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380A -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380A
KR20070099380A KR1020060036119A KR20060036119A KR20070099380A KR 20070099380 A KR20070099380 A KR 20070099380A KR 1020060036119 A KR1020060036119 A KR 1020060036119A KR 20060036119 A KR20060036119 A KR 20060036119A KR 20070099380 A KR20070099380 A KR 2007009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risk
equipment
risk level
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근
Original Assignee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filed Critical (주)씨에프정보통신울산
Priority to KR102006003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380A/ko
Publication of KR2007009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설비를 이용하는 업장에서 설비에 관련된 위험요인 자료를 토대로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을 재평가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에서는 해당 설비의 위험 및 안전의 어떠한 사항도 고려치 못하였으며, 초기 설비 설치단계에서 주어진 설비 제조사의 위험등급과 설비를 사용하는 업장의 규정에 맞는 위험등급으로 폐기 때까지 고정적이고 동적이지를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된 시스템은 초기의 위험등급을 바탕으로 설비 이용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인 자료를 토대로 기초 위험등급을 재평가함으로써 차후 해당 설비의 생산 작업자나 설비에 관련된 안전부서와 보전부서에서 설비의 위험 상태를 적시에 파악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하는데 좋은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위험설비, 설비관리시스템, 위험등급, 위험평가

Description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Equipment Risk Level Evaluation System}
도 1은 현 설비관리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과 연동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설비관리시스템과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의 전체적인 업무 흐름 구성도
도 4는 설비의 위험등급 평가를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설비의 위험등급을 조정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으로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에 설비의 위험등급을 평가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동하여 설비에 대한 위험 상태를 적시에 파악하고 보전작업자에 대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 보전이나 점검에 있어 설비의 위험등급에 따라 보전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따른 배정과 작업 계획이 수립된다.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업장에서 설비 설치 후의 모든 설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 처리를 포함하고 있으나,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에 대한 사항은 거의 다루고 있지 않거나 미흡한 시스템이 다수이다. 현 설비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설비 이용에 있어 발생되는 위험요인으로 인한 위험의 범위는 신규 도입 했을 때와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은 초기 규정된 위험 등급이 설비 폐기 때까지 변화함이 없이 동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에서 설비고장으로 인한 보전작업이 발생할 경우 보전작업자는 해당 설비의 현재 위험등급을 파악하지 못하고 기존의 위험등급을 토대로 보전 작업을 하여 설비 위험에 따른 중대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은 위험설비를 고려하지 않는 설비의 현황과 가동 상태만을 설비 관련부서나 관리자, 작업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에 설비에 대한 위험 수위를 인지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설비관리시스템에서 부여하지 않았거나 설비의 제조사와 구매사에서 기초적으로 부여한 위험등급을 이 후 업장에서 설비 설치 후 이용에 있어 발생하는 위험요인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비의 위험등급을 재평가함으로써 설비의 위험상태를 즉시에 파악하여 설비관련 관리부서의 관리자, 작업자에게서의 위험설비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설비관리시스템에 위험등급 평가 시스템을 연동하며, 설비에 대한 위험등급 평가 시에 해당 설비의 위험발생 빈도를 먼저 평가하고, 다음으로 설비에 대한 위험발생 강도를 평가한다. 설비의 위험발생 빈도와 강도는 신규 설치 후 사용함에 있어 발생되는 위험요인을 적용하여 위험 발생의 빈도(강도) 결과가 높은 설비보다 낮은 설비가 위험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고 재평가 할 수가 있다. 또한 위험의 빈도와 강도의 평가로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을 임의로 높이거나 낮춘다는 것은 법적인 규정을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상기에서 평가한 내용을 기초자료로 하여 법적인 등급과 기준을 다시 재평가하여 비로소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이 결정된다.
