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445A -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 Google Patents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445A
KR20070087445A KR1020060017858A KR20060017858A KR20070087445A KR 20070087445 A KR20070087445 A KR 20070087445A KR 1020060017858 A KR1020060017858 A KR 1020060017858A KR 20060017858 A KR20060017858 A KR 20060017858A KR 20070087445 A KR20070087445 A KR 2007008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uct
booth
connector
booth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91423B1 (en
Inventor
김동욱
남석현
허성수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423B1/en
Priority to CN2006800531803A priority patent/CN101421892B/en
Priority to PCT/KR2006/001259 priority patent/WO2007097490A1/en
Publication of KR2007008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Abstract

A bus duct and a bus duct system with a tube for an optical fiber are provided to monit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us duct and a bus duct connection devic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through optical fiber in real time. A bus duct with a tube for an optical fiber includes an upper duct(102), a lower duct(103), a side duct(105), a bus bar, a connecting unit(110), an installing device(120), and a tube(130). The bus bar is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upper duct(102), the lower duct(103), and the side duct(105). The connecting unit(11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us duct(100). The installing device(120) is coupled with the upper duct(102) and the lower duct(103) through an assembling bolt. The tube(130) is guided by the installing device(120).

Description

광섬유 안내용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having a releas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동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Fig. 2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having the same typ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접속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ans of the booth duct having the same typ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가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booth duct provided with the release connection part by a prior art connects.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booth duct having a release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형 접속부를 구비한 부스 덕트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booth duct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7.

도 9는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조립되는 설치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means assembled to the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도 11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tallation means shown in FIG. 11. FIG.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A line of the installation means shown in FIG.

도 12a는 도 11a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A line of the installation means shown in FIG. 11A.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조립되는 설치 수단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means assembled to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a는 도 13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means shown in FIG. 13. FIG.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조립되는 설치 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installation means assembled to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는 도 14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tallation means shown in FIG. 14.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조립되는 설치 수단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installation means assembled to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5a는 도 15에 도시한 설치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means shown in FIG. 15. FIG.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 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16 is a schematic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는 도 16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1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6.

도 17b는 도 17a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17A.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연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8 to 21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다른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21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ate of the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다른 연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22 to 24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nection process of the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서 튜브의 또 다른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ate of the tube in the booth duct with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b는 도 24a에서 튜브만을 도시한 것이다.FIG. 24B shows only the tube in FIG. 24A.

도 25 내지 도 33은 튜브의 접속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5 to 3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tube.

도 34는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or with bellow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200 : 부스 덕트 102, 202 : 상면 덕트100, 200: booth duct 102, 202: top duct

103, 203 : 하면 덕트 105, 205 : 측면 덕트103, 203: lower surface duct 105, 205: side duct

107, 207 : 부스바 108 : 조립볼트107, 207: busbar 108: assembly bolt

109 : 보강볼트 110, 210 : 접속부109: reinforcement bolt 110, 210: connection

120 : 설치 수단 130 : 튜브120: installation means 130: tube

300 : 접속부 튜브 310 : 커넥터300: connection tube 310: connector

310e : 벨로우즈 500 : 접속 나사310e: Bellows 500: connection screw

본 발명은 전력 배선용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부스 덕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광섬유를 안내하는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부스 덕트에 광섬유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및 상기 부스 덕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h duct system formed by connecting a power wiring booth duct and a booth duct. More particularly, the optical fiber may be easily installed in the booth duct by providing a tube for guiding the optical fiber inside or outside the booth duct. It relates to a booth duct provided with a tube and a booth duct system formed by connecting the booth duct.

전력 배선 방식으로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일반적이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으로는 부스바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부스 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과 비교하여 볼 때, 부스 덕트는 대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금속 덕트로서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증설과 이설이 가능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처리가 용이하며, 계통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a power wiring method, a wiring method using an electric wire cable is common, but as a wiring method of a high-rise building or a large factory, a wiring method using a booth duct having a bus bar is adopted. Booth ducts and cable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have conductors and insulators, but compared to cables, booth ducts can carry large amounts of current through the conductors, and as metal ducts, they can protect conductors and insulators.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relocate, easy to deal with accidents, and easy management of the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600)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동형 접속부(710)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700)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동형 접속부를 구비한 부스 덕트(7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25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600 having a releas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700 having a same connection 710.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ans 250 for connecting the booth duct 700 with the same type connecting portion to each other.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600)는 덕트부(601)와, 상기 덕트부(601)의 양단에 형성된 암형접속부(610) 및 수형접속부(620)로 이루어지며, 덕트부(201)는 접속나사(5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나사부(609)에 의하여 보강되는 구조이다.The booth duct 600 having the release connection part as shown in FIG. 1 includes a duct part 601, a female connection part 610 and a male connection part 6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duct part 601. , The duct portion 201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screw 500 and is reinforced by a reinforcing screw portion 609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700)는 덕트부(701)와, 상기 덕트부(701)의 양단에 형성된 동일 형상의 접속부(7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덕트부(701)는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나사부(709)에 의하여 보강되는 구조이다.The booth duct 700 having the same type connection part as shown in FIG. 2 includes a duct part 701 and a connection part 710 having the same shap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uct part 701. 701 is a structure that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screw portion 709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ide.

