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729A -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 - Google Patents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729A
KR20070098729A KR1020070031645A KR20070031645A KR20070098729A KR 20070098729 A KR20070098729 A KR 20070098729A KR 1020070031645 A KR1020070031645 A KR 1020070031645A KR 20070031645 A KR20070031645 A KR 20070031645A KR 20070098729 A KR20070098729 A KR 2007009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uid
inlet
hou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오도르 엠. 브리슨
이브라힘 칼일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엑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엑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스피엑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9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6Cleaning; Combating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6Cleaning; Combating corrosion
    • F01P2011/061Cleaning or combating corrosion us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유체 필터는 필터링된 흐름과 바이패스 흐름을 포함한다. 특히, 유체 필터 인서트(insert)는 제1 단부 캡, 제2 단부 캡, 제1 및 제2 단부 캡 사이에 배치된 스크린, 및 스크린을 에워싸는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또, 유체를 필터링하는 방법은 유체 필터 주입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매체를 통해 유체의 제2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배출구를 통해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킨다. 또한, 유체 필터는 바이패스 주입구, 바이패스 주입구와 동축의 필터 매체 주입구, 바이패스 주입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배출구, 및 바이패스 주입구, 필터 매체 주입구 및 배출구를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필터는, 바이패스 주입구가 소정량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SUCTION SIDE AND PRESSURE SIDE FLUID FILTER WITH INTERNAL BY-PASS}
도 1은 자동차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체 필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필터의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제1 단부 캡 36 : 제2 단부 캡
38 : 필터 매체 42 : 스크린(screen)
44 : 개구 50 : 하우징
52 : 제1 단부 54 : 제2 단부
56 : 하우징 주입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 유체 회로용 직렬(in-line) 유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 및 변속기는 상당한 정도의 열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열 은 엔진이나 변속기 윤활유를 퇴화시킬 수 있다. 이런 윤활유 퇴화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고, 잠재적으로 엔진이나 변속기에 치명적 손상을 유발한다. 또한 다른 형태의 기계 장치는 열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냉각 시스템은 엔진, 변속기 또는 기계장치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열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이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제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도 있다. 엔진의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라디에이터로 언급되고 있다. 변속기의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오일 쿨러로 언급되고 있다.
냉각제가 라디에이터 또는 오일 쿨러를 통해 순환되며, 순환될 때 부스러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들 냉각제는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도한 필터링은 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제의 흐름을 저하시켜, 과도한 열을 유발하여 엔진이나 변속기를 오버히팅할 수도 있다. 이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서, 이들 냉각제 필터는 때때로 바이패스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바이패스 밸브는 부적절하게 기능할 수도 있다. 때때로, 밸브가 개방 상태로 남겨져, 냉각제가 필터링되는 것을 방지한다. 때론,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냉각제의 순환을 차단하여, 엔진이나 변속기를 오버히팅한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가 냉각제 라인에 배치되는 데에 번거롭고 대형화되고 설치시 비용과 복잡성을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가 종종 교환될 필요가 있으므로, 교체와 수리에 소비되는 비용과 시간의 증가를 유도한다.
