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965A -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965A
KR20070095965A KR1020077016809A KR20077016809A KR20070095965A KR 20070095965 A KR20070095965 A KR 20070095965A KR 1020077016809 A KR1020077016809 A KR 1020077016809A KR 20077016809 A KR20077016809 A KR 20077016809A KR 20070095965 A KR20070095965 A KR 2007009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communication
parent
iii
polling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493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지. 웨어
랜디 엘. 에클
콜린 디. 프랭크
아파르나 팬디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 무선 백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서비스될 칠드런을 구체화하는 폴링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폴링 리스트에 있는 차일드에게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차일드로부터 예외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예외 통신에 응답하여 상기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 무선 백, 폴링 리스트, 예외 통신

Description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METHODS OF WIRELESS BACKHAUL IN A MULTI-TIER WLA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의 무선 백홀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WLAN)에서, 무선 백홀은 커버리지 액세스 포인트(CAP)의 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선" AP라 불리우는 고정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에 직접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AP)로 통신을 행하는데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들(APs)로 이루어진다. WLAN에서, 통상적으로 클라이언트들은 통신로의 종점이고, AP는 통상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클라이언트로의 통신로를 확립하거나 유지하는 매개물이다. 소정 영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유선 AP의 수를 줄이기 위해, CAP와 유선 AP 사이에는 매개 AP의 레이어가 배치된다. 이 매개 AP의 레이어와, 관련 CAP 및 유선 AP는 모두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무선 백홀"이라 통칭한다. 무선 백홀에서의 통신은 공유 RF 주파수인 통신 채널 상에서 발생하는데, 이 통신 채널에서는 통신 채널을 활용하는 AP들이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시간을 공유하여야 한다.
매개 AP인지, 커버리지 AP인지 또는 유선 AP인지와 무관하게, 각 AP는 2 방 향으로 통신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제1 방향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무선 백홀을 통해 유선 AP로 향하는 것으로 "업스트림"이라 한다. 제2 방향은 유선 AP로부터 무선 백홀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향하는 것으로 "다운스트림"이라 한다. 통신 채널이 공유되기 때문에, 각 AP는, 업스트림 방향 및 다운스트림 방향 모두에 대해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유효하게 유지하고, 통신 채널에 대한 다른 AP의 액세스를 간섭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신의 액세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의 무선 백홀의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상적인 근거리 정보 통신망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페어런트로서 기능하는 AP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일드로서 기능하는 AP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비율이 맞는 것은 아니 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요소들의 치수는 다른 것에 비해 과장된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 도면들 중에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참조 부호는 반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다층적 근거리 정보 통신망(WLAN; 100)이다. 본 발명은 다층적 WLAN으로 파악되고/파악되거나 다층적 WLAN으로 구현된다. WLAN이 다층적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가 다수의 타이어 및/또는 클라이언트가 다수의 타이어인 것처럼, 다수 타이어의 노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술하는 것으로, 노드라는 용어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고 클라이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의미한다. 다층적 WLAN 통신 계층구조의 AP측에서, 단일 AP(112)는 제2 타이어(110, 114, 125, 126)와 통신한다. 실시예에서, 타이어 1 AP(112)는 마스터 백홀 유닛(MBU)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유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로의 통신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이어 AP(110, 114, 125, 126)는 커버리지 AP들과 통신하는 것으로 매개 백홀 유닛(IBU)이라 불리운다. 도 1에는 2 타이어의 AP만이 도시되지만, 이 보다 많은 타이어의 APRK 존재하여도 되고 이러한 사실은 도 1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다층적 WLAN은 타이어 1, 타이어 2, 타이어 3 및 타이어 4 AP를 포함하여도 된다. 어느 경우든, 커버리지 AP는 다층적 WLAN의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여기서 클라이언트 역시 타이어 처리된다(tiered).