도 1 및 도 2에서 에서 미설명 부호 602와 702는 상면 덕트를, 603과 703은 하면 덕트를, 605와 705는 측면 덕트를, 608과 708은 상기 덕트롤 조립하기 위한 조립볼트를 도시한 것이다.In FIGS. 1 and 2, reference numerals 602 and 702 denote upper ducts, 603 and 703 indicate lower ducts, 605 and 705 side ducts, and 608 and 708 show assembly bolts for assembling the duct rolls. .

상기 부스 덕트(600, 700)는 덕트부(601, 701) 내에 전력을 전달하는 부스바(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The booth ducts 600 and 700 have bus bars (not shown)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into the duct parts 601 and 701.

도 3은 동형 접속부를 구비한 부스 덕트(700)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접속수단(250)을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connection means 250 for connecting the booth duct 700 with the same type connection to each other.

도 4 및 도 5는 상기 이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600)를 연결하는 상태 및 연결 상태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스 덕트(600)의 암형접속부(610)는 다른 부스 덕트(600)의 수형접속부(620)와 서로 접속되며,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차폐를 위하여 접속부에 차폐수단(650)을 조립 설치한다.4 and 5 are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and a connection state of the booth duct 600 having the release connection par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emale connection part 610 of one booth duct 600 is connected to the male connection part 620 of another booth duct 600 and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in the connected state. In order to assemble the shielding means 650 to the connection portion.

도 6은 상기 동형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700)를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 덕트(700) 사이에 접속수단(250)을 위치시켜 접속되는 부스 덕트(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FIG. 6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oth duct 700 having the sam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and as shown in FIG. 6, a connection means 25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oth ducts 700. Electrically connect the booth duct 700.

상기와 같이 부스 덕트(600, 700)를 연결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경우, 전기 저항은 접속부에서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부스 덕트(600, 70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연결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고, 과다 상승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화재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으로 광섬유가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the booth ducts 600 and 700 to transfer power, the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at the connection part, and thus heat is generated at the part to which the booth ducts 600 and 700 are connect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nnection part is increased. Ascending, excessive rise may cause a fi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fire by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and generally optical fiber is used as a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스 덕트(600, 700)는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인 광섬유를 부스 덕트(600, 70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ooth ducts 600 and 700 as described above are not easily installed in the booth ducts 600 and 700 as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means must be provided to install the optical fibers. .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스 덕트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광섬유를 안내하는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부스 덕트를 연결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광섬유를 부스 덕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할 수 있는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ooth duct and booth duct system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tube for guiding the optical fiber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ooth duct, simply connecting the booth du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oth duct and a booth duct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ooth du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부스 덕트 외측에 구비하는 부스 덕트는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와, 측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 하면 덕트, 측면 덕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 그리고 양단에 형성된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 덕트 또는 하면 덕트에 조립볼트로 체결되는 설치 수단과, 상기 설치 수단에 안내되어 설치되는 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side the booth duct is provided in a space formed by an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 side duct, and the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nd a side duct. Bus bar and th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both end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tallation means for fastening the assembly bolt to the upper duct or lower duct, and a tube guided to the install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부스 덕트 외측에 구비하는 다른 부스 덕트는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와, 측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 하면 덕트, 측면 덕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와, 상기 측면 덕트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강볼트를 구비하고 양단에 접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볼트에 설치되는 설치 수단과, 상기 설치 수단에 안내되어 설치되는 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booth duct includ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side the booth duct includes a bus bar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an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 side duct, the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nd a side duct, and the sid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bolt is installed in the du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the installat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reinforcement bolt, the tube guided to the installation means.

상기에 있어서, 설치 수단은 고정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튜브안내홀 또는 튜브안내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the above, the install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ody formed with a fixing hole, and at least one tube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tube guide hole or a tube guide groove,

상기 설치 수단은 본체 양측으로 튜브안내홀 또는 튜브안내홈이 형성된 튜브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tall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be guide portion formed with a tube guide hole or a tube guide groov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설치 수단은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본체와 제2본체, 그리고 상기 제1, 2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튜브안내요홈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install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 which the fixing hole is form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e second body and at least one tube guide having a tube guide groove,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의 튜브는 외부 충격 등에 견디는 기계적 강도가 있고 열전달이 잘되는 금속재료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e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which has mechanical strength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nd is good at heat transfer.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부스 덕트 내측에 구비하는 부스 덕트는 상면 덕트와, 하면 덕트와, 측면 덕트와, 상기 상면 덕트, 하면 덕트, 측면 덕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덕트, 하면 덕트 또는 측면 덕트와 부스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booth duct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booth duct is composed of a busbar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an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 side duct, and the upper surface duct, a lower surface duct, and a side duct.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ube which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duct, lower duct or the side duct and the busbar,

상기 상면 덕트, 하면 덕트 또는 측면 덕트에는 튜브가 설치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duct, the lower duct or the sid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tube is installed.

