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70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0705A KR20070090705A KR1020060061978A KR20060061978A KR20070090705A KR 20070090705 A KR20070090705 A KR 20070090705A KR 1020060061978 A KR1020060061978 A KR 1020060061978A KR 20060061978 A KR20060061978 A KR 20060061978A KR 20070090705 A KR20070090705 A KR 20070090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axial cable
- contact
- shell
- elastic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는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a coaxial cabl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a receptacle connector, which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리셉터클 컨택트측의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탄성접촉부측의 윗쪽에서 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axial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een from above on the receptacle contact side, and (b) is a view seen from above 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sid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절연부재, (b)는 리셉터클 컨택트, (c)는 제 1 그라운드 부재, (d)는 제 2 그라운드 부재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ituent member of a coaxial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n insulating member, (b) is a receptacle contact, (c) is a first ground member, and (d) i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2 ground members,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아랫쪽에서 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ug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from above, and (b) is a view from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절연부, (b)는 커버부, (c)는 제 1 쉘(shell)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tituent member of a plug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n insulation portion, (b) is a cover portion, and (c) is a configuration of a first shell portion, respectively.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 2 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hell portion.
도 7은 동축 케이블을 절연부에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동축 케이블의 뒷 끝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동축 케이블의 앞 끝 윗쪽에서 본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axial cable is inserted into an insulating part, (a) is a view seen from above the rear end of the coaxial cable, and (b) is a view seen from above the front end of the coaxial cable.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References **
10: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10: connector for coaxial cable 20: receptacle connector
26: 리셉터클 컨택트 36: 제 2 그라운드 부재26: Receptacle Contact 36: Second Ground Member
39: 탄성접촉부 39a: 굴곡면39:
40: 플러그 커넥터 41: 절연부40: plug connector 41: insulation
71: 제 1 쉘부(제 1 접촉부재) 74: 제 1 압압단자71: first shell portion (first contact member) 74: first pressing terminal
76: 플러그 컨택트 81: 제 2 쉘부(제 2 접촉부재)76: plug contact 81: second shell portion (second contact member)
83: 제 2 압압단자 84: 제 1 지지부83: second pressing terminal 84: first support portion
84a: 바닥면 100: 동축 케이블84a: bottom 100: coaxial cable
101: 내부도체 102: 절연체101: inner conductor 102: insulator
103: 외부도체 104: 쟈켓(외피)103: outer conductor 104: jacket (shell)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기기, 전송기기, 계측기기, 그 밖의 신호처리기기의 고속전송에 적합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suitable for high-speed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transmission equipment, measuring equipment, and other signal processing equipment.
종래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는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져 들어가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며, 전기적인 접속을 얻기 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각각을 피복하도록 금속제의 쉘을 설치한 것이 있다. 이 커넥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은, 리셉터클 커넥터가 고정되는 기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따라 이루어지며, 리셉터클 커넥터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에 끼워맞춤시에 탄성변형하는 스프링을 끼워맞춤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쉘 끼리, 즉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5-251581호 공보).The conventional coaxial connector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or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plug connector to which a plurality of coaxial cables are connected and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Each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is provided to ob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Some metal shells are provided to cover them. The fitting of the plug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n this connector is made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surface o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is fixed, and the spring that elastically deforms when fitt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 or the plug connect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hells, i.e.,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is realized b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51581.
하지만,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저배화가 진행됨에 따라, 끼워맞춤 방향에서 충분한 스프링의 길이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이에 의해 충분한 스프링의 변위량을 얻을 수 없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에 필요한 클리어런스의 범위 내에서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는데, 어긋남량에 따라서는 쉘의 스프링의 변위량이 따라갈 수 없게 되어 접압이 크게 변해버리는 경우도 있어, 접촉저항, 그 밖의 전기적 성능에 영향을 주었다.However, as the coaxial cable connector is further reduced in siz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spring length in the fitting direction, whereby a sufficient displacement amount of the spring cannot be obtained. For this reason, although there may be a deviation between the clearances necessary for the fitting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depending on the amount of displacement,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spring of the shell may not follow and the contact pressure may change greatly, resulting in contact resistance. And other electrical performances.
