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942A -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942A
KR20070088942A KR1020060018836A KR20060018836A KR20070088942A KR 20070088942 A KR20070088942 A KR 20070088942A KR 1020060018836 A KR1020060018836 A KR 1020060018836A KR 20060018836 A KR20060018836 A KR 20060018836A KR 20070088942 A KR20070088942 A KR 2007008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server
institution server
financial institution
guaran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046B1 (ko
Inventor
장현준
Original Assignee
장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준 filed Critical 장현준
Priority to KR102006001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0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권 발행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발행기관에 설치되는 발행기관서버; 상품권을 판매하는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금융기관서버; 상품권의 지급을 보증하는 기관에 설치되는 보증기관서버;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를 연결하여 상품권 유통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통신네트워크;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로 상품권 고유코드를 전송하여 결제조회절차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품권 유통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상품권 유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행기관,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에서 상품권의 유통 및 보증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및 확인할 수 있으며, 가맹점단말기를 통해서 상품권의 위조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품권 유통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상품권, 유통, 보증

Description

상품권의 유통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유통관리 방법{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of gift certificat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의 발행 및 유통관리시스템
도 2a 내지 도 2g 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상품권의 유통 및 보증관련 정보가 상호 공유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작기관서버 20 : 발행기관서버
30 : 금융기관서버 32 : 전용단말기
40 : 금융공동망 50 : 보증기관서버
60 : 가맹점단말기 70 : 가맹점계좌
본 발명은 상품권의 발행 및 유통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행기관,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의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권 유통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권은 무기명 유가증권의 일종으로서, 소지자가 발행점 또는 가맹점에 이를 제시하면 권면에 기재되어 있는 금액 내에서 발행점 또는 가맹점이 취급하는 상품과 교환하거나 권면에 기재된 용역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품권은 발행자를 기준으로 자기발행형 상품권과 제3자 발행형 상품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의 상품권은 백화점 상품권, 제화상품권 등과 같이 발행점의 상품이나 용역만을 구매할 수 있으며, 후자의 상품권은 도서상품권, 국민관광 상품권 등과 같이 여러 가맹점의 상품이나 용역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중에서 다수의 가맹점에서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3자 발행형 상품권에 관한 것이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상품권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3자 발행형 상품권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품권은 발행자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브랜드를 홍보하고 판매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화폐와 동일한 구매력을 가지면서도 선물용 또는 경품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품권 시장은 그 규모가 연간 수 조원을 넘을 정도로 성장하였으며, 특히 최근에는 누구나 소정의 절차를 거치고 인지세를 납부하기만 하면 상품권을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수많은 종류의 상품권이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비록 상품권이 물품 또는 용역과의 교환기능을 가지기는 하지만 화폐처럼 국가차원에서 지급보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품권 발행자가 도산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상품권이 한낱 휴지 조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항상 안고 있다.