상기에 있어서, 튜브는 내열성과 절연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tube is preferably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한편, 상기의 부스 덕트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 어서, 상기 부스 덕트의 튜브와 튜브 또는 튜브와 접속부 튜브는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On the other hand, in the booth duct system formed by connecting the booth duct to each other, the tube and tube or tube and the connection tube of the booth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the connector,

상기 접속부 튜브는 접속부를 지나가는 반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1~2회 주회하는 원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tube is formed in a semi-linear form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type to rotate 1-2 times.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A male thread portion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or the connection tube, and the connector may be a tubular body having a female thread portion.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나사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나사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며,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or connecting tube is formed with a flange,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med with a screw hole,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with one or more screws,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연결구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or connecting tube is formed with a flange, the connector may be fastened by a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양단에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관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A male screw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or the connecting tube, and the connector may be a tubular body having a nut fastened to the male screw at both ends thereof.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나사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A male thread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ube or the connecting tube, and 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med with a female thread and a screw hole.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는 중간튜브에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는 중간튜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나사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나사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The tube or the connect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tube, the connecto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tube, it is also possible to be fastened with one or more screws having a protrusion formed with a screw hole,

상기 튜브나 접속부 튜브의 연결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관체이며 양단에 끼워지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끼움관체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A flange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or the connecting tube, and 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tube having a flange fitted at both ends thereof.

상기에 있어서 커넥터는 신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connecto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exible bellows.

그리고 상기 부스 덕트 시스템의 부스 덕트는 접속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접속수단은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booth duct of the booth duct system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ans has a protrus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 및 상기 부스 덕트를 연결한 부스 덕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oth duct system connecting the booth du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same name is used for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ior art.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부스 덕트 외측에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를 도시한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outside the booth 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는 상면 덕트(102)와, 하면 덕트(103)와, 측면 덕트(105)와, 전력을 전달하는 부스바(107)와, 튜브(130)와, 상기 튜브(130)를 안내하여 부스 덕트(100)에 설치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설치 수단(12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the booth duct 100 includ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duct 102, a lower duct 103, a side duct 105, and electric power. It consists of a bus bar 107, a tube 130, and one or more installation means 120 for guiding the tube 130 to be installed in the booth duct 100.

상기 튜브(130)는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부와의 충격 등에 의하여 튜브(130)가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130)는 기계적 강도 가 있는 플라스틱 재료나 금속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료 중에서는 방청 성질을 구비하며 인장 강도가 큰 스테인레스강(SUS)으로 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Since the tube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the tube 130 from being easily damaged or deformed due to an impact with the outside, the tube 13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having mechanical strength. Among the metallic materials, it is even more preferable to use stainless steel (SUS) having anti-rust properties and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상기 부스바(107)는 상면 덕트(102), 하면 덕트(103) 및 측면 덕트(1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절연재로 절연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bus bar 107 is installed in an insulated state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 a space formed by the upper duct 102, the lower duct 103, and the side duct 105.

상기 부스 덕트(100)는 측면 덕트(105)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보강볼트(109)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oth duct 10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bolt 109 that is fixed to the nut through the side duct 105.

상기 설치 수단(12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덕트(102) 또는 하면 덕트(103)에 조립볼트(108)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덕트(105)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보강볼트(109)의 돌출된 부분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9 and 10, the mounting means 120 may be installed as an assembly bolt 108 on the upper duct 102 or the lower duct 103, and the side duct as shown in FIG. 8.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lt 109 that is penetrated through the 105 to the nut.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110은 접속부를 도시한 것이다.In FIG. 7, reference numeral 110 shows a connection portion.

도 11 내지 도 15는 상기 부스 덕트(100)에 설치되는 설치 수단(12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11 to 15 show examples of installation means 120 installed in the booth duct 100.

도 11, 도 11a, 도 12 및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수단(120)은 고정홀(122)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튜브(130)가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튜브안내부(123)로 이루어진다. 튜브안내부(123)는 도 11a 및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0)가 부스 덕트의 측면덕트에 직접 밀착이 되도록 부스 덕트와 접촉되는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로 하고, 상기 튜브안내부(123)는 본체(121)의 양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11, 11A, 12 and 12A, the installation means 120 is a main body 121 having a fixing hole 122 is formed,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and the tube 130 It consists of one or more tube guide 123 is guided. As shown in FIGS. 11A and 12A, the tube guide part 123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oth duct is opened so that the tub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duct of the booth duct. 123 can also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도 11, 도 11a, 도 12 및 도 12a에서 미설명 부호 125는 튜브(130)가 안착하도록 튜브안내부(123)에 형성된 튜브안내홈 또는 튜브안내홀을 도시한 것으로, 튜브(130)가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하거나, 튜브(13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FIGS. 11, 11A, 12, and 12A, reference numeral 125 denotes a tube guide groove or a tube guide hole formed in the tube guide part 123 so that the tube 130 rests, and the tube 130 penetrates. It is possible to form a hole to be formed, or to form a groove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130.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를 제1 본체(121a)와 제2 본체(121b)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 2 본체(121a, 121b)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튜브안내요홈(126)을 구비하는 튜브안내부(12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main body is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main body 121a and the second main body 121b, and the tube is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121a and 121b.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ube guide 123 having a guide groove 126.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안내부(123)는 복수 개의 튜브안내요홈(126)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수단(12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2 본체(121a, 121b)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고, 절곡된 부분에 고정홀(12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4, the tube guide part 1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be guide recesses 126, and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tube guide part 123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means 120. , 2 main bodies 121a and 121b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ixing hole 122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

