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114A -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114A
KR20070101114A KR1020070006156A KR20070006156A KR20070101114A KR 20070101114 A KR20070101114 A KR 20070101114A KR 1020070006156 A KR1020070006156 A KR 1020070006156A KR 20070006156 A KR20070006156 A KR 20070006156A KR 20070101114 A KR20070101114 A KR 2007010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ull
floor
processing apparatus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5380B1 (en
Inventor
가즈히데 우가진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to remove a jammed paper money easily for an ATM(Automated Teller Machine) by dividing a pull frame floor of a pull unit to make a space for a movable unit which can be moved to open at a certain angle with the pull frame floor for removing the jammed paper. In 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 separation unit for withdrawing a paper money, an accumulating unit for the paper money, and a pull unit(1) formed to be rotated against a case body. A movable unit(5) is formed by dividing at least one part of a pull frame floor(4) in the pull unit(1) to make a space for the movable unit(5).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도 1 은 실시예를 풀부의 사시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explanatory view of a pul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는 풀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측면 설명도이다.2 is an explanatory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ll portion.

도 3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4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5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6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6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7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8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9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10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pull unit.

도 11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2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3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4 는 가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It is a side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a movable part.

도 15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6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7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18 은 센서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ttachment state of a sensor.

도 19 는 센서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a sensor.

도 20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21 은 센서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ttachment state of a sensor.

도 22 는 센서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ttachment state of a sensor.

도 23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a pull part.

도 24 는 종래의 입출금구의 설명도이다.2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entrance and exit port.

도 25 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도 26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a pull part.

도 27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28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29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30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31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ng state of a pull part.

도 32 는 지폐의 집적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accumulation state of a banknote.

도 33 은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a pull part.

도 34 는 풀부의 작동 상태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a pull p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풀부1: pool part

2: 풀 프레임2: full frame

3: 회전 지점3: rotation point

4: 풀 프레임 플로어4: full frame floor

5: 가동부인 풀 플로어 가이드5: movable floor full floor guide

6: 지폐6: banknote

7: 인출 롤러7: withdraw roller

8: 구멍 혹은 노치8: hole or notch

9: 빌 프레스9: bill press

10: 회전 지점10: rotation point

11: 풀 프레임 측벽11: full frame sidewall

12: 케이스체12: case body

13: 피드 롤러13: feed roller

14: 게이트 롤러14: gate roller

15: 센서15: sensor

16: 센서16: sensor

17: 센서17: sensor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제2005-184906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5-184906

본 발명은 지폐 입출금 장치 등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지엽류의 입출부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es, such as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Specifically, It is related with the paper-loading-out part of paper sheets.

종래의 지폐 입출금 장치의 지폐 입출금구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24 는 입출금구의 설명도, 도 25 는 지폐 입출금 장치의 설명도이다.The banknote entry and exit port of the conventional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is demonstrated below. 2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teller machine, and FIG. 2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banknote device.

지폐 입출금 장치 (100) 의 고객측에는 카드 삽입구 (101), 통장 입구 (102), 고객 조작부 (103), 디스플레이 (104) 및 지폐 입출금구 (105) 등을 갖는 패널 (106) 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customer side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00, a panel 106 having a card insertion hole 101, a bankbook entrance 102, a customer operating unit 103, a display 104, a banknote teller and bank 105 and the like is formed.

지폐 입출금 장치 (100) 내부에는 지폐 입출금부 (107) 가 있고, 이 지폐 입출금부 (107) 에 상부에 상기 지폐 입출금구 (105) 가 배치되고, 그 지폐 입출금구 (105) 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There is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07 inside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100, and the banknote and withdrawal outlet 105 is disposed above the banknote and withdrawal unit 107, and the banknote and withdrawal outlet 105 is shown in FIG. 25. As shown.

요컨대, 지폐 입출금구 (105) 는 도시와 같이, 패널 (106) 의 지폐 입출금구 (105) 와의 맞춤 부분의 케이스체 (108) 의 개구부에는 셔터 (109) 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셔터 (109) 는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utter 109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case body 108 of the fitting portion of the panel 106 with the banknote entry and exit port 105 of the panel 106. The shutter 109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instruction.