커버리지 AP와 예를 들어 타이어 1 AP 또는 타이어 2 AP 등 타이어 처리된 AP 사이의 차이점은, 커버리지 AP는 다층적 WLAN의 클라이언트와 인터페이스하고, 타이어 처리된 AP는 다층적 WLAN에서의 클라이언트들간 통신의 매개라는 점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타이어 처리된 AP가 제공하는 기능이 커버리지 APDP 통합될 수 있고, 이와 반대일 수도 있으며, 타이어드 AP 또는 커버리지 AP인 하나의 AP가 양자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적 WLAN에서의 각 AP는, AP가 클라이언트에게 폴 메시지를 송신하고 클라이언트가 이에 응답하는 IEEE 801.11 PCF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층적 WLAN에서의 각 AP는 AP가 서비스 확장의 품질을 달성하는 IEEE 802.11E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경합 기반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각 AP에 통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AP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폴링 리스트를 갖는다. 폴링 리스트는 해당 통신을 위한 MAC 어드레스 및 채널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폴링 리스트는 또한 신호 강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도 된다. 폴링 리스트를 이식하는 프로세스는, 비콘 전송("비콘들"이라고도 함), 클라이언트에 의한 명시적 요청, 거리 벡터 라우팅 및 기타 이와 유사한 프로토콜들 등의 다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되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다층적 WLAN 통신 계층구조의 클라이언트측에서, 클라이언트(138)는 유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액세스 또는 무선 다층적 WLAN 통신 계층구조의 나머지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 커버리지 AP와 직접 통신한다. 도 1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138)만이 도시되었지만, 이보다 많은 클라이언트 및/또는 클 라이언트의 타이어가 존재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다층적 WLAN의 클라이언트들은 다층적 WLAN의 커버리지 AP들과 통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관련되는 커버리지 AP는 서빙 커버리지 AP라 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클라이언트는 컴퓨터, PDA, 고정형 디바이스, 차량 장착 디바이스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 등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기에 적합한 타임의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정 클라이언트는 필요하다면 고정 통신 인프라구조에 접속되어도 된다.
다층적 WLAN에서의 통신은 2 방향, 즉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발생한다. 업스트림 통신은 하나의 AP와 이 AP에 인접하는 AP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이 인접 AP는 다층적 WLAN에서 MBU에 보다 가까운 것이다. 예를 들어, 업스트림 통신은 CAP가 IBU에 통신을 송신할 때 발생한다. 다운스트림 통신은 하나의 AP와 이 AP에 인접하는 AP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이 인접 AP는 다층적 WLAN에서 클라이언트에 보다 가까운 것이다. 예를 들어, 다운스트림 통신은 IBU가 CAP에 통신을 송신할 때 발생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단일 AP에서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통신 양자 모두가 단일 RF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AP 1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통신 양자 모두에 대해 4.9475㎓의 주파수를 갖는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한편, AP 4는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통신 양자 모두에 대해 4.9725㎓의 주파수를 갖는 통신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AP는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통신을 송신 및/또는 업스트림 방향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할 때 "페어런트"로서 기능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AP는 업스트림 방향 으로 통신을 송신 및/또는 다운스트림 방향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할 때 "차일드"로서 기능한다. 