상기에 있어서 도 13a, 14a 및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안내요홈(126)을 튜브(13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입구를 좁게 형성하여 하나의 본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13A, 14A, and 15A, the tube guide recess 126 may be formed as a single main body by narrowly forming an inlet so as to fit the tube 130 therein.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부스 덕트 내측에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a은 도 16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oth duct 200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booth duct, FIG.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6, and FIG. 17B is FIG. 17A.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도 16 및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는 상면 덕트(202)와, 하면 덕트(203)와, 측면 덕트(205)와, 상기 상면 덕트(202), 하면 덕트(203), 측면 덕트(2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207)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접속부(21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6 and 17A, the booth duct 200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duct 202, a lower duct 203, a side duct 205, and a side duct 205.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duct 202, the lower surface duct 203, the side of the bus bar 207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duct 205 and the connection portion 210 is formed at both ends.

그리고 상기 상면 덕트(202)와 부스바(207), 하면 덕트(203)와 부스바(207) 및/또는 측면 덕트(205)와 부스바(207) 사이에 튜브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그 공간 사이로 튜브(130)를 안내하여 부스 덕트 내부에 튜브를 설치한다.And a space for inserting a tube between the upper duct 202 and the busbar 207, the lower duct 203 and the busbar 207, and / or the side duct 205 and the busbar 207. To guide the tube 130 through the space, install the tube inside the booth duct.

상기 튜브(1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부스바(207)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공간과 그리고 부스바의 금속 도체부가 노출되는 접속부(210)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절연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시 고온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고 내부에 광화이버를 안내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큰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130)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테프론이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부스 덕트(200) 연결 시 상기 튜브(130)의 연결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130)는 부스 덕트(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ube 1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on the top or bottom space of the bus bar 207 and the connection 210 exposed by the metal conductor of the bus bar, the tube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material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because it is stable against high temperature and energized. Examples of the material that may be used for the tube 130 may include Teflo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ube 13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h duct 200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tube 130 when the booth duct 200 is connected.

도 17a에는 부스바(207) 좌측 상단으로 튜브(130)가 설치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스바(207)의 중앙 상부, 중앙 하부, 우측 하부, 좌측 중앙부 등 다양한 위치에 튜브(13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FIG. 17A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tube 130 is installed at the upper left side of the busbar 207,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install 130.

도 17b에서 미설명 부호 202a는 튜브(1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면 덕트(202)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요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요홈(202a)은 상면 덕트(20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면 덕트(203) 및/또는 측면 덕트(205)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17B, reference numeral 202a illustrates a groove tha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pper duct 202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tube 130. The groove 202a is not limited to the upper surface duct 202, and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duct 203 and / or the side duct 205.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를 연결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1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의 다른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18 to 21 illustrate an example of a process of connecting a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A shows a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ate.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하려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a, 100b)를 위치시키고, 상기 부스 덕트(100a, 100b) 사이에 접속수단(25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수단(250)을 부스 덕트(100a)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수단(250)의 타측으로 다른 부스 덕트(100b)를 접속 연결한다.As shown in FIG. 18, the booth ducts 100a and 100b having the tubes to be connected are positioned, and the connecting means 25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oth ducts 100a and 100b. As shown in FIG. 19, the connecting means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oth duct 100a, and as shown in FIG. 20, the other booth duct 100b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250. do.

상기와 같이 부스 덕트(100a, 100b)와 접속수단(250)의 접속이 완결된 후,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튜브(300)의 양단을 상기 부스 덕트(100a, 100b)에 구비되는 튜브(130)와 연결한다. 상기 접속부 튜브(300)는 접속수단(250)을 지나가는 반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접속부의 발열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수단(250) 외부면을 1~2회 주회하는 원형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oth ducts 100a and 100b and the connecting means 25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1, both ends of the connection tube 300 are provided in the booth ducts 100a and 100b. Connect with (130). The connecting tube 300 may be formed in a semi-linear shap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25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ans 250 is 1 to 1,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ircular type that is wound twice.

상기와 같이 접속수단(250) 외부면을 1~2회 주회하는 형태로 형성된 접속부 튜브(300)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수단(250)에 돌출부(25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a에는 상기 돌출부(251)와 접속부 튜브(300)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5각형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 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rotrusion 251 on the connecting means 250 in order to insert the connecting tube 300 formed in the form of wi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ans 250 once or twice. Although FIG. 21A illustrates that the protrusion 251 and the connection tube 30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protrusion 251 and the connection tube 300 are not limited thereto, bu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rectangle and a pentagon. It is possible to form in various shapes.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의 다른 연결 과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에서 튜브의 다른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4b는 도 24a에서 튜브만을 도시한 것이다.  22 to 24 show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booth duct 200 having a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a is a tube in a booth duct having a tub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nection state of FIG. 24B shows only the tube in FIG. 24A.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하려는 부스 덕트(200a, 200b)와, 상기 부스 덕트(200a, 200b) 사이에 접속수단(250)을 위치시키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 덕트(200a)에 구비되는 튜브(130)를 소정 길이 인출하고 접속수단(250)을 상기 부스 덕트(200a)에 접속 연결시킨다. 그리고 연결하려는 다른 부스 덕트(200b)에 구비되는 튜브(130)와 커넥터(310)를 매개로 연결시키고 다른 덕트(200b)를 접속수단(250)의 타측에 접속 연결시킨다. 또한,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수단(250) 내부의 부스 덕트 접속부에서 1~2회 주회하는 원형 접속부 튜브(300) 구조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2, the connecting means 250 is located between the booth ducts 200a and 200b to be connected and the booth ducts 200a and 200b, and as shown in FIG. The tube 130 provided is withdrawn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nnection means 250 is connected to the booth duct 200a. Then, the tube 130 and the connector 310 provided in the other booth duct 200b to be connected are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and the other duct 200b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ans 250.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4A and 24B,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in a structure of a circular connection tube 300 which is circulated once or twice in the booth duct connection inside the connection means 250.

