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224A -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224A
KR20070097224A KR1020060028135A KR20060028135A KR20070097224A KR 20070097224 A KR20070097224 A KR 20070097224A KR 1020060028135 A KR1020060028135 A KR 1020060028135A KR 20060028135 A KR20060028135 A KR 20060028135A KR 20070097224 A KR20070097224 A KR 2007009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ayer
base film
black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준규
배재우
문동건
허상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224A/ko
Priority to JP2007055690A priority patent/JP2007264628A/ja
Priority to US11/727,296 priority patent/US20070228965A1/en
Priority to EP07251330A priority patent/EP1840602A1/en
Publication of KR2007009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8Near infrared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 감소를 완화하면서 명실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키고 중량이 감소된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제조가 용이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스트라이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렌티큘라 구조가 형성된 렌티큘라층을 포함하는 필터, 또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로드;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구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필터와, 이러한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Fil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50, 60: 필터 11a: 블랙 스트라이프
11b: 블랙 로드 21: 렌티큘라층
2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30: 베이스 필름
41: 전자기파 차폐층 42: 반사방지층
43: 필름층 44: 점착층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필터(Filter) 및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광의 투과율은 높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은 차단시켜 명실 콘트라스트가 우수하며, 경량화, 박형화, 저비용화가 가능한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 능력이 기존의 CRT(Cathode-Ray tube)에 비하여 우수하며, 박형이고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차세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과 강화유리필터 사이에서 그 재질의 차이로 인한 굴절현상에 의하여 영상이 이중으로 반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필터는 외부충격에 견디도록 일정 두께(약 3㎜)를 유지하므로, 중량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기존의 강화유리필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름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조 공정이 번거롭고 역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강화유리필터에서는 명실 콘트라스트를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거나, 명실 콘트라스트랄 향상시키는 경우 휘도를 크게 감소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휘도 감소를 완화하면서 명실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키고 중량이 감소된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제조가 용이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스트라이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렌티큘라 구조가 형성된 렌티큘라층을 포함하는 필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는 상기 렌티큘라 구조의 반원 단면의 중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의 전방 단부는 상기 렌티큘라층에 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의 단면은 전후방 방향의 길이가 폭에 비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로드;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구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랙 로드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구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랙 로드의 전방 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에 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랙 로드는 단면을 기준으로 폭이 길이에 대해 0.1배 내지 3.0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색소 또는 안료가 포함되어 색상 및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반사방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도록 내부에 하드코팅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상기 반사방지층 상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전자기파 차폐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일측에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층;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근적외선 차단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색보정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사이의 접착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한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한 필터가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10)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10)는 블랙 스트라이프(11a), 렌티큘라층(lenticular layer)(21) 및 베이스 필름(30)을 구비한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11a)는 도 2에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 필름에 포함된 상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11a)는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율이 큰 검정색을 띈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11a)의 전방 단부는 상기 렌티큘라층(21)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11a)의 단면을 기준으로 폭(w)은 전후방 방향으로의 길이(l)에 대해 0.1배 내지 3.0배의 길이를 가진다. 블랙 스트라이프의 단면의 폭(w)이 길이(l)에 대해 0.1배 이하로 좁게 형성된 경우에는 전방에서 입사되는 직진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블랙 스트라이프의 단면의 폭(w)이 길이(l)에 대해 3.0배 이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하는 직진광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광량을 차단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 렌티큘라층(21)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렌티큘 라층(21)은 렌티큘라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렌티큘라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정하게 반원에 근사한 단면을 가지는 마루가 형성된 구조를 말한다. 마루를 이루는 부분의 사이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골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골은 마루의 폭에 비해 현저하게 좁은 폭을 가진다.
상기 렌티큘라층(21)은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을 용융 상태에서 금형으로 가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압출기에서 가열 후 양각롤로 가압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수지를 자외선에 노출시켜 부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11a)는 상기 렌티큘라층(21)의 단면에서 반원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의 후방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30)은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필터(1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계면 특성상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과 밀착되기 유리한 것으로 투명한 재질이면 어떤 것이어도 사용될 수 있고, 운반의 편의와 부착 공정의 편의를 위해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필름(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베이스 필름(30)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CAP)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이용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30)은 소정의 색상을 가지도록 착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필름(30)의 착색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필터(10) 전체의 가시광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30)을 어두운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이 감소된다. 이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투사되는 가시광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느끼기에 좋은 색상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베이스 필름(30)의 색상을 부여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순도를 향상시키도록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채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서브픽셀에 대응하도록 베이스 필름(30)의 색상을 패턴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필름(30)의 다양한 색보정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베이스 필름(30)이 착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30)은 평판 형상의 플랙서블한 성질을 가지며, 그 두께는 5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베이스 필름(30)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패널 파손 시 비산방지의 효과가 감소되고, 두꺼워짐에 따라 라미테이팅 공정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는 바, 80㎛ 내지 4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50)는 블랙 로드(11b),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micro lens array layer)(22) 및 베이스 필름(30)을 구비한다.