따라서, 냉각제가 열교환기를 통해 적절하게 흐르는 것을 확보하면서, 필터 냉각제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렴하고 효율적인 방 법으로 필터 냉각제 직렬(in-line)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요구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열교환기, 변속기, 엔진 또는 다른 기계장치에 적절한 유체 흐름을 확보하면서 유체를 필터링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해 상당한 정도까지 만족된다. 특히,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체 필터는 유체의 일부가 필터링되면서 유체의 다른 일부가 필터를 바이패스하는 것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 필터 인서트(insert)는 제1 단부 캡, 제2 단부 캡, 제1 및 제2 단부 캡 사이에 배치된 스크린, 및 스크린을 에워싸는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또, 유체 필터 인서트는, 제1 단부 캡, 제2 단부 캡, 스크린 및 필터 매체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필터 하우징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하우징이 제1 단부에 하우징 주입구와 제2 단부에 하우징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주입구는 필터 인서트의 제1 단부 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를 필터링하는 방법은 유체 필터 주입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매체를 통해 유체의 제2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배출구를 통해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방법은, 필터 매체, 스크린 및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가 필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으로 필터 하우징이 하우징 주입구를 갖는 제1 단부와 하우징 배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하우징 주입구와 하우징 배출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가 제1 오리피스를 갖는 제1 단부 캡과 제2 오리피스를 갖는 제2 단부 캡을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를 필터링하는 시스템은 유체 필터 주입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부분을 통과시키는 수단, 필터 매체를 통해 유체의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수단, 및 필터 배출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 상기 시스템은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가 제1 오리피스를 갖는 제1 단부 캡과 제2 오리피스를 갖는 제2 단부 캡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 필터는 바이패스 주입구, 바이패스 주입구와 동축의 필터 매체 주입구, 바이패스 주입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배출구, 및 바이패스 주입구, 필터 매체 주입구 및 배출구를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필터는 바이패스 주입구가 소정량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상세한 설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고, 또한 당분야에 본 발명의 기여가 보다 잘 인식되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가 다소 광범위하게 약술된다. 물론, 이하에 기술하고, 본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고 또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세함과 요 소의 배열에 그 적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각종 방법으로 실행되고 실천될 수 있다. 또, 요약서 뿐만 아니라, 본원에 적용된 문체와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이처럼, 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이 개시내용에 기초하는 개념은 본 발명의 일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의 설계를 기초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특허청구범위에 이런 등가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체 필터, 특히 열교환기로의 적절한 유체 흐름을 보장하는 냉각제 필터를 제공한다. 필터는 적용(application)에 있어서 직렬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적용에서 가압측(pressure side) 또는 반환측(return side)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필터는 구성이 단순하고, 장착이 용이하며, 그 조작 동안 수리 또는 문제점(복잡성)이 적다.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특히, 도 1은 자동차 냉각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유체 필터(10)의 개략도이다. 유체 필터(10)는 변속기(12) 및 열교환기(14)와 직렬로 배치된다. 열교환기(14)는 냉각기 또는 라디에이터일 수 있다. 라인(20)은 변속기 배출구(16) 및 필터 주입구(18)를 이용하여 필터(10)가 변속기(12)와 유체 소통하도록 한다. 라인(26)은 필터 배출구(22)와 열교환기 주입구(24)를 이용하여 열교환기(14)가 필터(10)와 유체 소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열교환기(14) 및 변속기(12)는 열교환기 배출구(28) 및 변속기 주입구(30)를 이용하여 라인(32)을 통해 유체 소통한다.
라인(20, 26 및 32)은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임의 유형의 호스 또는 도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변속기(12)가 도시되지만, 임의 유형의 기계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유체 필터링을 요하는 기계, 예를 들면 엔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를 이용하는 일 특정 적용을 예증하는 자동차 시스템이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필터는 유체 필터링을 요하는 임의의 시스템 또는 적용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스티어링 적용은 본 발명의 필터(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10)는 임의 시스템의 가압측 또는 반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에서, 유체는 변속기(12)와 열교환기(14) 사이에서 일정하게 순환하고, 이는 유체를 냉각시킨다. 유체는 필터링을 요하는 임의 유형 예를 들면, 변속기 유체, 엔진 오일, 파워 스티어링 유체 등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유체는 변속기 배출구(16)에서 변속기(12)를 빠져나오고, 필터 주입구(18)에서 필터(10)로 들어간다. 거기에서 유체가 필터링되는데,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이후, 유체는 필터 배출구(22)를 통해 필터를 빠져나와서 열교환기 주입구(24)를 통해 열교환기(14)로 들어간다. 열교환기(14)에서, 유체가 필요에 의해 냉각되고, 열교환기 배출구(28)에서 열교환기(14)를 빠져나온다. 마지막으로, 유체 는 변속기 주입구(30)를 통해 변속기(12)에 다시 들어가서, 일 순환을 완료한다. 도 1에 이용 중인 필터(10)를 개략적으로 간단히 나타내었지만, 필터(10)는 개략적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아주 복잡한 다양한 시스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필터(10)를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필터(10)는 제1 단부 캡(34), 제2 단부 캡(36) 및 필터 요소(filter element; 3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부 캡(34)은 필터 요소(38)의 제1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시트(seat)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제2 단부 캡(36)은 필터 요소(38)의 제2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시트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 캡(34 및 36) 각각은 예를 들면 금속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필터 요소(38)는 유체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임의 유형의 매체 또는 요소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요소(38)는 섬유질의 매체일 수 있다. 특히, 섬유질 매체는 주름 잡힐 수 있다. 주름은 비주름 매체에 비해 필터링을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작은 공간에 더 큰 표면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필터(10)의 분해도이다. 여기서, 제1 단부 캡(34)은 필터 주입구(40)를 갖는다. 필터 요소(38)는 스크린(42) 전체를 통해 이격되어 있는 개구(44)를 갖는 스크린(42)을 에워싼다. 제2 단부 캡(36)은 필터 배출구(46)를 갖는다. 필터 배출구(46)는 개스킷(48)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주입구(40) 및 배출구(46)는 임의 유형의 개구 또는 구멍(orifice)일 수 있다. 스크린(42)은 실질적으로 공동(空洞)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원통으로 생성된 공동 영역(43)은 이하 자세히 설명하는 바이패스 필터의 역할을 한다. 스 크린(42)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42)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스크린(42)은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고 필터 요소(38)를 지지한다. 여기에 도시된 필터 요소(38)는 스크린(42)을 둘러싸는 주름 형상이다.