상기 도 18 내지 도 24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 200)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연결은 접속수단(250)의 매개 없이 부스 덕트(100, 200)를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접속부 튜브(300)의 매개 없이 튜브(130)와 튜브(130)를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18 to 24 illustrate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booth ducts 100 and 200 having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directly connects the booth ducts 100 and 200 without the mediation of the connecting means 25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without the medium of the connection tube 300.

도 25 내지 도 33은 튜브(130)와 튜브(130)를 직접 연결하거나, 접속부 튜브(300)를 매개로 연결하는 경우 튜브(130)와 튜브(130) 또는 튜브(130)와 접속부 튜브(300)를 연결하는 변형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5 to 33 directly connect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or when connecting the connection tube 300 via the tube 130 and tube 130 or tube 130 and the connection tube 300 )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dified examples of connecting.

튜브(130)와 튜브(130) 또는 튜브(130)와 접속부 튜브(300)(이하 '튜브(130)와 튜브(130, 300)'라고 함.)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00)와 튜브(130, 300)의 말단에 수나사부(130c, 300c)를 형성하고, 관형 커넥터(310)의 내측으로 암나사부(311c)를 형성하여 상기 튜브(130)와 튜브(130, 300)를 커넥터(310)에 나사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In connecting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or the tube 130 and the connection tube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s shown in FIG. 25. Similarly, male threads 130c and 300c are formed at ends of the tube 10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female threads 311c are formed inside the tubular connector 310 to form the tube 130 and the tube ( 130 and 300 may be connected by screwing the connector 310,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0)와 튜브(130, 300)의 말단에 플랜지(130d, 300d)를 형성하고, 커넥터(310)에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비하도록 하여, 말단에 형성된 플랜지(130d, 300d)를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위치시키고 커넥터(310)로 플랜지(130d, 300d)를 감싼 후 나사(313) 조임에 의하여 상기 튜브(130)와 튜브(130, 3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As shown in FIG. 26, flanges 130d and 300d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the projections 311 in which the screw holes 311a are formed in the connector 310 are compared. By placing the flanges 130d and 300d formed at the end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rapping the flanges 130d and 300d with the connector 310 and tightening the screws 313,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re tightened. You can also connect)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0)와 튜브(130, 300)의 말단에 플랜지(130d, 300d)를 형성하고, 커넥터(310)에 연결구(315)를 구비하도록 하여 말단에 형성된 플랜지(130d, 300d)를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위치시키고 커넥터(310)로 플랜지(130d, 300d)를 감싼 후 연결구(315)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튜브(130)와 튜브(130, 3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As shown in FIG. 27, flanges 130d and 300d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the connector 130 is provided at the end thereof so that the connector 310 is provided with the flange 130d. , 300d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langes 130d and 300d are wrapped with the connector 310, and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may be connected by tightening the connector 315. ,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00)와 튜브(130, 300)의 말단에 수나사부(130c, 300c)를 형성하고, 관형 커넥터(310)의 양단에 상기 수나사부(130c, 300c)에 나사 체결이 가능한 너트(317)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튜브(130)와 튜브(130, 30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As shown in FIG. 28, the male threads 130c and 300c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tube 10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the male threads 130c and 300c are screwed at both ends of the tubular connector 31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300) by having a fastening nut (317),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0)와 튜브(130, 300)의 말단에 수나사부 (130c, 300c)를 형성하고, 관형 커넥터(310)의 내측으로 암나사부(311c)를 형성하는 한편,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구비하도록 하여 수나사부(130c, 300c)와 암나사부(311c)의 나사 체결과 함께, 돌출부(311)에 형성된 나사 구멍(311a)을 통하여 나사 체결함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As shown in FIG. 29, male thread portions 130c and 300c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a female thread portion 311c is formed inside the tubular connector 310. By screwing the male screw portions 130c and 300c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311c with the protrusion 311 having the screw hole 311a formed therein, the screwing portion is screwed through the screw hole 311a formed in the protrusion 311.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more firmly,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0)와 튜브(130, 300)와 사이에 중간튜브(320)를 더 구비하여, 먼저 튜브(130)와 튜브(130, 300)의 말단을 상기 중간튜브(320)에 삽입시키고, 상기 중간튜브(320)의 외경으로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구비한 커넥터(310)를 위치시키고, 상기 나사 구멍(311a)을 통하여 나사 체결함으로써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30 to 32, the intermediate tube 32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nd the ends of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re first described above.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tube 320, the connector 310 having a protrusion 311 is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tube 320, the screw hole (311a) is formed, and screwed through the screw hole (311a)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by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10) 양단에 끼움관체(319)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끼움관체(319)를 매개로 튜브(130)와 튜브(130, 300)의 말단을 커넥터(310)와의 관계에서 억지 끼워 맞춤 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130)와 튜브(130, 30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3, the fitting tube 319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or 310, and the ends of the tube 130 and the tubes 130 and 3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310 via the fitting tube 319.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300) by the interference fit in the relationship.