상기 블랙 로드(11b)는 도 4에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 필름에 포함된 상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블랙 로드(11b)는 가시광선에 대한 흡수율이 큰 검정색을 띈다. 상기 블랙 로드(11b)들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랙 로드(11b)의 전방 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22)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랙 로드(11b)의 단면을 기준으로 폭(w)은 전후방 방향으로의 길이(l)에 대해 0.1배 내지 3.0배의 길이를 가진다. 블랙 로드(11b)의 단면의 폭(w)이 길이(l)에 대해 0.1배 이하로 좁게 형성된 경우에는 전방에서 입사되는 직진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블랙 로드(11b)의 단면의 폭(w)이 길이(l)에 대해 3.0배 이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하는 직진광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광량을 차단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22)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22)은 다수의 반구형의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전방에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 사이의 간격은 마이크로 렌즈의 폭에 비해 현저히 좁게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22)은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을 용융 상태에서 금형으로 가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압출기에서 가열 후 양각롤로 가압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수지를 자외선에 노출시켜 부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블랙 로드(11b)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22)에 배치된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의 구심의 후방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30)은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필터(1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필름의 후방으로부터 진행하여 입사되는 가시광선 중 일부는 블랙 스트라이프 또는 블랙 로드에 의해 차단되고, 일부는 그대로 투과시키며, 나머지 일부는 렌티큘라 구조 또는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렌티큘라 구조 또는 마이크로 렌즈의 각각의 반원 단면 중심 방향으로 집속되면서 진행한다. 또한, 전방으로부터 진행하여 입사되는 가시광선도 일부는 블랙 스트라이프 또는 블랙 로드에 의해 차단되고 , 일부는 그대로 투과시키며, 일부는 렌티큘라 구조 또는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산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60)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필터(10, 50)의 일면에 전자기파 차폐층(41)과 반사방지층(42)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과 반사방지층(42)이 부착되는 방향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필터(10, 50)의 전방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일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터(6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기파를 차폐한다.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은 한층 이상의 금속층 또는 금속 산화물층을 적층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섯 층 내지 열한 층의 다층 구조를 가진다. 특히, 금속 산화물층과 금속층을 함께 적층할 경우, 금속 산화물층은 금속층의 산화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전자기파 차폐층(41)을 다층으로 적층할 경우, 전자기파 차폐층(41)의 표면저항값을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의 금속층은 팔라듐(Palladium), 구리, 백금, 로듐(Rhodium), 알루미늄(Aluminium), 철, 코발트(Cobalt), 니켈(Nickel), 아연, 루테늄(Ruthenium), 주석, 텅스텐(Tungsten), 이리듐(Iridium), 납, 은(Ag) 등을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산화물층은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탄, 산화마그네슘,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금속 알콕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ATO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은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필터(10, 50)의 배면에 필름층(43)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스퍼터링(Sputtering), 진공증착법, 이온도금법, CVD, PVD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금속층 또는 금속 산화물층은 전자기파 차폐 기능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차단의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근적외선으로 인하여 주변 전자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저감된다.
전자기파 차폐층(41)의 형상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 금속을 이용하여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2)은 외부 입사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키고, 필터의 주변 환경이 필터의 표면에 비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강화유리필터에 반사방지층을 형성할 경우, 전면기판과 강화유리필터 사이에 의해 영상의 선명도가 많이 낮아지는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강화유리필터에는 반사방지층을 적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50)는 디스플 레이 패널의 전면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영상의 선명도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사방지층(42)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상기 반사방지층(42)의 내부에 하드코팅물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60)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작동 중에 여러 형태의 외력을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반사방지층(42) 내부에 하드코팅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가 방지된다. 다만, 상기 반사방지층(42) 내부에 하드코팅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반사방지층(42) 상에 별도의 하드코팅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하드코팅물질은 바인더로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가 이용되거나,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강도(hardness)의 향상을 위해 실리카(Silica)계의 필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2)은 두께가 2.0㎛ 내지 7.0㎛, 연필경도(Hardness)가 2H 내지 3H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과 상기 반사방지층(42) 사이에는 점착층(4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층(44)은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과 상기 반사방지층(42)과의 사이에서 두 층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60)의 저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과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점착층(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 널과 직접 접하는 점착층은 이중 영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착층과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굴절률 차이가 소정의 값, 예를 들면 1.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41)과 상기 반사방지층(42)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44)이나, 필터(6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은 열가소성,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아크릴 레이트계 수지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이 있다. 이러한 점착층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구리원자를 포함하는 레진(RESIN), 구리화합물이나 인화합물을 함유하는 레진, 구리화합물이나 THIO 요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레진, 텅스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레진, 시아닌(cyanine)계 화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네온광을 차단하여 색보정을 하도록 염료나 안료 같은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가시광선 영역인 400 ~ 700 nm의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시, 방전가스인 네온에 의하여 약 585nm 파장 부근의 불필요한 가시광이 발생하는데, 상기의 가시광을 흡수하기 위하여 시아닌계, 스쿠아릴률계, 아조메틴(azomethine)계, 키산텐계, 옥소(oxo)놀 계, 아조(azo)계 등의 화합물을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색소를 미립자로 하여 분산물의 형태로 점착층 내에 포함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터(60)는 근적외선 차단층(미도시) 및/또는 색보정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차단 기능은 앞서 설명한 전자기파 차폐층이나 점착층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별도의 층을 추가하여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색보정층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의 색순도가 낮거나, 색온도 등을 보정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60)의 경우, 투과율이 30.0%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60)는 5.0% 이내의 헤이즈(haze)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10)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적용될 