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461A -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461A
KR20070092461A KR1020060022634A KR20060022634A KR20070092461A KR 20070092461 A KR20070092461 A KR 20070092461A KR 1020060022634 A KR1020060022634 A KR 1020060022634A KR 20060022634 A KR20060022634 A KR 20060022634A KR 20070092461 A KR20070092461 A KR 2007009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agent
composition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364B1 (ko
Inventor
이재웅
최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아이제이
Priority to KR102006002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3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7Wri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가 적고 말림성이 좋아 손에서 쉽게 떨어지며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백색안료 18.0∼35.0중량%, 유색안료 5.0∼7.0중량%, 호제 5.8∼7.0중량%, 용제 32.0∼35.0중량%, 가소제 2.0∼4.0중량%, 이형제 8.0∼10.0중량%, 분산제 3.0∼4.4중량%, 습윤제 3.0∼4.5중량%, 건조지연제 3.0∼4.6중량%, 증점제 0.5∼1.0중량%, 침강방지제 0.2∼0.5중량%, 실리콘 2.5∼4.0중량%를 혼합 조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냄새가 적고 말림성이 좋아 손에 묻었을 시 쉽게 떨어져 남아 있지 않으며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커펜, 백색 잉크 조성물, 말림성, 은폐력, 색상 선명도

Description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White ink composition for marker pen}
본 발명은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냄새가 적고 말림성이 좋아 손에 묻었을 시 쉽게 떨어져 남아 있지 않으며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학원, 회사 등의 강의실 등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분필은 다량의 분필가루를 발생시켜 실내 환경 및 인체에 유해를 가하는 정도가 컸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잉크용액을 사용하여 보드 등에 대한 필기 등을 가능하게 하고 지울 수 있도록 한 마커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처럼 분필을 대신하여 필기 등을 가능하게 하는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은 현재 다수가 개발되어 개시된 상태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마카펜용 잉크 조성물은 짙은색의 보드에 사용될 경우 그 보드에 대한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낮아 눈에 잘 띄지 않는 즉, 노출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필기된 내용을 손으로 지우는 등의 행위로 손에 묻었을 시에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냄새가 적고 말림성이 좋아 손에 묻었을 시 쉽게 떨어져 남아 있지 않으며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증백제 중 어느하나의 백색안료 18.0∼35.0중량%, 유색안료 5.0∼7.0중량%, 초산비닐수지, 셀룰로오스수지,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페놀수지, 알키드수지, 비닐레진(vinyl resin), 폴리비닐 부틸알 중 어느하나의 호제 5.8∼7.0중량%, 이소포론(Isophorone),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디아세톤알콜(DAA), 부틸카비톨(DBG) 중 어느하나의 용제 32.0∼35.0중량%, 인산에스테르계인트리아릴포스페이트, 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 옥틸아디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중 어느하나의 가소제 2.0∼4.0중량%,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세틸-2-에틸 헥사노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세틸 중 어느하나의 이형제 8.0∼10.0중량%, 불포화포리아민아마이드염, 폴리카르복실릭사염 중 어느하나의 분산제 3.0∼4.4중량%, 저분자 불포화카르복실릭산, 폴리실록산, 불포화폴리카르복실릭산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중 어느하나의 습윤제 3.0∼4.5중량%,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텔, 자당지방산에스텔,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하나의 건조지연제 3.0∼4.6중량%, 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CMC)인 증점제 0.5∼1.0중량%, 침강방지제 0.2∼0.5중량%, 실리콘 2.5∼4.0중량%를 혼합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은 백색안료 18.0∼35.0중량%, 유색안료 5.0∼7.0중량%, 호제 5.8∼7.0중량%, 용제 32.0∼35.0중량%, 가소제 2.0∼4.0중량%, 이형제 8.0∼10.0중량%, 분산제 3.0∼4.4중량%, 습윤제 3.0∼4.5중량%, 건조지연제 3.0∼4.6중량%, 증점제 0.5∼1.0중량%, 침강방지제 0.2∼0.5중량%, 실리콘 2.5∼4.0중량%가 혼합 조성된 것이다.