상기에서 접속부 튜브(300)를 매개로 하지 않고 튜브(130)와 튜브(130)를 직접 연결하거나, 상기 접속부 튜브(300)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커넥터(310)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310e)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order to directly connect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without the connection tube 300 as a medium, or to absorb the thermal expansion when the connection tube 30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connector 310 is illustrated in FIG. 34. It is also desirable to have a flexible bellows 310e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 또는 200)로 부스 덕트 시스템을 형성하고, 부스 덕트(100 또는 2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튜브(130) 내로 부스 덕트(100 또는 20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인 광섬 유(Optical Fiber)를 내설하여 부스 덕트 시스템의 각 부분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booth duct system is formed of the booth duct 100 or 200 having a tube as described above, and the booth duct 100 or 20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ooth duct 100 or 20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Optical Fiber, a means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wire, is install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detected in each part of the booth duct system.

상기 튜브(130) 내로 광섬유를 내설하는 방법으로서, 광섬유 끝단에 가이드 헤드(도시하지 않음)를 고정 연결하고 상기 광섬유와 가이드 헤드를 튜브(130) 내로 삽입하고 고압의 공기로 가이드 헤드를 튜브(130) 내로 안내하여 설치하는 방법인 ABF(Air Blown Fiber)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As a method of injecting the optical fiber into the tube 130, a guide head (not shown) is fixed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the optical fiber and the guide head are inserted into the tube 130, and the guide head is inserted into the tube 130 using high pressure air. ABF (Air Blown Fiber), which is a method of guiding and installing into a tube, is generally used.

상기 도 7에 도시된 이형 접속부를 가지는 부스 덕트(100)에는 튜브(130)가 부스 덕트(100)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동형 접속부를 가지는 부스 덕트(200)에는 튜브(130)가 부스 덕트(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형 접속부를 가지는 부스 덕트(200)의 경우에도 부스 덕트(200) 외부에 튜브(13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형 접속부를 가지는 부스 덕트(100)의 경우에도 부스 덕트(100) 내부에 튜브(13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부스 덕트(100, 200) 내, 외부 모두에 튜브(13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7 shows that the tube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booth duct 100 in the booth duct 100 having the releas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7, and in the booth duct 200 having the same type connection part as shown in FIG. 16. Although the tube 130 is installed inside the booth duct 200, as shown in FIGS. 18 to 24, even in the case of the booth duct 200 having the same connection part, the tube outside the booth duct 200 is shown.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tube 130 inside the booth duct 100 in the case of the booth duct 100 which has a release connection part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In addition, the tube 130 may be provid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booth ducts 100 and 200.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강도를 지닌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 200) 및 상기 부스 덕트(100, 200)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도입되어진 튜브 내로 광섬유를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 (예를 들면 공압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튜브 내로 신속하게 수송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아주 단시간에 간편하게 광섬유를 부스 덕트 시스템에 포설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스 덕트(100, 200) 및 부스 덕트 접속수단(250)의 표면 온도 및 부스바의 온도 그리고 외부의 주위온도를 광화이버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가 있다. In a booth duct system having a tube having a mechanical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 booth duct system formed by connecting the booth ducts 100 and 200, an optical fiber is installed in a introduced tube in a short time. By using a viable system (for example, a system for rapidly transporting an optical fiber into a tube using pneumatics), the optical fiber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booth duct system in a very short time. By doing s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ooth ducts 100 and 200 and the booth duct connecting means 250 and the temperature of the busbars and the external ambient temperature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optical fiber sensor.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기설치되어 있는 부스 덕트 선로가 아무리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튜브만 지나갈 수 있는 미세공간이 있으면 광섬유를 설치하여 분포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such a system, even if the space of the booth duct line is already installed, even if the space is narro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installing the optical fiber if there is a micro space that can pass only the tube.

궁극적으로는 이렇게 전류를 송전하는 부스 덕트 선로의 온도를 측정 감시함으로써 사고의 미연 방지, 사고지점의 신속한 발견 및 조치 그리고 주변온도까지 감시함으로써 화재 감시 등의 효과도 있다. Ultimately, the temperature of the booth duct line that transmits current can be measured and monitored to prevent accidents, to quickly detect and measur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and to monitor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s, such as fire monitoring.