수 있는 일례를 든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크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 섀시(130) 및 회로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필터(1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섀시(130)의 결합을 위해 양면테이프(154)와 같은 접착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작동 중에 방출하는 열을 섀시를 통해 발산시키기 위해 열전도부재(153)가 섀시(13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가스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며, 서로 결합되는 전방패널(151) 및 후방패널(152)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면에 점착층(미도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실시예의 필터(10)를 지칭하면서 설명하지만, 제1실시예의 필터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필터(50, 60)를 포함한 본 발명의 특징이 반영된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0)에 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자기파가 차단되며, 글래어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적외선이나 네온광이 차단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필터(10)가 실질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이중 영상의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소된다.
또한, 종래의 강화유리필터에 비하여 중량이 감소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섀시(13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후방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섀시(130)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인 알루미늄, 철 등으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섀시(130) 사이에는 열전도부재(15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전도부재(153)의 주위를 따라 복수 개의 양면테이프(154)들이 배치되는데, 양면테이프(154)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섀시(130)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섀시(130)의 후방에는 회로부(140)가 배치되는데, 회로부(14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구동하는 회로가 배선된다. 회로부(140)는 신호전달수단들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전달하게 된다. 신호전달수단으로는 FPC(Flexible Printed Cable),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 등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섀시(13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신호전달수단으로서 FPC(161)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섀시(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신호전달수단으로서 TCP(160)들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터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이중 영상이 감소될 수 있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베이스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중량이 감소되며, 투과율이 향상된다. 특히, 내부에 블랙 스트라이프 또는 블랙 로드를 구비함에 따라 외광 반사가 감소하여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또한, 렌티큘라층 이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을 구비하여 내부에서 전방으로 진행하는 가시광선을 집속하고 휘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스트라이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렌티큘라 구조가 형성된 렌티큘라층을 포함하는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는 상기 렌티큘라 구조의 반원 단면의 중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의 전방 단부는 상기 렌티큘라층에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스트라이프는 단면을 기준으로 폭이 길이에 대해 0.1배 내지 3.0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 덮인 상태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진 배치되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블랙 로드;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방에 배치되고, 다수의 반구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을 포함하는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로드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구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로드의 전방 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에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로드는 단면을 기준으로 폭이 길이에 대해 0.1배 내지 3.0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는 색소 또는 안료가 포함되어 색상 및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위치하는 반사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도록 내부에 하드코팅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 상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위치하는 전자기파 차폐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층;
    상기 전자기파 차폐층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 터.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위치하는 근적외선 차단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위치하는 색보정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사이의 접착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28135A 2006-03-28 2006-03-28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97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135A KR20070097224A (ko) 2006-03-28 2006-03-28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55690A JP2007264628A (ja) 2006-03-28 2007-03-06 フィルタ、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727,296 US20070228965A1 (en) 2006-03-28 2007-03-26 Filter,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EP07251330A EP1840602A1 (en) 2006-03-28 2007-03-28 Filter,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135A KR20070097224A (ko) 2006-03-28 2006-03-28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224A true KR20070097224A (ko) 2007-10-04

Family

ID=3880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135A KR20070097224A (ko) 2006-03-28 2006-03-28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72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75B1 (ko) * 2007-12-26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8876B1 (ko) * 2007-12-26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75B1 (ko) * 2007-12-26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8876B1 (ko) * 2007-12-26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0602A1 (en) Filter,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KR100777736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61224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86465A1 (en) Film type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7009722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의 제조 방법
KR20070097224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213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202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45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6377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82379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32930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9563B1 (ko) 필름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7431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789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793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790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112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76220A (ja) フィル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99080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05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95B1 (ko) 필름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42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106B1 (ko) 필름형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49479A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