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540A -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540A
KR20070087540A KR1020070077568A KR20070077568A KR20070087540A KR 20070087540 A KR20070087540 A KR 20070087540A KR 1020070077568 A KR1020070077568 A KR 1020070077568A KR 20070077568 A KR20070077568 A KR 20070077568A KR 20070087540 A KR20070087540 A KR 2007008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location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7007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540A/ko
Publication of KR2007008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540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를 인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정보 또는 광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기반, 유선 네트워크, 무선통신장치

Description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by Using Wire Network}
도1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위치기반 정보제공 서버 및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와 상관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주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구현되어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기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도4는 위치기반 정보제공 서버 내에 탑재되어 있는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배너 형태의 위치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브라우저(또는 팝업) 형태의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웹서버 105 : 번호 데이터 확인부
110 : 위치정보 확인부 115 : 위치기반정보 제공부
120 :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 125 :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
130 : 위치정보 제공서버 135 : 클라이언트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웹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접속 위치를 파악하여,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적절한 위치기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및 핸드폰 등의 보급률 확대로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적어도 하나쯤은 무선통신장치를 소유하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최근에 두각을 보이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위치추적 기술은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등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GPS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 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과,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등이 가능하다.
먼저, GPS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은 24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시간에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위치 추적 기술로써, 최근 GPS 위선 신호에 포함되었던 고의적 오차(Selective Availability)가 제거됨으로써, GPS 기반 무선 측위의 정확도 및 실용 가능성이 향상되었으며, 안테나의 재설계 및 다중상관기를 이용한 다중경로의 완화와 의사위성 또는 통신망의 결합에 의한 도심에서의 DOP(Dilution Of Precision) 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며, 첫 번째는 저전력의 GPS 칩셋을 무선 단말기에 내장하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GPS 모듈을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GPS가 탑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자체에서 위치를 구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3분~10분에 이르는 GPS의 긴 워밍업 시간을 없애기 위해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에서 위성궤도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전달하고, 무선 단말기는 위성으로부터의 의사거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짧은 시간 안에 구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로,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고, 고정되어 있는 기지국(BS;Base Station)에서 무선 단말기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2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위치 추적 기술이다.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신호의 전달 시간을 상관기와 DLL(Delay Lock Loop)을 통해 계산하며,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기지국에 전송하는 시각의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경우, 기지국마다 설정되어 있는 PN(Pseudo random Noise) 코드를 신호 처리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와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게 되면, 삼각 측량법에 의해 무선 단말기에 대한 2차원 위치 정보를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전파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Backward Link)에는 TOA(Time Of Arrival),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Forward Link)에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방법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위치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그 시스템의 내부적으로 다양한 기술의 결합, 시스템의 복잡성, 사용자의 보안 요구, 그리고, 실시간 정보 제 공 등의 특성을 지니고 는 있지만, 현재의 무선 인터넷은 제공 가능한 정보량과 속도에 있어서, 유선 인터넷에 비해 그 대역폭(bandwidth)이 매우 좁으며, 또한, 무선통신장치 화면의 크기나 조악한 키 패드에 있어서도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유무선을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웹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번호 데이터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요청하고,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접속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 또는 광고를 추출하고, 클라이언트의 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기반정보(광고 포함)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 및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를 인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정보 또는 광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의 추출은 기 저장되어있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을 수도 있음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고 있는 웹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내에 구축이 가능함을 명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웹서버에 접속을 실시하고, 상기 단말기를 운용하는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번호 데이터를 확인 및 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어느 지역(곳)에서 상기 웹서버에 유선 네트워크 접속 을 실시하였는지 GPS 및 통신망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추적 방법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운용하는 클라이언트가 본인의 무선통신장치를 반드시 소지하고 있을 경우에만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나, 무선통신장치의 높은 보급률과 무선통신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클라이언트가 본인의 무선통신장치를 거의 항상 소지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본 발명이 구현됨을 밝힌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등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웹서버에 접속을 실시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통신장치를 의미하며, GPS를 통한 위치추적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통신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유선 접속 위치 파악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파악된 유선 접속 위치와 근접한 또는 관련된 음식점, 상점, 극장, 역 등에 정보 및 이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역 내의 쿠폰정보 및 세일정보 등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현재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까지의 길 안내(최단거리안내 등), 주변 교통상황 및 교통수단(버스 및 택시 등) 등에 대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유선 접속 위치 파악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되는 광고는 상기 기술한 위치기반 정보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광고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 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1은 클라이언트(135) 단말기와 웹서버(100) 및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와 상관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주구성도이다.
