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799A - Reverse osmosis apparatus - Google Patents

Reverse osmosi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799A
KR20070096799A KR1020070018955A KR20070018955A KR20070096799A KR 20070096799 A KR20070096799 A KR 20070096799A KR 1020070018955 A KR1020070018955 A KR 1020070018955A KR 20070018955 A KR20070018955 A KR 20070018955A KR 20070096799 A KR20070096799 A KR 20070096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verse osmosis
supply pipe
supply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아키 오쿠다
도시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프로
Publication of KR2007009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2Rotation or tu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20Operation control schemes defined by a periodically repeated sequence comprising filtration cycles combined with cleaning or gas supply, e.g. 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40Automatic control of clea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A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an simply set a membrane separating time and a cleaning time, can efficiently perform a membrane separating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at the same time, and can maintain an efficiency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in an excellent state is provided. A reverse osmosis apparatus(1) comprises: a membrane separating mechanism(10) for separating separation objects from raw water by a reverse osmosis membrane; a feeding mechanism(20) for pressurizing raw water to feed the raw water to the membrane separating mechanism; a water supply pipe(30) for supplying raw water that has permea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water discharge pipe(35) for discharging raw water that has not permea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water discharge valve(36) installed on the water discharge pipe; a control device for carrying out a membrane separating process of separating separation objects from raw water supplied into a container in a state that the water discharge valve is closed and a cleaning process of clean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using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in a state that the water discharge valve is ope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embrane separating process and the clean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 setting mechanism for setting a time from beginning to termination of the membrane separating process and a time from beginning to termination of the cleaning process respectively.

Description

역침투 장치{REVERSE OSMOSIS APPARATUS}Reverse osmosis device {REVERSE OSMOSI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역침투 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FIG. 2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막분리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역침투 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FIG. 8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shown in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It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 한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원수(原水) 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을 역침투막에 의해서 분리, 제거하도록 구성된 역침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se osmosis device configured to separate and remove a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raw water by a reverse osmosis membrane.

상기 역침투 장치로서,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11996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역침투 장치는, 역침투막, 및 역침투막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압 구조의 용기체로 구성되고, 원수 중에 포함된 분리 대상물을 역침투막에 의해 분리하는 막분리 기구와, 용기체에 접속한 공급관, 및 공급관을 통해 용기체의 내부에 원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공급 펌프로 구성되는 공급 기구와, 용기체에 접속하고, 역침투막을 투과한 원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용기체에 접속하고,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은 원수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 밸브와, 배수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As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what wa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2-119965 is known conventionally, for example. The reverse osmosis device comprises a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a container body of a pressure-resistant structure accommodat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herein, and a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the raw water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a container body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 supply mechanism comprising a supply pipe and a supply pump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raw wat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supply pipe,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supplying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nd a container body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that has not permea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drain valve provided in the drain pip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valve.

상기 배수관은, 일단측이 용기체에 접속하고, 타단측이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되어 있고, 분기한 한쪽에, 상기 배수 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이 배수 밸브는 통상은 닫힌 상태로 되고, 역침투막의 세정 시에만 열리도록,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제어된다. One end of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branched into two, and the drain valve is provided on one branch of the drain pipe. In addition, this drain valve is normally controlled by the said control apparatus so that it may become a closed state and open only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이 역침투 장치에 의하면, 공급 펌프에 의해 공급관을 통해 용기체 내에 원수가 공급되면, 공급된 원수의 일부는,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분리 대상물이 분리된 투과수로서 급수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한편, 공급된 원수의 나머지는,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분기된 다른쪽측)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is reverse osmosis device, when raw water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through a supply pipe by a supply pump, a part of the supplied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the object to be separate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outside as separated permeate water. The remainder of the supplied raw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drainage pipe (the other side branch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그리고, 역침투막의 표면에는, 해당 역침투막의 사용에 따라, 원수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분리 대상물이 서서히 퇴적하고, 겔 상태 물질이나 관석(scale) 등이 발생하거나, 미생물이 증식하거나, 막혀, 역침투막을 투과하는 수량(水量)이나 투과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등 역침투막의 성능이 저하한다.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various separation objects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gradually accumulate, and gel substances, scales, etc. are generated, microorganisms proliferate or are blocked, and reverse osmosis.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decreases, such as deteriorating the quantity of water that permeates the membrane and the quality of the permeate.

이 때문에, 상기 역침투 장치에서는, 역침투막에 의한 처리 시간이 일정 시간에 달할 때 마다(역침투막에 의한 처리 수량이 일정량에 달할 때 마다), 역침투막의 세정 처리가 소정 시간 행해져, 해당 역침투막의 표면에 퇴적된 분리 대상물이 적절히 제거되게 된다. For this reason, in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whenever the treatment time by a reverse osmosis membrane reaches a fixed time (whenever the quantity of treatment by a reverse osmosis membrane reaches a fixed amount), the washing process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aid The separation object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appropriately removed.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배수 밸브가 작동되어 소정 시간 열린 상태로 되고, 공급 펌프에 의해서 용기체 내에 공급된 원수 중,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분기한 한쪽측 및 다른쪽측)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원수의 수량이 커짐으로써, 역침투막의 표면을 배수관측을 향해 유동하는 원수의 수류(水流)에 의해, 해당 역침투막의 표면에 퇴적된 분리 대상물이 씻겨져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세정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역침투막의 성능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 Specifically, the drain valve is operated by the control device to be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rom the drain pipe (one branch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by the feed pump without penetrat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s the quantity of raw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omes large, the separation object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washed out and removed by the water flow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ward the drainage pipe side. In this way, the wash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maintained in a good state.

그런데, 역침투막의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세정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나 해당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은, 해당 역침투 장치의 사용 상태나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각각 다른 것으로, 일률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원수가 수돗물인 경우, 해당 수도물에 포함되는 물오염 물질(분리 대상물)의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동하므로, 세정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나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은 계절마다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y the way, in order to keep the performance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in a favorable state, the interval which performs a washing process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e said washing process are respectively different with the use state of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the kind of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raw water, etc., It cannot be set uniformly. For example, when the raw water is tap water,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pollutant (separation target) contained in the tap water fluctuates according to the seas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washing treatment and the treatment time of the washing treatment for each season. .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역침투 장치에서는, 세정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나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을 사용자가 간단히 각각 조정,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정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나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이 너무 길거나, 너무 짧으면, 처리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나, 세정 처리를 행하는 간격이 너무 길어 분리 대상물의 역침투막 표면으로의 퇴적이 진행되어, 역침투막의 성능이 크게 저하하거나, 퇴적한 분리 대상물을 제거하기 어렵거나, 분리 대상물의 제거에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이 너무 짧아 분리 대상물의 제거가 불완전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verse osmosis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simply adjust and set the interval for performing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e cleaning process, respectively. In addition, if the interval between the cleaning treatment or the treatment time of the cleaning treatment is too long or too short, the problem of treatment efficiency decreases or the interval between the washing treatments is too long, and de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of the separation object proceeds. The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greatly reduced,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deposited separation object, or that the separation object is required to be removed for a long time, and that the treatment time of the cleaning treatment is too short, results in incomplete removal of the separation object. have.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역침투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osmosis apparatus capable of simply setting the respective treatment tim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and efficiently performing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원수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을 분리, 제거하는 역침투 장치로서, As a reverse osmosis devic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a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raw water,