상기한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은 해당 설비와 관련된 부서의 관리자, 작업자에게 위험설비에 대한 위험등급 상태 변화를 적시에 확인시켜줄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모든 설비에 대한 사고방지 및 예방보전, 안전점검에 있어 최대한의 효과를 얻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설비관리시스템에서 다루지 않고 있던 해당 설비의 위험요인 자료를 입력하여 각 설비에 대한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이들 설비의 이력들을 관리할 설비관리시스템과 업장에서 설비 점검 또는 설비에 대한 장애, 사고로 인하여 해당 설비의 위험의 평가 자료가 주어졌을 때 위험등급을 재평가하는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설비관리시스템과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이 연동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설비관리시스템은 설비 설치 후 업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보전 업무를 총괄한다. 설비의 일반 자료를 관리하는 설비이력관리, 설비에 해당하는 기술서 및 설비 설계도와 같은 문서 및 도면관리, 보전작업에서 필요한 해당 설비의 부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자재관리, 보전작업에서 이루어지는 회계와 관련된 예산관리, 보전작업에 있어 업장의 규정된 작업지침을 관리하는 작업표준관리 등의 설비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을 한다.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은 상기한 설비관리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보전작업에서의 점검관리 또는 정비작업에서 발생되는 위험요인 자료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설비가 가지는 예전의 위험발생 빈도와 위험발생 강도 자료를 비교하여 위험등급을 평가하고 사내규정과 법적규정을 적용하여 재평가하여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을 갱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한 도 2의 구성도를 설비관리시스템의 정비점검과 위험등급 평가에서 더 자세한 전체적인 업무 흐름으로 보면 도 3과 같으며 본 발명의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은 기존의 설비관리시스템의 모든 작업에 연동이 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위험등급을 평가하는 흐름을 다시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부가적인 설명으로 모든 설비의 이력은 업장에 설비 설치 후 설비관리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설비를 이용함에 있어 설비에 관계된 작업으로 보전정비, 보전점검, 안전점검의 작업계획이 수립되면 해당 설비의 위험등급의 유무를 판단하여 기초 위험등급이 없을 경우 해당 설비의 제조사가 제시하는 위험등급과 업장에서 규정하는 위험등급, 기타 법적규정을 이용하여 기초 위험등급을 평가하여 반영한다. 설비에 대한 위험등급이 부여되어 있다면 점검 및 정비에서 평가되는 설비 위험요인 자료를 입력하고 해당 설비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위험발생 빈도 및 강도를 위험 요소에 반영하고 다시 업장의 규정 및 법적으로 정하는 규정을 재 반영하여 설비의 위험등급을 재평가하여 해당 설비 위험등급을 갱신한다.
상기한 작업을 위해 적용된 위험등급을 재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살펴보면 아래에 나타나 있는 각 각의 표로서 나타낼 수가 있다. 하지만 이들 표의 평가기준은 해당 업장에 맞는 기준을 잘 설정을 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위험에 따른 빈도와 강도의 등급을 분류하는데 있어 어떠한 기준에 따른 등급 분류가 이루어지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아래 표 1은 위험발생 빈도에 따른 등급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위험발생 빈도 결정은 과거의 설비고장 또는 인명사고 등의 발생 사례자료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빈도등급 설비고장 인명사고 구분기준
A(상) 년 ≥ 4회 ≥ 4일이상 요양 재해 발생 가능성 높음
B(중) 년 ≥ 2회 ≥ 아차사고 재해 발생 가능성 있음
C(하) 년 ≤ 1회 - 재해 발생 가능성 없음
아래 표 2는 위험발생 강도에 따른 등급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위험발생 강도 결정은 사고발생시 판단된 안전부서의 결정등급을 따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강도등급 설비고장 인명사고 구분기준
A(상) 일 ≥ 4 중대재해 및 장애 치명적
B(중) 일 ≥ 2 4일이상 요양 보 통
C(하) 단순고장 아차사고 경 미
아래 표 3은 위험발생 빈도와 위험발생 강도의 결과 값을 대상으로 위험설비의 기 초등급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빈도 강도 A(상) B(중) C(하)
A(상) AA(5) AB(4) AC(3)
B(중) BA(4) BB(3) BC(2)
C(하) CA(3) CB(2) CC(1)
표 3의 기본등급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으로 AA(5)등급은 작업 중지 및 안전 분석을 고려해야 하는 최상의 위험등급이다. AB, BA(4) 등급은 작업제한 및 긴급조치 등의 위험등급이며 해당 등급에서는 긴급조치를 위한 예산편성도 이루어져야하는 단계이다. AC, BB, CA(3) 등급은 위험을 줄이기 위한 보전 계획 수립을 고려해야 하는 위험등급이다. BC, CB(2) 등급은 효과적인 해결 및 수시로 관리 또는 감시를 하여야 하는 위험등급을 말한다. CC(1) 등급은 조치할 필요가 없는 위험등급이다. 이 기본등급을 판별하여 위험설비의 기본 평가점수에 반영이 되며, 설비의 위험등급이 재평가 되는 것이다.
