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720A -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720A
KR20070097720A KR1020060028328A KR20060028328A KR20070097720A KR 20070097720 A KR20070097720 A KR 20070097720A KR 1020060028328 A KR1020060028328 A KR 1020060028328A KR 20060028328 A KR20060028328 A KR 20060028328A KR 20070097720 A KR20070097720 A KR 2007009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y
search
category
search result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465B1 (ko
Inventor
이향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6002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65B1/ko
Priority to US11/728,820 priority patent/US7702700B2/en
Publication of KR2007009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을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후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시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의 검색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질의어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에,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어 매칭, 카테고리 매칭, 검색 로직, 데이터베이스 검색, 상품모델

Description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QUERY MATCHING METHOD AND SYSTEM USING CATEGORY MATCH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어를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한 후 다양한 처리 로직을 통해 원 질의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 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매칭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0 : 질의어 매칭 시스템 901 : 카테고리 매칭부
902 : 제1 검색부 903 : 제2 검색부
904 : 제3 검색부 905, 1105 : 출력부
1101 : 분리부 1102 : 추출부
1103 : 결정부 1104 : 검색부
1110 : 토큰 생성부
본 발명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을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후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시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의 검색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질의어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몰 중개 서비스란 서비스 운영 회사와의 계약을 통해 소정 의 중개 웹사이트에 입점한 쇼핑몰들을 상품 구매자에게 중개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들 입점 쇼핑몰들이 판매하고 있는 상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소개하거나 동일 상품에 대한 각 입점 쇼핑몰별 가격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를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쇼핑몰 중개 서비스는 입점 쇼핑몰들의 상품을 상품 구매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소개하고 상품 구매자가 특정 입점 쇼핑몰이 판매하고 있는 특정 상품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입점 쇼핑몰로 상기 상품 구매자를 중개하여 상품의 실질적인 판매는 제휴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쇼핑몰 중개 서비스를 위해서는 각 입점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정보가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상품 등록 절차로 (1)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2) 입점 쇼핑몰 서버에서 쇼핑몰 중개 서버로 등록된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3) 쇼핑몰 중개 서버를 관리하는 담당 부서에서 수작업을 통해 상기 입점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정보의 상품모델명을 일일이 매칭하여 정리하는 과정, (4) 정리된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했다.
그 결과, 종래의 상품 등록 절차에서는 상품 등록/매칭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처리되지 못한 상품 정보의 비율이 등록된 상품 정보의 비율을 넘어서는 등 작업 리소스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더욱이, 마켓플레이스 영역의 확대로 상품의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종래의 상품 등록 절차를 따를 경우 작업 리소스의 한계는 더욱 분 명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내지 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원 질의어를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을 출력할 수 있을 뿐, 원 질의어를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원 질의어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1)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명이 부정확하거나 그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하고, (2) 상품모델에 등록된 키워드를 검색하지 않으므로 상품명이 특정 키워드로 등록된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3) 검색 엔진에 따른 검색이 아니므로 한글 상품명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이 용이치 않으며, (4)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품모델을 검색하는 데에 있어서, 모든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하여 상품모델을 검색하고 있는바, 시스템 자원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많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었다. 더욱이, 종래의 방식으로는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그다지 정확하지 못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데에 그치고 있어, 신뢰성에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으로서,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에,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 질의어를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 제공하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방법으로부터 탈피하고, 원 질의어를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원 질의어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로딩하여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함에 있어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여 관련 작업 리소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로직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질의어에 매칭될 확률이 높은 상품모델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해내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입력한 상품명인 원 질의어로부터 적절한 질의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질의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냄으로써, 상품 등록자의 쇼핑몰 서버에의 상품 등록 과정에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고, 차후 상품 등록/매칭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단계와,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카테고리 매칭부와,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2 검색부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3 검색부,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질의어 매칭 방법은 소정의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1)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한다. 즉,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검색을 위해 입력되는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질의어에 속하는 원 카테고리를 수신하고,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한다. 상기 검색용 쿼리는 원 질의어에 대해 추천할 카테고리를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데에 활용되는 검색용 단어들의 집합일 수 있다.
