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111A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3111A KR20070083111A KR1020060016403A KR20060016403A KR20070083111A KR 20070083111 A KR20070083111 A KR 20070083111A KR 1020060016403 A KR1020060016403 A KR 1020060016403A KR 20060016403 A KR20060016403 A KR 20060016403A KR 20070083111 A KR20070083111 A KR 200700831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effective screen
- cathode ray
- ray tube
- shadow ma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빔통과 구멍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는 유효 화면부 및 상기 빔통과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며 유효 화면부를 둘러싸는 비유효 화면부를 포함하고, 빔통과 구멍의 전자빔이 입사되는 일측은 소공부로 형성되고, 빔통과 구멍의 다른 일측은 소공부보다 큰 대공부로 형성되며, 유효 화면부의 주변부에 배치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는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아래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0.9M1/2≤MC≤0.98M1/2
1.03M1/2≤ME≤1.1M1/2
여기서, M1/2은 유효 화면부의 중심에서 유효 화면부와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까지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고, MC는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며, ME는 유효 화면부와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에 접하는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낸다.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 빔통과 구멍, 충격값, 클리핑, CD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의 빔통과 구멍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의 유효 화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의 유효 화면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무게 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강도를 향상시킨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이 편향 요크의 편향 자계에 의하여 편향되면서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하여 패널 내 면에 형성된 형광막의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에 충돌하고, 전자빔이 충돌된 형광체가 여기 발광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섀도우 마스크는 방출된 전자빔을 선별하여 해당하는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시키는 색선별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를 위하여 전자빔이 통과하는 빔통과 구멍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섀도우 마스크의 빔통과 구멍은 섀도우 마스크의 양면에서 포토 에칭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즉, 섀도우 마스크의 소재의 양면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이 양면의 포토 레지스트층에 빔통과 구멍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원판을 밀착시키고, 노광 및 현상하여 원판의 패턴에 대응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 포토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섀도우 마스크 소재를 양면에서 에칭하는 것에 의하여 빔통과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한 빔통과 구멍은 전자총으로부터 전자빔이 입사되는 일 측이 소공부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이보다 큰 대공부로 형성되어 편향각을 가지고 편향된 전자빔이 빔통과 구멍으로 입사될 때, 이 전자빔이 섀도우 마스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가 너무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편향각에 의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이 섀도우 마스크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고, 부딪혀 산란 또는 난반사되는 클리핑(clipping)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대공부가 너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섀도우 마스크의 무게가 전체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섀도우 마스크의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의 크기를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한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빔통과 구멍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는 유효 화면부 및 상기 빔통과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며 유효 화면부를 둘러싸는 비유효 화면부를 포함하고, 빔통과 구멍의 전자빔이 입사되는 일측은 소공부로 형성되고, 빔통과 구멍의 다른 일측은 소공부보다 큰 대공부로 형성되며, 유효 화면부의 주변부에 배치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는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빔통과 구멍의 대공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아래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0.9M1/2≤MC≤0.98M1/2
1.03M1/2≤ME≤1.1M1/2
여기서, M1/2은 유효 화면부의 중심에서 유효 화면부와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까지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고, MC는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며, ME는 유효 화면부와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에 접하는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낸다.
또한, 유효 화면부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1/2부는 직사각형의 중심과 직사각형의 어느 한 꼭지점을 잇는 가상선을 이등분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 중심부는 직사각형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며, 주변부는 직사각형의 두 변에 동시에 접할 수 있다.
이때, 1/2부, 중심부 및 주변부는 직경이 20mm인 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공부의 크기는 유효 화면부의 1/2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유효 화면부의 1/2부에서 주변부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대공부는 소공부로부터 빔이 입사하는 방향을 따라 편심될 수 있다.
또한, 음극선관은 컴퓨터 모니터용 브라운관일 수 있다.
또한, 전자빔의 최대 편향각이 110°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100)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16)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100)은 패널(10), 펀넬(12), 넥크(14)로 이루어지는 진공 용기로 형성된다. 또한, 진공 용기의 내부에는 섀도우 마스크(16), 전자총(18) 및 편향 요크(20) 등이 설치된다.
