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365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365A
KR20070090365A KR1020060019992A KR20060019992A KR20070090365A KR 20070090365 A KR20070090365 A KR 20070090365A KR 1020060019992 A KR1020060019992 A KR 1020060019992A KR 20060019992 A KR20060019992 A KR 20060019992A KR 20070090365 A KR20070090365 A KR 20070090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wiring
air conditioner
pipe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0365A/ko
Publication of KR2007009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내부배선의 훼손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배선(30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200)과, 상기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선홀더(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냉매배관, 내부배선, 배선홀더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판넬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하면판넬
112. 전면판넬 114. 전면그릴
116. 전면상부브라켓 120. 정속압축기
120'. 인버터압축기 122. 오일분리기
124. 4방향밸브 126. 밸브지지대
128. 서비스밸브 130. 과냉각기
132. 어큐뮬레이터 134,134'. 전방프레임
136. 중앙프레임 140. 좌측콘트롤박스
140'. 우측콘트롤박스 142. 전압트랜스
144. 커패시터 146. 방열소자판
146'. 방열부 148. 방열팬
150. 베리어 152. 공기안내공
154. 공기안내커버 160. 상면판넬
162. 상면토출구 164. 쉬라우드
166. 토출그릴 170. 송풍팬
172. 팬모터 174. 모터마운트
180. 실외열교환기 182. 전면열교환기
184. 후면열교환기 186. 드레인팬
188. 측면판넬 190. 후면그릴
192. 후면판넬 194. 후면상부브라켓
196. 후방프레임 200. 냉매배관
210. 실외액관 212. 실외기관
214. 고저압공통관 300. 내부배선
410. 홀더판넬 420. 배선체결부
430. 배선출입구 440. 배관체결부
450. 홀더손잡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내부배선의 훼손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최근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욕구의 증대로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이 사람이 생활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하는 기기로써,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에 형성되는 2차측유로와,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에 형성되는 1차측유로로 나뉘어지며, 1차측유로에는 증발기가 장착되고, 2차측유로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1차측유로와 2차측유로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1차측유로 및 2차측유로가 일체로 성형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다음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사무실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 사무실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살펴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액체 상태와 기체 상태로 분리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를 걸러주는 어큐뮬레이터(도시되지 않음)와, 외부의 공기와 작동 유체인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의 사이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냉매배관(20)이 연결된다.
이러한 냉매배관(20)은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되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기도 하며, 열교환되어 비교적 저온 저압의 상태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방작용을 살펴보면, 실외기에 장착되는 실외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미도시)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팽창밸브(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팽창되는 냉매는 실내기에 장착되는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로 유동된다. 이때, 작동 유체인 냉매는 상기 냉매배관(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로 유동되는 냉매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 및 액체 상태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의 냉매로 상변환된다.
상변환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통과한 다음 상기 냉매배관(20)에 의해 안내되어 다시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유동된다. 이처럼 압축기(10)의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면, 냉매 유동은 1싸이클(Cycle)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작용을 살펴보면, 냉매의 유동 및 열교환기의 작용이 반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되는 냉매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거쳐, 실내열교환기(미도시)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유동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팽창되며, 팽창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 고압의 상태인 냉매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열교환되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되며, 실외열교환기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되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실외기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10)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전선(30)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냉매배관(20)들은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됨에 따라 냉매배관(20) 자체의 온도 또한 고온으로 발열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의 냉매배관(20)에 상기 내부배선(30)이 접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상기 내부배선(30)의 수가 증가하 게 되고, 증가되는 내부배선(30)이 상기 냉매배관(20)에 접하게 되는 횟수도 증가하게 되어, 보다 많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내부배선(30)이 훼손됨에 따라 제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제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제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됨에 따라 서비스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내부배선(30)들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실외기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야기되며, 서비스시 서비스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내부 배선의 훼손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배선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과 내부배선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선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홀더는, 상기 냉매배관과 체결되는 배관체결부와, 상기 내부배선과 체결되는 배선체결부와, 상기 배선체결부의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내부배선이 출입하는 배선출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출입구는 상기 내부배선이 체결될 때 내부배선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선체결부의 외면 일부가 소정 간격으로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체결부의 절제된 양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체결부와 배선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체결부는 상기 냉매배관의 외주면과 체결되도록 냉매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판넬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 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살펴보면,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외기와 실내기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된다.