카테고리 추천을 위해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는 내부 식별자와, 상기 내부 식별자에 속하는 내부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작성된 검색용 쿼리로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용 쿼리와의 유사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내부 식별자들을 추출한다. 이후,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추출된 내부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한다. 여기서, 내부 식별자 및 내부 카테고리는, 서버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식별자 및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서버 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 질의어 '한일전기 [3%할인쿠폰][추가에누리]개폐식 환풍기 EKS-150AT' 및 상기 질의어가 속하는 원 카테고리 '가전/핸드폰@생활가전@생활가전기타'에 대해,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한다. 이후,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작성된 검색용 쿼리에 근거하여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유사도 레벨 이상의 내부 식별자 '가전/휴대폰', '생활가전', '소형생활가전', '환풍기'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추출된 내부 식별자 '가전/휴대폰', '생활가전', '소형생활가전', '환풍기' 등을 많은 수로 포함하는 내부 카테고리를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이를 추천 카테고리로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검색용 쿼리의 작성에 있어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원 질의어만을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고,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때, 원 카테고리는 계층구조의 필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카테고리의 상기 계층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술한 원 질의어 '한일전기 [3%할인쿠폰][추가에누리]개폐식 환풍기 EKS-150AT' 및 원 카테고리의 전체 계층 '가전/핸드폰, 생활가전, 생활가전기타'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 '한일전기 3%할인쿠폰 추가에누리 개폐식 환풍기 EKS 150AT 가전 핸드폰 생활가전 생활가전기타'를 작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술한 원 질의어 '한일전기 [3%할인쿠폰][추가에누리]개폐식 환풍기 EKS-150AT' 및 원 카테고리의 최하위 계층 '생활가전기타'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 '한일전기 3%할인쿠폰 추가에누리 개폐식 환풍기 EKS 150AT 생활가전기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원 질의어와 관련된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어떠한 방식이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공백을 제거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고,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띄어쓰기 단위로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고,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형태소 분석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에,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서 '(빈칸)', '/', '-', '+', '[/]' 등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검색된 카테고리에서 상기 제1 질의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103)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103)에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 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11)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04)로 진행한다.
단계(S104)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를 '(빈칸)'으로 분리하고 알파벳, 숫자, '/', '-', '+' 로만 이루어진 단어들을 상기 제2 질의어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영단어들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가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단어들이 제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단계(S105)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105)에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11)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06)로 진행한다.
단계(S106)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이 경우,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복수 개 존재하는 상기 제3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어를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한 후 다양한 처리 로직을 통해 원 질의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단계(S201) 내지 단계(S208)은 도 1의 단계(S106)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3 질의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EKS-150AT 라는 제3 질의어를 'EKS', '150', 'AT'와 같이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 들로 분리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 '(빈칸)'으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하고, 단계(S203)에서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EKS 150 AT', 'EKS 150', 'EKS'의 순서대로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토큰들의 수를 후단에서부터 줄여나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단계(S203)의 수행 중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04)에서의 판단 결과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206)으로 진행하여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지만, 단계(S204)에서의 판단 결과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단계(S205)로 진행한다.