아래 표 4는 위험설비에 있어 어떠한 사고 발생 전에 보전점검이나 안전점검이 이루어 질 경우 해당 위험설비는 그 만큼의 위험요소를 감소시키는 가중치 환산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가중치는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고 난 후 위험설비의 평가점수에 반영이 되며, 위험등급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측도로서 사용된다.
점검 주기 보전 안전 가중치(weight)
정기(사규) 정기, 분기 정기 0.3 %
분기(년4회) 분기, 수시 분기 0.2 %
수시 수시 수시 0.1 %
상기한 시스템에서 도 4의 설비 위험등급 평가를 위한 순서도는 도 3의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에서 적용이 된 것이며, 차후 위험등급의 평가가 이루어진 후 설비 관련부서의 관리자, 작업자에게 위험설비에 대한 현황을 적시에 제공을 한다. 제공되는 현황을 보면 도 3에서 보는 봐와 같이 기존 설비의 위험등급과 갱신된 설비의 위험등급 현황, 위험설비로 분류된 전체적인 현황, 다발사고 위험설비 현황, 중대재해 위험설비 현황, 위험등급의 상승 폭이 큰 설비를 분류하여 안전점검 및 보전정비, 보전점검의 계획 수립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업장의 설비에 대한 위험요소 발생시에 위험요소 자료를 설비의 기존 위험발생 빈도 및 강도의 자료를 반영하여 설비의 위험등급을 재평가 갱신함으로써 설비와 관련된 부서의 관리자, 작업자에게 위험설비의 등급의 변경을 적시에 알려줄 수 있으며, 또한 위험설비에 대한 작업이 있을 경우 작업 계획에 있어 설비의 위험등급에 맞는 숙련된 보전 작업자를 배정할 수가 있으며 안전작업이 이루어 질수 있게 해준다. 또 다른 효과로는 위험설비의 위험등급을 토대로 위험등급 변동이 높은 설비를 대상으로 사전에 안전점검이나 예방보전의 작업을 고려하여 차후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으며, 위험설비에 대한 전체 현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설비에 따른 위험지역을 분류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업장에서 설비 설치 후 이용함에 있어 발생되는 위험요인 자료를 입력하여 위험의 등급을 재평가하는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설비의 위험발생 빈도(사고 및 고장 사례가 얼마나 있었는가 ?)를 비교 평가하는 단계와,
    설비의 위험발생 강도(설비의 고장상태와 인명피해가 얼마정도 인가 ?)를 비교 평가하는 단계,
    위험 빈도와 강도를 평가한 후 법적규정 및 사내규정으로 위험등급을 재평가하는 단계,
    상기한 설비의 위험등급을 재평가한 결과로 설비의 위험등급을 새로이 갱신하여 설비와 관련된 부서의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위험설비와 관련된 현황들을 적시에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위험등급의 갱신으로 발생되는 현황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설비의 기존등급, 위험발생 빈도, 위험발생 강도, 설비 위험 재평가 등급관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 설비 위험등급 관리 부분,
    사고다발 위험설비, 중대해사고 위험설비, 위험등급 변경설비 등을 포함하고 있는 위험설비 현황관리 부분,
    상기한 현황을 토대로 위험설비에 대한 안점점검 계획, 개선설비 점검, 위험설비 보고서 등을 포함하는 안전 및 보전관리 부분,
    상기한 현황 관리부분을 설비관련 부서의 관리자나 작업자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구성하는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KR1020060036119A 2006-04-21 2006-04-21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KR20070099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19A KR20070099380A (ko) 2006-04-21 2006-04-21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19A KR20070099380A (ko) 2006-04-21 2006-04-21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820 Division 2006-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380A true KR20070099380A (ko) 2007-10-09

Family

ID=3880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119A KR20070099380A (ko) 2006-04-21 2006-04-21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3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67B1 (ko)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설비 건전성과 엔지니어링프로세스 유효성 평가를 위한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8877158A (zh) * 2017-05-12 2018-11-23 波音公司 模块化安全监控和警告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00072178A (ko)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동적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20200082856A (ko) * 2018-12-31 2020-07-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충전소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67B1 (ko)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설비 건전성과 