지폐의 입금 동작이 지시되면,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109) 를 열고, 고객에 의해 풀부 (110) 에 지폐 (111) 가 투입된다. 투입이 완료되면, 셔터 (109) 를 닫고, 지폐 (111) 는 빌 프레스 (112) 에 의해 압압되어 풀 프레임 플로어 (113) 에 협지되고, 풀부 (110) 와 함께 회전 운동하여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111) 는 인출 롤러 (114) 에 접한 상태가 된다.When the banknote transfer operation | movement is instructed, as shown in FIG. 26, the shutter 109 is opened and the banknote 111 is thrown into the pull part 110 by a customer. When the feeding is completed, the shutter 109 is closed, the banknote 111 is pressed by the bill press 112 and sandwiched with the full frame floor 113,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pull portion 110, as shown in FIG. 27. Similarly, the banknote 111 will be in contact with the drawing roller 114.

도시하지 않는 구동부에 의해, 인출 롤러 (114) 에 의해 지폐는 1매씩 분리 하기 위한 게이트 (115) 를 구성하는 피드 롤러 (116) 및 게이트 롤러 (117) 에 의해 지폐는 1매씩 분리된다. 분리된 지폐를 센서 (118) 에 의해 지폐의 크기나 진행 방향에 대한 기울기 등이 검지되고, 반송 가능이라 판단된 지폐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 (119) 를 통하여 피드 롤러 (116) 와 벨트·기어 등에서 연동하여 회전하는 반송 롤러 (120) 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지폐 수납부로 반송된다.By the drive par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banknotes are separated one by one by the feed roller 116 and the gate roller 117 which comprise the gate 115 for separating banknotes one by one with the drawing-out roller 114. FIG. The separated banknote is detected by the sensor 118 with the size of the banknote,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like, and the banknote judged to be transportable can be conveyed through the feed path 119 as shown in FIG. And the conveyance roller 120 which rotates by interlocking with a belt, a gear, etc., are conveyed to the banknote accommodating par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다음에, 지폐의 출금 동작이 지지된 경우에는, 인출 롤러, 피드 롤러 및 게이트 롤러를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지폐 수납부로부터 1매씩 지폐가 분리·송출되고,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 (121) 를 통과하고, 센서 (122) 에 의해 지폐의 상태를 검지하여 풀부 (110) 의 풀 프레임 플로어 (113) 상에 집적된다. 지정된 매수의 집적이 종료되면,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한 지폐를 빌 프레스 (112) 에 의해 압압하고,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부 (110) 와 함께 회전시킨다.Next, when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banknote is supported, the banknotes are separated and sent out one by one from the banknote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provided with the withdrawal roller, the feed roller, and the gate roller, and as shown in FIG. It passes through 121 and detects the state of a banknote by the sensor 122, and is integrated on the full frame floor 113 of the pull part 110. As shown in FIG. When accumulation of the specified number of sheet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0, the accumulated banknote is pressed by the bill press 112, and it rotates with the pull part 110 as shown in FIG.

그래서, 셔터 (109) 를 열고 고객은 풀부 (110) 로부터 지폐를 꺼낼 수 있다.Thus, the shutter 109 is opened and the customer can take out the banknote from the pull unit 110.

이상과 같이,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거나 꺼내거나 하는 부분,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하는 부분, 그리고 출금되는 지폐를 집적하는 부분, 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나로 정리하여, 지폐 입출금부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stomer puts or unloads the bills, the parts for separating the inserted bills one by one, the part for accumulating the withdrawn bills, and the one by rotating the pull part, thereby realizing the space saving of the bill in and out part. have.

풀부가 입금시와 출금시에 회전 운동하도록 한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pull portion rotates at the time of depositing and withdrawing money.

그러나, 상기 설명한 기술에 있어서, 출금의 경우, 풀부에 집적된 지폐를 고객이 수취하게 하기 위해, 또한, 입금의 경우에도, 게이트로부터 지폐를 1매씩 인출할 때에, 인출한 지폐가 접혀 있거나, 지폐의 크기와 다른 형상의 매체 (영수증 등) 를 고객이 투입한 경우에는, 그대로 후속의 반송로에 송출한 경우, 장치 이상이 되는 중대한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센서에 의해 지폐의 상태를 판단하여, 인출을 정지시키고 풀부를 회전시켜 고객에게 지폐를 반환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n the case of withdrawal, in order to allow the customer to receive the bills accumulated in the pool, and also in the case of the withdrawal, the withdrawn bills are folded or bills when withdrawing the bills one by one from the gate. If the customer inserts a media (receipt, etc.) of a different size than the size of the product, if it is sent to the subsequent conveying path as it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rious obstacle may be caused by the devic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withdrawal, rotate the pull and return the bill to the customer.