단계(S205)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EKS-150AT라는 제3 질의어를 단계(S201)에서 'EKS', '150', 'AT'과 같이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고, 단계(S202)에서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EKS 150 AT'과 같은 제4 질의어를 생성하고, 단계(S203)에서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토큰을 줄여나가며 'EKS 150 AT', 'EKS 150'으로 검색하던 도중, 단계(S204)에서 'EKS 150'과 같이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인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205)에서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EKS150'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206)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205)에서의 검색 과정의 수행 중 검색 결과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207)에서 상기 검색 과정을 중단한다. 그러나,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203)으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앞의 예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205)에서 'EKS150'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지만, 단계(S206)에서의 판단 결과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203)으로 진행하여 'EKS 150', 'EKS'와 같이 다시 후단부터 토큰의 수를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단계(S203) 내지 단계(S205)의 수행 도중, 단계(S206)에서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207)에서 상기 반복 검색 과정을 중단하고, 존재하는 검색 결과를 단계(S208)에서 상기 제3 검색 결과로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명 필드와 키워드 필드를 비롯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하고, 도 2에 도시된 단계(S201) 내지 단계(S208)을 포함하는 도 1의 단계(S106)은 상기 검색용 인덱스의 상품모델명 필드와 키워드 필드에 한정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명 필드(301), 키워드 필드(302)를 비롯하여 카테고리 필드, 브랜드 필드, 가격 필드, 제조연월 필드 등과 같은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시에는 검색용 인덱스의 모든 검색 필드를 검색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 검색 수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단계(S201) 내지 단계(S208)을 포함하는 도 1의 단계(S106)는 상기 검색용 인덱스의 상품모델명 필드(301)와 키워드 필드(302)에 한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상품모델에 등록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검색하지 않으므로 상품명이 특정 키워드로 등록된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키워드 필드(302)에 대해서도 검색을 수행하므로 상품명이 특정 키워드로 등록된 경우에도, 그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기 위한 단계(S106)의 세부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계(S107)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107)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107)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11)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7)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08)로 진행한다.
단계(S108)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를 소정의 엔진 색인기를 이용하여 토큰 분리하고,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4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109)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09)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11)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9)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10)로 진행한다.
단계(S110)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에서 상기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5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즉,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지금까지의 검색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토큰들이 하나라도 들어 있는 단어들에 대해서 모두 검색을 수행한다.
단계(S111)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5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의 상품명이 부정확하거나 그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40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401)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매칭 작업에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에도 원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명(402)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403)와 같이 상품명(402)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정확히 검색해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품명(402)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에 따라 검색되는 카테고리에 한정하여 상기 검색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에 의한 상품모델 검색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원 질의어인 상품명(402)은 "[무이자6개월/5%즉시할인]휴대용 멀티미디어 레코더(PMP) AV340R (40GB)"이며, 이를 단계(S106)를 통해 처리하면,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1)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로 쪼개고, (2) 다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고, (3) 또 다시 첫 글자는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품명(402)을 단계(S106)에 의해 처리하여 'AV340R'를 제3 질의어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제3 질의어인 'AV340R'를 단계(S201)에서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나누고 단계(S202)에서 이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4 질의어는 'AV 340 R'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단계(S203)에서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토큰들의 수를 줄여나가면서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한다. 따라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AV 340 R', 'AV 340', 'AV'의 순서로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도중 검색 결과가 존재하면(S206) 반복 검색을 중단하고(S207) 그 검색 결과를 제3 검색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S208).
도 4를 참조하면 도면부호(403)에서 상품모델명이 "AV340(40G)"인 검색 결과가 출력되었는바,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AV 340'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품모델명이 "AV340(40G)"인 검색 결과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반복 검색을 중단하고 이를 검색 결과 화면에 출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에도 원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명(402)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403)와 같이 상품명(402)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의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에도 원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명(501)을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상품모델을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품명(501)에 포함되는 오자인 '∼HTN-2040ND'에 대해, 상술한 검색 로직을 통해 질의어 매칭 시스템이 검색결과로서 'HTV-2040ND(40G)' 또는 'HTV-2040ND(60G)'를 정확하게 검색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갖춘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알파벳, 숫자, 특수기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고, 한글의 경우 대부분 제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으므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질의어 매칭 방법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질의어 매칭 방법은 소정의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01)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한다. 본 단계(S601)는 원 질의어의 카테고리를 우선 지정하는 것으로, 상술한 도 1의 단계(S101)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603)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07)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4)로 진행한다.
단계(S604)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605)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07)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6)로 진행한다.
단계(S606)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를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607)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갖춘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한글명인 경우가 많으므로, 앞선 실시예 보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검색 엔진에 따른 검색이 아니므로 한글 상품명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이 용이치 않았으며, 화장품, 분유 등의 경우 한글 상품명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종래기술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출력해내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상품명 검색의 경우에도 원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명(701)을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다양한 검색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702)와 같이 상품명(701)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질의어 매칭 방법은 소정의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801)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한다. 본 단계(S801)는 원 질의어의 카테고리를 우선 지정하는 것으로, 상술한 도 1의 단계(S101) 또는 도 6의 단계(S601)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에,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803)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8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807)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8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는 단계(S804)로 진행한다.