역침투막을 구비하고, 해당 역침투막에 의해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과, 상기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막분리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막분리 수단에 접속하여, 상기 역침투막을 투과한 원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막분리 수단에 접속하여, 상기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은 원수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 밸브와, 상기 배수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A reverse osmosis membrane,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separation object from the raw water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 supply means for pressurizing the raw water to supply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o discharge raw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drain valve provided i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valve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수 밸브를 닫힌 상태로 하여, 상기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분리 처리와, 상기 배수 밸브를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에 의해 상기 역침투막을 세정하는 세정 처리를, 각각 미리 설정된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하도록 구성된 역침투 장치에 있어서,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the object to be separated from raw water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with the drain valve closed, and the drain valve open to supply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n the reverse osmosis device configured to repeatedly perform the cleaning process for wash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raw water, alternately each preset time,

상기 막분리 처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상기 세정 처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cleaning process, respective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을 행하는 상기 막분리 처리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을 행하는 상기 세정 처리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repeat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f performing the time set by the setting means and the washing process of performing the time set by the setting means. .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가 각각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되어 실행된다. 막분리 처리에서는, 배수 밸브가 닫혀 있으므로, 공급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는, 역침투 막을 투과하고, 분리 대상물이 분리된 투과수로서 급수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repeatedly performed alternately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since the drain valve is closed, the raw water pressurized by the supply means and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outside as permeate water from which the object to be separated is separated.

한편, 세정 처리에서는, 배수 밸브가 열려 있으므로, 공급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는, 그 일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고, 투과수로서 급수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 내를 유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는, 역침투막의 표면을 배수관측을 향해 유동하므로, 이와 같이 하여 유동하는 원수의 수류에 의해, 역침투막의 표면에 퇴적된 분리 대상물이 씻겨져 제거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ashing process, since the drain valve is open, part of the raw water pressurized by the supply means and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permeat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rest is reverse osmosis. It does not penetrate the membrane and flows through the drain pip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ward the drain pipe side, the separation object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washed out and removed by the flow of raw water flowing in this way.

그런데, 역침투막의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처리 개시부터 처리 종료까지의 시간)은, 해당 역침투 장치의 사용 상태나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각각 다르고, 일률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각 처리 시간을 해당 역침투 장치마다 개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By the way, in order to keep the performance of a reverse osmosis membrane in a favorable state, each processing time (the time from the start of a process to the completion of a process) of the sai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is isolate | separated in the use state of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or raw water. Since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object and cannot be set uniformly, it is necessary to set each said processing time individually for each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역침투 장치에서는,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어 수단이,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처리 시간을 기초로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Therefore, in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means for setting each treatment time of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is formed, and the control means performs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based on the treatment time set by the setting means. And cleaning processing are repeatedly performed alternately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설정 수단에 의해서 각각 간단히 조정,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각 처리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거나, 역침투막의 성능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djust and set the respective treatment times of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by the setting means, and adjust the respective treatment times, thereby efficiently performing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or inversely. The performance of the permeable membrane can always be kept in good condition.

또한, 상기 공급 수단은, 일단측이 상기 막분리 수단에 접속하고, 타단측에서 상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해당 공급관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설치되고, 타단측에서 공급된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막분리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침투 장치는, 상기 급수관의 관로와, 상기 공급관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관로를 동시에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급수관의 관로를 열였을 시에는 상기 공급관의 관로도 열리고, 상기 급수관의 관로를 닫았을 시에는 상기 공급관의 관로도 닫히는 급수 밸브와,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사이의 수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과, 상기 공급 펌프를 작동시킬 때의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사이의 수압으로서 미리 설정되고, 상기 급수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의 사이의 수압보다도 낮은 기준치에 의거해 상기 공급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까지 올라가면, 상기 공급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막분리 수단에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보다도 내려가면, 상기 공급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Further, the supply means is provided between a supply pipe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from the other end, an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and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And a supply pump for pressurizing and supplying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wherein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pipeline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pipelin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and the supply pump. When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opened,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is opened, and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is closed when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losed, and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in the supply pipe and the supply pump is detected. The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other end in the supply pipe when the supply pump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based on a reference value lower than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side and the feed pump in the feed pipe when the feedwater valve is open, set in advance as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feed pump and When the detection water pressure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pump may be operat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when the detection water pressure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may be stopped.

이와 같이 하면, 급수 밸브가 열려 급수관 및 공급관의 관로가 열리면, 공급관의 타단측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의해서, 해당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수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급관 내의 수압이 기준치까지 상승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서 공급 펌프가 구동되고, 해당 공 급 펌프에 의해 원수가 가압되어 막분리 수단에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다. In this way, when the water supply valve opens and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upply pipe open,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in the supply pipe and the supply pump increases due to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pump is driven by the control means, and the raw water is pressurized by the supply pump and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hrough the supply pipe.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는,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의 실행 중일 때에는,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급수관으로부터 토출되는 한편, 세정 처리의 실행중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급수관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된다.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when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being executed under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while when the washing process is being performed, a part of the raw water is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supply the water supply pipe.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without remain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이 후, 급수 밸브가 닫혀져 급수관 및 공급관의 관로가 닫히면, 급수관으로부터 투과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공급관의 타단측에서 원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해당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수압이 저하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급관 내의 수압이 기준치보다도 저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서 공급 펌프의 작동이 정지된다. Thereafter,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and the pipelines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upply pipe are closed, permeate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raw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and between the other end and the supply pump in the supply pipe. The water pressure decreases. And when the water pressure in a supply pipe detected by a detection means falls below a reference value, operation of a supply pump will be stopped by a control means.

이와 같이 제어 수단을 구성하면, 급수 밸브가 닫혀져 투과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공급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역침투 장치를 효율적으로 가동시켜 쓸데없는 전력 소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and the permeate is not use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can be stopped. Therefore, the reverse osmosis device can be efficiently operated to suppres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have.

또한, 상기 역침투 장치는, 상기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관 내의 수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과, 상기 공급 수단을 정지시킬 때의 상기 급수관내의 수압으로서 미리 설정되고, 상기 급수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급수관 내의 수압보다도 높은 기준치에 의거해 상기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보다도 내려가면, 상기 공급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막분리 수단에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까지 올라가면, 상기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Moreover,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in the said water supply pipe, and the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aid water supply pipe, The said control means stops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said detection means, and the said supply means. When the water pressure is set in advance as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is controlled based on a reference value higher tha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and whe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means may be operat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whe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이와 같이 하면, 급수 밸브가 열려 급수관 내의 수압이 저하하고,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해당 급수관 내의 수압이 기준치보다도 저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서 공급 수단이 구동되고, 해당 공급 수단에 의해 원수가 가압되어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다. In this way, when a water supply valve opens and the water pressure in a water supply pipe falls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detected by a detection means falls below a reference value, a supply means will be driven by a control means, and raw water will be pressurized by the supply means.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막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는,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의 실행 중일 때에는,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급수관으로 토출되는 한편, 세정 처리의 실행 중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여 급수관으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is discharged to the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when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being executed, while part of the raw water is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water supply pipe during the cleaning process. Discharge is carried out, and the remainder is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이 후, 급수 밸브가 닫히면, 급수관으로부터 투과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어 급수관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해당 급수관 내의 수압이 기준치까지 상승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서 공급 수단의 작동이 정지된다. After that,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permeated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increases.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is stopped by the control means.