웹서버(100)는 클라이언트(135)의 단말기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를 운용하는 클라이언트(135)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및 클라이언트(135)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확인하여 추출하고, 이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위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135)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웹서버(100)는 수신한 위치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상기 위치는 클라이언트(135)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135)에게 다양한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번호 데이터 확인부(105), 위치정보 확인부(110),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 및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각 부들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번호 데이터 확인부(105)는 상기 웹서버(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를 운용하는 클라이언트(135)의 접속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번호를 확인 및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를 통해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통신장치 번호의 확인은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상기 웹서버(100)를 운영하는 웹사이트 등에 회원일 경우에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등에 포함 가능한 개인정보(아이디, 주민등록번호 등) 등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의 확인이 가능하지만, 회원이 아닐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로부터의 번호 데이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웹서버(100) 내의 위치정보 확인부(110)는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와 연동을 하며, 상기 번호 데이터 확인부(105)를 통해 확인된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110)는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부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 내의 지적도 데이터와 매칭시켜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소유한 클라이언트(135)의 유선 접속 위치 및 주변 정보 파악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는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파악된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기 구비된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단말기로 (위치기반정보를 포함하는)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정보의 제공은 클라이언트(135)의 접속 및 위치 파악이 이루어진 후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를 통해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로 제공되는 위치기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35) 단말기의 유선 접속 위 치에 기반한 음식점 및 상점 정보, 극장, 역 등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 등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역 내의 쿠폰정보 및 세일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까지의 길 안내 및 주변 교통상황, 교통수단(버스 및 택시 등) 등에 대한 정보 등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는 클라이언트(135)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특정 이벤트, 회사(상점 등을 모두 포함) 등에 대한 광고를 상기 웹서버(100)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135)의 단말기로 배너, 텍스트, 팝업 및 동영상 등을 매체로 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상기 웹서버(100) 내의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는 클라이언트(135)의 아이디,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무선통신장치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는 본 발명을 원활한 실시를 위해 클라이언트(135)에게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모든 지역에 대한 위치기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써, 상기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기반 관련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하는 클라이언트(135)의 접속위치정보와 매칭되어 보다 정확한 클라이언트(135) 접속위치 및 주변 지리정보 등을 파악하기 위한 지적도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상기 웹서버(100) 내의 위치정보 확인부(110)와 연동하며,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110)로부터 전송되는 클라이언트(135)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위치 데이터를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을 이용한 위치추적이나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파일럿 신호 등을 통한 통신망 기반의 위치추적이 모두 가능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먼저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를 파악하여 해당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추적을 GPS 기반의 위치추적 방법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추적 방법으로 할 것인가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방법들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들을 적절하게 변환 및 가공처리하여 본 발명을 원활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 트(135) 인증에 대한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상기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추적을 실시하게 되고, 확인된 무선통신장치 위치(수치적 데이터)를 위치정보 확인부(110)로 전송하여 웹서버(100)가 보다 용이하게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를 파악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를 통해 클라이언트(135)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 측위 방법에 GPS 기반 및 통신망 기반의 측위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해당 무선통신장치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망 방식의 측위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무선 측위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단말기의 핸드오프를 처리하기 위해 기지국에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단말기 정보를 바탕으로 발신 단말기에 대한 대략적인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기에, 무선통신장치의 무선 측위 기술을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무선 측위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클라이언트(135)는 상기 웹서버(100)로의 유선 접속을 위한 단말기를 통해 접속을 실시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135)는 본인의 무선통신장치를 소지하고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는 인터넷 등의 접속이 가능한 PC 등의 컴퓨팅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보다 정확한 위치추적을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 등을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35)의 유선 접속 위치를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파악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빠르고, 많은 위치기반정보 및 다양한 광고 등을 클라이언트(13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이 구현되어 접속한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를 통해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기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간단한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135) 단말기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에 접속을 실시하게 되면(200), 상기 웹서버(100)는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의 회원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205). 상기 회원 데이터의 검색은 본 발명에 따라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위해,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번호를 확인하기 위 해 실시 가능하다.