필터(10)는 유체 필터 하우징(50) 내에 전체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50)은 제1 단부(52) 및 제2 단부(54)를 갖는다. 제1 단부(52)에서, 필터 하우징(50)은 하우징 주입구(56)를 갖는다. 하우징 주입구(56)는, 유체가 필터(10) 주위로 진행하고, 필터 매체(38)에 진입하도록 필터 주입구(4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단부(54)에서, 필터 하우징 배출구(58)가 필터 배출구(46)와 결합되어, 필터링된 흐름 및 바이패스 흐름은 필터 배출구(46) 및 필터 하우징 배출구(58)를 동시에 빠져나온다.
조작시, 유체는 하우징 주입구(56)를 통해 유체 필터 하우징(50)에 진입한다. 유체의 일부는 필터(10)의 제1 단부 캡(34) 주위로 향하고, 필터 요소(38)에 진입하고, 적절하게 세정된다. 필터 요소(38)는 소망하는 만큼의 필터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요소(38)는 소망하는 대로 밀(密) 또는 소(疏)하게 될 수 있어서, 필요로 하는 필터링 레벨을 얻을 수 있다. 필터링된 유체는 개구(44)를 통해 스크린(42)에 의해 생성된 공동 영역(43)으로 진입하고, 필터 배출구(46)에서 필터(10)로부터 빠져나온다. 개구(44)는 그 자체로 필터링의 보조 형태(secondary form)의 역할을 하고, 필터 요소(38)에 의해 포착될 수 없었던 입자들을 포획한다.
나머지 유체는 필터 주입구(40)로 진입하고, 스크린(42)에 의해 생성된 공동 공간(43)을 통해 진행하고, 필터 배출구(46)에서 직접 필터(10)를 빠져나온다. 전술한 것처럼, 필터링된 흐름 및 바이패스 흐름은 필터 배출구(46) 및 하우징 배출구(58)를 동시에 빠져나온다. 그러므로, 나머지 유체는 필터링되지 않고, 유체가 필터 요소(38)를 바이패스하도록 한다. 이는 일부 유체가 열교환기(14) 또는 변속기(12)에 도달하도록 제공한다.
필터링된 유체 부분은 전체 유체 중 10% 내지 40% 사이로서, 필터링되지 않은 유체가 각각 90% 내지 60% 사이에서 남겨지도록 한다. 바람직한 비율은 유체의 30%를 필터링하고, 유체의 70%를 남겨두어 필터 요소(38)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체 주입구(40)는 유체의 필터링될 비율 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 주입구(40)의 크기기 매우 작다면, 더 많은 유체가 제1 단부 캡(34) 주위로 향하고, 필터 매체(38)에 진입하여 필터링 될 것이며, 더 적은 유체가 공동 영역(43)에 진입하고 필터 매체(38)를 바이패스하여 필터(10)를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필터 주입구(40)의 크기가 크다면, 더 많은 유체가 공동 영역(43)에 진입하고 필터 배출구(46)로 진행하여, 필터 매체(38)를 바이패스하여 필터(10)를 빠져나온다. 이는 차례로 더 적은 유체가 제1 단부 캡(34) 주위로 향하여, 필터 요소(38)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필터링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유체만 필터링 되도록 하는 것은 필터(10)가 제공되는 적용내에서 유체 소통이 항상 발생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예 에서, 일부 유체가 필터 요소(38)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것은 항상 열교환기(14)와 변속기(12) 사이에 일부 유체가 순환됨을 보장한다. 최초 의도한 것보다 더 또는 덜 유체를 필터링하는 다른 필터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바이패스 밸브를 갖는 이들 필터는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더 적은 유체가 순환하도록 하고, 잠재적으로 전체 시스템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적은 유체가 필터링될 수 있고, 이는 시스템에 더 많은 부스러기(debris) 및 불순물이 진입되도록 하고, 또한 잠재적으로 시스템에 고장을 초래한다.