이와 같이 제어 수단을 구성해도, 급수 밸브가 닫혀져 투과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역침투 장치를 효율적으로 가동시켜 쓸데없는 전력 소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Even if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in this way,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closed and the permeate is not use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can be stopp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Can be suppress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역침투 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막분리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역침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1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shown in FIG. 3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nd FIG. 4 is explanatory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역침투 장치(1)는, 예를 들면, 수도물인 원수에 포함되는 물 오염 물질을 분리 대상물로서 분리, 제거하고, 청정한 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원수 중에 포함된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분리 기구(10)와, 원수를 막분리 기구(10)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20)와, 막분리 기구(10)에 접속한 급수관(30) 및 배수관(35)과, 급수관(30) 및 배수관(35)에 각각 설치된 코크(급수 밸브)(31) 및 배수 밸브(제1 배수 밸브)(36)와, 수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수압을 기초로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하는 압력 스위치(40)와, 후술의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압력 스위치(40)에 의한 전기 접점의 개폐 및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설정된 각 처리 시간에 의거해 공급 기구(20)의 공급 펌프(22) 및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제어 장치)(45)와, 막분리 기구(10)에 공급되는 원수의 전 처리를 행하고, 분리 대상물의 일부를 분리하는 전처리 기구(18)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of this example isolate | separates and removes the water contaminant contained in raw water which is tap water as a separation object, and produces | generates clean water,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10 for separating the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e supply mechanism 20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10,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10. (35), a coke (water supply valve) 31 and a drain valve (first drain valve) 36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drain pipe 35, respectively, and a water pressure, and based o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ctrical contact by the pressure switch 40,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for setting each processing time of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described later, the pressure switch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ical contact, and Of the supply mechanism 20 based on each processing time set by a setting mechanism (not shown). The control circuit (control device) 45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and the pretreatment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10 are performed. And a pretreatment mechanism 18 for separating a part of the object to be separated.

상기 막분리 기구(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내압 구조의 용기체(11)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용기체(11)의 내부에 수용된 역침투막(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체(11)는, 원통형상을 한 본체(12)와, 본체(12)의 양 단부를 각각 폐색하는 제1 덮개(13) 및 제2 덮개(14)로 구성되고, 제1 덮개(13)의 중앙부에 상기 공급 기구(20)의 공급관(21)의 일단측이, 제2 덮개(14)의 중앙부에 상기 급수관(30)이, 제2 덮개(14)의 외주측에 상기 배수관(35)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역침투막(15)은, 제2 덮개(14)측의 단면에 개구하고, 급수관(30)과 연통하는 중공부(15a)를 구비하고, 분리 대상물은, 원수가 외주측에서 내주(중공부(15a))측으로 투과할 시에 분리, 제거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역침투막(15)은, 전처리 기구(18)로 분리, 제거되지 않은, 예를 들면, 물 중에 용해한 화학 물질, 미생물, 중금속 등을 분리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embrane separation mechanism 10 includes a container body 11 having a pressure-resistant structur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formed. The container body 11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12 and a first lid 13 and a second lid 14 for closing both ends of the body 12, respectively. One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of the supply mechanism 20 at the central portion of 13, the water supply pipe 30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lid 14, and the drainage pipe ( 35) are respectively connected. In additio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has a hollow portion 15a which is opened in the end face on the second lid 14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object to be separated is the raw water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When it penetrates into the hollow part 15a side, it isolate | separates and removes.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separates, for example, chemical substances, microorganisms, heavy metals, and the like which are not separated or removed by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상기 공급 기구(20)는, 일단측이 용기체(11)에 접속하고, 타단측이 도시하지 않은 수도관에 접속된 공급관(21)과, 공급관(21)을 통해 용기체(11)의 내부에 원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공급 펌프(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관(21)에는, 공급 펌프(22) 이외, 전처리 기구(18), 압력계(24), 압력 스위치(40),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적산 유량계(26)가 각각 설치되고, 전처리 기구(18)가 공급관(21)의 타단측에, 압력계(24) 및 압력 스위치(40)가 전처리 기구(18)보다도 하류측에, 원수 공급 밸브(25)가 압력계(24) 및 압력 스위치(40)보다도 하류측에, 적산 유량계(26)가 원수 공급 밸브(25)보다도 하류측에, 공급 펌프(22)가 적산 유량계(26)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력계(24)는, 공급관(21) 내의 수압을 검출하고, 상기 적산 유량계(26)는, 공급관(21) 내를 유통하는 원수의 적산 유량을 검출한다. 이 적산 유량은, 예를 들면, 역침투막(15)의 교환 시기의 기준이 된다. One end of the supply mechanism 2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ly mechanism 20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 through the supply pipe 21. It consists of a feed pump 22 which pressurizes and supplies raw water. In addition to the supply pump 22, the supply pipe 21 is provided with a pretreatment mechanism 18, a pressure gauge 24, a pressure switch 40, a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an integrated flowmeter 26, respectively. (18) is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the pressure gauge 24 and the pressure switch 40 is downstream of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the pressure gauge 24 and the pressure switch 40 ), The integrated flowmeter 26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supply pump 22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tegrated flowmeter 26. Moreover, the said pressure gauge 24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21, and the said integration flowmeter 26 detects the integrated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distribute | circulates in the supply pipe 21. As shown in FIG. This integration flow volume becomes a reference | standard of the exchange tim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for example.

상기 급수관(30)은, 일단측이 용기체(11)에 접속하고, 타단측이 도시하지 않 은 적절한 위치에 개구하고 있고, 역침투막(15)을 투과한 원수를, 분리 대상물의 분리된 투과수(청정한 물)로서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 토출한다. 이 급수관(30)에는, 코크(cock)(31) 외,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측을 향해서만 투과수를 유동시키는 역지 밸브(32)가 설치되고, 이 역지 밸브(32)는, 코크(31)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다. The water supply pipe 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1, the other end ope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not shown), and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separated. It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pening (not shown) as permeate water (clean water). In addition to the cock 31, this water supply pipe 30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2 for flowing permeate only toward the other end opening portion (not shown). The check valve 32 is provided with a cock. It is arrange | positioned more upstream than (31).

상기 코크(31)는, 급수관(30)의 관로와, 공급관(21)의 전처리 기구(18)보다도 상류측의 관로를 동시에 개폐하고, 급수관(30)의 관로를 열었을 시에는 공급관(21)의 관로도 열리는 한편, 급수관(30)의 관로를 닫았을 시에는 공급관(21)의 관로도 닫히도록 구성된다. The coke 31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pipeline upstream tha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of the supply pipe 21, and opens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While the pipeline is also open, when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is closed,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21 is also closed.

상기 배수관(35)은 일단측이 용기체(11)에 접속하고, 타단측이 2개의 유로(35a, 35b)에 분기하여 다시 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은 원수(농축수 및 역침투막(15)의 세정시에 공급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 배수관(35)에는, 제1 배수 밸브(36) 외, 압력계(37) 및 제2 배수 밸브(38)가 각각 설치되고, 압력계(37)가 배수관(35)의 일단측으로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에, 제2 배수 밸브(38)가 분기한 한쪽 유로(35a)에, 제1 배수 밸브(36)가 분기한 다른쪽 유로(35b)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력계(37)는, 배수관(35) 내의 수압을 검출하고, 제2 배수 밸브(38)는 막분리 처리시에,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35)의 유로(35a)를 유통하여 배출되는 원수(분리 대상물이 농축된 농축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The drain pipe 35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other end side branches into two flow paths 35a and 35b and joins again, and does not penetrate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Raw water supplied at the time of washing the concentrated water an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1st drain valve 36, the pressure gauge 37 and the 2nd drain valve 38 are each provided in this drain pipe 35, and the pressure gauge 37 is an upstream side of a branch of the drain pipe 35 rather than a branch part. On the one flow path 35a which the 2nd drain valve 38 branched off, the 1st drain valve 36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flow path 35b which branched off. Moreover, the said pressure gauge 37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drain pipe 35, and the 2nd drain valve 38 does not pas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t the time of membrane separation process, but the flow path of the drain pipe 35 ( 35a) is adjust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raw water (concentrated water in which the separation target is concentrated).

