted a processing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data.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명령에 따라 디코딩되는 데이터는 상기 홈서버가 상이한 통신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와 상기 홈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저장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그 전송받은 데이터 저장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데이터이다. Here, the data decoded according to the data processing command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corresponding network so that the home server can communicate between the external network based on the different communication and the home network, and from a device connected on the home network. When a data storage command for data existing on the external network is received, the data is obtained and stored from the external network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storage command.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는 전력선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me network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external network is a LA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 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그리고 이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홈서버(100)로 구성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shown in FIG. 1, an external network, a home network, and a
홈서버(100)는 홈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며, 한쪽으로는 외부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댁내의 홈 네트워크로 신호를 분배하는 것을 관리한다. The
이러한 홈서버(100)는 홈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고 중재하여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기들(102-1,102-2,..,102-n)에게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정의할 수 있으며,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연결할 수 있는 지능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홈서버(100)는 서로 다른 통신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중계한다. The
그리고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기들(102-1,102-2,..,102-n)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획득 또는 미리 획득해 놓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unction for processing or transmitting data obtained from or previously acquired from an external network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devices 102-1, 102-2, .., 102-n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와, 데이터 송수신부(202)와, 데이터 처리부(204)와, 저장부(206)와, 제어부(208)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들(102-1,102-2,..,102-n)과 연결된다. The
데이터 송수신부(202)는 상이한 통신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data transmission /
데이터 처리부(204)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디코딩한다. The
제어부(208)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에 연결된 기기들(102-1,102-2,..,102-n)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명령을 데이터 송수신부(202)를 통해 수신한다. The
제어부(208)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이 외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저장명령인 경우에 데이터 송수신부(202)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부(206)에 저장해 놓는다. If the received user command is a data storage command for data existing on the external network, the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명령이 저장부(206)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 중 소정 데이터 대한 데이터 처리명령인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204)로 전송한다. 제어부(208)는 데이터 처리부(204)에서 디코딩된 데이터가 데이터 송수신부(202)를 통해 그 데이터 처리명령을 전송한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When the received user command is a data processing command for predetermined data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여기서, 홈 네트워크는 전력선통신 네트워크이고 외부 네트워크는 랜인 경우에 홈서버(100)의 데이터 송수신부(202)는 전력선통신 트랜시버(transceiver)(202-2)와, 랜 트랜시버(202-6)와,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202-4)로 구성된다. Here, when the home network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external network is a LAN, the
전력선통신 트랜시버(202-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들(102-1,102-2,..,102-n)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202-2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devices 102-1, 102-2,..., 102-n on a home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각 기기들(102-1,102-2,..,102-n) 또한 전력선통신 트랜시버(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기 구비된 전력선통신 트랜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Each of the devices 102-1, 102-2, .., 102-n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lso includ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not shown), and each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not shown) is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랜 트랜시버(202-6)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LAN transceiver 202-6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devices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202-4)는 전력선통신 트랜시버(202-2) 또는 랜 트랜시버(202-6)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08)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8)의 제어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입력받은 데이터가 홈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 기기로 전송되도록 해당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력선통신 트랜시버(202-2) 또는 랜 트랜시버(202-6)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202-4 transmits data received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202-2 or the LAN transceiver 202-6 to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100)는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기기들(102-1,102-2,..,102-n)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중 처리를 수행하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획득해 놓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해 줌으로써, 입출력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기기들을 통해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환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그에 따라, 일 예로 홈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영상/음성 출력 장치로 디코딩된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시청이 가능하게해 줄 수 있다. Accordingly, as an example,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기기들(102-1,102-2,..,102-n)에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홈서버(100)는 홈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와 상이한 통신 기반을 가지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당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그리고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외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저장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그 전송받은 명령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며 해당 데이터를 획득하고 저장해 놓는다(S300,S302). When a data storage command for data existing on the external network is received from a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e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network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and acquires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S300, S302). .
또한,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기기로부터 미리 저장해 놓은 데이터 중에서 소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처리명령을 전송받은 경우에 그 전송받은 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하고(S304,S306), 그 데이터 처리명령을 전송한 기기로 디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한다(S308).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data processing command for a predetermined data from the data stored in advance from the device connected on the home network, the data is decod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S304, S306), and the data processing command is transmitted. The decod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S308).
그에 따라,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기기들이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가지지 않은 입출력 장치일지라도 홈서버로부터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 준다. Accordingly, even if the devices on the home network are input / output devices that do not have a data processing function, the decoded multimedia data can be provided from the home server to provide multimedia services to user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 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본 발명에 따르면, 홈서버는 서로 다른 통신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중계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기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획득 또는 미리 획득해 놓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server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a home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based on different communications. And a function of acquiring data from an external network 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data previously acquir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홈서버가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이용될 경우 홈 서버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처리하여 제공해 주므로, 댁내에서 멀티미디어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여 따로 고성능의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를 구비시킬 필요 없이 단순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출력 장치를 통해서도 멀티미디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home serv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struct a home network, the home server acquires, processes, and provides the multimedia data desired by the user from an external network. It is possible to create a multimedia environment even through a multimedia output device having a user interface unit without having to provide a processing device.
이로써,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홈 네트워크를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조성케 해 준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home network to be created in a multimedia environment more efficiently and cheaply.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3590A KR20070102008A (en) | 2006-04-13 | 2006-04-13 |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3590A KR20070102008A (en) | 2006-04-13 | 2006-04-13 |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008A true KR20070102008A (en) | 2007-10-18 |
Family
ID=3881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3590A KR20070102008A (en) | 2006-04-13 | 2006-04-13 |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10200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865A (en) | 2021-11-23 | 2023-05-31 | (주)비아이매트릭스 | Method for processing data |
-
2006
- 2006-04-13 KR KR1020060033590A patent/KR2007010200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865A (en) | 2021-11-23 | 2023-05-31 | (주)비아이매트릭스 | Method for processing dat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23500A1 (en) | Home Network System | |
CN102713814B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 |
US20050113943A1 (en)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household appliances | |
US200402033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 |
CN101257326B (en) |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pair of wireless transmitting kit and wireless receiving kit | |
US20100049831A1 (en) | Home network using wireless module | |
CN104200632A (en) |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remote control function through wearable equipment with combination of intelligent mobile terminal | |
CN104635501A (en) | Intelligent hom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CN109039837A (en) | A kind of communication means and intelligent domestic gateway of smart home system | |
WO2009149345A2 (en) |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 |
CN102124736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distributing multiplex signal comprising multimedia data over a local area network | |
CN101141536A (en) | Remote control system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
CN101674446A (en) | Multimedia file sharing device and method | |
CN104954078A (en) | Sound wave communication based control and response method and sound wave communication based control and response device | |
JP2005520389A (en) | Bonding module for network | |
CN101127607A (en) | Network adapter | |
KR20070102008A (en) | Home server with the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05141879B (en) | Video calling convers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CN103402039A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 |
CN101877663B (en) | Application method based on cordless telephone | |
KR100645182B1 (en) | Control method of home-network system | |
CN101132566A (en) |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ethod with remote voice control function | |
CN204168445U (en) | A kind of television set remote control apparatus with telephone sets for home use function | |
CN104039028A (en) | Wireless digital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WIFI | |
CN218071819U (en) | Intelligent home wireless gate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