또한 현재의 상품권은 발행에서 최종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발행자가 전담하고 있기 때문에 발행자가 판매대금을 임의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품권이 부실화되거나 소비자 피해가 발행할 위험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융기관 등에 소정의 예치금을 입금하면 해당 금융기관이 지급보증을 하기도 하였으나 지급보증은 예치금 한도에서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에 소비자를 완벽하게 보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발행자의 입장에서는 지급보증을 위해 거액의 예치금을 준비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더라도 발행자 또는 판매자가 누구인지, 지급보증이 얼마나 확실한 지 여부 등에 따라 상품권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크게 차이가 나며, 이러한 신뢰도의 차이는 상품권의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대부분의 상품권을 중간유통과정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상품권이나 이와 교환되는 상품 또는 용역의 품질에 대하여 막연한 불신감이 팽배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신뢰성이 높은 고 품격의 상품권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간유통 없이 금융기관의 창구에서 판매 및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품권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발행기관,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이 온라인 상에서 상품권의 발행, 유통 및 보증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품권의 유통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유통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품권이 회수된 경우에 가맹점, 금융기관, 보증기관 간의 비용정산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산절차를 간편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품권 발행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발행기관에 설치되는 발행기관서버; 상품권을 판매하는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금융기관서버; 상품권의 지급을 보증하는 기관에 설치되는 보증기관서버;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를 연결하여 상품권 유통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통신네트워크;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로 상품권 고유코드를 전송하여 결제조회절차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는 상품권 유통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금융기관의 각 지점에는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금 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전용단말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상품권 유통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유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각 상품권에 대하여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품권이 판매되면 금융기관서버에 판매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판매정보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 금융기관으로 회수된 상품권에 대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기관으로부터 상품권 제작을 의뢰받은 제작기관의 제작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로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보증코드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 판매정보가 금융기관서버, 발행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 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포함한 결제요청신호가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금융기관서버, 발행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에서 수신한 고유코드 정보와 자신의 DB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고유코드의 일치 여부 및 이미 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사용승인신호를 전송한 이후에는 나머지 서버에 대하여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기관의 발행수수료, 상기 금융기관의 판매수수료 및 상기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가 각 기관의 계좌로 동시에 이체되어 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정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정산된 상품권에 대한 보정코드를 삭제하고, 삭제정보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권 유통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유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각 상품권에 대하여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 발행기관에서 상품권을 판매하고 상품권 판매정보를 발행기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발행기관서버에서 상기 판매정보를 상기 금융기관서버 및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 금융기관으로 회수된 상품권에 대하여 정산요청신호를 접수한 금융기관서버가 발행기관의 계좌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상품권은 다른 상품권과 구별되는 고유의 식별수단을 가지는 것이어야 하고, 이러한 식별수단은 전자적으로 인식되어 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이형 또는 카드형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식별수단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바코드 형태일 수도 있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인식되는 RF태그 형태일 수도 있으며, IC칩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코드, RF태그, IC칩 등의 형태로 각 상품권마다 인쇄 또는 부착되는 식별수단에는 다른 상품권과 식별되는 정보(이하 '고유코드')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품권의 일련번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발행 및 유통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기관서버(10),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보증기관서버(50) 및 가맹점단말기(6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는 금융공동망(40)을 통해 서로 통신하며, 가맹점단말기(60)도 금융공동망(40)을 경유하여 상기 각 서버(10,20,50)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작기관서버(10)는 상품권을 인쇄 또는 제작하는 제작기관에 설치되는 서버로서, 발행기관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으로 상품권 제작을 요청하면 상품권을 제작한 후에 각 상품권의 고유코드 데이터를 발행기관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동일 정보를 금융기관서버(30) 또는 보증기관서버(50)에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작기관은 위조를 방지하고 상품권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한국조폐공사와 같이 위조방지에 고도의 노하우를 가지는 기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민간 제작업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행기관서버(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발행 및 유통과정을 전반적으로 주관하는 상품권 발행기관에 설치된다.
발행기관은 상품권 발행업무, 유통정보관리, 보증계약, 가맹점 모집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따라서 발행기관서버(20)는 상품권 발행매수, 발행된 상 품권의 고유코드, 유통정보, 가맹점 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품권의 유통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 일시, 판매한 금융기관의 지점, 가맹점에서의 결제 일시, 결제 가맹점, 상품권 대금의 정산 일시, 정산 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결제'라는 용어는 소비자가 가맹점에 상품권을 제시하고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받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정산'이라는 용어는 가맹점에서 은행지점에 상품권을 제출하여 상품권 대금이 가맹점의 계좌로 이체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발행기관서버(20)는 보증기관서버(50)로부터 수신한 각 상품권별 보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의 유통방식은 상품권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폭넓은 판매망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로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상품권을 판매하는 한편, 발행기관이 아닌 금융기관에서 상품권 대금을 정산해주는 구조를 가진다.
즉, 발행기관은 상품권을 판매한 금융기관으로부터 상품권 판매대금에 대한 일정 비율의 발행수수료만을 지급 받을 뿐이며 상품권 판매대금은 금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다가 추후 정산과정에서 가맹점계좌로 이체된다.