상기 압력 스위치(40)는, 공급관(21) 내(공급관(21) 내의, 전처리 기구(18) 와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수압이 절대압으로 0.2MPa 이상일 때에 전기 접점을 닫는다. 또한, 이 압력 스위치(40)가 전기 접점을 개폐하는 기준 압력(0.2MPa)은, 공급 펌프(22)를 작동시킬 때의 공급관(21) 내의, 전처리 기구(18)와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으로서, 코크(31)가 열려 있을 때의 공급관(21)내의, 전처리 기구(18)와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보다도 낮은 수압이다. The pressure switch 40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21 (betwee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 the supply pipe 21), and the detected water pressure is 0.2 MPa or more in absolute pressure. Close the electrical contacts. Moreover, the reference pressure (0.2 MPa) which this pressure switch 40 opens and closes an electrical contact is the preprocessing mechanism 18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 the supply pipe 21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supply pump 22. The pressure betwee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 the supply pipe 21 when the cock 31 is open is lower than the pressure betwee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상기 제어 회로(45)는, 제1 배수 밸브(36)를 닫힌 상태로 하여,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분리 처리와, 제1 배수 밸브(36)를 열린 상태로 하여,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에 의해 역침투막(15)을 세정하는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하는 동시에, 코크(31)가 열리면 공급 펌프(22)를 작동시키고, 코크(31)가 닫히면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said control circuit 45 keeps the 1st drain valve 36 close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which isolate | separates a separation object from the raw water suppli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1st drain valve 36 was opened. In the state, the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by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is repeatedly performed alternately for each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When the coke 31 is opened, the feed pump 22 is operated, and when the coke 31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is stopped.

또한, 제어 회로(45)는, 해당 제어 회로(4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6)과,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공급 펌프(22)가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접속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에, 원수 공급 밸브(25)와, 타이머 A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타이머 B 및 타이머 A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제1 배수 밸브(36)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이 각각 병렬로 접속된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배수 밸브(36)에는, 이와 병렬로 램프(4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타이머 A 및 타이머 B는,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시간, 전기 접점을 닫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45 is connected so that the power supply 46 which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said control circuit 45, the electrical contact opened and closed by the pressure switch 40, and the supply pump 22 form a closed circuit. At the same time, the feed pump 22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the electrical contacts opened and closed by the timers A and B, the electrical contacts opened and closed by the timers B and A,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And the electrical contacts opened and closed by the timer 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amp 48 is connected to the 1st drain valve 36 in parallel with this. In addition, the timer A and the timer B are comprised so that the time and electrical contact which wer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respectively may be closed.

이 제어 회로(45)에 의하면, 도 4를 기초로 설명하도록 하여, 공급 펌프(2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이 제어된다. 즉, 대기 상태(상태 1)로부터 코크(31)가 열리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압에 의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원수가 공급관(21) 내에 유입하고, 공급관(21)의, 타단측과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이 상승한다(상태 2). According to this control circuit 45,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1st drain valve 36 will be controlled based on FIG. That is, when the coke 31 is opened from the standby state (state 1), raw water in the water pipe (not shown) flows into the supply pipe 21 by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ly pipe 21 is opened.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short side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creases (state 2).

그리고,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가 되기까지 상승하면, 해당 압력 스위치(40)의 전기 접점이 닫히고, 원수 공급 밸브(25)가 작동하여 열린 상태로 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가 작동하고, 또한, 타이머 A가 작동한다(상태 3). 이에 따라,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되고, 역침투막(15)을 투과한 원수(투과수)가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된다. 이렇게 하여, 타이머 A에 의한 시간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은, 이 후,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압인 0.4MPa까지 상승한다(상태 4). And whe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40 rises until it becomes 0.2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aid pressure switch 40 will close,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will operate and open, and the supply pump (22) is activated, and timer A is activated (state 3). Thereby, the raw water (permeate) which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and permeate | transmit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part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under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A. In additio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40 rises to 0.4 MPa which is the water pressure in a water pipe (not shown) after this (state 4).

이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분)이 경과하고, 타이머 A가 끊기면, 타이머 B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작동하여 열린 상태로 되는 동시에, 램프(48)가 점등된다(상태 5). 이에 따라,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는, 그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고서 배수관(35)(유로(35a) 및 유로(35b)) 내를 유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타이머 B에 의한 시간 제어 하에서,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 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minutes) elapses and the timer A is cut off, the timer B is activa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operated to be opened, and the lamp 48 is turned on. (State 5). As a result, part of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35 (the flow path 35a and the flow path 35b) flow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under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B.

이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여, 타이머 B가 끊기면, 다시 타이머 A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닫히는 동시에, 램프(48)가 소등된다(상태 4). 이후, 타이머 A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상기 상태 4(막분리 처리) 및 상태 5(세정 처리)가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된다. 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elapses and the timer B stops, the timer A is operated again,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losed, and the lamp 48 is turned off (state 4). . Thereafter, the state 4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state 5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by predetermined time by the timer A and the timer B.

그리고, 코크(31)가 닫히면, 급수관(30)으로부터 투과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공급관(21)의 타단측에서 원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해당 공급관(21)의 수압이 저하하고(상태 6),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보다도 저하하면, 해당 압력 스위치(40)의 전기 접점이 열리고, 원수 공급 밸브(25)가 닫히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이 정지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상태 1). When the coke 31 is closed, permeated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raw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supply pipe 21 decreases (state 6). Whe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40 falls below 0.2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pressure switch 40 opens,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closes, an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stops. , Return to standby (state 1).