단계(S804)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가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805)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8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807)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총 검색 결과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805)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806)로 진행한다.
단계(S806)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2 질의어를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고,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단계(S807)에서 상기 질의어 매칭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갖춘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 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명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명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숫자 또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되어 있고, 한글의 경우 대부분 제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방법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카테고리 매칭부(901), 제1 검색부(902), 제2 검색부(903), 제3 검색부(904) 및 출력부(905)를 포함한다.
우선, 카테고리 매칭부(901)는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매칭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매칭부(901)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1001), 수신부(1002),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 및 카테고리 추천부(1004)를 포함한다.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1001)는 내부 식별자와, 내부 식별자가 속하는 내부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 때, 내부 식별자 및 내부 카테고리는 소정의 서버 내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식별자 및 카테고리로 정의할 수 있다.
수신부(1002)는 상품의 등록 요청과 관련하여, 외부로부터 원 질의어와 원 질의어가 속하는 원 카테고리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02)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원 질의어와 관련된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용 쿼리 작성에 있어서,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검색용 쿼리를 상기 원 질의어만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원 질의어만을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경우,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검색용 쿼리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검색용 쿼리를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3단계 계층 구조를 가지는 원 카테고리의 경우,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의 최하위 계층을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3단계 계층 구조를 가지는 원 카테고리의 경우, 원 질의어 및 원 카테고리의 최상위, 중간 및 최하위 계층 모두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색용 쿼리의 작성에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하여 검색용 쿼리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원 질의어 및/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공백을 제거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거나, 원 질의어 및/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띄어쓰기 단위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거나, 원 질의어 및/또는 원 카테고리를 형태소 분석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상술한 복수의 검색용 쿼리 작성 방식들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질의어 및/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공백을 제거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검색용 쿼리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내부 식별자의 검색을 수행하더라도 원하는 조건의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원 질의어 및/또는 원 카테고리에서 띄어쓰기 단위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검색용 쿼리를 이용하여 내부 식별자에 대한 검색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띄어쓰기 단위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작성된 검색용 쿼리에 의해서도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 검색용 쿼리 작성부(1003)는 상기 키워드를 형태소 분석을 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검색용 쿼리를 이용하여 내부 식별자에 대한 검색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작성된 검색용 쿼리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1001)에 저장된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한다.
카테고리 추천에 있어서,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가장 적합한 한 개의 카테고리만을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추천된 한 개의 카테고리를 수신된 원 질의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를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작성된 검색용 쿼리로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1001)를 검색하여 작성된 검색용 쿼리와의 유사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내부 식별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부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추천부(1004)는 내부 식별자에 상응하는 가격이,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가격으로부터 소정 범위의 상한과 하한 사이에 해당하는 내부 식별자들만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검색부(902)는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1 검색부(902)는 원 질의어에서 '(빈칸)', '/', '-', '+' 등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제2 검색부(903)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 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2 검색부(903)는 원 질의어를 '(빈칸)'으로 분리하고 알파벳, 숫자, '/', '-', '+' 로만 이루어진 단어들을 상기 제2 질의어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영단어들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가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단어들이 제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3 검색부(904)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이 경우, 제3 검색부(904)는 복수 개 존재하는 상기 제3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3 검색부(904)는 도 2에 도시된 단계(S201) 내지 단계(S208)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905)는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알파벳, 숫자, 특수기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고, 한글의 경우 대부분 제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도 9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도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검색부(902), 제2 검색부(903), 제3 검색부(904) 및 출력부(905)를 포함한다.
카테고리 매칭부(901)는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한다.
제1 검색부(902)는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제2 검색부(903)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제3 검색부(904)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출력부(90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한글명인 경우가 많으므로, 앞선 실시예 보다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도 9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카테고리 매칭부(901), 제1 검색부(902), 제2 검색부(903), 제3 검색부(904) 및 출력부(905)를 포함한다.