실외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110)이 최하단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하면판넬(110)의 전단부에는 전면 하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12)의 상측에는 전면그릴(11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그릴(114)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다음에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다. 상기 전면그릴(114)의 상측에는 전면상부브라켓(도 4의 116)이 구비되며, 이러한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에는 다음에 설명할 모터마운트(174)의 전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상면에는 압축기(120,120')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120,120')는 작동 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하면판넬(110) 상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압축기(120,120')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장착되어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120)와 상대적으로 좌측에 장착되어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120')로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120,120')로는 소음이 작고 효율이 뛰어난 스크롤압축기가 사용 되며, 특히 상기 인버터압축기(120')는 부하용량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되는 인버터 스크롤 압축기가 사용된다. 따라서 소수의 실내기가 사용되어 부하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먼저 인버터압축기(120')가 가동되며, 점차 부하용량이 증가하여 인버터압축기(120')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 비로소 정속압축기(120)가 가동된다.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의 출구측에는 오일분리기(1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는 압축기(120,1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속에 섞여있는 오일을 걸러내어 압축기(120,120')로 회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압축기(120,120')의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오일(oil)이 냉매와 더불어 압축기(120,120')의 출구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냉매속의 오일을 상기 오일분리기(122)에서 분리하여 압축기(120,120')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다.
상기 오일분리기(122)의 출구측에는 체크밸브(122')가 더 구비되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한다. 다시말해, 상기 정속압축기(120)나 인버터압축기(120')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정지중인 압축기의 내부로 냉매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는 냉매배관(200)에 의해 4방향밸브(124)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4방향밸브(124)의 각 포트는 상기 압축기(120,120')의 출구 또는 오일분리기(122) 및 압축기(120,120')의 입구 또는 어큐뮬레이터(132), 실외열교환기(180) 및 실내기와 연결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상면 전반부 중앙에는 밸브지지대(126)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지지대(126)는 다음에 설명할 실외액관(210), 실외기관(212), 고저압공통관(214)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서비스밸브(128)도 여기에 구비된다. 밸브지지대(126)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배관(210,212,214)들은 다음에 설명할 측면판넬(188)의 배관출입구(188')를 통해 인출되어 실내기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100)와 실내기의 사이에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흐르는 단일 배관인 실외액관(210)과, 기체 상태의 냉매가 흐르는 단일 배관인 실외기관(212)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둘 이상의 실외기 사이에는 냉매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고저압공통관(214)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은 다수의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열교환기(180)의 입구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실외기 사이의 냉매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실외기 중 사용되지 않는 실외기의 실외열교환기(180)에도 냉매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고저압공통관(214)의 내부에는 냉방 또는 난방 작용에 따라 고압 또는 저압의 냉매가 유동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내부에 유동되는 실외액관(210)과, 기체 상태의 냉매가 내부에 유동되는 실외기관(21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면판넬(110)의 상면 좌측 후단부에는 과냉각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더욱 냉각시키는 것으로, 실외열교환기(18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상기 실외액관(210)의 임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는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180)를 통 과한 냉매는 중앙부를 통해 흐르고 외부에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어큐뮬레이터(132)가 장착된다.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132)는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어큐뮬레이터(132)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 상태의 냉매만 상기 압축기(120,1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32)는 실내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기체로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20,12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20,120')에 부하가 증가되어 압축기(120,120')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132)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남아있는 냉매는 기체 상태의 냉매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132)의 하부에 저장되고, 상부의 기체 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120,120')로 유입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전단부 양측에는 전방프레임(134,1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은 상기 하면판넬(110)의 전단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데, 좌측단부에 구비되는 전방좌측프레임(134)과 우측단부에 구비되는 전방우측프레임(134')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은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 전면그릴(114) 및 다음에 설명할 콘트롤박스(140,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좌측프레임(134)과 전방우측프레임(134')의 중앙부에는 중앙프레임(136)이 좌우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프레임(136)의 하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컨트롤박스(140,14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40,140')는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컨트롤박스(140)와 상대적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컨트롤박스(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컨트롤박스(140)는 상기 전방좌측프레임(134)에 경첩(140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우측컨트롤박스(140')는 상기 전방우측프레임(134')에 경첩(140'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40,140')는 각각 전방이 개구된 사각상자 형상을 가지며, 전방은 상기 전면판넬(112)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컨트롤박스(140)에는 전압트랜스(142)와 커패시터(144) 등의 제어부품과 발열소자판(146)이 구비된다.