그러나, 고객의 지폐를 투입한 상태 또는 지폐의 집적 상태에 따라서는, 지폐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가 정렬되어 있지 않고,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customer's banknote is put or the banknote's accumulation state, as shown in Fig. 32, the end portions are not aligned, and a part thereof may protrude.

그러한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우, 지폐의 일부가 비어져 나온 상태에서, 풀부를 회전시키면, 비어져 나온 지폐가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나 셔터와 풀부의 사이에 협지되는 경우가 있어, 풀부가 올바르게 회전 운동하지 못하고, 동작이 멈추어 장치 고장이 된다는 문제가 생기고, 나아가서는, 협지된 지폐를 고객이 용이하게 수취할 수 없다는 조작상의 문제가 발생한다.As shown in FIG. 33, when a pull part is rotated in the state which a part of banknotes protruded, the protruding banknote may be sandwiched between a case body, a shutter, and a pull part, as shown in FIG.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ull portion does not rotate properly, the operation stops and the device breaks down, and furthermore, an operation problem arises that the customer cannot easily receive the pinched banknot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일부가 비어져 나온 지폐가 케이스체나 셔터와 풀부의 사이에 협지된 경우에 그 협지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ease the clamped state when a banknote whose part is squeezed is sandwiched between the case body or the shutter and the pull portion.

그래서 본 발명은 풀부를 구성하는 풀 프레임 플로어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하여 가동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ull frame floor constituting the pool is divided into movable parts.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지폐 입출금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Example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실시예Example

도 1 은 풀부의 사시 설명도, 도 2 는 작동을 설명하는 측면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explanatory diagram of a pull part, and FIG. 2 is a side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

풀부 (1) 의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풀 프레임 (2) 은 도시와 같이, 상자형을 하고 있으며, 도 25 에 나타내는 지폐 입출금구 (103) 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유지하거나, 출금된 지폐를 집적해 두는 장소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각 부품은 이 풀 프레임 (2) 에 실장되어 있다.The full frame 2 which serves as a frame of the pull part 1 has a box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holds the banknotes inserted from the banknotes and withdrawals 103 shown in FIG. 25 or accumulates the withdrawn banknotes. It is a place and each component demonstrated below is mounted in this full frame 2. As shown in FIG.

도면에 있어서, (4) 는 풀 프레임 플로어이고, 평면 형상으로서 부분적으로 가동부인 풀 플로어 가이드 (5) 로서 분할되어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full frame floor, which is divided into a full floor guide 5 that is a movable part and is rotatable in a planar shape.

풀 플로어 가이드 (5) 는 회전 지점 (3) 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스테핑 모터 등에 의한 구동 기구에 의해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A-A'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ull floor guide 5 is capable of rotating in the A-A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ull frame floor 4 by a drive mechanism by a stepping motor or the like not shown by the rotation point 3.

또한, 이 분할 개소는 풀 프레임 플로어 (4) 의 어느 개소이어도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정도로 되어 있지만, 그 밖에는 예를 들어, 풀 프레임 플로어의 기부이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풀 프레임 플로어 전체가 기부로부터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풀 프레임 플로어가 풀 플로어 가이드를 겸하게 된다.In addition, this part may be any part of the full frame floor 4, and although it is set to the middle in this embodiment, otherwise, for example, the base of a full frame floor may be sufficient, In that case, the whole full frame floor is a base. Rotational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full frame floor also serves as a full floor guide.

또한, 풀 플로어 가이드 (5) 에는 지폐 (6) 을 분리할 때에 필요한 인출 롤러 (7) 의 구멍 혹은 노치 (8) (도면에서는 구멍의 경우를 나타낸다.) 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 full floor guide 5 is provided with a hole or a notch 8 (in the drawing, a case of a hole) of the take-out roller 7 necessary for separating the banknote 6.