특히,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용 커넥터의 경우에는, 케이블의 조작에 따른 외부압력 등이 케이블을 통하여 커넥터에 전달되기 때문에, 끼워맞추어진 커넥터가 어긋나기 쉽고, 특히 케이블을 보유하고 있는 측이 이탈방향으로 움직이기 쉬워 전기적으로 불안정해지기 쉬웠다. 더욱이, 본래의 끼워맞춤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 향으로 끼워맞추어지는, 이른바 경사 끼워맞춤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프링을 지나치게 변위시키며, 또한 위치어긋남 끼워맞춤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프링의 휘어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ble connector such as a coaxial cable, since the external pressure or the lik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abl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through the cable, the fitted connector is likely to be displaced, and in particular, the side in which the cable is retained is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It was easy to move and was easy to be electrically unstable. Furthermore, when the so-called inclined fitting, which is fit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from the original fitting direction, is made, the spring is excessively displaced, and when the misalignment is made, the spring may be bent. .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커넥터, 및 제 1 커넥터와 끼워맞추어지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전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어느 한 쪽의 도전부재에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맞추었을 때,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다른 쪽을 그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탄성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fitted with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he fitt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release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it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상기 탄성접촉부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중의 다른 쪽이 구비하는 도전부재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lastic contact part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with which the other of a 1st connector and a said 2nd connector is equipped.
상기 커넥터에는 소정 피치로 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axial cables arranged in a column shape at a predetermined pit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탄성접촉부는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의 도전부재 중,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부재를,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에 맞닿도록 누르면 좋다.The elastic contact portion may press the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able, among the conductive members of the first connector or the second connector, to be in contact with the exposed outer conductor of the coaxial cable.
상기 탄성접촉부는 동축 케이블이 연장되어 나가는 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lastic contact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de from which the coaxial cable extends.
상기 탄성접촉부 및 동축 케이블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탄성접촉부의 순서로 배치하면 좋다.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coaxial cable may be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coaxial cable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in the fitting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도전부재는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may be made of metal.
상기 도전부재는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에 의해 형성된 도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부재는 그라운드 접속을 위한 쉘부이면 좋다.The conductive member may have a conductive path formed by a MID (Molded Interconnect Device).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a shell portion for ground conn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도 1)는, 소정 피치로 열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40)와, 복수개의 신호선과 어스라인을 가지는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음(끼워맞춤)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복수개의 컨택트와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도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The coaxial cable connector 10 (FIG.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1) 리셉터클 커넥터(1) Receptacle Connector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40)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22a)(도 1 참조)이 형성된 절연부재(21)와, 리셉터클 컨택트(26)와, 제 1 그라운드 부재(도전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도전부재)(36)를 가진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를 절연부재(21)에 밖에서 끼우고, 제 2 그라운드 부재(36)를 절연부재(21)에 끼워넣음으 로써 조립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그라운드 부재(31)가 없는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도 3의 (a)에 나타내는 절연부재(2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써,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배치된 리셉터클 컨택트(26)(도 3의 (b))가 눌려들어간다.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벽(23)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절연부재(21)의 폭방향 안쪽으로 각각 오목 설치된 컨택트 수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측벽(23)에는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는 아랫쪽 끝이 측벽(23)에 고정된 판형상 부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측벽(23)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40)의 플러그 컨택트(76)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22a), 및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끼워져 들어가는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가, 서로 평행하게 오목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는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서 소정 간격마다, 절연부재(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를 구비하고 있다.The