무선 백홀에서의 각 AP는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양방향으로 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백홀에서의 각 AP는 페어런트 및 차일드 양자 모두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각 AP가 페어런트 또는 차일드로서 막연히 기능할 수는 없으므로, AP는 페어런트로서 기능하며 소비하는 시간과 차일드로서 기능하며 소비하는 시간을 구분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AP가 페어런트로서 소비하는 시간 및 AP가 차일드로서 소비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되고 타이머에 의해 트리거된다. 예를 들어, AP는 차일드로서 25㎳를 소비하고 나서 페어런트로서 25㎳를 소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페어런트로서 기능하는 AP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페어런트로서 기능하는 프로세스(블럭 204)는 AP가 비콘을 전송할 때(블럭 202) 개시된다. 페어런트로서의 기능은 칠드런으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 칠드런에게 다운스트림 통신을 전송하는 것, 업스트림 통신을 위해 칠드런을 폴링하는 것, 칠드런을 액티브 서비스로부터 일시중지시키는 것,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블럭 204). 페어런트 기능에 진입하면, AP는 자신이 현재 서비스하는 모든 칠드런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AP는 차일드로부터의 페어런트 요청 또는 특정 판정을 행하거나 로컬 타이머에 응답하기 위한 차일드로부터의 통신을 포함하는 예외 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블럭 206, 208, 210, 212). 예외 처리는 이러한 예외 통신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요청 중 첫째로 만일 차일드가 네트워크 액티비티를 수행하기 위해 AP가 액티브 서비스로부 터 일시중지될 것을 요구하는 경우(블럭 206), AP는 차일드와 직접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시중지 시그널링 처리(블럭 214)를 수행한다. 차일드에 대한 이러한 네트워크 액티비티는 AP가 CAP로서 동작하게 하는 것, 또는 AP가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칠드런을 서비스하는 페어런트 디바이스로 동작하게 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RF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강요되는 조용한 기간, 또는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직접 통신 기간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중 두번째는 만일 차일드가 페어런트와 통신하는데 소비하는 시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 페어런트가 차일드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추가적인 시간이 무시되는 타이밍 요청 처리(블럭 216)를 수행한다. 이러한 타이머 이벤트는 AP가 차일드를 액티브 서비스 리스트로 리턴할 때(블럭 210) 발생하며, 이 때 AP는 차일드를 액티브 서비스로 리턴하고, 이에 따라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블럭 218). 후속하여 차일드는 페어런트에 의해 서비스되고 폴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일드가 업스트림 통신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페어런트는 또한 차일드로의 다운스트림 통신 송신을 재개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액티브하게 차일드를 서비스하는 것으로, 페어런트의 주요 기능(블럭 204)이다. 이러한 타이머 이벤트 중 2번째로서 페어런트로서 동작하는 것을 종료할 시간을 AP에게 알려주는 이벤트가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발생한다(블럭 212). 이러한 타이머 이벤트 중 3번째로서 새로운 비콘 메시지를 송신할 시간을 페어런트에게 알려주는 이벤트가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발생한다(블럭 212). 이 경우, 페어런트는 세로운 비콘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블럭 202). 이들 판정 또는 요청(블럭 206, 208, 210) 중 임의의 것이 트리거되면, AP는 해당 판정에 관련된 처 리를 수행하고(예를 들어, 블럭 214, 216, 218 등), 페어런트로서 동작하는 것을 중지할 시간(블럭 220)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한다. 그렇다면, 페어런트 기능은 중지되고(블럭 222); 그렇지 않다면, APSMS 페어런트로서의 동작으로 복귀하여(블럭 204), 액티브 칠드런에게 다운스트림 통신을 전송함으로써 칠드런을 액티브하게 서비스하고, 액티브 칠드런에게 폴 메시지를 전송하여 각 차일드게 업스트림 통신을 전송하게 한다. 어느 경우든, 새로운 비콘을 송신할 시간인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타이머가 체크된다(블럭 224).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AP는 새로운 비콘을 전송하여(202) 페어런트 액티비티를 재개하고; 그렇지 않다면, 페어런트 기능은 중지 상태를 유지한다(블럭 226, 222). 중지된 동안(블럭 222), 페어런트는 또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페어런트가 액티비티를 재개할 것이 요구되는 때를 판정하기 위해 또 다른 타이머를 모니터할 것이다(블럭 236).