상기 전처리 기구(18)는, 제1 필터 처리부(18a)와, 이 제1 필터 처리부(18a)보다도 하류측에 설치된 제2 필터 처리부(18b)로 이루어진다. 제1 필터 처리부(18a)는, 적절히 필터에 의해, 원수 중에 포함되는, 예를 들면, 비교적 입자 직경이 큰 침전 물질이나 부유 물질 등을 분리, 제거하고, 제2 필터 처리부(18b)는, 카본 필터에 의해, 제1 필터 처리부(18a)에서 처리된 원수로부터, 예를 들면, 화학 물질이나 유기적 오염 물질의 일부, 염소 등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includes a first filter processing section 18a and a second filter processing section 18b provided downstream from the first filter processing section 18a. The 1st filter process part 18a isolate | separates and removes the precipitation material, suspended matter, etc. which have comparatively large particle diameter, for example contained in raw water with a filter suitably, and the 2nd filter process part 18b makes carbon The filter adsorbs and removes, for example, a part of chemical substances, organic contaminants, chlorine, etc. from the raw water treated by the first filter processing unit 18a.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예의 역침투 장치(1)에 의하면, 코크(31)가 열리고,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까지 상승하면, 해당 압력 스위치(40)의 전기 접점이 닫히고, 원수 공급 밸브(25)가 작동하여 열리는 동시에, 공급 펌프(22)가 작동하여 원수가 용기체(11) 내에 공급된다. 또한, 이 때, 타이머 A가 작동한다.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의 일부는, 역침투막(15)을 투과하고, 급수관(30) 내를 유통하여 해당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되는 한편, 공급된 원수의 나머지는,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고, 배수관(35)의 유로(35a) 내를 유통하여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of this example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ke 31 opens and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witch 40 rises to 0.2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aid pressure switch 40 will close,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operated to open, and the feed pump 22 is operated to feed the raw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1. At this time, timer A is activated. A part of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penetrates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flows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0,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is supplied. The remaining raw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but flows through the flow path 35a of the drain pipe 35 and is discharged.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되는 원수는, 제1 필터 처리부(18a) 및 제2 필터 처리부(18b)를 통과할 때에 분리 대상물의 일부가 분리, 제거되고, 역침투막(15)에서는, 제1 필터 처리부(18a) 및 제2 필터 처리부(18b)에서 제거되지 않은 분리 대상물이 분리,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급수관(30)으로부터는, 분리 대상물이 제거된 청정한 물이 토출된다. When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passes through the 1st filter process part 18a and the 2nd filter process part 18b, a part of separation object will be isolate | separated and removed, an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n (15), the separation object which is not removed by the 1st filter process part 18a and the 2nd filter process part 18b is isolate | separated and removed. In this way, clean water from which the object to be separated is remove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이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타이머 A가 끊기면, 타이머 B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작동하여 열린다. 이에 따라,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는, 그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고 역침투막(15)의 표면을 배수관(35)측을 향해 유동하고, 해당 배수관(35)(유로(35a) 및 유로(35b)) 내를 유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역침투막(15)의 표면을 유동하는 원수의 수류에 의해, 역침투막(15)의 표면에 퇴적된 분리 대상물이 씻겨져 제거된다. 또한, 이 때, 램프(48)가 점등하여 역침투막(15)의 세정 중인 것이 표시된다. After this,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timer A is cut off, the timer B is operated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operated to open. As a result, part of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flows toward the drain pipe 35 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flows through the drain pipe 35 (the flow path 35a and the flow path 35b). The separation object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washed away and removed by the water flow of raw water flowing out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t this time, the lamp 48 is turned on to display that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being cleaned.

이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타이머 B가 끊기면, 다시 타이머 A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닫히는 동시에, 램프(48)가 소등된다. 이렇게 하여, 타 이머 A 및 타이머 B에 의한 시간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가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해당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처리 개시부터 처리 종료까지의 시간)은,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다. After tha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timer B is cut off, the timer A is operated again,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losed, and the lamp 48 is turned off. In this way, under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A and the timer B,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are alternately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each process time (time from a process start to a process end) of the sai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is set previously by the said setting mechanism (not shown), respectively.

그리고, 코크(31)가 닫히면, 급수관(30)으로부터 투과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공급관(21)에 원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해당 공급관(21)의 수압이 저하하고,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보다도 저하하면, 해당 압력 스위치(40)의 전기 접점이 열리고, 원수 공급 밸브(25)가 닫히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이 정지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 때, 작동 중의 타이머 A 또는 타이머 B도 정지한다. When the coke 31 is closed, permeated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raw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upply pipe 21, so that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21 is lowered, and the pressure switch 40 is applied to the pressure switch 40. Whe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is lower than 0.2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pressure switch 40 is opene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is stopped to return to the standby state. At this time, timer A or timer B during operation is also stopped.

그런데, 역침투막(15)의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상기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은, 해당 역침투 장치(1)의 사용 상태나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각각 다르고, 일률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각 처리 시간을 해당 역침투 장치(1)마다 개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By the way, in order to keep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n a favorable state, each processing time of the sai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is the use state of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1, and the kind of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raw water. Since i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annot be set uniformly, it is necessary to set each said processing time individually for each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1.

그래서, 본 예의 역침투 장치(1)에서는,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어 회로(45)가,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설정된 처리 시간을 기초로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한다. Therefore, in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of this example, the setting circuit (not shown) for setting each processing time of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a washing process, respectively, is formed, and the control circuit 45 is a setting mechanism (not shown). An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based on the processing time set by the above procedure.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설정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간단하게 조정,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각 처리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거나, 역침투막(15)의 성능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ereby, the user can easily adjust and set the respective treatment times of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by a setting mechanism (not shown), and adjust the respective treatment times, thereby performing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washing treatment. It can perform efficiently, or can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lways in a favorable state.

또한, 코크(31)가 닫혀져 투과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해당 역침투 장치(1)를 효율적으로 가동시켜 쓸데없는 전력 소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ke 31 is closed and permeate is not used,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is stopped. Therefore,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can be efficiently operated to suppres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이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양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specific aspect which this invention can obtain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역침투 장치(1)에서는, 제어 회로(45)에 의해 공급 펌프(2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에 의해서 공급 펌프(2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the control circuit 4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ontrol device 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이 경우, 해당 역침투 장치(2)는, 상기 제어 회로(45)에 대신해 상기 제어 장치(50)를, 상기 압력 스위치(40)에 대신해 압력 센서(51)를 구비한다. 압력 센서(51)는, 공급관(21)의, 제2 필터 처리부(18b)와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해당 공급관(21) 내의 수압을 절대압으로 검출한다. In this case,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2 is provided with the pressure sensor 51 instead of the said control circuit 50 instead of the said control circuit 45, and the said pressure switch 40. The pressure sensor 51 is provided between the 2nd filter process part 18b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of the supply pipe 21, and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aid supply pipe 21 as absolute pressure.

상기 제어 장치(50)는, 압력 센서(51)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을 기초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공급 펌프(22) 및 원수 공급 밸브(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여,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각 처리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한다. The control device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as shown in FIG. 6 on the basis of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51.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ain valve 36,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for each processing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즉, 코크(31)가 열리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압에 의해 원수가 공급관(21) 내로 유입하고, 공급관(21)의, 타단측과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이 상승함으로써, 제어 장치(50)는, 압력 센서(5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 0.2MPa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원수 공급 밸브(25)를 작동시켜 열린 상태로 하고, 공급 펌프(22)를 작동시켜 원수를 용기체(1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한다(단계 S2). That is, when the coke 31 is opened, raw water flows into the supply pipe 21 by the water pressure in a water pipe (not shown), and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21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creases. Thereby, the control apparatus 50 checks whether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51 became 0.2 Mpa or more (step S1), and when it judges that it became 0.2 Mpa or more, it turns off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t is made into the open state, the feed pump 22 is operated to supply the raw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S2).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는, 제어 장치(50)에 의한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의 실행중(제1 배수 밸브(36)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배수관(35)의 유로(35a) 내를 유통하여 배출되는 한편, 세정 처리의 실행 중(제1 배수 밸브(36)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배수관(35)의 유로(35a) 및 유로(35b) 내를 유통하여 배출된다.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is partially reverse osmosis membrane 15 under the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50 when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being execu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lose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rest flows through the flow path 35a of the drain pipe 35 and is discharged, while the cleaning process is being execu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opened). A part penetrat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remainder is passed through the flow path 35a and the flow path 35b of the drain pipe 35 and discharged.

이 후, 압력 센서(51)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급관(21) 내의 수압이 0.2MPa보다도 저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3), 0.2MPa보다도 저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코크(31)가 닫혀졌다고 판단하고, 원수 공급 밸브(25)를 닫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켜 대기 상태로 하고(단계 S4), 상기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에서 압력 센서(5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보다도 낮 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After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21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51 is lower than 0.2 MPa (step S3),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is lower than 0.2 MPa, it is determined that the cock 31 is closed. Then,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is stopp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step S4), and the series of processing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determines with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51 in step S1 being lower than 0.2 Mpa, a process is complete | finished.

