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79A -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079A
KR20070082079A KR1020070076150A KR20070076150A KR20070082079A KR 20070082079 A KR20070082079 A KR 20070082079A KR 1020070076150 A KR1020070076150 A KR 1020070076150A KR 20070076150 A KR20070076150 A KR 20070076150A KR 20070082079 A KR20070082079 A KR 2007008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driven gear
gear
agricultu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569B1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07007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5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3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 A01C7/125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with bottom delivery of the 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8Furrow packing devices, e.g. press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에 설치되어, 지면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함과 동시에 씨앗을 직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피복재의 포설과 씨앗의 직파가 1회 작업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시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농기계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0)와 축(120) 및 축 하우징(121)으로 구성되고, 축(12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130)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전측으로는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되도록 원통형태의 롤러(210)가 구비되되, 그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220)로 구성된 피복재 포설부(2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상부로 설치되되, 직사각 관형태의 직파관(310)이 입설되며, 직파관(310)의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동기어(3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연동기어(350)가 형성되고, 직파관(310)의 하단으로는 씨앗 배출구(311)와 누름판(312)이 구비되며, 직파관(310)의 상부로는 종동기어(340)의 형성된 돌기(341)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330)와 솔레노이드(320) 및 연결구(321)가 설치된 씨앗 직파부(300)와; 상기 씨앗 직파부(300)의 상단에 결합되되, 연동기어(35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20)와 그 일측에 설치된 씨앗 토출구(430) 및 씨앗(2)을 저장 · 공급하는 호퍼(410)로 구성된 씨앗 공급부(400)와; 상기 구동부(100)의 후측에 설치되어 직파가 완료된 지면을 다지도록 제작된 다짐바퀴(510)와 연결부재(520) 및 스프링(530)으로 구성된 다짐부(500)로 구성되어, 농업용 피복재(1)의 포설과 씨앗(2)의 직파를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의 후측에 설치되어, 물이 있는 논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함과 동시에 씨앗을 직파하도록 함으로써 피복재의 포설과 씨앗의 직파가 1회 작업으로 실시되어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있는 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모내기가 필요없는 논농사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농촌의 일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농약 살포가 필요치 않아 친환경 재배가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농업용 피복재, 포설장치, 직파장치, 농기계, 파종기

Description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THE MULTCHING DIRECT SEEDER}
본 발명은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이 있는 논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함과 동시에 씨앗을 직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피복재의 포설과 씨앗의 직파가 1회 작업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시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피복재는 농작물의 파종 전·후에 생육의 필요한 온도 유지를 비롯하여 잡초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불투명재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환경오염과 노동력 감소로 인해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특허출원 제10-2007-0058897호를 살펴보면, 천연솜을 동물성 아교와 다시마 농축액, 비료, 광석 분말 및 전분 등이 혼합된 혼 압액에 함침시킨 후 이를 가압 · 건조하여 제작된 농업용 천연피복재를 이용하면 환경오염과 노동력의 걱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농업용 피복재를 지면에 고르게 포설하고, 또 그와 동시에 직파하기 위해서는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가 필요한바, 기존에 개발된 장치로는 위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개발된 장치들은 대체적으로, 지면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하는 장치와 직파하는 장치가 별개로 개발되어 있거나, 동시작업이 가능한 장치는 초보적인 단계의 기계장치에 불과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중,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7043호(이앙기 장착용 멀칭기)를 살펴보면, 이는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하면서 모종을 이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이앙기에 단순히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할 수 있도록 롤러가 부가되어 있는 것이 전부였다.
