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248A -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248A
KR20070099248A KR20060030417A KR20060030417A KR20070099248A KR 20070099248 A KR20070099248 A KR 20070099248A KR 20060030417 A KR20060030417 A KR 20060030417A KR 20060030417 A KR20060030417 A KR 20060030417A KR 20070099248 A KR20070099248 A KR 2007009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web server
access monitor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3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248A/ko
Publication of KR2007009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24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통신 단말을 통해 특정 웹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 웹 서버가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 및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여, 고객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고객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어 고객 유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 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Log-in to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Method for Controlling Log-in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접속 감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접속 감시 시스템 20 : 웹 서버
30 : 인터넷 40, 42 : 개인용 컴퓨터
50 : 이동통신망 60 : 이동통신 단말
110 : 제어부 120 :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
130 :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 140 :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
150 : 메시지 생성부 160 : 통신망 인터페이스
17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을 통해 특정 웹 서버에 로그-인을 수행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기술의 발달,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는 그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휴 관계에 있는 기업 또는 대기업의 패밀리 사이트를 하나의 ID와 패스워드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ID와 패스워드의 부주의한 노출 또는 불법적인 노출에 의해 제3자가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등의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신적, 물질적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타인이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도용하는 경우 본인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고, 인지하기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는 이러한 사이버 범죄를 예방 차원이 아닌 수습 차원에서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타인이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어떤 장치를 통해 접속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 설정해 둔 통신 장치를 제외한 통신 장치로부터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시도되는 경우 이를 즉각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신 장치를 통해 로그-인이 시도되는 경우 적법한 통신 단말을 통한 로그-인인지의 여부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거부하여 개인 정보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은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 상기 웹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 상기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 및 상기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 웹 서버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계로 복귀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속 제어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통신 단말과 접속되는 접속 감시 시스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인증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 단말이 적법한 통신 단말인지 인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인증 결과를 통보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로그-인를 시도한 상기 통신 단말이 적법한지 확인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확인 결과, 적법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을 허용하고, 적법하지 않을 경우 접속을 거부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시스템(10)은 각각의 웹 서버(20) 또는 복수의 웹 서버와 접속되고, 인터넷(30) 또는 이동통신망(5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0, 42) 또는 이동통신 단말(60)과 같은 개인 통신 단말과 접속된다. 그리고, 웹 서버(20)는 인터넷(3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40, 42)와 접속되어, 개인용 컴퓨터(40, 42)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접속 감시 시스템(10)은 개인용 컴퓨터(40, 42) 또는 이동통신 단말(6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특정 웹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 식별번호와, 해당 웹 서버(20)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제공함에 따라,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며, 악의적인 접속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수신 수단 정보,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40, 42, 60)을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이, 특정 웹 서버 접속에 사용할 장치 식별번호,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웹 서버(20)에 로그-인이 시도되는 경우, 웹 서버(20)는 로그-인을 시도한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접속 감시 시스템(10)으로 전송하며, 접속 감시 시스템(10)은 웹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접속 감시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접속을 허용하거나 거부한다. 그리고, 접속 감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속 감시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의 수신 수단으로 불법적인 로그-인이 시도되었음을 통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접속 감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시스템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120),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130),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140), 메시지 생성부(150), 통신망 인터페이스(16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120)는 개인용 컴퓨터(40, 42) 또는 이동통신 단말(60)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웹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식별번호, 해당 웹 서버(20)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아울러, 악의적인 로그-인이 시도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수단 정보를 전송받아 접속 감시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에서, 장치 식별번호는 예를 들어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 다. 맥 어드레스는 웹 서버(20)에 접속한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어드레스로서, 각 통신 장치마다 고유의 값이 할당되기 때문에 맥 어드레스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 웹 서버(20)에 접속한 통신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신 수단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 번호로 설정하는 경우 단문 서비스(SMS)를 통해 악의적인 접속 사실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130)는 웹 서버(20)가 개인용 컴퓨터(40, 42)로부터 전송된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전송받은 접속 감시 정보에 포함된 ID 및 패스워드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170)에 기 저장해 둔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140)는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130)가 데이터베이스(170)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웹 서버(20)에서 전송받은 접속 감시 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번호가 동일한지 확인하며, 확인 결과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웹 서버(2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웹 서버(20)는 접속 감시 장치(10)의 확인 결과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개인용 컴퓨터(40, 42)의 로그-인을 허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로그-인을 거부한다.
한편, 메시지 생성부(50)는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140)의 확인 결과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허용되지 않은 통신 장치로부터의 로그-인이 시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악의적인 접속이 시도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 성한 후, 웹 서버(20)에서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에 포함된 ID 및 패스워드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수신 수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신 수단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속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속 감시 시스템(10)의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120)는 먼저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접속 감시 정보(장치 식별번호, ID, 패스워드)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을 선행하여야 한다(S10). 그리고, 접속 감시 정보와 수신 수단 정보를 저장한 후에는 웹 서버(20)에서 확인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20).