이와 같이 제어 장치(50)가 구성된 역침투 장치(2)에 의해서도,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각 처리 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코크(31)가 닫혀 있을 때에는,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역침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2 in which the control device 50 is configured can perform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lternately repeatedly for each processing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respectively. When the coke 31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can be stopped. Thu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예에서는, 상기 코크(31)를, 급수관(30)의 관로와, 공급관(21)의 전처리 기구(18)보다도 상류측의 관로를 동시에 개폐하고, 급수관(30)의 관로를 열 때에는 공급관(21)의 관로도 열리는 한편, 급수관(30)의 관로를 닫을 때에는 공급관(21)의 관로도 닫히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크(31)는, 급수관(30)의 관로만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cork 31 is opened and closed simultaneously with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pipeline upstream tha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of the supply pipe 21,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is opened. While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21 is also opened, when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is closed,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21 is also clos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7, the coke 31 is, You may be comprised so that only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30 may be opened and closed.

이 경우, 해당 역침투 장치(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관(21)의 전처리 기구(18)보다도 상류측에 제1 원수 공급 밸브(23)를, 공급관(21)의 전처리 기구(18)보다도 하류측에 제1 압력 스위치(40)를, 제1 압력 스위치(40)보다도 하류측에 제2 원수 공급 밸브(25)를, 급수관(30)의 역지 밸브(32)보다도 하류측에 제2 압력 스위치(41)를, 급수관(30)의 제2 압력 스위치(41)보다도 하류측에 유량계(33)를, 급수관(30)의 유량계(33)보다도 하류측에 코크(31)를, 상기 제어 회로(45)에 대신해 제어 회로(5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역침투 장치(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3 supplies the first raw water supply valve 23 upstream from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of the supply pipe 21 and the supply pipe 21.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downstream of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and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downstream of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the check valve 32 of the water supply pipe 30.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meter 33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cok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meter 33 of the water supply pipe 30 The control circuit 55 is provided in place of the control circuit 45. In addition, about the component same as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유량계(33)는, 급수관(30) 내를 유통하는 투과수의 유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1 압력 스위치(40)는, 공급관(21) 내(공급관(21) 내의, 전처리 기구(18)와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수압이 절대압으로 0.2MPa 이상일 때에 전기 접점을 닫는다. 상기 제2 압력 스위치(41)는, 급수관(30) 내의 수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수압이 절대압으로 0.4MPa 이상일 때에 전기 접점을 연다. The flowmeter 33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perme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0.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21 (between the pretreatment mechanism 18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25 in the supply pipe 21), and the detected water pressure is 0.2 at the absolute pressure. The electrical contact is closed when it is over MPa.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opens the electrical contact whe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is 0.4 MPa or more in absolute pressure.

또한, 제2 압력 스위치(41)가 전기 접점을 개폐하는 기준 압력(0.4MPa)은, 공급 펌프(22)를 정지시킬 때의 급수관(30) 내의 수압으로서, 코크(31)가 열려 있을 때의 급수관(30) 내의 수압(절대압으로 약 0MPa)보다도 높은 수압이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pressure (0.4 MPa) at which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opens and closes the electrical contact is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at the time of stopping the supply pump 22, and when the coke 31 is open. It is a water pressure higher tha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about 0 MPa in absolute pressure).

상기 제어 회로(55)는,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설정된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하는 동시에, 코크(31)가 열리면 공급 펌프(22)를 작동시키고, 코크(31)가 닫히면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control circuit 55 repeatedly performs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lternately for each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and when the coke 31 is opened, the supply pump 22 is operated. It operates and stops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when the coke 31 is closed.

또한, 제어 회로(55)는, 전원(46)과, 제1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제2 압력 스위치(41)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공급 펌프(22)가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접속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에, 제2 원수 공급 밸브(25)와, 타이머 A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타이머 B 및 타이머 A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과, 제1 배수 밸브(36)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개폐되는 전기 접점이 각각 병렬로 접속된 구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55 includes a power supply 46, an electrical contact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an electrical contact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and a supply pump 22. Is connected to form a closed circuit, the electrical contac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the timer A and the timer B, and the electrical contac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timer B and the timer A to the supply pump 22. And the electrical contact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drain valve 36 and the timer B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이 제어 회로(55)에 의하면, 도 9를 기초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공급 펌프(22), 제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이 제어된다. 즉, 공급관(21)의 타단측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후(초기 상태), 제1 원수 공급 밸브(23)가 열리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압에 의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원수가 공급관(21) 내에 유입하고, 공급관(21)의, 타단측과 제2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이 상승한다(상태 1). According to this control circuit 55,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1st drain valve 36 is controlled as demonstrated based on FIG. That is, after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initial state), when the first raw water supply valve 23 is opened, the water pipe (not shown) by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not shown) The raw water in the inside) flows into the supply pipe 21, and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and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rises (state 1).

그리고, 제1 압력 스위치(40)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가 될 때까지 상승하면, 해당 제1 압력 스위치(40)의 전기 접점이 닫히고, 제2 원수 공급 밸브(25)가 작동하여 열린 상태로 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가 작동하여 원수가 용기체(11) 내에 공급되고,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상태 2). 이 후, 제2 압력 스위치(4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4MPa가 될 때까지 상승하면, 해당 제2 압력 스위치(41)의 전기 접점이 열리고, 제2 원수 공급 밸브(25)가 닫히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이 정지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상태 3). Then, whe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rises to 0.2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is closed, and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operated to open. At the same time, the feed pump 22 is operated to feed the raw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rises (state 2). After that, whe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rises to 0.4 MPa,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opens, and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closes.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is stopped and the standby state is reached (state 3).

그리고, 코크(31)가 열리면,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약 0MPa까지 저하하고, 이것이 제2 압력 스위치(41)에 의해 검출되어 해당 제2 압력 스위치(41)의 전기 접점이 닫힌다. 이에 따라, 제2 원수 공급 밸브(25)가 작동하여 열린 상태로 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가 작동하고, 또한, 타이머 A가 작동한다(상태 4). 이에 따라,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되고, 역침투막(15)을 투과한 원수(투과수)가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된다. 이렇게 하여, 타이머 A에 의한 시간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가 행해진다. When the coke 31 is opene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drops to about 0 MPa, which is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and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is closed. As a result,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operated to be in an open state, the supply pump 22 is operated, and the timer A is also operated (state 4). Thereby, the raw water (permeate) which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and permeate | transmit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part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under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A.

이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타이머 A가 끊기면, 타이머 B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작동하여 열린 상태로 되는 동시에, 램프(48)가 점등한다(상태 5). 이에 따라, 공급 펌프(22)에 의해서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는, 그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의 타단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지 않고서 배수관(35)(유로(35a) 및 유로(35b)) 내를 유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머 B에 의한 시간 제어 하에서, 세정 처리가 행해진다. Thereafte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timer A is cut off, the timer B is activa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operated to be opened, and the lamp 48 is turned on (state 5). As a result, part of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by the supply pump 22 pass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pening (not shown) of the water supply pipe 30. It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35 (flow path 35a and flow path 35b), and does not penetrate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 emitted. In this way,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under the time control by the timer B. FIG.

이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타이머 B가 끊기면, 다시 타이머 A가 작동하고, 제1 배수 밸브(36)가 닫히는 동시에, 램프(48)가 소등된다(상태 4). 이후, 타이머 A 및 타이머 B에 의해서 상기 상태 4(막분리 처리) 및 상태 5(세정 처리)가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된다. After tha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timer B is cut off, the timer A is operated again,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losed, and the lamp 48 is turned off (state 4). Thereafter, the state 4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state 5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by predetermined time by the timer A and the timer B.