항상 시스템에 적절한 유체가 흐르도록 보장하는 것 외에, 필터 매체(38)를 통한 부분 흐름은 필터 수명을 연장시킨다. 전체 흐름이 필터 요소(38)를 통과하여 진행하지는 않으므로, 쉽게 부스러기 및 불순물로 막히지 않으며 쉽게 마모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요소(38)의 수명은 연장될 것이며, 이는 필터(10) 교체의 횟수를 적게 한다. 적은 교체는 저비용 고효율이 되도록 한다.
또한, 필터 요소(38)를 통과하는 부분적인 흐름은 필터(10)가 종래 기술의 필터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곳에 배치되도록 한다. 유체의 일부만이 필터 요소(38)에 진입하므로, 필터는 유체 전부가 필터 매체를 통과하는 필터보다 더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필터 주입구(40) 크기는 적용시의 요구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흐름의 30%가 필터 요소(38)를 통해 필터링되는 것이 소망되는 경우, 필터 주입구(40)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이하의 공정을 추종할 것 이다. 구멍 또는 주입구가 없는 중실(solid) 제1 단부 캡(34)을 갖는 필터(10)가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유체는 필터(10)를 통과할 것이고, 압력 및 흐름이 측정될 것이다.
필터 요소(38)에 걸친 압력 강하는 전체 시스템 유체 흐름의 30%로 측정될 것이다. 필터 요소(38)에 걸친 이러한 압력 강하는 총 유체 흐름의 70%로 등가 압력 강하를 초래할 필터 주입구(40) 크기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필터 주입구(40) 크기는 30% 필터링된 흐름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1 단부 캡(34)으로 도입될 것이다.
본 필터의 예가 냉각제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유체가 이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본 필터가 자동차 산업에 유용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산업에서도 유용할 것이다. 특히, 필터(10)는 가열 및 순환 시스템 또는 유체 필터링이 필요한 임의의 다른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내에 있는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 전체를 포괄한다 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물 및 개조물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그대로의 구성 및 동작에 국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모든 적절한 변경물 및 등가물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Claims (26)

  1. 제1 단부 캡;
    제2 단부 캡;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캡 사이에 배치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을 에워싸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유체 필터 인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캡, 제2 단부 캡, 스크린 및 필터 매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필터 하우징에 의해 에워싸이는 유체 필터 인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단부에 하우징 주입구와 제2 단부에 하우징 배출구를 포함하는 유체 필터 인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주입구는 상기 제1 단부 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체 필터 인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개구를 포함하는 유체 필터 인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섬유질인 유체 필터 인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캡은 각각 제1 및 제2 오리피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체 필터 인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리피스는 소정량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되는 유체 필터 인서트.
  9. 유체 필터 주입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매체를 통해 유체의 제2 부분을 통과시키고;
    필터 배출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유체를 필터링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섬유성 매체인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상기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스크린을 에워싸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 상기 스크린 및 상기 필터 주입구와 상기 필터 배출구는 필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하우징 주입구를 갖는 제1 단부와 하우징 배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하우징 주입구와 하우징 배출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는 제1 오리피스를 갖는 제1 단부 캡과 제2 오리피스를 갖는 제2 단부 캡을 각각 포함하는 방법.