도 3의 (b)에 열형상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리셉터클 컨택트(26)는 각각,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보유부(27)와, 휨부(28)와, 접속단부(29)를 구비한다. 보유부(27)는 측벽(23)의 컨택트 수용부(23a)를 협지하도록 아랫쪽을 향한(도 3의 (b)의 아랫방향)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보유부(27)에는 절연부재(21)의 컨택트 수용부(23a)에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 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추기 위하여 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걸어맞춤부(27a)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부(27)의 한 쪽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휨부(28)는 윗쪽을 향한(도 3의 (b)의 윗방향)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삽입홈(22a) 안에 수용된다. 보유부(27)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는, 보유부(27)가 컨택트 수용부(23a)를 협지하도록 배치했을 때, 절연부재(21)의 컨택트 수용부(23a)로부터 수평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접속단부(29)가 연장되어 설치되며, 이 접속단부(29)는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되어, 신호처리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리셉터클 컨택트(26)는 기재(예를 들어, 인청구리,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금 도금)을 하여 제작한다. 리셉터클 컨택트(26)의 판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고, 또한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피치가 0.3~0.5mm인 경우에는 0.05~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하지 도금은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 미만이면 하지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4㎛를 넘으면 플러그 커넥터(40)와의 슬라이딩 접속시의 변형에 의해 클랙이 쉽게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The
도 3의 (c)에 나타내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절연부재(21)의 측벽(23) 및 길이방향 양 끝의 측벽(24,25)을 덮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져 있다.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기부(32)의 양 끝에 는, 절연부재(21)에 밖에서 끼웠을 때 측벽(24,25)을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한 측벽보유부(34,35)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기부(32)의 아랫쪽 끝으로부터는 고정단부(32a,32b)가, 측벽보유부(34,35)의 아랫쪽 끝으로부터는 고정단부(34a,35a)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에 끼워지고, 또한 측벽보유부(34,35)를 측벽(24,25)으로 밖에서 끼워 서로 맞물리게 하며, 더욱이 고정단부(32a,32b), 고정단부(34a,35a)를 회로기판의 소정 위치에 땜납 고정하여 접지함으로써, 절연부재(21)에 대하여 고정한다.The
도 3의 (d)에 나타내는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로서, 대략 긴 판형상의 기부(37)의 길이방향 양 끝을 구부러지게 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으로 한 것이다. 이 양 끝에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측벽보유부(34,35)의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는 돌기(38a,38b)가, 각각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37)에는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부(37)와 직교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일단 연장된 후에 기부(37)측으로 위로 꺾어져 돌아오도록 구부러진 복수개의 탄성접촉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복수개의 탄성접촉부(39)를 각각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 안에 수용하며, 또한 돌기(38a,38b)가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도록 기부(37)를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로 끼워넣음으로써, 절연부재(21)에 대하여 고정한다. 돌기(38a,38b)가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탄성접촉부(39)는 판스프링이어도 좋고, 그 갯수, 위 치, 및 간격은 커넥터(10)의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의해 설정된다. 더욱이, 탄성접촉부(39)는 커넥터에 대하여 대상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복수개의 탄성접촉부(39)를 커넥터(10)(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커넥터(10)(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방향의 중심에서 폭방향에 따라 직교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2) 플러그 커넥터(2) plug connector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0)는 절연부(41)와, 커버부(61)와, 제 1 쉘부(도전부재)(71)를 구비한다.4 and 5, the
도 5의 (a)에 나타내는 절연부(4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대략 긴 판형상의 사출성형품으로서, 그 길이방향에 따라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 배치된 플러그 컨택트(76), 및 제 2 쉘부(81)와 일체로 인서트 성형된다. 절연부(41)의 길이방향에 따라, 제 2 쉘부(도전부재)(81)가 배치된 측의 측벽(43)에는, 제 1 쉘부(71)의 복수개의 맞물림부(75)가 각각 끼워져 들어가는 복수개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이 뚫려 있다. 또한, 절연부(41)의 길이방향의 양 끝 부분에는, 커버부(61)의 2개의 끼워맞춤 볼록부(65)가 각각 끼워져 들어가는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끼워맞춤 오목부(45)에는 절연부(41)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제 1 쉘부(71)에 2개씩 설치된 접촉 설부(tongue)(72), 맞닿음 설부(73)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2개의 삽입관통구멍부(46)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관통구멍부(46)는 절연부(41)를 상하방향(도 5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쉘부(71)와 제 2 쉘부(81) 중 한 쪽만이 설치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도 5의 (a), 도 6의 (a)에 나타내는 플러그 컨택트(76)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를 구부려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부(77)와, 신호접속부(78)와, 맞물림부(79)를 구비한다. 접속부(77)는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을 때, U자의 바닥측으로부터 삽입홈(22a) 안으로 수용되도록 절연부(41) 안에 배치된다. 