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427A - 에어리스 용기 - Google Patents

에어리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427A
KR20070101427A KR1020060032392A KR20060032392A KR20070101427A KR 20070101427 A KR20070101427 A KR 20070101427A KR 1020060032392 A KR1020060032392 A KR 1020060032392A KR 20060032392 A KR20060032392 A KR 20060032392A KR 20070101427 A KR20070101427 A KR 2007010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ylinder
container
push ba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중
한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피
Priority to KR102006003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427A/ko
Publication of KR2007010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를 밀어 내용물을 메인용기 외부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용기에서,
메인용기(1) 내벽에 안치된 실린더(10)를 내용물 배출방향으로 미는 푸시수단(20);
푸시수단(20)의 중앙과 후크결합 되고 푸시수단(20)에 일 방향으로 이동토록 외면에 일방향 푸시후크(31)를 가지는 푸시바(30); 및
메인용기(1)의 저면 외부에서 푸시바 단부와 결합되어 푸시바(30)의 복원력을 젝오하는 복원수단(40)을 포함하는 에어리스 용기이다.
에어리스용기

Description

에어리스 용기{Airless Bottle}
도 1 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용기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용기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보조안내캡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푸시수단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인용기 1-1;보조안내판고정턱 2;가이드링 3;푸시수단수용부 3-1;고정턱 4;내측수용부 5;내부배출구 6;외측수용부 7;안내출구 8;외부배출구 9;보조안내캡 9-1;출구덮개 10;실린더 11;내측실린더 12;외측실린더 20;푸시수단 21;내측푸시관 22;외측푸시관 23;푸시판 24;스토퍼 25;푸시바공 26;걸림턱 27;슬릿 30;푸시바 31;일방향푸시후크 32;후단부 40;복원수단 50;후단캡 60;푸시바캡
본 발명은 에어리스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없이 내용물을 순차 일정량씩 배출토록 하는 에어리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내용물을 충진 시키고 용기를 누르거나 기울여 출구를 통하여 원하는 만큼 배출토록 한다.
최근에는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펌프를 내장한 용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압축공기압을 제공하여 내용물을 배출토록 하는 방식이어서 압축공기로 인한 배출시 내용물이 튀기도 하고 세게 누르면 많은 양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내용물을 피스톤 방식으로 일정위치 이동토록 하고 복원시켜, 이동한 체적에 상응하는 양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므로 내용물에 공기압이 직접 작용치 않아 내용물이 튀기는 것을 막아주는 에어리스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 작용하는 왕복 위치가 일정토록 하여 일정량만 배출되도록 하여 과다 배출을 막아주는 에어리스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메인용기에 가이드링을 두고 실린더가 가이드링을 따라 내용물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하는 푸시수단은 일정 위치로 이동토록 푸시하는 푸시바에 의하여 이동토록 하며, 푸시바는 항상 정 위치에서 누름 작용을 가능토록 복원수단에 의하여 정 위치로 복원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실린더를 밀어 내용물을 메인용기 외부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용기에서,
메인용기 내벽에 안치된 실린더를 내용물 배출방향으로 미는 푸시수단;
푸시수단의 중앙과 후크결합 되고 푸시수단에 일 방향으로 이동토록 외면에 일방향 푸시후크를 가지는 푸시바; 및
메인용기의 저면 외부에서 푸시바 단부와 결합되어 푸시바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리스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메인용기는 실린더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출구 측에 내부 배출구와 연통된 원통형 가이드링과;