도 3을 참조하면, 차일드로서 기능하는 AP가 수행하는 기능의 흐름도이다. 차일드로서의 기능 프로세스(블럭 304)는 페어런트가 송신한 비콘을 수신하는 것(블럭 302)에 의해 트리거된다. 차일드로서의 기능 프로세스는, 페어런트에 업스트림 통신을 전송하는 것, 페어런트로부터 다운스트림 통신을 수신하는 것, 페어런트와의 추가 서비스 시간을 요청하는 것, 일시중지되는 기간 동안 폴링 리스트로부터 일시중지을 요청하는 것, 및 차일드로서 소비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블럭 304). 차일드 기능에 진입하면, AP는 예외 처리가 발생될 필요가 있을 때 페어런트로서의 동작으로 리턴하여야 할 것이다. 예외 처리는 특정 판정(블럭 306), 특정 판정의 페어런트와의 시그널링(블럭 308), 또는 특정 내부 타이머 이벤 트에 대한 응답(블럭 310)의 처리를 말한다. 이러한 판정 중 첫째로 AP가 네트워크 액티비티를 수행할 것을 네트워크 스케쥴러가 요청하는 경우(블럭 306), AP는 일시중지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한다(블럭 312). 이러한 판정 중 두번째로 AP가 차일드로서 소비하는 시간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블럭 308), AP는 타이밍 요청 처리를 수행한다(블럭 314). 이러한 판정 중 세번째는 VPDJFJSXM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할 시간을 AP에게 알려주는 타이머가 만료할 때 발생한다(블럭 310). 이들 판정 또는 타이머 중 어느 것도 트리거되지 않는 경우, (블럭 306, 308, 310), AP는 AP가 여전히 차일드로서 동작할 것이 요구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타이머를 체크한다(블럭 316). 이 타이머가 트리거되면, AP는 차일드로서 동작하는 것을 종료하고 차일드 기능을 중지한다(블럭 318). 중지된 동안(블럭 318), AP는 장래 차일드 액션이 필요한 때를 판정하기 위해 특정 타이머를 모니터할 것이다(블럭 320, 322). 이러한 타이머 중 하나는(블럭 320) 페어런트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AP가 차일드 기능을 실핼할 것이 요구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 타이머가 만료할 때, AP는 페어런트 AP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고(블럭 320) 차일드 기능을 재개한다(블럭 304). 이러한 타이머 중 두번째(블럭 322)는 페어런트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AP가 차일드 기능을 재개할 것이 요구되는 때를 나타낸다. 이 타이머가 만료할 때, AP는 페어런트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직접 차일드 기능을 재개한다(블럭 304).
지금까지 페어런트로서 및 차일드로서 동작하는 AP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였으며, 도 4에는 도 1의 AP들간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의 일 예이다. 각 AP가 페어런트 기능으로서 및 차일드 기능으로서 동작하는 기간이 도시된다. 타이어 1 AP(400)는 비콘 메시지 전송(402)을 포함하여 도시된 전체 기간(404) 동안 페어런트 기능을 실행한다. 타이어 2 AP들 각각(406)은 페어런트 및 차일드 기능간 시간을 분할하여 사용한다. 타이어 2 AP(406)는 액티브 타이어 3 AP(414)에 비콘 메시지(408)을 전송하는 것을 비롯하여 페어런트 기능(410)을 실행하도록 선택된 기간을 제외하고는 차일드 기능(412)을 실행한다. 타이어 3 AP들 각각(414)은 타이어 2 AP들(406) 페어런트 기능(410)과 동일한 시간에 차일드 기능(420)을 실행한다. 그리고, 타이어 3 AP들(414)은 자신에게 사용가능한 나머지 시간 동안(418) 페어런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은 AP가 전송하는 패킷으로서 타이밍 동기화, 트래픽 큐 및 예를 들어 AP인 송신자의 수용량 등 다층적 WLAN에 관한 정보를 갖는 패킷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및 IEEE 802.11에 공지된 바와 같이, AP가 전송하는 비콘은 매 비콘 간격마다 한번씩 전송되는데, 비콘 간격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300, 301 등 타이어 1 AP가 전송하는 연속적인 비콘들 사이의 시간으로 정의된다. 단일 AP가 전송하는 비콘은 고정 주파수를 갖지만, 이와는 서로 다른 AP가 비콘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주파수와는 같을 수도 있고 같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타이어 1 AP(112)는 비콘들을 일 레이트로 전송하고, 타이어 2 AP(110)는 이와는 서로 다른 레이트로 비콘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2 AP(114)가 전송하는 비콘들을 또 다른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차일드로서 동작하는 AP는 자신의 페어런트에게 통신을 송신함으로써 자신으 페어런트로부터의 서브시 일시중지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신은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표준 IEEE 802.11 패킷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정보 엘리먼트는 a) 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등의 차일드의 ID(identification), b) 예를 들어 차일드를 폴링 리스트에 배치하는 것, 폴링 리스트에서 차일드를 삭제하는 것 및 추가 서비스 시간을 요청하는 것 등의 수행될 액션, 및 C) 이러한 액션의 기간 등의 필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페어런트는 차일드에게 통신을 송신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응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신은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표준 IEEE 802.11 패킷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정보 엘리먼트는 a) 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등의 페어런트의 ID(identification), b) 차일드의 요청을 수용하는 것, 차일드의 요청을 조건부로 