삽입홈(22a) 안에서 접속부(77)는 리셉터클 컨택트(26)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접속부(77)의 입설면(77a)과 휨부(28)의 굴곡부(28a)가 맞닿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신호접속부(78)는 접속부(77)의 한 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며, 절연부(41)에서 제 2 쉘부(81)에 협지된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도체(101)에 각각 대응,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맞물림부(79)는 접속부(77)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그 폭방향이나 판두께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맞물림부를 절연부(41)에 일체 성형하여 빠짐방지함으로써, 절연부(41)에 보유된다. 복수개의 플러그 컨택트(76)는 동축 케이블(100)이 배치되는 소정의 간격으로, 절연부(41)에 의해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보유된다. 한편, 플러그 컨택트(76)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5의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제 2 쉘부(제 2 접촉부재)(81)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이며,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기둥형상 기부(82)와, 제 2 압압(押壓)단자(83)와, 제 1 지지부(84), 제 2 지지부(85)를 구비한다.The second shell portion (second contact member) 81 shown in Figs. 5A and 6B is a metal material formed by stamping molding, and has a substantially square
기둥형상 기부(82)는 그 길이방향이 절연부(41)의 길이방향에 따르도록 절연부(41)에 배치된다. 제 2 압압단자(83)는 기둥형상 기부(82)의 일측면에서, 동축 케이블(100)의 배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의 대략 U자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U자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외부도체(10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좁게 하는 경우, 외부도체(103)를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눌러넣음으로써,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가 확실하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삽입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제 2 압압단자(83)의 U자형상의 폭이 외부도체(10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 1 지지부(84) 및 제 2 지지부(85)는 기둥형상 기부(82)의 제 2 압압단자(83)를 설치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기둥형상 기부(82)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몇 개의 제 2 압압단자(83)마다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설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rst supporting
제 1 지지부(84)는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84a)(도 6의 (b)의 상측면)은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의 굴곡면(39a)(도 3의 (d))과 맞닿아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촉면(84a)을 이루고 있다.The
이 제 2 쉘부(81)는 제 1 지지부(84)를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절연부(41)에 지지된 제 2 압압단자(83)의 U자형상 개구측이 커버부(61) 및 제 1 쉘부(71) 측으로 향하고, 또한 이 제 2 압압단자(83)가 플러그 커넥터(40)에 보유되는 동축 케이블(100)의 복수개의 외부도체(103)에 대응,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쉘부(81)에 제 1 지지부(84) 및 제 2 지지부(85)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쉘부(8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절연부(41)에 대한 제 2 쉘부(81)의 보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쉘부(81)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5의 (b)에 나타내는 커버부(6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써, 긴 판 형상을 가진다. 그 폭방향의 한 쪽 끝 부분의 아랫면(66)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만큼, 윗면(67) 쪽으로 오목설치된 도입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윗면(67)에는 도입오목부(62)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폭방향 안쪽으로, 도입오목부(62)에 대응한 피치로 윗면(67)으로부터 아랫면(66)으로 관통하는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랫면(66)의 길이방향 양 끝에는, 아랫쪽으로 돌출하도록 끼워맞춤 볼록부(6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부(61)는 끼워맞춤 볼록부(65)를 절연부(41)의 끼워맞춤 오목부(45)에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절연부(41)에 보유된다.The
도 5의 (c)에 나타내는 제 1 쉘부(제 1 접촉부재)(71)는 대략 긴 판 형상의 금속부재로서, 접촉 설부(72)와, 맞닿음 설부(73)와, 제 1 압압단자(74)와, 맞물림부(75)와, 쉘스프링(도 1, 도 4의 (d))(80)을 구비한다. 한편, 제 1 쉘부(71)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shell portion (first contact member) 71 shown in FIG. 5C is a substantially long plate-shaped metal member, which includes a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는 제 1 쉘부(71)의 길이방향 양 끝으로부터 아랫쪽으로(도 5의 (c)의 아랫쪽),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진다. 이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들은 제 1 쉘부(71)를 커버부(61)를 통하여 절연부(41)에 결합할 때, 절연부(41)의 삽입관통구멍부(46)로 끼워져 들어가, 절연부(41)의 아랫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나아간다. 접촉 설부(72)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뚫린 관통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으면, 2개의 접촉 설부(72)의 각각의 관통구멍(72a) 안에,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돌기(38a,38b)가 각각 맞물리고, 이에 의해 제 1 쉘부(7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접촉 설부(72)는 돌기(38a,38b)를 설치한 부분의 스프링성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고정단부(34b,35b)에 맞닿아, 제 1 쉘부(71)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쉘부(71), 커버부(61), 및 절연부(41)는 이와 같이 하여 잠기며, 이 잠김(lock) 강도는 탄성접촉부(39)의 반력(反力)의 총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The