상기 백색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증백제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분쇄하여 얻은 것을 사용한다. 백색안료의 함량이 18.0중량% 미만이면 색상이 너무 연하다는 문제가 있고, 35.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잉크 조성물로 하여금 백색도를 얻게 하여 짙은색 보드에 대한 필기 등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유색안료는 파스텔 계통의 색상과 보드에 대한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유색안료로는 색상값이 113 또는 105인 황색(Yellow)안료, 색상값이 302 또는 303인 청색(Blue)안료, 색상값이 9500인 녹색(Green)안료, 색상값이 759-D인 바이올렛(Violet)안료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유색안료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색상이 연하다는 문제가 있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호제는 조성물에 접착성, 말림성, 분리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초산비닐수지, 셀룰로오스수지,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페놀수지, 알키드수지, 비닐레진(vinyl resin), 폴리비닐 부틸알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90∼100℃의 온도에서 5시간 또는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호제의 함량이 5.8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접착성 및 말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접착성 및 말림성이 너무 강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용제는 조성물에 냄새를 적게 하고 각 성분들의 배합률을 높게 함과 아울러 점도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이소포론(Isophorone),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디아세톤알콜(DAA), 부틸카비톨(DBG)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90∼100℃의 온도에서 5시간 또는 60∼80℃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32.0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마커펜으로부터 잉크의 유출이 잘 안된다는 문제가 있고, 35.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이 점도가 낮아져 마커펜으로부터 잉크의 과다 유출이 발생하고 색상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소제는 조성물에 유연성, 내열성, 내한성, 저휘발성, 칠판이나 보드에 접착이 안되게 분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인산에스테르계인트리아릴포스페이트, 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 옥틸아디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 면 조성물의 유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유연성이 너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이형제는 조성물이 칠판이나 보드에 접착이 안되게 분리시켜 주어 쉽게 지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세틸-2-에틸 헥사노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세틸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이형제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이면 칠판이나 보드에 대한 조성물의 분리성이 약해져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10.0중량%를 초과하면 칠판이나 보드에 대한 조성물의 분리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산제는 각 성분들의 원료분산성을 증가시면서 조성물의 말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불포화포리아민아마이드염, 폴리카르복실릭사염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90∼11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각 성분들의 원료분산이 안되 조성물에 가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4.4중량%를 초과하면 각 성분들의 원료분산성이 높아지고 조성물의 말림성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습윤제는 조성물로부터 안료의 습윤, 분산, 침전방지, 색분리 방지를 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저분자 불포화카르복실릭산, 폴리실록산, 불포화폴리카르복실릭산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습윤제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안료의 분산이 잘 안된다는 문제가 있고, 4.5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로 부터 안료의 분산 및 색분리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건조지연제는 조성물의 건조를 지연시키고 색분리 방지 및 침전방지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텔, 자당지방산에스텔,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하나가 사용되는데, 90∼11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건조지연제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건조가 너무 빠르다는 문제가 있고, 4.6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건조가 너무 늦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분리방지 및 침전방지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CMC)가 사용되는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분리가 빠르다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색상이 흐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침강방지제는 조성물의 색상이 침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침강방지제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이면 색상의 침강방지가 안된다는 문제가 있고, 0.5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이 쉽게 말리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은 조성물의 색상 선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며, 60∼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용해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색상 선명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로부터 색상이 분리되고 흐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1〉
백색안료 18.0중량%, 유색안료 7.0중량%, 호제 7.0중량%, 용제 35.0중량%, 가소제 4.0중량%, 이형제 10.0중량%, 분산제 4.4중량%, 습윤제 4.5중량%, 건조지연제 4.6중량%, 증점제 1.0중량%, 침강방지제 0.5중량%, 실리콘 4.0중량%를 교반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냄새를 맡아보니 휘발성 냄새가 거의 나지 않았다. 또한 마커펜에 주입한 후 짙은 그린보드에 필기해 보았더니 은폐력과 색상 선명도가 좋아 글씨가 눈에 잘 띄었다. 또한 잉크 조성물을 오른손 둘째 손가락에 묻힌 후 엄지손가락으로 비벼 보았더니 잉크 조성물이 국수처럼 말리면서 쉽게 떨어져 나갔다. 잉크 조성물이 묻은 부위에는 어떤 자국도 남지 않고 깨끗했다.