패널(10)의 내면에는 원형 도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가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BM)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되는 형광막(2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전자빔을 방출하기 위한 전자총(18)은 넥크(14)의 내부에 설치되 고, 전자총(18)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20)는 펀넬(12)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패널(10)과 펀넬(12), 넥크(14)는 일체로 결합되어 진공 용기를 이루게 된다.
패널(10)에는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되는 섀도우 마스크(16)가 형광막(2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섀도우 마스크(1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빔이 통과하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26)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빔통과 구멍(26)은 상기한 형광체의 패턴에 따라 대략 원형, 직사각형 또는 스트라이프(stripe)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섀도우 마스크(16)는 빔통과 구멍(26)이 형성된 영역으로 실제 화상을 재현하는 데 사용되는 유효 화면부(160)와, 빔통과 구멍(26)이 형성되지 않으며 실제 화상을 재현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비유효 화면부(162)로 이루어진다.
유효 화면부(160)는 비유효 화면부(162)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유효 화면부(162)는 상기 유효 화면부(160)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이룬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16)를 프레임(24)에 고정하기 위해, 비유효 화면부(162)의 모서리로부터 프레임(24) 측으로 굽혀진 스커트부(16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음극선관(100)은 전자총(18)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이 편향 요크(20)의 편향 자계에 의하여 편향되면서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 스크(16)의 빔통과 구멍(26)을 통과하여 패널(10)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22)의 녹색, 청색, 적색의 형광체에 충돌하고, 전자빔이 충돌된 형광체가 여기 발광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a는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0)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유효 화면부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유효 화면부(16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빔통과 구멍(260, 262)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빔통과 구멍(260, 262)의 전자총(18, 도 1 참고) 측 즉, 전자빔이 입사되는 일측은 크기가 작은 소공부(260a, 262a)로 형성되고, 패널(10) 측은 크기가 소공부(260a, 262a)보다 큰 대공부(260b, 262b)로 형성된다.
이때,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화면부(160)의 중심부에 형성된 빔통과 구멍(260)은 소공부(260a)와 대공부(260b)가 동심(同心)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화면부(160)의 주변부에 형성된 빔통과 구멍(262)는 소공부(262a)와 대공부(262b)가 편심(偏心)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유효 화면부(160)의 주변부에 형성된 빔통과 구멍(262)의 소공부(262a)에 대한 대공부(262b)의 편심 방향은 유효 화면부(160)를 사분면으로 나누었을 때, 빔통과 구멍(262)의 위치 즉, 전자빔의 입사 방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자빔이 방출되는 전자총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유효 화면부(160)의 제1 사분면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은 전자빔이 중심에서 우측 상방으로 편향 되어 빔통과 구멍(262)를 통과하므로, 대공부(262b)가 소공부(262a)로부터 우측 상방으로 편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사분면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은 대공부(262b)가 소공부(262a)로부터 좌측 상방으로 편심되며, 제3 사분면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은 대공부(262b)가 소공부(262a)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편심되고, 제4 사분면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은 대공부(262b)가 소공부(262a)로부터 우측 하방으로 편심된다.
또한, 소공부(262a)에 대한 대공부(262b)의 편심량은 전자빔의 편향각 및 해당되는 빔통과 구멍(262)이 유효 화면부(16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이격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빔이 편향된 방향으로 대공부(262b)가 편심되도록 빔통과 구멍(262)을 형성함으로써 소공부(262a)를 통과한 전자빔이 섀도우 마스크에 부딪힘에 따라 발생하는 클리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0)의 대공부(260b)보다 주변부에 위치하는 빔통과 구멍(262)의 대공부(262b)를 작게 형성한다.