만약 상기 웹서버(100)에 클라이언트(135)의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등이 기 구축이 되어 있다면(210),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에 포함된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를 확인한다(215). 그러나,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등이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면(220), 상기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로 위치추적을 위한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여(225),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230).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획득하면, 상기 웹서버(100) 내의 위치정보 확인부(110)는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에 상기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전송하여 위치추적정보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한다(235).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위치정보 확인부(110)로부터 번호 데이터 및 위치추적정보 요청을 접수하고, GPS 또는 통신망 기반 및 기타 무선 측위 방법을 통해 위치추적을 실시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240).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로부터 요청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가 생성이 되면,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로 생성된 위치정 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245). 웹서버(100)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와의 연동을 통해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250).
상기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가 파악이 되면, 파악된 클라이언트(135) 유선접속 위치를 참조하여 위치기반정보 또는 광고 등을 추출하고(255), 이를 클라이언트(135) 유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한다(260).
도면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한 간단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흐름은 클라이언트(135)(단말기 및 무선통신장치), 웹서버(100) 및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간에 이루어지며, 본 도면은 이러한 데이터 흐름을 간략하게 순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무선통신장치를 소지한 클라이언트(135)가 유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100)에 접속을 실시하면(300), 상기 웹서버(100)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20)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305).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확인이 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 상기 무선통신장치 데이터를 전송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된다(310).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는 GPS 및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한 위치추적을 실시하여(315)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파악하여 웹서버(100)로 전송하고(320), 상기 웹서버(100)는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325).
클라이언트(135) 단말기 유선접속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접속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또는 광고를 추출하여(330) 클라이언트(135)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고(335), 클라이언트(135)는 유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송되는 정보 및 광고를 획득하여 이용하게 된다(340).
도면4는 웹서버(100) 내에 탑재되어 있는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에 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는 웹서버(100) 내에서 위치정보 확인부(110) 및 위치기반정보 제공부(115)와 연동되어,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정보파악을 돕는 기능 및, 상기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위치기반정보 데이터 베이스(125)는 클라이언트(135)에게 제공 가능한 음식점, 상점, 극장, 교통수단, 주변 교통상황 및 쿠폰이나 기타 광고 등을 포함하는 위치기반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그 외에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클라이언트(135)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와 연계하여 정확한 위치정보 및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접속한 위치의 주변 지리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지적도 데이터 등을 탑재하여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 등을 확인하도록 돕는다.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에게 배너 형태의 위치기반 광고를 제공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서버(100)는 클라이언트(135)가 유선으로 접속한 위치를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소유하고 있는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통해 파악한 후, 상기 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유용한 정보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은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135)의 유선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또는 광고의 제공이 가능한 웹서버(100)를 포함하는 웹사이트(본 도면에서는 포털사이트를 예로 도시함)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의 로그인을 통해, 상기 웹서버(100) 내에 포함 가능한 회원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확인한 후에,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 전송, 상기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135)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유선 접속한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웹사이트 내에 배너 형태로 상기 유선접속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광고 등을 제공해주는 간단한 일예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35)는 상기 웹사이트 로그인 접속을 실시함과 동시에, 본인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광고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클라이언트(135)의 동의 없이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추적을 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기술하지 않고 있지만, 상기 웹사이트 가입 시 등에 웹사이트 약관이나,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사전동의가 있어야 할 것은 자명한 일임을 밝힌다.