수영하는 것, 차일드의 요청을 거절하는 것 등의 수행될 액션, 및 c) 이러한 액션의 기간 등의 필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추가적인 이점들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광범위한 면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상세들, 대표적인 장치들 및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가입자 유닛 및/또는 베이스 라디오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로드될 때, 이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이하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이 저장된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는 지금까지의 설명의 관점에서 다양한 개조, 변 형 및 변경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 따르는 이러한 개조, 변형 및 변경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나의"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는 점을 주목하자. 본 명세서에 사용된 "복수"라는 용어는 2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다른"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2차적인 것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즉, 광범위한 언어)으로서 정의된다.

Claims (10)

  1.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 무선 백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은 칠드런으로서 및 페어런트로서 기능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차일드는 업스트림 방향으로 통신을 송신하고 다운스트림 방향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하며;
    페어런트는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통신을 송신하고 업스트림 방향으로부터 통신을 수신하며;
    서비스를 받을 상기 칠드런을 지정하는 폴링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일드로부터 예외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예외 통신에서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트림 방향으로의 통신을 상기 폴링 리스트에 있는 차일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폴링 리스트에 있는 차일드로부터 상기 업스트림 방향으로의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통신에서의 상기 정보는 일시중지 요청, 추가 시간 요청 및 액티브 상태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수행될 액션을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통신에서 지정된 시각에 상기 차일드를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계는 상기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차일드의 액티브 상태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단계는 IEEE 802.11 PCF 프로토콜에 따르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7.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 무선 백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
    상기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의 페어런트에서,
    차일드가 상기 페어런트로부터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구체화하는 칠드런의 폴링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와,
    이하의 단계,
    (ⅰ) 상기 폴링 리스트로부터 차일드를 선택하여 차일드 지속시간 동안 서비스하는 단계와,
    (ⅱ) 상기 차일드에 다운스트림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와,
    (ⅲ) 차일드로부터 업스트림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와,
    (ⅳ) 예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차일드 지속시간을 변경하는 단계와,
    (ⅴ) 예외 처리에 응답하여 상기 폴링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해, 비콘 간격을 구체화하는 비콘을 칠드런에게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상기 비콘 간격의 차일드 지속시간 동안
    (ⅰ) 업스트림 통신을 위해 상기 차일드를 폴링하는 단계와,
    (ⅱ) 상기 차일드에 다운스트림 통신을 전송하는 단계와,
    (ⅲ) 상기 차일드로부터 업스트림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와,
    (ⅳ) 상기 차일드로부터의 예외 통신에 응답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9.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 무선 백홀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다층적 무선 근거리 정보 통신망에서의 차일드에서,
    비콘 간격을 구체화하는 비콘을 페어런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간격의 차일드 지속시간 동안,
    (ⅰ) 상기 페어런트로부터 다운스트림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와,
    (ⅱ) 상기 페어런트에 업스트림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와,
    (ⅲ) 상기 페어런트에 예외 통신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통신은 일시중지 요청 및 추가 시간 요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백홀 관리 방법.