제 1 압압단자(74) 및 맞물림부(75)는, 제 1 쉘부(71)의 폭방향의 한 쪽 끝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00)의 배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아랫쪽으로 개방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부(75)는 단자 끼워넣기구멍(4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압압단자(74)는 커버부(61)를 통하여 제 1 쉘부(71)를 절연부(41)에 결합할 때, 커버부(61)의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을 관통하여 앞 끝이 절연부(41)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 안으로 끼워져 들어간다. 제 1 압압단자(74)의 U자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외부도체(10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좁게 한 경우, 외부도체(103)를 제 1 압압단자(74) 안으로 눌러넣음으로써,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가 확실하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 1 압압단자(74)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삽입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제 1 압압단자(74)의 U자형상의 폭이 외부도체(10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쉘스프링(80)은 제 1 쉘부(71)의 폭방향의 다른 쪽 끝면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아랫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쉘스프링(80)은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었을 때 판형상 기부(32)의 측면에 맞닿는 곡면(80a)을 구비하고 있다.The
동축 케이블(10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 쪽으로부터 1개의 도선인 내부도체(101), 절연체(102), 편조(編組, braided)의 외부도체(103), 쟈켓(외피)(104)의 순서로 동심의 층 형상으로 배치된 케이블으로서,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0.4mm 피치)로, 쟈켓(104)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열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도체(101)를 하나의 도선으로 하고 있지만, 복수개의 도선이 절연체(102) 안에 수용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이어도 좋다. 또한, 편조가 아닌 타입의 외부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동축 케이블(100)은 그 앞 끝에서, 예를 들어 스트리프(strip)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에 의해 내부도체(101), 절연체(102), 외부도체(103), 쟈켓(104)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의 형상에 맞춘 소정의 길이, 소정의 위치에서 노출되도록 가 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동축 케이블(100)의 앞 끝에서는, 내부도체(101)가 절연부(41)와 일체가 된 플러그 컨택트(76)의 신호접속부(78)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노출하고, 이어서 절연체(102)가 노출하며, 노출시키지 않고 쟈켓(104)을 남긴 부분을 거쳐, 절연부(41) 위의 제 2 압압단자(8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부도체(103)가 노출하고 있다. 이 외부도체(103)는 플러그 커넥터(40)에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끼워넣었을 때, 제 1 압압단자(74)가 접촉할 수 있게 되는 위치까지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도체(103)의 노출부분보다 앞 끝 쪽에 쟈켓(104)을 남긴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외부도체(103)의 파단부분이 노출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편조의 일부가 잘려 낙하할 우려가 줄어들어, 작업성이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41)에 절연체(102)를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협지하는 돌기부(47)를 형성하면,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내부도체(101)와 외부도체(103)의 분리를 확실히 즉, 단락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4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예를 들어, 전용 지그에 의해 파지하여, 노출된 외부도체(103)의 앞 끝 쪽(노출된 내부도체(101)측)이 제 2 압압단자(83)의 내부에 협지되도록 각각 눌러넣고, 또한 앞 끝의 내부도체(101)를 신호접속부(78)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와 제 2 쉘부(8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부도체(101)는 신호접속부(78)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hotplate), 레이저를 사용하여 납땜되며,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과 플러그 컨택트(76)가 전기적을 접속된다. 한편, 플러그 컨택트(76)와 내부도체(101) 의 전기적 접속은 납땜 외에, 압입이나 스프링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First, a plurality of
이어서, 끼워맞춤 볼록부(65)를 끼워맞춤 오목부(45)에 끼워넣음으로써, 커버부(61)를 절연부(41)에 결합한다. 결합하면, 노출된 외부도체(103) 뒷쪽의 쟈켓(104)은 도입오목부(62) 안에 수용 보유되며, 커버부(61)의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의 아랫쪽에 절연부(41)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이 배치된다. 이어서, 제 1 압압단자(74)를 단자 삽입관통구멍(64)에 삽입하고, 또한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를 삽입관통구멍부(46)에 삽입하여, 제 1 쉘부(71)를 커버부(61)를 통하여 절연부(41)에 결합한다. 이 때, 제 1 압압단자(74)는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을 관통하여, 노출된 외부도체(103) 뒷 끝 쪽의 위치에서 즉, 제 2 압압단자(83)가 협지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외부도체(103)를 윗쪽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단자 끼워넣기구멍(44) 안으로 끼워져 들어간다.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와 제 1 쉘부(71), 더욱이 제 2 쉘부(8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맞물림부가 단자 끼워넣기구멍(44)에 눌려들어가 맞물림 고정된다.Subsequently,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0)는 리셉터클 컨택트(26)의 휨부(28)와 삽입홈(22a)의 내벽으로 협지되는 공간에 플러그 컨택트(76)의 접속부(77)를 눌러넣도록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져 들어간다. 이에 의해 내부도체(101)와 접속된 플러그 컨택트(76)와 리셉터클 컨택트(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 the
한편, 2개의 접촉 설부(72)가 고정단부(34b)와 돌기(38a) 사이, 및 고정단부(35b)와 돌기(38b) 사이에 각각 눌려 들어가며, 쉘스프링(80)의 곡면(80a)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판형상 기부(32)의 바깥측면(32c)에 맞닿기 때문에(도 1), 제 1 쉘부(71), 제 1 그라운드 부재(31) 및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On the other hand, the two