(9) 는 풀 프레임 플로어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빌 프레스이다. 이 빌 프레스 (9) 는, 도시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B-B'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9) is a bill press arranged opposite the full frame floor. As shown in FIG. 2, this bill press 9 is movable in parallel with the full-frame floor 4 in B-B 'direction by the drive mechanism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10) 은 풀 프레임 측벽 (11) 에 형성한 풀부 회전 지점으로서, 좌우의 풀 프레임 측벽 (11) 각각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 회전 지점 (10) 을 중심으로 풀부 (1) 는 C-C'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접객부에 장착되고, 도시하지 않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10 is a pull part rotation point formed on the full frame side wall 11, and is arranged on the same axis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full frame side walls 11, and the pull part 1 is the CC around this rotation point 10. Rotation is freely mounted in the customer's part, and is rotated by a rotation driver (not shown).

이하에 상기 구성의 풀부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ool por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고객이 지폐의 투입·수취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회전 운동시켜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케이스체 (12) 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개구를 넓힌다.). 이 공간을 냄으로써 고객의 손가락이 지폐 (6) 를 잡기 쉬워, 조작성이 향상된다.When a customer inserts and receives a banknote, as shown in FIG. 3, it rotates the full floor guide 5 and gives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ull frame floor 4, and between the case bodies 12 is shown. Form a space (open the opening). By putting out this space, the finger of a customer tends to hold the banknote 6, and operability improves.

입금의 경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가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동일 면 혹은 평행하게 되도록 동작하고, 투입된 지폐 (6) 는 빌 프레스 (9) 에 의해 압압된다.In the case of depositing, as shown in FIG. 4, the full-floor guide 5 is operated so that it may become the same surface or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full-frame floor 4, and the inserted banknote 6 is pressed by the bill press 9 .

그래서, 풀부 (1) 을 회전 운동시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는 인 출 롤러 (7) 에 노치 (8) 를 개재하여 접촉시키고, 피드 롤러 (13) 및 게이트 롤러 (14) 에 의해 지폐는 1매씩 분리되어 인출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by rotating the pull part 1, the bankno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ake-out roller 7 via the notch 8, and the banknote 14 is carried out by the feed roller 13 and the gate roller 14. Are separated and drawn one by one.

출금의 경우, 풀 플로어 가이드 (5) 및 풀 프레임 플로어 (4) 상에 집적된 지폐 (6) 는, 분리시는 반대의 순서가 되어, 풀부 (1) 를 회전 운동시키고,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각도를 갖도록 움직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린 상태로 하여 고객이 수취하기 쉽도록 한다.In the case of withdrawal, the bills 6 accumulated on the full floor guide 5 and the full frame floor 4 are in the reverse order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the pull part 1 is rotated and the full floor guide 5 ) Is moved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ull-frame floor 4, and as shown in FIG. 3, it is made open and it is easy for a customer to receive.

그러나, 상기의 각 동작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의 분리 도중에, 분리 불량이나 이형상의 매체를 검지한 경우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를 정지하고 고객에게 지폐를 반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출금의 집적시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의 단부가 튀어나온 상태에서 집적되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each of the above operations, in the case of detecting separation failure or a deformed medium during the separation of the deposited bank notes, it is necessary to stop the separation and return the bank notes to the customer as shown in FIG. 6. In addition, at the time of accumulation of withdrawal, it may accumulate in the state which the edge part of the banknote protruded,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풀부 (1) 를 회전 운동시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튀어나온 지폐가 케이스체 (12) 또는 셔터와 풀부 (1) 사이에 협지되는 경우가 있다.When the pull unit 1 is rotated in such a state, as shown in FIG. 8, the protruding banknote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case body 12 or the shutter and the pull unit 1.

그러한 경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회전 운동시켜 연 상태로 해도 지폐는 꺼내기 어려운 상태이다. 그래서,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평행 (평면 형상) 이 되도록 회전 운동함으로써 지폐를 누르고, 이로써 협지된 지폐의 튀어나온 부분을 풀 플로어 가이드 (4) 가 뒤에서 밀어내어 협지된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다.In such a case, as shown in FIG. 9, even if the full floor guide 5 is rotated and opened, it is a state which a banknote is hard to take out. Therefore, as shown in FIG. 10 by moving the full floor guide 5, a banknote is pressed by rotating so that it may become parallel (planar shape) with respect to the full frame floor 4,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banknote clamped by this is full floor The guide 4 can be pushed out from behind to release the clamped state.