따라서 종래처럼 발행기관이 상품권 판매대금을 임의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되므로 상품권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금융기관서버(30)는 이와 같이 상품권 판매 및 정산 창구의 역할을 하는 각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각 시중은행의 중앙컴퓨터와 연동되어 각 지점과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금융기관서버(30)는 제작기관서버(10) 또는 발행기관서버(20)로부터 수신한 각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각 지점으로부터 상품권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해 각 금융기관의 지점에는 본점의 금융기관서버(30)와 통신하는 전용단말기를 설치하고, 상품권을 판매할 때마다 상기 전용단말기를 통해 판매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한 후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전용단말기가 설치된 지점명과 판매일시가 함께 전송되므로 금융기관서버(30)에는 해당 상품권에 대한 새로운 유통정보가 업데이트된다.
한편, 금융기관서버(30)는 이와 같이 각 지점의 전용단말기에서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상품권 유통정보를 업데이트시킨 이후에 이를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로 전송한다. 따라서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도 금융기관서버(30)와 함께 상품권 유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금융기관의 지점에 설치되는 전용단말기는 가맹점의 점주가 금융기관의 어느 지점에 상품권을 제출하고 정산을 요구하였을 때 정산대상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하여 정산요청신호와 함께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금융기관서버(30)는 발행기관서버(20)와 마찬가지로 보증기관서버(50) 로부터 수신한 각 상품권의 보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품권의 판매 및 정산창구 역할을 하는 금융기관은 은행 등의 제1 금융기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품권의 판매 및 정산창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금융공동망(40)에 접근이 가능하다면 보험회사, 증권회사 등의 제2 금융기관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품권의 지급보증을 수행하는 보증기관과 상품권 판매 및 대금정산을 수행하는 금융기관은 서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취급한다. 따라서 특정 은행에서 보증기관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에도 상기 금융기관서버(30)와 보증기관서버(50)는 서로 구분되는 기능과 역할을 가진다.
금융공동망(40)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여러 은행의 주 컴퓨터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전국의 모든 은행과 지점이 연결된 전산망으로서 이를 통해 현금자동인출기의 공동이용, 타행환 거래, 은행간 결제, 신용정보의 공동이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은행 등의 금융기관을 상품권의 판매 및 정산 창구로 활용하고, 발행기관,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이 상품권 유통 및 보증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것이어서 시스템의 보안성이나 상품권에 대한 신뢰도를 감안할 때 이와 같이 금융공동망(4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금융공동망(40)은 일종의 통신망이므로 다른 형태의 통신망이 배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보증기관서버(50)는 발행기관과 해당 상품권에 대한 지급보증계약을 체결한 보증기관, 예를 들어 보증보험회사 등이 운영하는 서버이다.
보증기관서버(50)는 제작기관서버(10) 또는 발행기관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품권 고유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한편 각 상품권에 소정의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한다.
한편, 보증기관에서 각 상품권에 보증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지급보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에서 전자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증기관서버(50)에서 각 상품권에 보증코드를 부여한 이후에는 상기 보증코드를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거나 발행기관서버(20) 또는 금융기관서버(30)에서 보증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이 있는 때에 보증정보를 전송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증기관서버(50)도 상품권의 실시간 유통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금융기관서버(30)로부터 상품권의 판매 및 정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산이 완료된 상품권에 대해서는 보증코드를 삭제한 후, 삭제사실을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한다.
가맹점 단말기(60)는 소비자에게 상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는 단말기로서, 소비자가 제시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상품권의 진위여부 등을 조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맹점 단말기(60)는 상품권으로부터 고유코드를 인식하는 수단, 예를 들어, 바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리더, RFID기술을 이용하여 RF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RF리더, IC카드형의 상품권에 내장된 IC칩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리더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획득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금융기관서버(30) 또는 보증기관서버(50)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며, 원활한 조회를 위하여 가맹점 단말기(60)도 금융공동망(40)을 경유하여 금융기관서버(30) 또는 보증기관서버(50)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품권의 발행 및 유통관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발행기관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제작기관에 소정 매수의 상품권 제작을 의뢰하며, 제작기관에서는 전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고유코드가 포함된 상품권을 제작하여 판매기관인 금융기관으로 배송한다.