또한,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가 그 탄성에 의해 제 2 쉘부(81)의 제 1 지지부(84)를 윗쪽으로(플러그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맞닿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쉘부(71), 커버부(61), 및 절연부(41)의 잠김 강도가 탄성접촉부(39)의 반력의 총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쉘부(8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더욱 밀어넣을 수 있어, 제 2 쉘부(81)와 외부도체(103)의 전기적인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그 결과, 제 1 그라운드 부재(31), 제 2 그라운드 부재(36), 제 1 쉘부(71), 제 2 쉘부(81), 및 외부도체(10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접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가 저배화되어도,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40)를 끼워맞춘 후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의 덜컥거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외부압력 등이 가해져 끼워맞춤 상태에서 덜컥거리거나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이것을 흡수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100)과 제 1 쉘부(71) 및 제 2 쉘부(81)와의 도통을 안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탄성접촉부(39)를 플러그 커넥터(40)에 설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제 1 쉘부(71) 또는 제 2 쉘부(81)에 탄성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면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접촉부(39) 및 동축 케이블(100)은 리셉터클 커넥 터(20)와 플러그 커넥터(40)의 끼워맞춤 방향에서 동축 케이블(100), 탄성접촉부(39)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으면, 상술한 배치와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기기 등의 기판(지시하지 않음)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 탄성접촉부(39)가 기판과 동축 케이블(10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판 위의 불필요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기기 등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By arranging in this way, for example, when the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은, 먼저 제 1 쉘부(71)의 쉘스프링(80)을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판형상 기부(32)에 탄성접촉시키고 나서, 탄성접촉부(39)가 제 2 쉘부(81)에 맞닿도록,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는 순서로 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끼워맞춤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tting of the
또한, 외부도체(103)를 제 1 압압단자(74)와 제 2 압압단자(83)에 의해 상하로부터(반대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노출된 외부도체(103)를 압축하도록 압력을 걸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외부도체(103)에 균일하게 부하를 걸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100)을 보유하는 힘을 높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동축 케이블(100)이 세선화되어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의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협지하는 구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이 진동, 견인되더라도 접속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쉘부(81) 안에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도체(103)를 눌러넣고, 이 외부도체(103)에 제 1 압압단자(74)를 피복한다는 간단한 구성이기 때 문에,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가 작아지고, 다극화되어도,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져, 이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외부도체(103)로부터의 도통로가 제 1 쉘부(71)의 제 1 압압단자(74)를 거쳐 제 1 그라운드 부재(31)에 이르는 경로와, 제 2 쉘부(81)의 제 2 압압단자(83)를 거쳐 제 2 그라운드 부재(36)에 이르는 경로의 2가지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도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그라운드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를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시킴으로써, 외부도체(103)로부터의 2개의 도통로를 서로 접속하여, 이 닫힌 공간 안에 내부도체(101), 플러그 컨택트(76), 및 리셉터클 컨택트(26)로 이루어지는 신호선 라인을 배치하여, 이들을 감싸는 것에 의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의 탄성에 의해, 제 2 쉘부(81)의 제 1 지지부(84)를 윗쪽으로(플러그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이탈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 1 압압단자(74) 안 및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밀어넣을 수 있어, 제 1 쉘부(71) 및 제 2 쉘부(81)와 외부도체(103)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EMI 효과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a path from which the conductive path from the
또한, 상술한 제 1 쉘부(71)나 제 2 쉘부(81) 대신에, 절연부(41)를 수지성형할 때 또는 성형후에, 수지 위에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도전로를 형성(MID)하여, 이 도전로에 탄성접촉부(39)를 맞닿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전로를 수지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신호선을 감싸 EMI 대책으로 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개선의 목적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or change within the range of the objective of improvement and the idea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 들어갔을 때, 플러그 커넥터를 그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방향(이탈방향)으로 누르는 탄성접촉부를 가지기 때문에, 저배화된 커넥터에서도 끼워맞춤후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덜컥거림을 흡수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외부압력이 가해지거나 하여 끼워맞춤 상태에서 덜컥거림이나 기울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이것을 흡수하여 동축 케이블과 쉘부의 도통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쉘부와 동축 케이블에 의한 그라운드 접속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그라운드 접속으로 신호라인을 감싸는 것에 의한 EMI 대책을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elastic contact portion which presses the plug connect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tting is released (release direction) when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It can absorb the rattling of the coaxial cable connector, so that even if a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axial cable connector or a rattling or tilting occurs in the fitted state, it absorbs this to stabilize the conduction of the coaxial cable and the shell portion. You can. Therefore, since the ground connection by the shell part and the coaxial cable can be ensured, the EMI countermeasure by covering a signal line by this ground connection can be implemented stably.