상기 발열소자판(146)의 후면에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지는 방열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컨트롤박스(140)의 후면 상단에는 방열팬(148)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방열팬(148)은 횡류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팬(148)이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으로 배출하게 되면 상기 방열부(146')에서의 열교환이 촉진되어 상기 발열소자판(146)이 냉각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40,140')의 측단부는 각각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에 경첩(140a,140'a)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경첩(140a,140'a)을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부품의 애프터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박스(140,1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프레임(136)에는 베리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압축기(120,120')와 컨트롤박스(140,140') 등이 설치되는 하측과, 다음에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가 설치되는 상측을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150)는 상기 컨트롤박스(140,140')와 마찬가지로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베리어(150)는 상기 중앙프레임(136)으로부터 후방으로 성형되는 수평부(150')와, 상기 수평부(15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성형되는 경사부(150")로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150) 중 좌측 베리어(150)의 수평부(150')에는 공기안내공(152)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안내공(152)의 상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공기안내커버(15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안내커버(154)는 전면과 상면이 차폐되고 후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방열팬(148)으로부터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후방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 외관은 상면판넬(160)이 형성한다. 상기 상면판넬(16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우에 쌍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면판넬(160)에는 상면토출구(1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토출구(162)의 테두리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의 쉬라우드(164)를 형성한다. 상 기 쉬라우드(164)는 상기 상면판넬(160)과 일체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라우드(164)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다음에 설명할 송풍팬(17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64)의 상측 즉, 상기 상면토출구(162)에는 상면토출구(162)과 대응되는 원형의 토출그릴(166)이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164)의 하측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70)은 하부에 구비되는 팬모터(172)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 운동으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한다. 즉, 상기 팬모터(172)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식키게 되면, 이러한 팬모터(172)의 회전축에 축결합으로 체결되는 상기 송풍팬(170)이 회전 운동하게 되어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팬모터(172)는 모터마운트(17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모터마운트(174)는 사각평판의 고정판(174')과, 이러한 고정판(174')을 지지하는 지지대(174")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74")는 좌우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지지대(174")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174')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74")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과 다음에 설명할 후면상부브라켓(194)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상면판넬(160)의 하부에는 실외열교환기(18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되어 성형되며,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에 쌍으로 설치된다. 다시말해, 상면판넬(160)의 전단부 하측에 장착되는 전면열교환기(182)와, 상면판넬(160)의 후단부 하측에 장착되는 후면열교환기(184)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열교환기(182)의 하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절곡면은 상기 전면판넬(112)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182')와, 상기 수직부(182')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성형되는 경사부(182")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82")의 하단부와 상기 후면열교환기(184)의 하단부는 인접하게 되고, 이러한 실외열교환기(180)의 하단부는 상기 하면판넬(110)과 소정의 거리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의 측면에는 상기 압축기(120,12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각 부분으로 분배하는 튜브조립체(180')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의 하단부 하측에는 드레인팬(186)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86)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여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상면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는 측면판넬(188)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판넬(188)은 상기 본체(100)의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배관출입공(188')이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면판넬(110)의 후단에는 후면그릴(190)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그릴(190)은 상기 후면열교환기(18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며, 이러한 후면그릴(190)의 하측에는 후면판넬(192)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그릴(190)의 상단에는 후면상부브라켓(194)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후면상부브라켓(194)은 후면그릴(190)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마운트(174)의 지지대(174")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면판넬(110)의 후단부 모서리에는 후방프레임(196)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19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그릴(190)과 후면판넬(192) 및 상면판넬(160)을 지지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배선홀더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냉매배관(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냉매배관(200)의 사이에는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신호를 보내게 되는 내부배선(300)들이 지나가게 된다.