그래서, 다시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회전 운동시켜 도 11 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각도를 갖게 하여 케이스체 (12), 지폐 (6) 와의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풀부의 개구를 넓혀) 고객이 용이하게 지폐를 수취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full floor guide 5 is rotated again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ull frame floor 4 as shown in FIG. 11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case body 12 and the banknote 6 ( The opening of the pull portion can be widened) so that the customer can easily receive the bill.

또한, 풀 플로어 가이드 (5) 는 풀 프레임 플로어 (4) 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움직임으로써, 입금 지폐의 분리시에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프레임 플로어와 평면을 형성하여 분리 플로어 가이드로서 작용시키고, 출금시의 집적 시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시 풀 프레임 플로어와 평면을 형성하여 집적 스테이지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ll floor guide 5 moves to form a flat surface with the full frame floor 4, so that when separating the banknotes, as shown in FIG. 12, the full floor guide forms a plane with the full frame floor to act as a separate floor guide. At the time of withdrawal, as shown in FIG. 13, a full frame floor and a plane can also be formed to have a function as an integrated stage guide.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4) 는 풀 프레임 플로어 (4) 에 대하여 D-D'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형성해도 되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는,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설명한 풀 플로어 가이드 (5) 와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어, 지폐가 협지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full floor guide 5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ull frame floor 4 has been described. However, as shown in FIG. 14, the full floor guide 4 is a full frame floor 4. It may be formed so as to move in parallel to the DD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5, the full floor guide 5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 described full floor guide 5 by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state where the banknote is held.

요컨대, 풀부 (1) 내의 지폐를 빼낼 때에는,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내려 케이스체 (12) 와의 사이에 간극을 만들어 고객의 손이 들어가기 쉽게 하여 지폐를 빼내기 쉽게 한다.In short, when pulling out the banknote in the pull part 1, the pull-floor guide 5 is lowered, and the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case body 12, and a customer's hand is made to enter, and it is easy to pull out a banknote.

또한, 튀어나온 지폐가 케이스체 (12) 와 풀부 (1) 사이에 협지된 경우에는,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연 상태로 해도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는 꺼내기 어려운 상태이다. 그래서,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이동시켜,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프레임 플로어 (4) 를 연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지폐를 누르고, 이로써 협지된 지폐의 튀어나온 부분을 풀 플로어 가이드 (5) 가 밀어 내어 협지된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banknote is clamped between the case body 12 and the pull part 1, even if the pull-floor guide 5 is moved and opened, as shown in FIG. 15, a banknote is in a difficult state to take out. Thus, the full floor guide 5 is moved, and as shown in FIG. 16, the full frame floor 4 is extended to press the banknote so that the full-floor guide 5 pushes out the billed portion of the held banknote. It can be pushed out to release the clamped state.

그래서, 다시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이동시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 (12), 지폐 (6) 와의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고객이 용이하게 지폐를 수취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full floor guide 5 is moved again, and as shown in FIG. 17, a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case body 12 and the banknote 6, and a customer can receive a banknote easi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지폐가 튀어나와 있는지 여부를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more preferable if the sensor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banknote sticks out.

그래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부 (1) 의 상방에 지폐의 높이를 검지하는 센서 (15) 를 지폐의 두께 방향을 향하여 배치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8, the sensor 15 which detects the height of a banknote above the pull part 1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banknot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입금·출금 거래에서의 고객의 지폐의 수취시에, 튀어나온 지폐가 있는 상태에서 풀부 (1) 를 회전 운동시키면, 도 19 와 같이 집적 상태로부터 튀어나온 지폐가 케이스체 (12) 와 풀부 (1) 사이에 협지된다. 그 때,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지폐가 협지된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ull unit 1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re is a banknote protruding at the time of receipt of the customer's banknote in the deposit / withdrawal transaction, the banknote protruding from the accumulation state as shown in FIG. ) And the pull portion (1). At that tim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full floor guide 5 to eliminate the state where the banknote is held.

그래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15) 에 의해, 케이스체 (12) 또는 셔터와 풀부 (1) 사이에 지폐가 협지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9, the sensor 15 can detect that the banknote is clamped between the case body 12 or the shutter and the pull part 1.

센서 (15) 에 의해 지폐를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협지된 지폐를 밀어내어 협지를 해소한다.When the banknote is detected by the sensor 15, as shown in FIG. 20, the full floor guide 5 is moved to push the clamped banknote to eliminate the pinching.