이때 제작기관서버(10)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의 고유코드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로 전송하며,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는 수신한 데이터를 자체 DB 또는 이와 연동하는 DB에 저장한다.
제작기관 서버(10)는 상품권제작을 의뢰한 발행기관서버(20)에만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발행기관서버(20)에서 이를 다시 금융기관서버(30) 또는 보증기관서 버(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고유코드를 포함한 상품권 발행정보를 수신한 보증기관서버(5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품권마다 보증코드를 부여하며, 일단 부여된 보증코드는 상품권 대금이 정산된 이후에 삭제된다.
그런데 보증기관서버(50)에서 각 상품권에 보증코드를 부여하여 각 상품권에 지급보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의 DB에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증기관서버(50)에서 보증코드를 부여한 이후에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로 보증코드를 포함한 보증관련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보증코드를 전송하지 않고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또는 가맹점 단말기(60)이 보증기관서버(50)로 개별 상품권에 대한 보증조회를 요청하면 이에 대하여 조회결과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제작기관에서 금융기관으로 배송된 상품권은 금융기관의 각 지점에서 판매되며, 금융기관의 각 지점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전용단말기(32)를 구비하고 있어 상품권의 판매정보는 전용단말기(32)를 통해서 자사의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전용단말기(32)가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는 상품권 판매정보는 판 매일시, 판매지점명 등을 포함하며, 금융기관서버(30)는 상품권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DB를 업데이트시킨 후에 상품권 판매정보를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로 전송함으로써 판매정보를 공유한다.
이때 금융기관에서 상품권을 판매하고 수령한 대금은 해당 금융기관에서 정산시점까지 보유하며, 대금 중 일부는 발행기관의 발행수수료,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 금융기관의 판매수수료 등의 명목으로 정산된다.
상기 수수료의 정산시점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 판매대금을 수령한 직후에 이루어 질 수도 있으나, 상품권 1매가 판매될 때마다 정산절차를 거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도 있으므로 소정 기간 동안 누적된 판매대금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정산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맹점에서 금융기관 점포에 상품권을 제출하고 정산하는 과정에서, 즉 가맹점 계좌로 정산대금을 이체할 때에 해당 상품권에 대한 발행기관의 발행수수료,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 금융기관의 판매수수료를 일괄적으로 정산할 수도 있다.
한편, 제작기관에서 제작한 상품권의 일부는 발행기관의 영업망을 통해 판매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발행기관서버(20)에 해당 상품권의 판매정보를 등록시키는 한편, 발행기관서버(20)에서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로 해당 상품권의 판매정보를 전송하여 관련 데이터를 갱신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상품권을 구매한 소비자는 가맹점에서 상품 또는 용역을 구매하고 상품권으로 결제를 한다. 이 과정에서 가맹점에 비치된 가맹점 단말기(60)를 통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품권에 대한 소정의 결제조회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제조회 절차는 가맹점 단말기(60)를 통해 상품권에 인쇄 또는 부착된 식별수단으로부터 고유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고유코드를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여 상품권의 진위여부 및 사용가능 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금융기관서버(30)가 DB를 검색하여 수신한 상품권 고유코드와 동일 코드가 존재하는지, 해당 코드의 상품권이 이미 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조회결과를 가맹점 단말기(6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위조된 것이거나 또는 이미 사용된 상품권이라는 정보가 가맹점 단말기(60)로 전송되면, 가맹점에서는 해당 상품권의 수령을 거부함으로써 위조 상품권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가 상품권의 발행, 유통 및 보증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데 특징이 있으므로 금융기관서버(30)이외에도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에서도 이러한 결제조회서비스(점선으로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품권 대금을 정산해주는 금융기관을 통해 결제조회 절차를 거치는 것이 가맹점 입장에서는 보다 신뢰성 있는 상품권 유통구조로 인식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60)의 결제조회 요청에 대하여 금융기관서버(30)가 가맹점 단말기(60)로 승인신호 또는 사용가능신호를 전송한 이후에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기관서버(30)가 결제정보(예를 들어, 결제일시, 결제가맹점 등)를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로도 전송하여 상품권 유통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소비자가 구입 후 환불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가맹점 단말기(60)에는 승인취소 또는 결제취소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며, 가맹점 단말기(60)에서 승인취소 또는 결제취소신호가 전송되면 금융기관서버(30)는 결제정보를 갱신시키는 한편 이를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에도 전송하여 결제가 취소된 것으로 업데이트시켜야 한다.