상기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선홀더(400)가 구비된다. 상기 배선홀더(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대략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홀더판넬(410)과, 상기 홀더판넬(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배관(20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배관체결부(440)와, 상기 배관체결부(440)의 타측 에 구비되어 내부배선(300)이 체결되는 배선체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판넬(4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홀더판넬(410)의 우측(도 5에서 볼 때)에는 상기 배관체결부(440)가 형성된다. 배관체결부(440)는 홀더판넬(41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처럼 홀더판넬(41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방으로 함몰되는 배관체결부(440)는 상기 냉매배관(200)의 외주면과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대략 반원 형상의 기둥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홀더판넬(410)의 우반부에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상기 배관체결부(440)가 홀더판넬(410)의 우측단면과 배관체결부(440)의 우측단면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관통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배관체결부(440)의 직경은 상기 냉매배관(200)의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는 상기 배관체결부(440)가 상기 냉매배관(200)의 외주면에 체결될 때 배관체결부(440)의 내측면에 냉매배관(200)의 외측면이 억지 끼움되면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배관체결부(440)의 직경이 냉매배관(200)의 직경보다 크게 성형되면, 배관체결부(440)의 내측면에 냉매배관(200)의 외측면이 체결되어도 냉매배관(200)이 배관체결부(44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기 때문이다.
상기 배관체결부(440)의 타측에는 상기 내부배선(300)과 체결되는 배선체결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배선체결부(420)는 상기 홀더판넬(410)의 좌반부에 대략 원형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선체결부(420)는 외주면이 좌측단부가 상기 홀더판넬(410)의 좌측단부보다 우측방으로 성형된다. 다시말해, 배선체결부(420)의 좌측단부와 홀더판넬(410)의 좌측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성형된다.
상기 배선체결부(420)의 좌측단부와 홀더판넬(410)의 좌측단부 사이의 이격된 일부분은 소정의 거리를 가지면서 절단되어 성형된다. 즉, 상기 배선체결부(420)의 외주면 일부분과 홀더판넬(410)의 좌측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며, 이격되는 간격의 일부분은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된 간격의 틈으로 상기 내부배선(300)이 출입하게 되며, 절단된 틈은 배선출입구(430)가 된다.
또한,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양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배선출입구(430)의 좌측은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며, 우측은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는 것은 상기 내부배선(300)의 출입이 용이하면서 내부배선(300)과 배선체결부(420)가 체결되었을 때 내부배선(300)의 이탈을 간섭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우측 단부는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는 내부배선(300)이 배선체결부(420)에 수용되면서 체결되면, 내부배선(300)이 배선체결부(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홀더판넬(410)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냉매배관(200)과 체결되는 상기 배관체결부(440)가 성형되며, 홀더판넬(410)의 좌측단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곳에 상기 내부배선(300)과 체결되는 배선체결부(420)가 성형된다. 이러한 배선체결부(420)와 홀더판넬(410)의 이격된 사이에는 배선출입구(430)가 성형되며,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좌측과 우측은 상방과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면, 상기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은 평행하게 상기 배선홀더(400)에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배선홀더(40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배선홀더(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의 홀더판넬(410)과 상기 홀더판넬(410)에 쌍으로 천공 형성되는 배선체결부(420)와 홀더판넬(41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관체결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판넬(410)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홀더판넬(410)에 상기 배선체결부(420)가 성형되며, 배선체결부(420)와 홀더판넬(410)의 전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홀더판넬(410)의 전단부와 배선체결부(420)의 전단부 사이 간격 일부분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절단되어 상기 내부배선(300)이 배선체결부(420)와 체결될 때 출입하게 되는 배선출입구(430)가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양측단부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된다. 즉, 배선출입구(430)의 좌측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되며, 배선출입구(430)의 우측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배선출입구(430)의 양측단부를 살펴보면, 우측에 형성되는 배선출입구(430)의 좌측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되며, 배선출입구(430)의 우측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배선체결부(420)는 상기 홀더판넬(410)에 좌우 쌍으로 성형되며, 이때, 좌우 쌍으로 성형되는 배선체결부(420)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성형된다. 즉, 홀더판넬(4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홀더판넬(410)의 후단부에는 상기 배관체결부(440)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배관체결부(44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긴 반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배관체결부(440)의 가로 방향 길이는 홀더판넬(410)의 가로 방향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배관체결부(44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홀더손잡이(45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홀더손잡이(450)는 사용자가 상기 배선홀더(400)를 사용하게 될 때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되는 상기 배선홀더(400)는 상기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의 체결 방향이 수직인 경우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판넬(41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성형되는 상기 배관체결부(44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주면이 냉매배관(200)의 외주면과 접하면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배선체결부(420)는 상기 홀더판넬(410)에 상기 내부배선(30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도록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선홀더(400)의 후단부에 성형되는 상기 배관체결부(440)와 체결되는 상기 냉매배관(200)은 가로 방향(도 6에서 볼 때)으로 체결되며, 배선홀더(400)의 전반부에 성형되는 상기 배선체결부(420)와 체결되는 상기 내부배선(300)은 세로 방향(도 6에서 볼 때)으로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배선홀더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요부 구성인 배선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 유체인 냉매는 상기 냉매배관(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실외기와 실내기의 사이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 내부의 냉매 유동을 살펴보면, 실내기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20,120')로부터 압축된 다음 토출되며, 이러한 압축기(120,12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오일분리기(122)를 통과하면서 오일(oil) 이 분리되어 상기 압축기(120,120')로 회수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4방향밸브(124)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는 냉방 모드일때 응축기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냉매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과냉각기(130)를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를 통과한 냉매는 냉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Drier,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다음, 상기 실외액관(210)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120,120')를 통과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을 통해 다른 실외기로 유입되기도 한다. 