엔지니어링프로세스 유효성 평가를 위한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8877158A (zh) * 2017-05-12 2018-11-23 波音公司 模块化安全监控和警告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00072178A (ko)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동적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KR20200082856A (ko) * 2018-12-31 2020-07-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충전소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Applying data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the causes of major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eziris et al. Quantification of occupational risk owing to contact with moving parts of machines
KR20070099380A (ko) 설비 위험등급 평가시스템
Verma et al. Analysis of categorical incident data and design for safety interventions using axiomatic design framework
Shaluf et al. Technological disaster factors
Cho et al. Impact analysis of the new OSHA cranes and derricks regulations on crane operation safety
ZA200505000B (en) Method for monitoring workplace safety
Yu et al.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for drilling and servicing operations within OSHA jurisdiction area of Texas
Badoozadeh et al. Job safety risk assessment in the printing industry using job safety analysis method and offering control recommendations
Mei Dina et 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nalysis in Construction Proje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ERMANA RISK ASSESSMENT AS A STRATEGY TO PREVENT OF MINE ACCIDENTS IN INDONESIAN MINING.
Kovtun et al. Reduc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at industrial enterprises
MOGHADDASI et al. The Use of accident indicators for risk assessment monitoring in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of pelletizing project, 2016-2017
Hidayah et al.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K3) Inspection as a Work Accident Prevention Effort in Palm Oil Factory, Kampar Regency, Riau Province
Luzzia et al. Information, formation and training for the maintenance operations: The lesson learned from fatal accidents
Abduladeem et 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the Machinery Sector
Dadgar Risk Assessment and Analysis in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al (HSE) Hazards of Bitumenous Waterproofing Industry Using HAZID Technique
Prakoso et 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nalysis on crane operation at PT. X using the structured What-If technique method
Jackson Pathways to single fatality and serious injury incidents in coal and metalliferous mining in NSW, Australia: can we learn from multiple fatality incidents to prevent serious injury?
Gajbhiye et al. Applications of lean six sigma methodologies for improvement in industrial safety
Zhu et al. Identifying Safety Leading Indicators for the Offshore Industry
Halvani et al. The Use of accident indicators for risk assessment monitoring in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of pelletizing project, 2016-2017.
dos Santos Mascarenhas et al. Improved Sulfuric Acid Discharge Through Combined Task and Risk Analysis
Turof Occupational risk assess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a management system of health and safety at work
Genç et al. The Factors Causing Height-Fall Accidents Occurring During Roofing and Facing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