카테고리 매칭부(901)는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한다.
제1 검색부(902)는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검색부(902)는 원 질의어에서 '(빈칸)', '/', '-', '+' 등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제2 검색부(903)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가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일례로, 원 질의어가 "태그 호이어 선그라스 [ 1000002538 ]"인 경우, 제2 검색부(903)는 '1000002538'을 제2 질의어로 결정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 질의어가 "[무이자할부 6개월]페라가모 팔찌 [34-2821_esp]" 인 경우, 제2 검색부(903)는 '34_2821_esp'를 제2 질의어로 결정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제2 검색부(903)는 복수 개 존재하는 상기 제2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검색부(904)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를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고,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3 검색부(904)는 상기 제2 질의어를 다시 '/', '-', '+', '_', '.' 등으로 분리해 토큰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검색부(904)는 상기 제3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제3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질의어가 "34-2821_esp"인 경우, 제3 검색부(904)는 '34 2821 esp', '34 2821', '34'의 순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출력부(905)는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검색용 인덱스는 상품모델에 관한 복수의 검색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모델은 명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일 수 있다. 명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명이 대부분 숫자 또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되어 있고, 한글의 경우 대부분 제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900)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1100)도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구성요소 중 분리부(1101), 결정부(1103), 검색부(1104) 및 출력부(1105)를 포함한다.
분리부(1101)는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다.
결정부(1103)는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104)는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출력부(11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도 1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1100)도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리부(1101), 추출부(1102), 결정부(1103), 검색부(1104) 및 출력부(1105)를 포함한다.
분리부(1101)는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다.
추출부(1102)는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한다.
결정부(1103)는 상기 추출된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104)는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출력부(11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도 1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의어 매칭 시스템(1100)도 검색용 인덱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검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것 과 같이 분리부(1101)와 추출부(1102)를 포함하는 토큰 생성부(1110)와, 결정부(1103), 검색부(1104) 및 출력부(1105)를 포함한다.
토큰 생성부(1110)는 원 질의어를 소정의 분리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한다.
토큰 생성부(1110)는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분리부(1101)와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부(1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거나, 상기 추출된 단어를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정부(1103)는 상기 복수의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104)는 상기 검색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검색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검색한다.
출력부(11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 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질의어에 대한 매칭 처리 이전에,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 자동 매칭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질의어 매칭 처리가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 질의어를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 제 공하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방법으로부터 탈피하고, 원 질의어를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원 질의어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로딩하여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함에 있어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여 관련 작업 리소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질의어에 해당하는 상품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로직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질의어에 매칭될 확률이 높은 상품모델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해내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입력한 상품명인 원 질의어로부터 적절한 질의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질의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냄으로써, 상품 등록자의 쇼핑몰 서버에의 상품 등록 과정에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고, 차후 상품 등록/매칭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질의어 매칭 방법에 있어서,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질의어가 속하는 원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검색용 쿼리에 근거하여 소정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는 내부 식별자와 상기 내부 식별자가 속하는 내부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카테고리로 추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검색용 쿼리로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용 쿼리와의 유사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내부 식별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내부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 카테고리는 계층구조의 필드들로 구성되고,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상기 단계는,
    (1) 상기 원 질의어만을 이용하거나, (2)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카테고리의 전체 계층의 필드를 이용하거나, (3)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카테고리의 일부 계층의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소정의 엔진 색인기를 이용하여 토큰 분리하고,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4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총 검색 결과는 상기 제4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 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에서 상기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5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총 검색 결과는 상기 제5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3 질의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정의 수행 중 검색 결과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제3 검색 결과로 생성하고 상기 과정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과정의 수행 중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10. 질의어 매칭 방법에 있어서,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또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총 검색 결과는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12. 질의어 매칭 방법에 있어서,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가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를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 큰들을 생성하고,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질의어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원 질의어에 대한 카테고리를 매칭하는 카테고리 매칭부;
    상기 원 질의어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소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1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1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원 질의어를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2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2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 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제3 검색부;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 질의어에 매칭되는 총 검색 결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매칭부는,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질의어가 속하는 원 카테고리를 수신하고, 상기 원 질의어 또는 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며, 상기 작성된 검색용 쿼리에 근거하여 소정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는 내부 식별자와 상기 내부 식별자가 속하는 내부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매칭부는 상기 검색용 쿼리로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용 쿼리와의 유사도가 소정 레벨 이상인 내부 식별자들을 추출 하고, 상기 추출된 내부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개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기 내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원 질의어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 카테고리는 계층구조의 필드들로 구성되고,
    상기 카테고리 매칭부는 (1) 상기 원 질의어만을 이용하거나, (2)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카테고리의 전체 계층의 필드를 이용하거나, (3) 상기 원 질의어 및 상기 원 카테고리의 일부 계층의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용 쿼리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색부는 복수의 상기 제3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검색부는 상기 제3 질의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분리하고,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하며,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매칭된 카테고리 내 제3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어 매칭 시스템.