고저압공통관(214)을 통해 다른 실외기로 공급되는 냉매는 정지중인 실외기의 실외열교환기(180)로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냉매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정지중인 실외기의 실외열교환기(180)를 통해서도 소정의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실외액관(210)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냉매가 유출되면,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된다. 이러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므로, 냉매는 열교환을 통해 저압 상태가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외기관(212)으로 모아진 다음,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실외기관(212)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4방향밸브(124)를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132)로 들어간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2)에서는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체 상태의 냉매는 걸러지고, 기체 상태의 냉매만 선별되어 상기 압축기(120,1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하나의 사이클(cycle)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냉매배관(200)에 상기 내부배선(300)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선홀더(400)가 사용된다.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이 동일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제품 조립자 또는 사용자는 배선홀더(400)의 전반부에 성형되는 배선체결부(420)를 파지한 다음 냉매배관(200)과 배관체결부(440)를 억지끼움으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냉매배관(200)과 배관체결부(440)가 체결된 다음 상기 배선체결부(42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배선출입구(430)를 통해 내부배선(300)을 배선체결부(420)의 내부로 밀어넣게 된다. 내부배선(300)을 배선체결부(420)에 억지 끼움으로 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배선홀더(4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선홀더(4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냉매배관(200)과 내부배선(30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된 간격에 의해 내부배선(300)은 냉매배관(200)에 의한 훼손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선홀더가 상기 냉매배관 및 내부배선에 장착되면, 냉매배관과 내부배선의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매배관과 내부배선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장착되면, 내부배선이 냉매배관에 접하여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상기 내부배선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도, 냉매배관과 내부배선이 접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내부배선의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부배선의 훼손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아니라, 내부배선의 훼손에 따른 서비스가 불필요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서비스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내부배선들이 고정되면서 정리되어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해소되며, 서비스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배선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작동 유체인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과,
    상기 냉매배관과 내부배선이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선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홀더는,
    상기 냉매배관과 체결되는 배관체결부와,
    상기 내부배선과 체결되는 배선체결부와,
    상기 배선체결부의 일측에 성형되며 상기 내부배선이 출입하는 배선출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출입구는 상기 내부배선이 체결될 때 내부배선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선체결부의 외면 일부가 소정 간격으로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체결부의 절제된 양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체결부와 배선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체결부는 상기 냉매배관의 외주면과 체결되도록 냉매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60019992A 2006-03-02 2006-03-0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90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92A KR20070090365A (ko) 2006-03-02 2006-03-0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92A KR20070090365A (ko) 2006-03-02 2006-03-0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65A true KR20070090365A (ko) 2007-09-06

Family

ID=3868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992A KR20070090365A (ko) 2006-03-02 2006-03-02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03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5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KR10076556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2645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59308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90365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8001151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KR10059308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751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22942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어큐뮬레이터
KR10058428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면판넬 결합구조
KR1005930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KR10067156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82476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KR20060082580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장착구조
KR20050079463A (ko) 공기조화기
KR2005008853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024475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오일 공급구조
KR2008005878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500813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50082477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과냉각 구조
KR20050079063A (ko) 공기조화기의 스트레이너 구조
KR101319654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