센서 (15) 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에는, 협지된 지폐는 없다고 판단하 여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이는 것은 실시하지 않는다.When the sensor 15 does not detect a banknote, it judges that there is no banknote held and does not move the full floor guide 5.

또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금 분리시에, 센서 (16) 를 반송로내에 설치해 둠으로써, 분리 불량이나 이형상의 매체를 검출하여 고객에게 되돌리는 경우, 이 센서 (16) 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단면이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검지한 결과, 지폐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것을 풀부 (1) 로 되돌려 풀부 (1) 를 회전 운동시키면 지폐의 협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협지된 종이를 밀어내어 협지를 해소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 in the case of deposit separation, when the sensor 16 is installed in the conveyance path, when the separation failure or the deformed medium is detected and returned to the customer, the sensor 16 is conveyed by the sensor 16. The cross section of the banknote is detected. As a result of detection, when a banknote is not aligned, when it returns to the pool part 1 and rotates the pool part 1, pinching of a banknote may occur, as shown in FIG. 23, the full floor guide 5 Move to push the sandwiched paper to dissolve it.

또한,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금 집적시에, 센서 (17) 를 반송로내에 설치해 두면, 반송되는 지폐의 자세나 단면 상태를 검지한다. 지폐의 자세가 나쁘거나 단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음이 검지된 경우에는, 지폐의 협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풀부 (1) 를 회전 운동시킨 후,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여 협지를 해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when the sensor 17 is provided in a conveyance path at the time of withdrawal accumulation, the attitude | position and cross-sectional state of a banknote conveyed are detect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ture of the banknote is bad or the cross section is not aligned, the bank of the banknote may occur. Therefore, as shown in FIG. 23, the full floor guide 5 is rotated after the pull unit 1 is rotated. You can remove the narrowing by moving.

센서 (17) 가 상태가 나쁜 지폐를 검지하지 않았을 때에는, 협지된 지폐는 없다고 판단하여 풀 플로어 가이드 (5) 를 움직이는 것은 실시하지 않는다.When the sensor 17 does not detect a banknote in a bad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anknote held and moving the full floor guide 5 is not performed.

이상과 같이,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풀 플로어 가이드의 동작을 필요할 때에만 실시할 수 있어, 동작 처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sensor, the operation of the full floor guide can be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and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풀부가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의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풀부는 반드시 회전 운동만이 아니고, 방향에 관계없이 이동하는 구조의 것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기의 구조는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pull portion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movement, the abov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pull portion is not only a rotation movement but a structure that moves regardless of the direction.

또한, 상기 설명은 지폐 입출금 장치로 설명하였지만, 카드 취급 장치나 발권 장치 등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description demonstrated with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apparatus, it can use similarly also i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es, such as a card handling apparatus and a ticketing apparatus.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은 열려 있는 가동부를 평면 형상이 되도록 움직임으로써 지엽류를 누르고, 이로써 케이스체와 풀부 사이에 협지된 지엽류의 튀어나온 부분을 밀어내어 협지된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어, 풀부로부터의 지엽류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paper sheet by moving the open movable portion to have a flat shape, thereby pushing ou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aper sheet sandwich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pull portion, thereby eliminating the sandwiched state.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sheets of paper.

또한, 다시 가동부를 움직여 풀 프레임 플로어에 대하여 각도를 갖게 하여 케이스체와 지엽류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고객이 용이하게 지엽류를 수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 movable part is moved again to mak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ull frame floor, thereby creating a space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paper sheets,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that the paper sheet can be easily received by the customer.

Claims (6)