Claims (21)

상면 덕트(102)와, 하면 덕트(103)와, 측면 덕트(105)와, 상기 상면 덕트(102), 하면 덕트(103), 측면 덕트(1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107)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접속부(110)가 형성된 부스 덕트(100)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102) 또는 하면 덕트(103)에 조립볼트(108)로 체결되는 설치 수단(120)과, 상기 설치 수단(120)에 안내되어 설치되는 튜브(1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Busbars provi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duct 102, the lower surface duct 103, the side duct 105, and the upper surface duct 102, the lower surface duct 103, the side duct 105 ( In the booth duct 100 consisting of 107 and the connection portion 110 is formed at both ends, the installation means 120 is fastened to the upper duct 102 or the lower surface duct 103 by the assembly bolt 108, and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ube 130 which is guided to the installation means (120). 상면 덕트(102)와, 하면 덕트(103)와, 측면 덕트(105)와, 상기 상면 덕트(102), 하면 덕트(103), 측면 덕트(1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107)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덕트(105)에 소정 간격으로 보강볼트(109)를 구비하며 양단에 접속부(110)가 형성된 부스 덕트(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볼트(190)에 설치되는 설치 수단(120)과, 상기 설치 수단(120)에 안내되어 설치되는 튜브(1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Busbars provi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duct 102, the lower surface duct 103, the side duct 105, and the upper surface duct 102, the lower surface duct 103, the side duct 105 ( 107, the side duct 105 is provided in the booth duct 100 having a reinforcing bolt 109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onnection portion 110 is formed at both ends, the installation is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bolt 190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ans (120), the tube 130 is guid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means (120).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120)은 고정홀(122)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튜브안내홀 또는 튜브안내홈(125)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안내부(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The installation means 120 is a main body 121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122,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tube guide hole or tube guide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e or more tube guides (123) having a groove (12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120)은 본체(121)의 양측으로 튜브안내홀 또는 튜브안내홈(125)이 형성된 튜브안내부(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The booth having a tub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stallation means 120 includes a tube guide part 123 having a tube guide hole or a tube guide groove 125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21. Duct 10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수단(120)은 고정홀(122)이 형성되는 제1본체(121a)와 제2본체(121b), 그리고 상기 제1, 2 본체(121a, 121b)의 일측에 형성되며 튜브안내요홈(126)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안내부(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According to claim 3, The installation means 120 is the first body (121a) and the second body (121b) in which the fixing hole 122 is formed, and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21a, 121b) Booth duct 100 having a tube is form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or more tube guide portion 123 having a tube guide groove 12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121a)와 제2본체(121b)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6. The booth duct (100)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main body (121a) and the second main body (121b)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는 금속재료 또는 고분자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100).3. Booth duct (100) with a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13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polymer material. 상면 덕트(202)와, 하면 덕트(203)와, 측면 덕트(205)와, 상기 상면 덕트(202), 하면 덕트(203), 측면 덕트(20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부스바(207)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접속부(210)가 형성된 부스 덕트(200)에 있어서;Bus bar provi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duct 202, the lower surface duct 203, the side duct 205, and the said upper surface duct 202, the lower surface duct 203, and the side duct 205 ( In the booth duct 200 made of 207 and the connection portion 210 is formed at both ends; 상기 상면 덕트(202), 하면 덕트(203) 또는 측면 덕트(205)와 부스바(20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튜브(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Booth duct having a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duct 202, the lower surface duct 203 or the side duct 205 and the tube 130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usbar (207) 20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덕트(202), 하면 덕트(203) 또는 측면 덕트(205)에는 튜브(130)가 설치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The booth duct 200 having a tub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duct 202, the lower duct 203, or the side duct 205. . 제8 항 또는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는 테프론이나 유리강화섬유(FRP)와 같은 내열성과 절연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200).10. The booth duc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wherein the tube (130) is formed of a heat resistant and insulating polymer material such as Teflon or glass reinforced fiber (FRP). (200). 제1 항 내지 제7 항 또는 제8 항 내지 제10 항의 부스 덕트(100, 200)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스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스 덕트(100, 200)의 튜브(130)와 튜브(130) 또는 튜브(130)와 접속부 튜브(300)는 커넥터(31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In the booth duct system formed by connecting the booth ducts 100 and 200 of claims 1 to 7 or 8 to 10 with each other, the tube 130 and the tube 130 of the booth ducts 100 and 200 are connected. ) Or booth duc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130) and the connecting tube (300) is connected by a connector (31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튜브(300)는 접속수단(250)을 지나가는 반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1~2회 주회하는 원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12. The booth duct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nnection tube (300) is formed in a semi-linear shap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means (250) or is formed in a circular type that rotates one or two time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수나사부(130c, 300c)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암나사부(310C)가 형성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12. The booth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male threads 130c and 300c ar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ube 130 or the connecting tube 300, and the connector 310 is a tubular body formed with a female thread portion 310C. Duct system.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플랜지(130d, 300d)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나사(313)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ube 130 o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ube 300 is connected to the flange (130d, 300d) is formed, the connector 3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311 is formed with a screw hole (311a) Booth duc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with one or more screws (3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플랜지(130d, 300d)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연결구(315)를 구비하여 연결구(315)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The connecting part of the tube 130 or the connecting tube 300 is formed with flanges (130d, 300d), the connector 31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315 is fastened by the connector 315 Booth duc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수나사(130c, 300c)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양단에 상기 수나사(130c, 300c)에 체결되는 너트(317)를 구비하는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1, Male tube (130c, 300c)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ube 130 or the connecting tube 300, the connector 310 is a nut (130c, 300c) fastened to both ends (130c, 300c) Booth duc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body having a (3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수나사(130c, 300c)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암나사(310c)가 형성되고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1, Male tube (130c, 300c)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ube 130 or connecting tube 300, the connector 310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310c) and a screw hole 311a is formed Booth duct system comprising a projection (311).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는 중간튜브(320)에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중간튜브(32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나사 구멍(311a)이 형성된 돌출부(311)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나사(313)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ube 130 or the connection tube 30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tube 320, the connector 3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tube 320, the screw hole 311a is formed Booth duct system comprising a projection (311) is fastened with one or more screws (3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0)나 접속부 튜브(300)의 연결부에는 플랜지(130d, 300d)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0)는 관체이며 양단에 끼워지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끼움관체(3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The tube 130 o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tube 300, the flange 130d, 300d is formed, the connector 310 is a tubular body fitting fitting having a flange fitted to both ends (319) Booth duc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310)는 신축가능한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310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20. The booth duc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9, wherein the connector (310) has at least one bellows (310e) that are flexibl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덕트 시스템의 부스 덕트(200)는 접속수단(250)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접속수단(250)은 돌출부(2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 덕트 시스템. 13. The booth duct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booth duct (200) of the booth duct system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250),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250) has a protrusion (251).
KR1020060017858A 2006-02-23 2006-02-23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KR100791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58A KR100791423B1 (en) 2006-02-23 2006-02-23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CN2006800531803A CN101421892B (en) 2006-02-23 2006-04-05 Bus duct with tube and temperature measurable bus duct system
PCT/KR2006/001259 WO2007097490A1 (en) 2006-02-23 2006-04-05 Bus duct with tube and bust duct system measurable the temper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858A KR100791423B1 (en) 2006-02-23 2006-02-23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13U Division KR200421583Y1 (en) 2006-03-13 2006-03-13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45A true KR20070087445A (en) 2007-08-28
KR100791423B1 KR100791423B1 (en) 2008-01-07