또한, 플러그 커넥터측의 쉘부의 스프링을 리셉터클 커넥터에 탄성 접촉시키고 나서, 탄성접촉부와 플러그 커넥터가 맞닿도록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탄성접촉부의 탄성에 의해 제 1 압압단자 및 제 2 압압단자 안으로 외부도체를 눌러넣게 되기 때문에, 제 1 쉘부 및 제 2 쉘부와 외부도체의 전기적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Further, since the spring of the shell portion on the plug connector side is elastic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so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plug connecto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fitting. Moreover, since the outer conductor is pushed into the first pressing terminal and the second pressing terminal by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hell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ortion and the outer conductor becomes more secure.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57206 | 2006-03-03 | ||
JP2006057206A JP2007234491A (en) | 2006-03-03 | 2006-03-03 |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0705A true KR20070090705A (en) | 2007-09-06 |
KR100794733B1 KR100794733B1 (en) | 2008-01-15 |
Family
ID=385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1978A KR100794733B1 (en) | 2006-03-03 | 2006-07-03 | Connec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7234491A (en) |
KR (1) | KR10079473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82041B2 (en) | 2008-01-16 | 2010-06-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pair |
KR101186486B1 (en) | 2011-04-12 | 2012-09-27 |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JP6225941B2 (en) * | 2015-04-17 | 2017-11-08 | 第一精工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61985A (en) | 1991-08-08 | 1992-11-10 | Robinson Nugent, Inc. | Board to board interconnect |
US5626482A (en) | 1994-12-15 | 1997-05-06 | Molex Incorporated |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4324822B2 (en) | 1999-05-21 | 2009-09-02 |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 Cable connector |
JP4117888B2 (en) | 2004-10-27 | 2008-07-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
-
2006
- 2006-03-03 JP JP2006057206A patent/JP2007234491A/en not_active Withdrawn
- 2006-07-03 KR KR1020060061978A patent/KR10079473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234491A (en) | 2007-09-13 |
KR100794733B1 (en) | 2008-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31914B1 (en) | Grounding scheme for a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system | |
JP4198342B2 (en) | Shielded cable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body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al connector | |
US9356401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frame | |
CN108092015B (en) | Cable,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substrate | |
KR101471283B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 |
US20220173550A1 (en) |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 |
US7442057B2 (en) | MIMO RF connector assembly | |
WO2009147791A1 (en) | Electric connector | |
US20060292898A1 (en) |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 |
US7972172B2 (en) |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 |
KR101125067B1 (en) |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
US7892028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US7878850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 |
US11349262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high speed high density symmetrical contact arrangement | |
US5415566A (en)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WO2007140075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 |
CN117546374A (en) | Connector for substrate and machine | |
KR100803228B1 (en) |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
KR20160101520A (en) | Receptacle connector | |
CN113725664B (en) | Plug connector capable of being slidably inserted into socket connector | |
CN113725642B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 |
KR100794733B1 (en) | Connector | |
JP4803761B2 (en) | Connector device | |
US20120040542A1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o change arrangement of wires | |
JP2004342414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