그리고, 코크(31)가 닫히면, 급수관(30)으로부터 투과수가 토출되지 않게 되어 해당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상승하고(상태 6), 제2 압력 스위치(4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4MPa로 될 때까지 상승하면, 해당 제2 압력 스위치(41)의 전기 접점이 열리고, 제2 원수 공급 밸브(25)가 닫히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이 정지하여, 대기 상태로 된다(상태 7). When the coke 31 is closed, permeated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so that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increases (state 6), and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is 0.4 MPa. When it rises up to,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said 2nd pressure switch 41 opens,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will be closed,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feed pump 22 will stop and it will be in a standby state (state 7).

이후는, 코크(31)가 열리면, 상기 상태 4로 되고, 코크(31)가 닫히면, 상기 상태 6을 거쳐 상기 상태 7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Thereafter, when the coke 31 is opened, the state 4 is obtained. When the coke 31 is closed, the state returns to the standby state of the state 7 via the state 6.

이와 같이 구성된 역침투 장치(3)에 의해서도,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각 처리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코크(31)가 닫혀 있을 때에는,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역침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perform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lternately repeatedly for each processing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and the coke 31 When it is closed, sinc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can be stopped, the same effect as the said reverse osmosis apparatus 1 can be acquired.

또한, 상기 역침투 장치(3)에서는, 제어 회로(55)에 의해 공급 펌프(22), 제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60)에 의해서 공급 펌프(22), 제2 원수 공급 밸브(25) 및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reverse osmosis device 3, the control circuit 55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10, the control device 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22,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and the first drain valve 36. .

이 경우, 해당 역침투 장치(4)는, 상기 제어 회로(55)에 대신해 상기 제어 장치(60)를, 상기 제1 압력 스위치(40) 및 제2 압력 스위치(41)에 대신해 제1 압력 센서(61) 및 제2 압력 센서(62)를 구비한다. 제1 압력 센서(61)는, 공급관(21)의, 제2 필터 처리부(18b)와 제2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해당 공급관(21) 내의 수압을 절대압으로 검출하고, 제2 압력 센서(62)는, 급수관(30)의, 역지 밸브(32)와 유량계(3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해당 급수관(30) 내의 수압을 절대압으로 검출한다. In this case, the reverse osmosis device 4 replaces the control device 60 in place of the control circuit 55 and replaces the first pressure switch 40 and the second pressure switch 41 with a first pressure sensor. 6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2 are provided. The 1st pressure sensor 61 is installed between the 2nd filter process part 18b and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of the supply pipe 21,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aid supply pipe 21 as absolute pressure, and 2 pressure sensor 62 is provided between the check valve 32 and the flowmeter 33 of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detects the water pressure in the said water supply pipe 30 as absolute pressure.

상기 제어 장치(60)는, 제1 압력 센서(61) 및 제2 압력 센서(62)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을 기초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펌프(22) 및 원수 공급 밸브(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 배수 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고,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각 처리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한다.The control device 60, based on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6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62, as shown in FIG. 11, the supply pump 22 and the raw water supply valve (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ontrolled, an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for each treatment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respectively. Run

즉, 공급관(21)의 타단측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후, 제1 원수 공급 밸브(23)가 열리면, 수도관(도시하지 않음) 내의 수압에 의해 원수가 공급관 (21) 내에 유입되고, 공급관(21)의, 타단측과 제2 원수 공급 밸브(25)와의 사이의 수압이 상승하므로, 제어 장치(60)는, 제1 압력 센서(6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1), 0.2MPa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제2 원수 공급 밸브(25)를 작동시켜 열린 상태로 하는 동시에, 공급 펌프(22)를 작동시켜 원수를 용기체(11) 내에 공급한다(단계 S12). That is, after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when the first raw water supply valve 23 is opened, raw water flows into the supply pipe 21 by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not shown). Since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21 and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rises, the control apparatus 60 detects that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1st pressure sensor 61 is 0.2 Mpa or more.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Step S11),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0.2 MPa or more,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operated to be opened, and the supply pump 22 is operated to feed the raw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 11) (step S12).

용기체(11) 내에 원수를 공급하면,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상승하므로, 제2 압력 센서(62)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4MPa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3), 0.4MPa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제2 원수 공급 밸브(25)를 닫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켜 대기 상태로 한다(단계 S14). When the raw water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since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rises,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62 is 0.4 MPa or more (step S13), and 0.4 MPa. When it determines with abnormality,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closed, operation | movement of the supply pump 22 is stopped, and it is set to a standby state (step S14).

이 후, 제2 압력 센서(52)에 의해서 검출되는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0.4MPa보다도 저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즉, 코크(31)가 열리고,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약 0MPa까지 저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5), 0.4MPa보다도 저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2 원수 공급 밸브(25)를 작동시켜 열린 상태로 하고, 공급 펌프(22)를 작동시켜 원수를 용기체(1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소정 시간씩 교대로 반복한다(단계 S16). 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52 is lower than 0.4 MPa, that is, the coke 31 is opened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is about 0 MPa.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lowered (step S15) and it is judged that it is lower than 0.4 MPa, the seco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operated to be opened, and the feed pump 22 is operated to feed the raw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1. ), An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S16).

용기체(11) 내에 공급된 원수는, 제어 장치(60)에 의한 제어 하에서, 막분리 처리의 실행중(제1 배수 밸브(36)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배수관(35)의 유로(35a) 내를 유통하여 배출되는 한편, 세정 처리의 실행 중(제1 배수 밸브(36)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일부가 역침투막(15)을 투과하여 급수관(30)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수 관(35)의 유로(35a) 및 유로(35b) 내를 유통하여 배출된다. The raw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body 11 is part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60 when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s being execu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close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rest flows through the flow path 35a of the drain pipe 35 and is discharged, while the cleaning process is being executed (the first drain valve 36 is opened). A part penetrate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15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and the remainder flows through the flow path 35a and the flow path 35b of the water pipe 35, and is discharged.

이 후, 제2 압력 센서(62)에 의해서 검출되는 급수관(30) 내의 수압이 0.4MPa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17), 0.4MPa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코크(31)가 닫혀졌다고 판단하고, 제2 원수 공급 밸브(25)를 닫는 동시에,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켜 대기 상태로 한다(단계 S18). After that,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30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62 has been 0.4 MPa or more (step S17),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has been 0.4 MPa or more, the cock 31 is closed. It judges that it was set,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is closed, operation | movement of the supply pump 22 is stopped, and it is set to a standby state (step S18).

그리고, 이후는, 단계 S15∼단계 S18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단계 S1에서, 제1 압력 센서(61)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압이 0.2MPa보다도 낮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Then, after that, the process of step S15-step S18 is repeated and performed. In addition, when it determines with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1st pressure sensor 61 being lower than 0.2 MPa in step S1, a process is complete | finished.

이와 같이 제어 장치(60)가 구성된 역침투 장치(4)에 의해서도, 막분리 처리와 세정 처리를, 상기 설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각각 설정된 각 처리 시간씩 교대로 반복해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코크(31)가 닫혀 있을 때에는, 공급 펌프(22)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역침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4 in which the control device 60 is configured can also repeatedly perform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lternately for each processing time set by the setting mechanism (not shown). When the coke 31 is closed,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22 can be stopped. Thu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1 can be obtained.

또한, 도 7에 도시한 역침투 장치(3)나 도 10에 도시한 역침투 장치(4)에 있어서, 투과수를 버퍼 탱크에 일시 저류하는 경우 등 급수의 ON, OFF 제어를 대략 행하면 충분한 경우에는, 제1 원수 공급 밸브(23)만에서 이를 행하면 되고, 코크(31)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In the reverse osmosis device 3 shown in FIG. 7 and the reverse osmosis device 4 shown in FIG. 10, it is sufficient if the water supply ON or OFF is roughly controlled, such as when the permeate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tank. It is only necessary to do this in the first raw water supply valve 23,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cock 31 in particular.