〈실시예 2〉
백색안료 35.0중량%, 유색안료 5.0중량%, 호제 5.8중량%, 용제 32.0중량%, 가소제 2.0중량%, 이형제 8.0중량%, 분산제 3.0중량%, 습윤제 3.0중량%, 건조지연제 3.0중량%, 증점제 0.5중량%, 침강방지제 0.2중량%, 실리콘 2.5중량%를 교반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시험해 보았다. 그 결과 실시예1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냄새가 적고 말림성이 좋아 손에 묻었을 시 쉽게 떨어져 남아 있지 않으며 은폐력과 색상선명도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물성이 우수한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증백제 중 어느하나의 백색안료 18.0∼35.0중량%, 유색안료 5.0∼7.0중량%, 초산비닐수지, 셀룰로오스수지,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페놀수지, 알키드수지, 비닐레진(vinyl resin), 폴리비닐 부틸알 중 어느하나의 호제 5.8∼7.0중량%, 이소포론(Isophorone),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디아세톤알콜(DAA), 부틸카비톨(DBG) 중 어느하나의 용제 32.0∼35.0중량%, 인산에스테르계인트리아릴포스페이트, 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 옥틸아디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중 어느하나의 가소제 2.0∼4.0중량%,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세틸-2-에틸 헥사노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세틸 중 어느하나의 이형제 8.0∼10.0중량%, 불포화포리아민아마이드염, 폴리카르복실릭사염 중 어느하나의 분산제 3.0∼4.4중량%, 저분자 불포화카르복실릭산, 폴리실록산, 불포화폴리카르복실릭산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중 어느하나의 습윤제 3.0∼4.5중량%,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텔, 자당지방산에스텔, 폴리솔베이트 중 어느하나의 건조지연제 3.0∼4.6중량%, 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CMC)인 증점제 0.5∼1.0중량%, 침강방지제 0.2∼0.5중량%, 실리콘 2.5∼4.0중량%를 혼합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KR1020060022634A 2006-03-10 2006-03-10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KR10076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34A KR100761364B1 (ko) 2006-03-10 2006-03-10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34A KR100761364B1 (ko) 2006-03-10 2006-03-10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461A true KR20070092461A (ko) 2007-09-13
KR100761364B1 KR100761364B1 (ko) 2007-10-04

Family

ID=3868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634A KR100761364B1 (ko) 2006-03-10 2006-03-10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3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298B1 (ko) * 2007-04-05 2009-06-02 주식회사 이아이제이 페인트 마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5061B1 (ko) * 2007-12-31 2010-03-05 곽노윤 마커펜용 중성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5060B1 (ko) * 2007-12-31 2010-03-05 곽노윤 식품소재를 이용한 마커펜용 수성 잉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227060B1 (ko) * 2011-03-07 2013-01-29 (주)하이라인 반사율을 최소화한 무광 칠판용 친환경 보드마카 잉크
WO2020212765A1 (ko) * 2019-04-17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보드마커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00A (ko) * 2000-06-23 2001-07-23 김명언 녹색 마커 칠판용 잉크의 제조방법.
KR100447846B1 (ko) 2004-02-03 2004-09-08 고유옥 마커펜용 백색잉크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298B1 (ko) * 2007-04-05 2009-06-02 주식회사 이아이제이 페인트 마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5061B1 (ko) * 2007-12-31 2010-03-05 곽노윤 마커펜용 중성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5060B1 (ko) * 2007-12-31 2010-03-05 곽노윤 식품소재를 이용한 마커펜용 수성 잉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227060B1 (ko) * 2011-03-07 2013-01-29 (주)하이라인 반사율을 최소화한 무광 칠판용 친환경 보드마카 잉크
WO2020212765A1 (ko) * 2019-04-17 2020-10-22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보드마커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364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364B1 (ko)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KR100945061B1 (ko) 마커펜용 중성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37275B1 (ko) 무독성 마커펜용 백색 잉크 조성물
KR100994105B1 (ko) 수용성 페인트 마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5480920A (en) Ozone-friendly correction fluid
KR100761365B1 (ko)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
KR102237474B1 (ko) 내광성이 우수한 물감 및 물감 보조제
KR100945060B1 (ko) 식품소재를 이용한 마커펜용 수성 잉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761366B1 (ko)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
JP4919726B2 (ja) 水性絵具組成物
JP4039597B2 (ja) 水性インキ
KR102312975B1 (ko) 내광성이 우수한 글로스 바니쉬
KR100900298B1 (ko) 페인트 마커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7218503A (ja) 油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マーキングペン
KR100889574B1 (ko)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
KR20200129065A (ko) 내광성이 우수한 유화 물감
JP3941625B2 (ja) 水性顔料組成物
KR102312977B1 (ko) 내광성이 우수한 정착액
KR102312976B1 (ko) 내광성이 우수한 매트 바니쉬
KR101786570B1 (ko) 수용성을 갖는 소거성 고형상 마커
KR20120109695A (ko) 마커펜용 잉크 조성물
JP7313680B2 (ja) 筆記板用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S60161470A (ja) 筆記具用インキ
JP2008255137A (ja) 筆記板用マーキングインキ組成物
KR20120101779A (ko) 반사율을 최소화한 무광 칠판용 친환경 보드마카 잉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