상품권 결제를 통해 상품 또는 용역을 판매한 가맹점은 금융기관의 지점을 방문하여 상품권을 제시하고 대금정산을 요청한다.
대금정산이 요청되면 각 금융기관의 지점에서는 전용단말기를 통해 정산대상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하여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며, 금융기관서버(30)에서는 상품권 DB에서 판매관련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권이 자사 지점에서 판매한 것인지, 타사 지점에서 판매한 것인지 아니면 발행기관에서 판매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사 지점에서 판매한 것이면 자사가 수령한 판매대금 중에서 발행기관의 발행수수료,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 및 금융기관의 판매수수료를 제외한 소정 금액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계좌(70)로 이체하여 정산을 완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과정에서 각 기관의 수수료를 동시에 정산할 수도 있다.
한편, 정산대상 상품권이 타사 지점에서 판매된 것이면, 타사에서 상품권 판매대금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자사의 금융기관서버에서 타사의 금융기관서버(30)로 정산요청을 하여 타사의 금융기관서버(30)에서 가맹점계좌로 정산대금을 이체시키도록 한다. 이때 자사에서 가맹점 계좌로 먼저 대금을 이체시킨 이후에 일정 주기마다 타사와 대금 정산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발행기관에서 판매된 것이면 발행기관에서 판매대금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금융기관서버(30)에서 발행기관의 계좌로부터 가맹점 계좌로 정산대금을 이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행기관의 계좌로부터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 및 금융기관의 취급수수료를 실시간으로 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산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금융기관서버(30)는 정산결과를 자신의 DB에 저장하고, 발행기관서버(20) 및 보증기관서버(50)로 정산결과를 통지하여 각 기관에서 해당 상품권의 정산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금융기관서버(30)로부터 상품권 정산정보를 수신한 보증기관서버(50)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품권과 관련한 데이터에서 자신이 부여한 보증코드를 삭제하여 해당 상품권에 대한 보증을 종료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보증코드가 삭제되면 이 사실을 발행기관서버(20) 및 금융기관서버(30)로 전송하여 해당 상품권 관련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따라서 가맹점단말기(60)에서는 결제조회시에 발행기관서버(20) 또는 금융기관서버(30)를 통해 해당 상품권에 대한 보증여부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품권에 대한 신뢰성 및 유통의 안정성이 제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맹점마다 가맹점단말기(60)를 설치하는 것은 상품권의 위조여부 및 보증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상품권 유통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행기관서버(20), 금융기관서버(30) 및 보증기관서버(50)에서 상품권 유통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들 기관간에 수수료정산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한다는 측면에서는 가맹점단말기(6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내용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내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행기관,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에서 상품권의 유통 및 보증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및 확인할 수 있으며, 가맹점단말기를 통해서 상품권의 위조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품권 유통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발행기관은 상품권 판매대금에서 발행비용 등의 소정의 수수료만을 지급받 기 때문에 상품권 판매대금을 임의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되므로 상품권의 부실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상품권 발행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발행기관에 설치되는 발행기관서버;
    상품권을 판매하는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금융기관서버;
    상품권의 지급을 보증하는 기관에 설치되는 보증기관서버;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를 연결하여 상품권 유통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통신네트워크;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로 상품권 고유코드를 전송하여 결제조회절차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상품권 유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의 각 지점에는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는 전용단말기가 설치되는 상품권 유통시스템
  3. 제1항의 상품권 유통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유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각 상품권에 대하여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품권이 판매되면 금융기관서버에 판매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판매정보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