또한, 상기 예에서는, 공급 펌프(22) 및 (제2) 원수 공급 밸브(25)의 제어 상태를 바꾸기 위한 수압을, 0.2MPa 및 0.4MPa를 기준으로 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수압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막분리 처리의 처리 시간을 3분으로, 세정 처리의 처리 시간을 10초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각 처리 시간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수는 수도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water pressure for changing the control state of the supply pump 22 and the (2nd) raw water supply valve 25 was based on 0.2 MPa and 0.4 MPa, it is not limited to this, This water pressure is suitably Can be set. In addition,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processing time of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was set to 3 minutes,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e washing process was set to 10 second, it is not limited to this, Each of these process time can be set suitably. In addition, raw water is not limited to tap wat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역침투 장치에 의하면,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했으므로, 해당 설정 수단에 의해서, 사용자는,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의 각 처리 시간을 각각 간단하게 조정,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각 처리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막분리 처리 및 세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거나, 역침투막의 성능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ince the setting means for setting each processing time of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a washing process was provided and comprised, according to the said setting means, a user use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Each treatment time of the cleaning treatment can be easily adjusted and set, and by adjusting the treatment time, the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and the cleaning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or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good state. .

Claims (3)

원수 중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물을 분리, 제거하는 역침투 장치로서, A reverse osmosis devic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a separation object contained in raw water, 역침투막을 구비하고, 상기 역침투막에 의해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 분리 수단과, 상기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막 분리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막 분리 수단에 접속하고, 상기 역침투막을 투과한 원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막 분리 수단에 접속하고, 상기 역침투막을 투과하지 않은 원수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 밸브와, 상기 배수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A reverse osmosis membrane,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separation object from the raw water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a supply means for pressurizing the raw water to supply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to discharge raw water that has not permeated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to the outside, a drain valve provided i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valve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수 밸브를 닫힌 상태로 하여, 상기 막 분리수단에 공급된 원수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막 분리 처리와, 상기 배수 밸브를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막 분리 수단에 공급된 원수에 의해 상기 역침투막을 세정하는 세정 처리를, 각각 미리 설정된 시간씩 교대로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 역침투 장치에 있어서,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for separating the object to be separated from raw water suppli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with the drain valve closed, and the drain valve open to supply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 reverse osmosis device configured to repeatedly perform a washing process for washing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raw water, alternately each preset time, 상기 막 분리 처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상기 세정 처리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and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cleaning process, respective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을 행하는 상기 막 분리 처리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을 행하는 상기 세정 처리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 장치. And said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repeat sai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f carrying out the time set by said setting means and said washing process of carrying out the time set by said setting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급 수단은, 일단측이 상기 막 분리 수단에 접속하고,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타단측에서 공급된 원수를 가압하여 상기 막 분리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펌프로 이루어지고, The supply means is provided between a supply pipe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from the other end,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and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It consists of a feed pump to pressurize and supply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상기 역침투 장치는, 상기 급수관의 관로와, 상기 공급관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관로를 동시에 개폐하는 동시에, 상기 급수관의 관로를 열었을 시에는 상기 공급관의 관로도 열리고, 상기 급수관의 관로를 닫았을 시에는 상기 공급관의 관로도 닫히는 급수 밸브와,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수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The reverse osmosis apparatus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pipeline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ly pipe and the supply pump, and when the pipelin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opened, the pipeline of the supply pipe also opens. And a supply means for detecting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and the supply pump in the supply pipe, when the supply pipe is closed.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과, 상기 공급 펌프를 작동시킬 때의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수압으로서 미리 설정되고, 상기 급수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공급관 내의, 타단측과 상기 공급 펌프와의 사이의 수압보다도 낮은 기준치에 의거해 상기 공급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까지 올라가면, 상기 공급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막 분리 수단에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보다도 내려가면, 상기 공급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 장치. The control means is set in advance as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side and the supply pump in the supply pipe when operating the supply pump, and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based on a reference value lower than the water pressure between the other end side and the supply pump in the supply pipe of the supply pipe, and whe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pump is operated to operate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wate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eed pump when the detected water pressure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관 내의 수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And a means for detecting a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and a water supply valv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수압과, 상기 공급 수단을 정지시킬 때의 상기 급수관 내의 수압으로서 미리 설정되고, 상기 급수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급수관 내의 수압보다도 높은 기준치에 의거해 상기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보다 내려가면, 상기 공급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막 분리 수단에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 수압이 상기 기준치까지 올라가면, 상기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침투 장치. The control means is set in advance as the water pressure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supply means is stopped, and based on a reference value higher tha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 When the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is controlled and the detection water pressure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means is operated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membrane separation means, and when the detection water pressure rises to the reference value, A reverse osm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top operation.
KR1020070018955A 2006-03-27 2007-02-26 Reverse osmosis apparatus KR200700967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5183 2006-03-27
JP2006085183A JP2007260483A (en) 2006-03-27 2006-03-27 Reverse osmosis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99A true KR20070096799A (en) 2007-10-02

Family

ID=3863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955A KR20070096799A (en) 2006-03-27 2007-02-26 Reverse osmosis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260483A (en)
KR (1) KR20070096799A (en)
CN (1) CN10104556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7928B (en) * 2015-01-07 2017-05-10 成都邦研科技有限公司 Water pressure detection device of water production device for hemodialysis
CN105417758A (en) * 2015-12-23 2016-03-23 江苏安荣电气设备有限公司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out reverse osmosis of waste water
CN109399823A (en) * 2016-05-31 2019-03-01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Water purifier
CN107913602B (en) * 2016-10-11 2020-09-11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flushing time of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CN106881024A (en) * 2017-04-19 2017-06-23 大连朗旭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verse osmosis membrane medicine washes system
CN108751485A (en) * 2018-07-27 2018-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ter treatment system and purifying drinking appliance
JP7200606B2 (en) 2018-11-06 2023-01-10 三浦工業株式会社 Membrane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5569A (en) 2007-10-03
JP2007260483A (en)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5632A1 (en)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20070096799A (en) Reverse osmosis apparatus
JP4471240B2 (en) Improved water treatment system
KR101804485B1 (en) water purifing system having cleaning device within RO filter
JP2000189962A (en) Fresh water maker and production of fresh water
RU2410336C2 (en) Apparatus for purifying liquid, method of washing hollow-fibre filter and application of method of washing hollow-fibre filter
KR20150100667A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and back-washing method for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EP3423418A1 (en)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EP2371445B1 (en) Reverse osmosis plant for the treatment of water
JP2000189964A (en) Fresh water maker and production of fresh water
KR101575049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a cleaning methoed for reverse osmosis filter of the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1620794B1 (en) The water purifying device
KR20070096798A (en) Reverse osmosis apparatus
CN113905990A (en)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system and membrane cleaning device
RU2011102475A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DRINKING WATER
KR101642393B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train-specific osmotic backwash system and method
JP2014050810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JP7134458B2 (en) water softener
KR200277037Y1 (en) Reverse osmosis type water treatment system for cold or hot water
JPH10192850A (en) Washing device of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KR950005419B1 (en) Water clarifier and comtrol circuit
KR101586319B1 (en) Water purifier having flus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221870B2 (en) Water heater
JP74745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humic substances
CN110697924B (en) Intelligent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intelligent water pur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