지엽류를 인출하는 분리 기구와, 지엽류를 집적하는 집적 기구를 갖고, 그 지엽류의 투입·취출구인 풀부가 케이스체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which has the separation mechanism which takes out paper sheets, and the integration mechanism which accumulates paper sheets, and the pull part which is an input / outlet of this paper sheet is formed so that rotation movement is possible with respect to a case body, 풀부를 구성하는 풀 프레임 플로어의 적어도 일부를 분할하여 가동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The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dividing at least one part of the full-frame floor which comprises a pool part as a movable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풀 프레임 플로어의 가동부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하고, 풀 프레임 플로어에 대하여 각도를 부여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The shee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enabling the movable part of a full frame floor to be rotatable, and making it move by gi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a full frame flo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풀 프레임 플로어의 가동부를 풀 프레임 플로어에 대하여 평행 이동 가능하게 하고, 가동부의 이동에 의해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The shee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enabling the movable part of a full frame floor to be movable parallel with respect to a full frame floor, and forming the space | interval with a case body by the movement of a movabl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풀부의 상방에 센서를 배치하고, 그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풀 프레임 플로 어의 가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placing a sensor above the pool portion and operating the movable portion of the full frame floor based on detection of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반송로내에 센서를 배치하고, 그 센서에 의해 주행하는 지엽의 자세나 단면을 검지하고, 그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풀 프레임 플로어의 가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rranging a sensor in a conveying path, detecting a posture and a cross section of a paper sheet traveling by the sensor, and operating a movable part of a full frame floor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가동부를 움직여 풀 프레임 플로어와 평면을 형성하여 지엽류의 분리시의 분리 플로어 가이드 및 집적시의 집적 스테이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A shee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ovable floor to form a flat surface with a full frame floor to form a separation floor guide for separating paper sheets and an integration stage for stacking.
KR1020070006156A 2006-04-11 2007-01-19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10853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09111 2006-04-11
JP2006109111A JP5157078B2 (en) 2006-04-11 2006-04-11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14A true KR20070101114A (en) 2007-10-16
KR101085380B1 KR101085380B1 (en) 2011-11-21

Family

ID=3868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156A KR101085380B1 (en) 2006-04-11 2007-01-19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57078B2 (en)
KR (1) KR101085380B1 (en)
CN (1) CN101055652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94B1 (en) * 2010-07-28 2012-05-21 엘지엔시스(주) Door control apparatus for A access module
CN106447954A (en) * 2012-03-26 2017-02-22 冲电气工业株式会社 Medium storag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200B2 (en) * 2008-03-10 2013-08-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CN101527060B (en) * 2009-02-26 2010-10-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Gate device with functions of laminated dielectric stack and missing recovery
JP6036559B2 (en) * 2013-06-10 2016-11-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Media processing device
CN105046817A (en) * 2015-07-11 2015-11-11 浙江创智联虹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Coin processing mechanism for achieving coin temporary storage lifting motion
JP7166835B2 (en) * 2018-08-09 2022-11-08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device
JP7212658B2 (en) * 2020-11-02 2023-01-25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safe un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5684A (en) * 1987-07-31 1989-02-06 Hitachi Ltd Paper money handler
JP2761883B2 (en) * 1988-04-06 199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utomatic cash handling equipment
JPH02282122A (en) * 1989-04-24 1990-11-19 Omron Corp Receiving part rotation mechanism for disposal device of paper sheet and the like
JP2503807Y2 (en) * 1990-08-16 1996-07-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ill taking device
JP2772171B2 (en) * 1991-07-24 1998-07-02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Deposit and withdrawal mechanism of cash processing device
JP3976449B2 (en) * 1999-07-06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JP4655777B2 (en) * 2005-06-24 2011-03-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94B1 (en) * 2010-07-28 2012-05-21 엘지엔시스(주) Door control apparatus for A access module
CN106447954A (en) * 2012-03-26 2017-02-22 冲电气工业株式会社 Medium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0299A (en) 2007-10-25
CN101055652A (en) 2007-10-17
JP5157078B2 (en) 2013-03-06
KR101085380B1 (en) 2011-11-21
CN101055652B (en)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380B1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340030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2007062918A (en) Paper sheet piling device
KR100996885B1 (en) Bill withdrawing mechanism
KR101089655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JP6591787B2 (en) Automatic cash transaction equipment
KR101046452B1 (en) Paper Sheet Separator
KR20170112341A (en) A banknote recieving/dispensing cassette with variable stopper
JP4178132B2 (en) Paper sheet stacking and separating device
CN108961535B (en)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KR101261060B1 (en) Bill receiving and paying apparatus
JP5274303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KR101775779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1190075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JP2002175554A (en) Paper money paying and receiving machine
JP3604603B2 (en) Bill receiving / dispensing device
JP5329259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KR101610955B1 (en) Combination structure for paper money stopper of ATM
JP4768293B2 (en) Paper sheet storage device
KR101881024B1 (en) Apparatus to deposit check and method to deposit check thereof
KR102305823B1 (en) Banknote deposi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08802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5708064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2009007113A (en) Paper sheet put-in/out device
KR20070119342A (en) Atm having jam remov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