    금융기관으로 회수된 상품권에 대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기관으로부터 상품권 제작을 의뢰받은 제작기관의 제작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로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보증코드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판매정보가 금융기관서버, 발행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 저장된 이후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포함한 결제요청신호가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금융기관서버, 발행기관서버 또는 보증기관서버에서 수신한 고유코드 정보와 자신의 DB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고유코드의 일치 여부 및 이미 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보증기관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사용승인신호를 전송한 이후에는 나머지 서버에 대하여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발행기관의 발행수수료, 상기 금융기관의 판매수수료 및 상기 보증기관의 보증수수료가 각 기관의 계좌로 동시에 이체되어 정산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서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정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정산된 상품권에 대한 보정코드를 삭제하고, 삭제정보를 상기 발행기관서버 및 금융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10. 제1항의 상품권 유통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유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행기관서버, 금융기관서버 및 보증기관서버에서 발행된 상품권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상기 보증기관서버에서 각 상품권에 대하여 보증코드를 부여하고 저장하는 단계;
    발행기관에서 상품권을 판매하고 상품권 판매정보를 발행기관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발행기관서버에서 상기 판매정보를 상기 금융기관서버 및 상기 보증기관서버로 전송하여 상품권 관련정보를 갱신시키는 단계;
    금융기관으로 회수된 상품권에 대하여 정산요청신호를 접수한 금융기관서버가 발행기관의 계좌에서 가맹점 계좌로 상품권대금을 이체하여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권의 유통관리방법
KR1020060018836A 2006-02-27 2006-02-27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KR10085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36A KR100856046B1 (ko) 2006-02-27 2006-02-27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36A KR100856046B1 (ko) 2006-02-27 2006-02-27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942A true KR20070088942A (ko) 2007-08-30
KR100856046B1 KR100856046B1 (ko) 2008-09-02

Family

ID=3861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836A KR100856046B1 (ko) 2006-02-27 2006-02-27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875B1 (ko) * 2020-07-16 2021-12-01 주식회사 무노스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골프장 결제 대행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28B1 (ko) 2020-03-02 2020-08-04 김민우 온라인 상품권 직거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441A (ko) * 2000-09-08 2002-03-15 손한식 위조 방지형 상품권을 이용한 지불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8670A (ko) * 2001-07-19 2003-0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의 상품권 운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상품권의 발행/결재 및 이체 방법
KR20050087768A (ko) * 2005-08-11 2005-08-31 정진규 상품권 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875B1 (ko) * 2020-07-16 2021-12-01 주식회사 무노스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골프장 결제 대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46B1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430B1 (ko) 전자증권을 이용한 전자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074564A (zh) 使用记录保证即时支付的方法和系统
KR102144529B1 (ko)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금융거래 시스템
US8290858B1 (en) Method for issuing and managing debit gift cards
US20080105739A1 (en) Electronic money system and transaction method using the same
EP3018619A1 (en) Electronic certificate-based funds receipt and payment system
TW200830211A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 stored value device
CN106537433A (zh) 用于收回可退税款的系统和方法
RU2002124618A (ru) Электронный способ перевода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KR20130050960A (ko) 네트워크 보안 선불 시스템
AU2007241705B2 (en) New concept card and sel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urchaser using the card
KR20000059058A (ko) 통합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100856046B1 (ko) 상품권의 유통관리 방법
KR20200093918A (ko) 택스 리펀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4677B1 (ko) 잔액 차감되는 모바일 상품권의 운영 및 관리 시스템
US20080048019A1 (en) System for Paying Vendor Goods and Services by Means of Prepaid Buying Tickets
KR20190135763A (ko) 블록체인 기반의 지급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189632B2 (ja) 外国人税金還付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33658B1 (ko) 암호화폐 투자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00054140A (ko) 알에프 카드의 결제 및 충전 일체화 시스템
KR20030044475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소액대출 서비스 방법
CA3068354A1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KR102430287B1 (ko)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836937B1 (ko) 자기앞수표 직불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49332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