또한, 상기 광고 등의 제공 방법은 본 발명에서 도시한 것처럼 배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팝업(pop-up)이나 텍스트, 동영상, 플래시 등의 다양한 광고기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35)에게 브라우저(또는 팝업) 형태의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 다.
본 도면은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35)가 로그인을 실시한 후에,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유선 단말기 상에 위치기반 정보가 제공되는 일예시도로써, 클라이언트(135) 로그인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를 위치추적 정보제공 서버(130)와 연동하여 클라이언트(135)의 유선 접속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35)에게 적절한 위치기반 정보를 새 창 또는 팝업 형태로 제공하는 간단한 일례에 관한 것이다.
본 도면에서 클라이언트(135)에게 제공되는 위치기반 정보를 살펴보면, 상기 클라이언트(135)의 위치 파악에 따라, 쿠폰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공되는 정보보다 상위 정보를 원한다면, `상위` 버튼의 클릭을 통해 상위 카테고리 정보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135)가 `쿠폰`정보가 아닌 다른 정보를 원한다면, 상기 `상위`버튼을 누름으로써 `쿠폰`을 포함하고 있는 상위 카테고리로 이동한다. 또한, 클라이언트(135)가 본인의 현재 위치보다 더 넓은(상위) 지역(예: 역삼의 상위지역은 강남)의 정보를 원한다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현재 위치 표시란 옆의 `상위`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접속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적절한 위치기반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위치기반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보다 많은 정보량과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크기나 입력 수단, 편의성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유용하게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서버에서 유선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장치 번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통신장치 위치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위치 기반 정보 또는 광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접속 위치와 근접한 또는 관련된 음식점, 상점, 극장, 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지리적인 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접속 위치 지역 내의 쿠폰정보 또는 세일정보와,
    상기 파악된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접속 위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위치까지의 길 안내 정보 또는 주변 교통상황 정보, 또는 교통수단(버스 및 택시 등)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정보 제공방법.
KR1020070077568A 2007-08-01 2007-08-01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KR2007008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68A KR20070087540A (ko) 2007-08-01 2007-08-01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68A KR20070087540A (ko) 2007-08-01 2007-08-01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05A Division KR20040012121A (ko) 2002-08-01 2002-08-01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540A true KR20070087540A (ko) 2007-08-28

Family

ID=3861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568A KR20070087540A (ko) 2007-08-01 2007-08-01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7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al et al. Implementation of location based services in android using GPS and web services
Vaughan-Nichols Will mobile computing's future be location, location, location?
KR100516970B1 (ko) MS-Based GPS 방식을 이용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US9420453B2 (en) Correlating and mapping mobile device locations on a mobile device
US7515917B2 (en) Efficientl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methods
JP4074277B2 (ja) 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及びサーバ
US8374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Tsalgatidou et al. Mobile e-commerce and location-based services: Technology and requirements.
US20090075675A1 (en) Method of location based service and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8244832B1 (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website providers
Mountain et al. Positioning techniqu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LB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proposed solutions
KR20120051636A (ko) 디지털 지도의 표시
US201301500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KR20060119476A (ko) Lbs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그 장치를포함하는 시스템
Dibdin Where are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s?
Asghar et al. A review of location technologies for wireless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US20120034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wing dynamic loc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KR20040012121A (ko)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2388A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US20140278915A1 (en) Providing promotional content
Milla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llular network—an overview
KR20070087540A (ko)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방법
KR20070082911A (ko)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60011298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077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소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4

Effective date: 201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