상기 실린더를 푸시하는 푸시수단을 수용하는 푸시수단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링 내부는 내부 배출구를 출구로 하는 내측 수용부를 이루고,
외부는 메인용기 내벽에서 외측 수용부를 이루고,
외측 수용부는 안내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 배출구와 동 축으로 출구를 이루는 외부 배출구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는 가이드링 내측에 안치되는 원판형 내측실린더와, 가이드링 외측과 메인용기 내벽에 안치되는 링상의 외측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수단은 실린더를 중앙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내측 푸시관과,
내측 푸시관과 동축으로 실린더둘레 부분을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외측 푸시관과,
각 푸시관을 후단에서 결합하는 푸시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판의 중앙에는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푸시바의 푸시력을 전달받는 스토퍼와,
스토퍼의 중앙에서 푸시바가 일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푸시바가 끼워지는 푸시바공을 더 형성한다.
푸시수단의 후단과 메인용기 후단에는, 메인용기의 후단을 막고 푸시수단을 초기 위치로 유지토록 하며 푸시바의 왕복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왕복운동공을 가지는 후단캡을 부가한다.
후단캡의 중앙에는 푸시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푸시바캡을 수용하는 푸시바 수용홈을 두고, 푸시바 수용홈 바닥면과 푸시바캡은 푸시바캡의 누름작용에 연동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을 설치한다.
푸시바는 왕복운동공과 같은 직경의 후단부와, 푸시바가 후단부 외에는 후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턱부가 있는 것이 좋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용기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메인용기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보조 안내캡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푸시수단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평면도로,
실린더를 밀어 내용물을 메인용기 외부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용기에서,
메인용기(1) 내벽에 안치된 실린더(10)를 내용물 배출방향으로 미는 푸시수단(20);
푸시수단(20)의 중앙과 후크 결합되고 푸시수단(20)에 일방향으로 이동토록 외면에 일방향 푸시후크(31)를 가지는 푸시바(30); 및
메인용기(1)의 저면 외부에서 푸시바 단부와 결합되어 푸시바(30)의 복원력을 젝오하는 복원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용기(1)는 도 2 및 도 3 과 같이 실린더(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출구측에 내부 배출구와 연통된 원통형 가이드링(2)과;
상기 실린더(10)를 푸시하는 푸시수단(20)을 수용하는 푸시수단 수용부(3)로 이루어진다. 메인용기(1)의 상부측 외주연에는 보조안내판 고정턱(1-1)을 형성하고, 메인용기(1) 내부 하부 공간에는 푸시수단수용부(3)를 두고, 푸시수단 수용부(3)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링상의 고정턱(3-1)을 다수 형성한다. 메인용기(1)의 상단에는 중앙에 내부 배출구(5)를 두고, 내부 배출구(5) 둘레의 외측 수용부(6) 상면에는 외측 수용부(6)와 통하는 장방형의 안내출구(7)를 수 개소에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링(2) 내부는 내부 배출구(5)를 출구로 하는 내측 수용부(4)를 이루고,
외부는 메인용기(1) 내벽에서 외측 수용부(6)를 이루고,
외측 수용부(6)는 안내출구(7)를 통해 상기 내부 배출구(5)와 동축으로 출구를 이루는 외부 배출구(8)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외부배출구(8)는 외부배출구출구(8-1)와 통하도록 보조 안내캡(9)을 도 4 와 같이 결합시킨다. 보조안내캡(9) 은 힌지(9-4)를 통하여 출구덮개(9-1)를 결합시킨다. 출구덮개(9-1)에는 내측 중앙에 원통형의 내부출구 덮개(9-2)가 외부 배출구 출구(8-1)와 결합 가능한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고, 내부출구덮개(9-2)의 중앙에는 동축으로 작은 직경의 내부배출구덮개(9-3)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10)는 가이드링(2) 내측에 안치되는 원판형 내측 실린더(11)와, 가이드링(2) 외측과 메인용기(1) 내벽에 안치되는 링상의 외측 실린더(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수단(20)은 실린더(10)를 중앙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내측 푸시관(21)과,