KR1020060028328A 2006-03-29 2006-03-29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KR10076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28A KR100769465B1 (ko) 2006-03-29 2006-03-29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US11/728,820 US7702700B2 (en) 2006-03-29 2007-03-27 Automatic matching method and automatic ma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28A KR100769465B1 (ko) 2006-03-29 2006-03-29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720A true KR20070097720A (ko) 2007-10-05
KR100769465B1 KR100769465B1 (ko) 2007-10-24

Family

ID=3880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328A KR100769465B1 (ko) 2006-03-29 2006-03-29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89B1 (ko) * 2007-10-22 2011-07-19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검색을 통한 행태분석에 기반한 키워드 그룹에 대하여광고를 수주하고 타겟 광고하는 웹 사이트 운영 방법 및온라인 시스템
WO2020138607A1 (ko) * 2018-12-27 2020-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을 이용한 질의 응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729B1 (en) * 2000-05-19 2004-03-09 Microsoft Corporation Retrieval of relevant information categories
KR100491250B1 (ko) * 2002-09-04 2005-05-25 차상영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98889A (ko) 2003-05-16 2004-11-26 엔에이치엔(주)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9984B1 (ko) 2005-05-20 2007-04-23 엔에이치엔(주) 질의어를 다양한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매칭되는 결과를출력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100534493B1 (ko) * 2005-05-26 2005-12-08 엔에이치엔(주) 카테고리 추천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89B1 (ko) * 2007-10-22 2011-07-19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검색을 통한 행태분석에 기반한 키워드 그룹에 대하여광고를 수주하고 타겟 광고하는 웹 사이트 운영 방법 및온라인 시스템
WO2020138607A1 (ko) * 2018-12-27 2020-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을 이용한 질의 응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465B1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06B1 (ko) 카테고리별 검색 로직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05587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training of named entity recognition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JP5027803B2 (ja) クエリ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702700B2 (en) Automatic matching method and automatic matching system
KR100705410B1 (ko) 상품모델과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상품 정보등록 방법 및 시스템
CN109145110B (zh) 标签查询方法和装置
CN105550369A (zh) 一种搜索目标商品集的方法及装置
CN104765724A (zh) 一种分词方法及装置
CN104636429A (zh) 商标类别检索方法和装置
CN110381115B (zh) 信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7679208A (zh) 一种图片的搜索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1689198A (zh) 使用规格化串的语音搜索
KR100769465B1 (ko)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CN110245215B (zh) 一种文本检索方法和装置
KR100709984B1 (ko) 질의어를 다양한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매칭되는 결과를출력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시스템
CN110489032B (zh) 用于电子书的词典查询方法及电子设备
CN115906851A (zh) 一种实体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89011B (zh) 数据查询方法、数据查询装置和电子设备
KR101105947B1 (ko)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KR101137056B1 (ko)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CN109344254B (zh) 一种地址信息分类方法及装置
KR100623628B1 (ko) 질의어 매칭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704729A (zh) 应用搜索方法及云端服务器
CN105630837A (zh) 一种媒体记录搜索方法和装置
JPH07296005A (ja) 日本語テキスト登録・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