Family

ID=3861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858A KR100791423B1 (en) 2006-02-23 2006-02-23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1423B1 (en)
CN (1) CN101421892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41B1 (en) * 2008-12-26 2010-01-15 주식회사 부시파워 A bad conductor detection device of bus duc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KR20180113276A (en) * 2017-04-06 2018-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 layer bus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340B1 (en) 2007-04-06 2009-05-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Joint Kit Having A Foldable Insulating Shaft For Bus Duct
DE102009021217A1 (en) * 2009-05-11 2010-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Temperature monitoring for a busbar trunking system
CN103346512B (en) * 2013-06-25 2016-02-24 金海新源电气江苏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busw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841A (en) * 1989-05-30 1990-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efficient splice joint for electrical distribution busway
US5936201A (en) * 1992-09-21 1999-08-10 Spd Technologies Inc. Compact electrical bus
CN2397653Y (en) * 1999-05-25 2000-09-20 上海立新电器厂 Intensive fireproof bus groove
KR200164045Y1 (en) 1999-07-09 2000-02-15 이종수 A bracket of synthetic resins for piping work
GB0003146D0 (en) * 2000-02-12 2000-04-05 Dorman Smith Switchgear Ltd A support member for a busbar assembly,a method of making a support member for a busbar assembly,a busbar assembly,& a support member & a spacer member for a
ITBS20020010A1 (en) * 2002-02-13 2003-08-13 Bbi Eletric Spa FIXING DEVICE FOR CONTIGUOUS ELEMENTS OF PREFABRICATED ELECTRIC CONDUCT
KR200410908Y1 (en) 2005-12-08 2006-03-10 삼현컴텍(주) Bus 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41B1 (en) * 2008-12-26 2010-01-15 주식회사 부시파워 A bad conductor detection device of bus duc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KR20180113276A (en) * 2017-04-06 2018-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ulti layer bus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1892A (en) 2009-04-29
CN101421892B (en) 2012-06-20
KR100791423B1 (en)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423B1 (en)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US7106931B2 (en) Optical fiber drop cables
US8277263B1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US8922037B2 (en) Wind energy system having busbars
KR102343417B1 (en) Supporting Equipment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s
KR100882161B1 (en) Bus Duct Provided with a Temperature Monitoring Sensor Holder
CA2740270A1 (en) Electrical snap-in connector
KR200421583Y1 (en)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with Tube for Optical Fiber
JPS6193514A (en)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icity and light transmission system set overhead
US8540189B2 (en) Cable way for aircraft with a structure made of composite material
CN101707343B (en) GIS terminal and method for leading optical fibers in high-voltage electric power cable to exterior of terminal
KR102124659B1 (en) busduct joint
WO2007097490A1 (en) Bus duct with tube and bust duct system measurable the temperature
BR102013004740B1 (en) functional measuring unit and block and medium voltage distribution substation
KR20110091249A (en) Bustuct joint member having stoper
KR100835907B1 (en) Bus duct measurable the temperature
KR100791425B1 (en) Bus Duct System Comprising Fire Alarm Means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879035B1 (en) Multi-complex cable for sensing cable temperature and cable case
KR101002792B1 (en) Fire-sensing cable connecter in common duct
CN220041493U (en) Optical fiber composite insulator structure
KR100908672B1 (en) Underground electroic line of pipe
CN112886328B (en) Intermediate connector for optical fiber composite cable
EP4060391A1 (en) Optical repair joint for three phase cable
US10665971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termination
KR20180080815A (en) busduct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