이때, 대공부의 직경(D)은 D=ax2+bx+c로 표현되는 2차 함수식에 근사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a, b 및 c는 상수이고, x는 중심에서 빔통과 구멍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를 형성함으로써 주변부에서 유효 화면부(160)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중심부에서 유효 화면부(160)의 단위 면적당 무게보다 무거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가 낙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상기와 같이 중심부의 무게가 작아짐에 따라 주변부로 전파되는 충격량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주변부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중심부로부터 전파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충격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주변부에서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화면부(160)는 평면 상태를 기준하여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부에서 코너부로 이어지는 대각선을 따라 1/2부와 주변부가 위치한다.
여기에서, 중심부, 1/2부 및 주변부는 단위 면적당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위치에서 20mm의 직경을 갖는 원내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부는 유효 화면부(160)의 두 변에 접하여 위치하고, 1/2부는 유효 화면부(160)의 중심에서 꼭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선(L)을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는 아래의 수학식 1 및 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한다.
여기에서, M1/2은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고, MC는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며, ME는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낸다.
위의 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보다 가볍고,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보다 무겁다.
즉, 유효 화면부(160)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대공부의 크기가 감소하여 단위 면적당 무게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는 증가한다.
다만,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가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0.9배 미만인 경우에는 중심부의 무게가 지나치게 가벼워 중심부 자체의 강성이 매우 약해진다. 따라서 음극선관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중심부가 먼저 파손될 수 있어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가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0.98배를 넘는 경우에는, 중심부의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주변부로 전파되는 충격량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섀도우 마스크의 충격 강도 향상 효과가 적어진다.
따라서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0.9배 내지 0.98배로 형성한다.
한편,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가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1.03배 미만인 경우에도 주변부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워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의 향상 효과가 적어진다.
또한,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가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1.1배를 넘는 경우에는 대공부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클리핑 현상이 발생하거나, 대공부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빔통과 구멍의 수를 줄이면 음극선관의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고, 전자빔이 주사하는 주사 피치와 수직 피치 사이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의 1.03배 내지 1.1배로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험예들 및 비교예들의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유효 화면부의 두께가 0.1t, 크기가 17인치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로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 1/2부 및 주변부는 이 유효 화면부에 설정되는 직경 20mm의 원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험예들 및 비교예들의 섀도우 마스크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단위 면적당 무게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단위 면적당 무게의 수치 한정 조건을 만족하며,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이를 만족하지 않도록 형성되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 유효화면부의 위치에 따른 무게 비를 나타내고, 도 5a 내지 도 5b는 각각 실험예 1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 유효 화면부의 가로 방향(도 4의 X축 방향), 대각 방향 및 세로 방향(도 4의 Y축 방향)에 따라 측정한 유효 화면부의 무게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표 2는 각 실험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 1/2부 및 주변부에서 측정한 무게 비와 충격 강도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무게 비는 1/2부에서의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한 값이고, 도 5a 내지 도 5c의 무게 비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계산한 값이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치 한정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작된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충격 강도는 각각 36.2G 및 34.4G로 측정되었고, 이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충격 강도는 32.1G 및 31.5G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수치 한정 조건을 만족하는 실험예들에서 현저하게 높은 충격강도 향상의 효과가 있었다.