KR1020077016809A 2004-12-21 2005-11-04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KR100989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18,974 US20060133394A1 (en) 2004-12-21 2004-12-21 Methods of wireless backhaul in a multi-tier WLAN
US11/018,974 2004-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965A true KR20070095965A (ko) 2007-10-01
KR100989493B1 KR100989493B1 (ko) 2010-10-22

Family

ID=3659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809A KR100989493B1 (ko) 2004-12-21 2005-11-04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33394A1 (ko)
EP (1) EP1844618A4 (ko)
JP (1) JP2008524959A (ko)
KR (1) KR100989493B1 (ko)
WO (1) WO200606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US8023495B1 (en) 2005-04-08 2011-09-20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WLAN synchronization
US20170006438A1 (en) * 2015-06-30 2017-01-05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of message beacons in a wireless device
US11765642B2 (en) 2022-02-04 2023-09-19 Harris Global Communications, Inc. Manet network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311B1 (en) * 1991-10-01 2002-04-16 Intermec Ip Corp.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bridging nodes which transmit a beacon to terminal nodes in power saving state that it has messages awaiting delivery
DE69232639T2 (de) * 1991-10-01 2003-02-20 Norand Corp Lokales funkfrequenznetzwerk
US5598459A (en) * 1995-06-29 1997-01-28 Ericsson Inc. Authentication and handover methods and systems for radio personal communications
US6747968B1 (en) * 2000-01-14 2004-06-08 Nokia I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eighted PCF polling lists for WLAN QoS support
US20020168940A1 (en) * 2000-10-18 2002-11-14 Geert Heijenk Predictive fair polling mechanism in a wireless access scheme
US8111689B2 (en) * 2001-01-16 2012-02-07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uplink scheduling packet based data traffic in wireless system
US7126937B2 (en) * 2000-12-26 2006-10-24 Bluesocke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lock synchronization across wireless networks
WO2002063806A2 (en) * 2001-02-07 2002-08-15 Xtremespectru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bandwidth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02087176A2 (en) * 2001-04-18 2002-10-31 Skypilot Network, Inc. Network channel access protocol - interference and load adaptive
EP1286492B1 (en) * 2001-08-20 2008-04-02 Alcatel Lucent Ghost network built using data transmission via phantom mode
KR100442821B1 (ko) * 2001-09-2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수 제어 기반의 데이터 전송방법
CA2392574A1 (en) * 2002-07-08 2004-01-08 Anthony Gerki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US7356010B2 (en) * 2002-12-02 2008-04-08 Ntt Docomo Inc. Point coordinator control passing scheme using a scheduling information parameter set for an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085256B2 (en) * 2003-07-31 2006-08-0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olling in a WLAN
US7818018B2 (en) * 2004-01-29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hierarchical scheduling in an AD hoc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3394A1 (en) 2006-06-22
JP2008524959A (ja) 2008-07-10
EP1844618A1 (en) 2007-10-17
WO2006068710A1 (en) 2006-06-29
KR100989493B1 (ko) 2010-10-22
EP1844618A4 (en)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3122B2 (en) Resource re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KR100709501B1 (ko) 피코넷 통신 시스템 내의 이웃들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20040063451A1 (en) Relaying information within an ad-hoc cellular network
EP1533950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19880A1 (en) IP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EP186319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080009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wireless client communication
JP2008529382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ビーコン送信
US9814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and out-of-coverage indication in a conventional land mobile radio system
JP2008544588A (ja) 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のqos管理
JP2009543397A (ja) 無線中継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QoS要求および情報配信
KR20060071296A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발견을가속화하는 방법
US9967233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JP2010509878A (ja) 緊急警報
TWM281354U (en)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and access point for managing the association and deassociation of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101878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ignaling overhead
US20050186908A1 (en) Group network system using bluetooth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KR100989493B1 (ko) 다층적 wlan에서의 무선 백홀 방법
WO2008014714A1 (fr) Procédé, appareil et systèm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JP2010504016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
US20080144564A1 (en) Wireless non-cellular network
US6799051B1 (en) Identification system for mobile transceivers
CN101019378B (zh) 无线局域网中接入点的加速发现
KR100772406B1 (ko) 복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분산형 무선 통신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IL193755A (en) A method for identifying hidden nodes in an ad ho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