내측 푸시관(21)과 동축으로 실린더(10)둘레 부분을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외측 푸시관(22)과,
각 푸시관(21,22)을 후단에서 결합하는 푸시판(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판(23)의 중앙에는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푸시바(30)의 푸시력을 전달받는 스토퍼(24)와,
스토퍼(24)의 중앙에서 푸시바(30)가 일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푸시바(30)가 끼워지는 푸시바공(25)을 더 형성한다.
상기 푸시수단(20)의 후단과 메인용기(1) 후단에는, 메인용기(1)의 후단을 막고 푸시수단(20)을 초기 위치로 유지토록 하며 푸시바(30)의 왕복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왕복운동공(51)을 가지는 후단캡(50)을 부가한다.
상기 후단캡(50)의 중앙에는 푸시바(30)와 일체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왕 복운동시키는 푸시바캡(60)을 수용하는 푸시바 수용홈(52)을 두고, 푸시바 수용홈(52) 바닥면과 푸시바캡(60)은 푸시바캡(60)의 누름작용에 연동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등의 복원수단(40)을 설치한다.
상기 푸시바(30)는 왕복운동공(51)과 같은 직경의 후단부(32)와, 푸시바(30)가 후단부(32) 외에는 후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턱부(33)를 형성한다. 상기 푸시바(30)의 외단에는 일정 길이 방향의 간격을 두고 일 방향 후크 기능을 하는 링상의 일방향 푸시후크(3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2 및 도 3 과 같은 메인용기(1)에 상부에는 도 4 와 같은 보조안내캡(9)을 안치시켜, 메인용기(1)의 보조안내판고정턱(1-1)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키고, 출구덮개(9-1)를 힌지(9-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결합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링(2)의 내경부에는 내측실린더(11)를, 외경부에는 외측실린더(12)를 결합시킨다.
이어 내외측 실린더(11,12)의 하면의 푸시수단수용부(3)에는 도 5 및 도 6 에 보인 푸시수단(20)을 결합시킨다. 푸시수단(20)의 하단은 양측에 걸림턱(26)을 두고 걸림턱(26)의 외측면은 아래가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8)을 이루기에 걸림턱(26)이 푸시수단수용부(3) 내면의 고정턱(3-1)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킨다.
물론 이전에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바(30)를 푸시바공(25)에 결합한 상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노출된 푸시바(30)의 후단부(32)에는 스프링의 복원수단(40)을 끼운 푸시바캡(60)을 결합고정시킨다.
상기에서 메인용기(1)의 내측수용부(4) 및 외측수용부(6)에 충진하는 내용물의 주입은 별도의 주입기를 통하여 할 수도 있고, 조립하기 전에 미리 채운 상태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조립 상태를 도 1 과 같이 이루고, 내측수용부(4) 및 외측 수용부(6)에 내용물이 공기 없이 채워졌다고 가정하면,
푸시바캡(60)을 일정 깊이(h1)로 누르면, 푸시바캡(60)과 일체로 된 푸시바(30)가 위로 올라간다. 그러면 푸시바(30)의 푸시판(23)이 스토퍼(24)를 밀고, 스토퍼(24)의 미는 힘은 푸시판(23)에 그대로 전달되고, 푸시판(23)은 내외측 푸시판(21,220을 통하여 내측 및 외측 실린더(11,12)를 역시 같은 높이(h1) 만큼 밀어준다.
일단 밀어주는 피스톤 작용으로 내외측 수용부(4,6)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부배출구(5)와 외부배출구(8)를 통하여 일정량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배출이 되면 내외측 수용부(4,6)와 내외측 실린더(11,12)는 그대로 내용물과 당접하나, 푸시바(30)는 복원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면서 맨 하단의 푸시후크(31)위치(a)가 아닌 그 다음 위치(b)로 이동하여 스토퍼(24)가 결합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마지막의 위치(n)에 있는 푸시후크(31)가 스토퍼(24)를 밀 때 까지 작용한다. 물론 이는 내외측 수용부(4,6)의 높이와 길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실린더가 피스톤 작용하여 정량배출하므로, 과다 사용을 막을 수 있고, 실린더의 누름작용으로 정량 배출하므로 과다 공기압으로 내용물이 튀기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실린더가 원통형의 가이드링을 따라 상승 이동하므로 일정한 압력이 전달되어 내용물의 균일한 배출이 가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이드링의 내외부에 상호 다른 내용물을 수용하여도 각각 동일한 양이 동시에 배출 가능토록 한다.