비교예 1과 같이, 중심부의 무게 비가 본 발명보다 크고, 주변부의 무게 비가 본 발명보다 작도록 빔통과 구멍이 제작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무거워서 주변부로 전파되는 충격량이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유효 화면부의 주변부가 가벼워 중심부로부터 받는 충격량에 의해 주변부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가 낮아진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중심부의 무게 비가 본 발명보다 작고, 주변부의 무게 비가 본 발명보다 크도록 빔통과 구멍이 제작되는 경우, 섀도우 마스크의 중심부가 지나치게 가벼워짐에 따라 중심부의 강도가 약해져 섀도우 마스크의 전체적인 충격 강도가 오히려 크게 감소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낙하에 의한 충격에 민감한 컴퓨터 모니터용 브라운관에 적용되는 경우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는 슬림(slim)화를 위하여 110°이상으로 편향각의 광각화를 구현하는 음극선관에 적용하는 경우에 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의하면, 빔통과 구멍의 크기에 따라 유효 화면부의 위치에 따른 단위 면적당 무게를 다르게 형성하여 섀도우 마스크의 충격 강도가 향상되고, 빔통과 구멍의 형상을 유효 화면부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하여 클리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음극선관이 패널을 평탄(flat)하게 하면서 대면적화 되어 형성되는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Claims (8)
- 빔통과 구멍들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는 유효 화면부; 및상기 빔통과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유효 화면부를 둘러싸는 비유효 화면부를 포함하고,상기 빔통과 구멍의 전자빔이 입사되는 일측은 소공부로 형성되고, 상기 빔통과 구멍의 다른 일측은 상기 소공부보다 큰 대공부로 형성되며,상기 유효 화면부의 주변부에 배치된 상기 빔통과 구멍의 상기 대공부는 상기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상기 빔통과 구멍의 상기 대공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아래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0.9M1/2≤MC≤0.98M1/21.03M1/2≤ME≤1.1M1/2여기서, M1/2은 상기 유효 화면부의 중심에서 상기 유효 화면부와 상기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까지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1/2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고, MC는 상기 유효 화면부의 중심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며, ME는 상기 유효 화면부와 상기 비유효 화면부의 경계에 접하는 주변부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낸다.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유효 화면부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상기 1/2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중심과 상기 직사각형의 어느 한 꼭지점을 잇는 가상선을 이등분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고,상기 중심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며,상기 주변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두 변에 동시에 접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1/2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주변부는 직경이 20mm인 원으로 형성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대공부의 크기는 상기 유효 화면부의 상기 1/2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유효 화면부의 상기 1/2부에서 상기 주변부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제4 항에 있어서,상기 대공부는 상기 소공부로부터 상기 빔이 입사하는 방향을 따라 편심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 제6 항에 있어서,컴퓨터용 모니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
-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전자빔의 최대 편향각이 110°이상인 음극선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6403A KR20070083111A (ko) | 2006-02-20 | 2006-02-20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CNA2007101053928A CN101071719A (zh) | 2006-02-20 | 2007-02-17 | 荫罩及具有该荫罩的阴极射线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6403A KR20070083111A (ko) | 2006-02-20 | 2006-02-20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3111A true KR20070083111A (ko) | 2007-08-23 |
Family
ID=3861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6403A KR20070083111A (ko) | 2006-02-20 | 2006-02-20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83111A (ko) |
CN (1) | CN101071719A (ko) |
-
2006
- 2006-02-20 KR KR1020060016403A patent/KR200700831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2-17 CN CNA2007101053928A patent/CN101071719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071719A (zh) | 2007-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53712B2 (ja) | カラー陰極線管 | |
EP0281379A2 (en) |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 ray tube | |
US5773924A (en) | Color cathode ray tube with an internal magnetic shield | |
KR0130026B1 (ko) | 칼라 음극 선관 | |
US6124668A (en) | Color cathode ray tube | |
KR0181672B1 (ko) | 개선된 면판 패널을 가진 칼라 화상 튜브 | |
KR20070083111A (ko)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
US7459840B2 (en) |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CRT) | |
US6614153B2 (en) | Mask for color picture tube | |
KR20020091804A (ko) | 개선된 색순도를 갖는 컬러 음극선관 | |
US6707242B2 (en) | Color cathode ray tube | |
JPS6367308B2 (ko) | ||
KR100303542B1 (ko) |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
GB2030357A (en) | Colour picture tube having corrugated shadow mask | |
US20060232181A1 (en) |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CRT) | |
JP2000231887A (ja) | 陰極線管用シャドーマスク | |
JP3353582B2 (ja) | カラー陰極線管とその製造方法 | |
EP1635371A2 (en) | Cathode ray tube | |
JP2000306528A (ja) | 陰極線管 | |
US20060087215A1 (en) | Cathode ray tube | |
EP1564781B1 (en) | Cathode-ray tube apparatus | |
KR20060106371A (ko) |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 |
US20050023954A1 (en) | Cathode ray tube | |
JPH06111732A (ja) | 陰極線管 | |
US20070085465A1 (en) | Color cathode-ray tu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