이러한 상태에서, 웹 서버(20)가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130)는 웹 서버(20)에서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에 포함된 ID 및 패스워드를 참조하여 기 저장해 둔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고(S30), 추출된 장치 식별번호가 웹 서버(20)에서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40).
단계 S40의 확인 결과,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메시지 생성부(150)는 악의적인 로그-인이 시도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 후(S50), 기 저장한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S60).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계 S40의 확인 결과를 웹 서버(20)로 제공하여,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웹 서버(20)가 해당 통신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하 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접속을 거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 감시 시스템(10)이 통신 단말로부터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기 저장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과 같은 통신 단말이 특정 웹 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시도함에 따라(S101), 웹 서버(20)는 접속 감시 시스템(10)으로 해당 통신 장치의 인증을 요청한다(S200). 이를 위하여 웹 서버(20)는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접속 감시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접속 감시 시스템(10)은 해당 통신 단말이 적법한지의 여부를 인증하는데(S300), 인증 과정은 상술한 도 3의 단계 S30 및 S40의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와 기 저장되어 있는 장치 식별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후, 접속 감시 시스템은 웹 서버로 해당 통신 단말의 인증 결과를 통보하며(S400), 웹 서버는 로그-인을 시도한 통신 단말이 적법한지 확인하여(S500), 적법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을 허용하고(S600), 그렇지 않을 경우 접속을 거부한다(S700).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계 S300의 인증 결과,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속 감시 시스템이 기 저장하고 있는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적법하지 않은 통신 단말로부터의 로그-인이 시도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 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감시 시스템(10)은 각각의 웹 서버(20)에 탑재하여 사용하거나, 복수의 웹 서버(20)가 통신망을 통해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로 제작하여 웹 서버(20)에서 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인 외의 타인에 의한 불법적인 로그-인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어 고객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고객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어 고객 유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통신 단말과 접속되는 접속 감시 시스템으로서,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접속 감시 정보 관리부;
    상기 웹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
    상기 장치 식별번호 추출부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 및
    상기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감시 정보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상기 웹 서버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번호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번호 비교부는 상기 장치 식별번호 비교 결과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
    웹 서버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계로 복귀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감시 정보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상기 웹 서버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번호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상기 장치 식별번호 비교 결과를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수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기능;
    웹 서버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기능;
    상기 장치 식별번호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기능; 및
    상기 장치 식별번호의 비교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기능;
    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 및 통신 단말과 접속되는 접속 감시 시스템에서의 접속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 및 수신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시도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감시 정보를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인증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 단말이 적법한 통신 단말인지 인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인증 결과를 통보함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로그-인를 시도한 상기 통신 단말이 적법한지 확인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확인 결과, 적법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접속을 허용하고, 적법하지 않을 경우 접속을 거부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감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제 3-1 단계; 및
    상기 제 3-1 단계에서 추출한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식별번호를 비교하는 제 3-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인증 결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접속 감시 시스템이 상기 수신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감시 정보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장치 식별번호, 상기 웹 서버에 등록한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번호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17.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 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제어 방법.
KR20060030417A 2006-04-04 2006-04-04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KR20070099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0417A KR20070099248A (ko) 2006-04-04 2006-04-04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0417A KR20070099248A (ko) 2006-04-04 2006-04-04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248A true KR20070099248A (ko) 2007-10-09

Family

ID=3880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0417A KR20070099248A (ko) 2006-04-04 2006-04-04 통신망으로의 접속 감시 시스템 및 방법과 기록 매체, 이를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user at an access terminal
KR101268702B1 (ko) 음성메일 메시징 인증 수행방법
US200901580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e communication using one time password
JP2012530965A (ja) 共有登録システムの多要素認証
CN101495956A (zh) 扩展一次性密码方法和装置
JP2007264835A (ja) 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8181310A (ja) 認証サーバ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CN104754582A (zh) 维护byod安全的客户端及方法
CN101741860A (zh) 一种计算机远程安全控制方法
JP4698751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認証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26587A (ko) 신규 기기로부터의 로그인 알림 기능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635454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packet telephony device
JP201409037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229951A (ja) 本人認証システム
CN112910867A (zh) 一种受信任的设备访问应用的双重验证方法
CN101854357B (zh) 网络认证监控方法及系统
TWI759908B (zh) 產生授權允許名單的方法與利用其之資安系統
KR101212509B1 (ko)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6270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packet telephony device
JP2004213475A (ja) ログイン要求受付装置およびアクセス管理装置
KR101133167B1 (ko)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460647B (zh) 一种多设备安全登录的方法
JP2002091917A5 (ja) 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接続管理方法
JP2004206258A (ja) 多重認証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多重認証方法
JPH11289328A (ja) 認証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