Claims (8)

  1. 실린더를 밀어 내용물을 메인용기 외부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용기에서,
    메인용기(1) 내벽에 안치된 실린더(10)를 내용물 배출방향으로 미는 푸시수단(20);
    푸시수단(20)의 중앙과 후크결합되고 푸시수단(20)에 일방향으로 이동토록 외면에 일방향 푸시후크(31)를 가지는 푸시바(30); 및
    메인용기(1)의 저면 외부에서 푸시바 단부와 결합되어 푸시바(30)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40)을 포함하는 에어리스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용기(1)는 실린더(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고 출구측에 내부 배출구와 연통된 원통형 가이드링(2)과;
    상기 실린더(10)를 푸시하는 푸시수단(20)을 수용하는 푸시수단 수용부(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링(2) 내부는 내부 배출구(5)를 출구로 하는 내측 수용부(4)를 이루고,
    외부는 메인용기(1) 내벽에서 외측 수용부(6)를 이루고,
    외측 수용부(6)는 안내출구(7)를 통해 상기 내부 배출구(5)와 동축으로 출구를 이루는 외부 배출구(8)를 형성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실린더(10)는 가이드링(2) 내측에 안치되는 원판형 내측실린더(11)와, 가이드링(2) 외측과 메인용기(1) 내벽에 안치되는 링상의 외측 실린더(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푸시수단(20)은 실린더(10)를 중앙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내측 푸관판(21)과,
    내측푸시관(21)과 동축으로 실린더(10)둘레 부분을 선단에서 푸시하는 원통형 외측푸시관(22)과,
    각 푸시관(21,22)을 후단에서 결합하는 푸시판(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푸시판(23)의 중앙에는 누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여 푸시바(30)의 푸시력을 전달받는 스토퍼(24)와,
    스토퍼(24)의 중앙에서 푸시바(30)가 일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푸시바(30)가 끼워지는 푸시바공(25)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푸시수단(20)의 후단과 메인용기(1) 후단에는, 메인용기(1)의 후단을 막고 푸시수단(20)을 초기 위치로 유지토록 하며 푸시바(30)의 왕복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왕복운동공(51)을 가지는 후단캡(5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후단캡(50)의 중앙에는 푸시바(30)와 일치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푸시바캡(60)을 수용하는 푸시바 수용홈(52)을 두고, 푸시바 수용홈(52) 바닥면과 푸시바캡(60)은 푸시바캡(60)의 누름작용에 연동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용기.
KR1020060032392A 2006-04-10 2006-04-10 에어리스 용기 KR20070101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92A KR20070101427A (ko) 2006-04-10 2006-04-10 에어리스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92A KR20070101427A (ko) 2006-04-10 2006-04-10 에어리스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27A true KR20070101427A (ko) 2007-10-17

Family

ID=3881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92A KR20070101427A (ko) 2006-04-10 2006-04-10 에어리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14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9805B (zh) 一种具有一体模制的触发器和弹簧的薄壁计量设备及其组装方法
MXPA03003556A (es) Distribuidor de fluido que tiene un frasco rigido y camara de aire interna flexible.
CN100563737C (zh) 注射装置
EP2328690B1 (en) Pump having a flexible mechanism for engagement with a dispenser
UA100746C2 (en) Injection device
KR20080104258A (ko) 이중 주사기용 분배 장치
US5931347A (en) Dispenser unit for viscous substances
WO2010089418A3 (en) Automatic applicator for liqui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particularly for insulin
WO2001062319A3 (en) Syringes and syringe systems for selectively dispensing controlled amounts of a therapeutic substance
KR10142012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N101412010A (zh) 压出设备
KR101882598B1 (ko)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KR100967469B1 (ko) 코딩 수단을 갖는 분배 장치
JPH0667496B2 (ja) 粘性製品用ディスペンサ
CN100593384C (zh) 供给器,尤其是计量供给器
KR20070101427A (ko) 에어리스 용기
KR101037579B1 (ko) 이종액체가 분리수용되는 에어리스타입 디스펜서 용기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KR100766797B1 (ko) 유체 토출 장치
KR101026270B1 (ko) 펌핑 잠금장치
JP5686023B2 (ja) 2液混合吐出容器
KR200292374Y1 (ko) 화장품 디스펜스용 방출 버튼
GB9910468D0 (en) Dispensing device
AU3973300A (en) Disposable safety syringe
KR19990035562U (ko) 스프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