  17. 유체 필터 주입구를 통해 유체의 제1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수단;
    필터 매체를 통해 유체의 제2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수단; 및
    필터 배출구를 통해 제1 및 제2 부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를 필터링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필터 주입구와 상기 필터 배출구는 제1 오리피스를 갖는 제1 단부 캡과 제2 오리피스를 갖는 제2 단부 캡을 각각 포함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필터 주입구와 필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21. 바이패스 주입구;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와 동축의 필터 매체 주입구;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배출구; 및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 필터 매체 주입구 및 배출구를 에워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체 필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와 배출구는 실린더의 양 단부에 있는 유체 필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복수 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유체 필터.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를 에워싸는 필터 매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체 필터.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는 소정량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치수화되는 유체 필터.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이패스 주입구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하우징 주입구를 포함하는 유체 필터.
KR1020070031645A 2006-03-31 2007-03-30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 KR20070098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94,182 2006-03-31
US11/394,182 US20070227983A1 (en) 2006-03-31 2006-03-31 Suction side and pressure side fluid filter with internal by-p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29A true KR20070098729A (ko) 2007-10-05

Family

ID=3846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645A KR20070098729A (ko) 2006-03-31 2007-03-30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27983A1 (ko)
JP (1) JP2007275882A (ko)
KR (1) KR20070098729A (ko)
CN (1) CN101069791A (ko)
DE (1) DE1020070149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068A (ko) * 2016-08-02 2018-02-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입자 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7458B2 (en) * 2009-03-18 2012-05-29 Lifetime Oil Filter, Inc. Oil filter
US9175805B2 (en) * 2011-09-29 2015-11-03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Lubricant filtration system
CN102997027A (zh) * 2012-12-05 2013-03-27 江苏科雷斯普能源科技有限公司 新型精密过滤器
CN106401730A (zh) * 2016-11-08 2017-02-15 上海弗列加滤清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冷却液滤清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737A (en) * 1963-03-13 1966-02-08 Champion Lab Inc Disposable fluid filter
US5332512A (en) * 1991-12-19 1994-07-26 Pacific Scientific Company Isokinetic diluter for particle measuring instrument
US5462658A (en) * 1994-01-14 1995-10-31 Thermo King Corporation Fuel filter system
US6875343B2 (en) * 2001-07-10 2005-04-05 Spx Corporation Dual direction bypass valve
US7481320B2 (en) * 2004-01-05 2009-01-27 Ntz Nederland Bv Filter device having a bi-directional valve
US7648565B2 (en) * 2005-07-13 2010-01-19 Parker-Hannifin Corporation Filter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068A (ko) * 2016-08-02 2018-02-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입자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75882A (ja) 2007-10-25
US20070227983A1 (en) 2007-10-04
DE102007014972A1 (de) 2007-10-04
CN101069791A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981E1 (en) Apparatus for modifying engine oil cooling system
CA2314764C (en) Oil sump arrangement with integral filter and heat exchanger
US20210086115A1 (en) Filter cartridge endplate with integrated flow structure
EP2377593B1 (en) Power steering filter assembly
USRE45853E1 (en) Oil filtering and cooling system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JP5707378B2 (ja) 潤滑油副流清浄化デバイス
US65918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transmission fluid heat exchanger in-line with respect to an engine cooling system
KR20070098729A (ko) 내부 바이패스를 갖는 흡입측 및 가압측 유체 필터
JP2008508991A (ja) 流体濾過装置及び流体濾過法
JP2021524569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のフィルタアセンブリおよ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内の作動媒体の清掃方法
JP2003500584A (ja) 同軸の燃料/滑油フィルタおよび熱交換器のユニット
US8720408B1 (en) Oil filtering and cool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US7056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contaminants from a container of fluids
US20180320980A1 (en) Heat exchanger module
US6752200B2 (en) Transmission oil cooler and filter
DE102004024516A1 (de) Optimierte Ölkühl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20110259838A1 (en) System for engine oil storage and filtr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engine oil circulation and filtr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78270B1 (ko) 오일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US6216772B1 (en) Device for filtering and cooling
US9714588B2 (en) Oil recirculation system for engines
CN107869369B (zh) 发动机上的流体监测系统
AU2017368018A1 (en) Separator device
KR200204923Y1 (ko) 오일 냉각용 오일 필터 케이스
KR200203464Y1 (ko) 윤활오일 냉각기를 구비한 오일필터
CA2509479C (en) Fluid filtration system including replaceable filt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