상기 종래 이앙기 장착용 멀칭기는 마른 지면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물이 있는 논에 사용할 경우, 농업용 피복재가 물 위에 뜨거나 엉키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설치가 불가능하였고, 더욱이 모종을 이식하는데만 적용이 가능하여 벼의 직파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농기계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0)와 축(120) 및 축 하우징(121)으로 구성되고, 축(12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130)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전측으로는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되도록 원통형태의 롤러(210)가 구비되되, 그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220)로 구성된 피복재 포설부(2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상부로 설치되되, 직사각 관형태의 직파관(310)이 입설되며, 직파관(310)의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동기어(3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연동기어(350)가 형성되고, 직파관(310)의 하단으로는 씨앗 배출구(311)와 누름판(312)이 구비되며, 직파관(310)의 상부로는 종동기어(340)의 형성된 돌기(341)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330)와 솔레노이드(320) 및 연결구(321)가 설치된 씨앗 직파부(300)와; 상기 씨앗 직파부(300)의 상단에 결합 되되, 연동기어(35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20)와 그 일측에 설치된 씨앗 토출구(430) 및 씨앗(2)을 저장 · 공급하는 호퍼(410)로 구성된 씨앗 공급부(400)와; 상기 구동부(100)의 후측에 설치되어 직파가 완료된 지면을 다지도록 제작된 다짐바퀴(510)와 연결부재(520) 및 스프링(530)으로 구성된 다짐부(500)로 구성되어, 농업용 피복재(1)의 포설과 씨앗(2)의 직파를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의 후측에 설치되어, 물이 있는 논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함과 동시에 씨앗을 직파하도록 함으로써 피복재의 포설과 씨앗의 직파가 1회 작업으로 실시되어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있는 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모내기가 필요없는 논농사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농촌의 일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농약 살포가 필요치 않아 친환경 재배가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에 설치되어, 지면에 농업용 피복재를 포설함과 동시에 씨앗을 직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피복재의 포설과 씨앗의 직파가 1회 작업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시 됨으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수축상태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이완상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수축상태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이완상태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직파관의 하강상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 직파관의 상강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120) 상에 이동바퀴(110)가 설치된 구동부(100)의 전측으로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된 롤러(210)가 설치되고, 구동부(100)의 중앙으로는 직파관(310)에 각종 장치가 구비된 씨앗 직파부(300)가 구비되며, 그 상부로는 호퍼(410)가 달린 씨앗 공급부(400)가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는 다짐부(500)가 결합된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구동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축(120)의 양측단에 이동바퀴(110)가 형성되어 있어서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와 결합되어 농기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축(120)의 외부로는 후술하는 씨앗 직파부(300)가 용접을 통해 입설될 수 있도록 축 하우징(1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축(120)의 일측으로는 구동기 어(1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130)는 제 1·2구동기어(130a, 130b)로 구성되며, 제 1구동기어(130a)는 후술하는 종동기어(220)와 연결되고, 제 2구동기어(130b)는 또 다른 종동기어(320)와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구동부(100)의 전측으로는 피복재 포설부(200)가 장착되는바, 천연솜을 펠트 형태로 가공하여 그에 동물성 아교와 다시마 농축액 비료, 광석분말, 전분 등이 혼합된 혼합액을 합침시킨 다음, 가압 건조시켜 완성된 친환경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된 롤러(210)가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롤러(210)의 일측단으로는 종동기어(220)가 결합된다.
상기 종동기어(220)에는 제 1주동기어(130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부(100)가 구동함에 따라 권취된 농업용 피복재(1)가 지면에 용이하게 포설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0)의 이동바퀴(110) 사이 중앙부에는 씨앗 직파부(300)가 설치되는바, 직사각 관형태의 직파관(310)이 입설되며, 직파관(3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 2주동기어(130b)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동기어(3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연동기어(350)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340)의 일측면으로는 돌기(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맞접하는 위치에는 스위치(3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종동기어(340)의 돌기(341) 와 스위치(330)가 접함에 따라 스위치(330)가 on/off로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솔레노이드(3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20)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솔레노이드(320)를 이용하는바, 솔레노이드(320)가 수축 및 이완함에 따라 그 끝단에 결합된 'ㄴ'자 형태의 연결구(321)가 회동하여 직파관(31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직파관(310)의 하부로는 씨앗 배출구(311)와 누름판(31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우선 씨앗 배출구(311)는 그 형태가 끝단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뾰족해 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누름판(312)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에 사각통공이 형성된 형태로 씨앗 배출구(311)가 직파관(310)의 하강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씨앗 배출구(311)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솔레노이드(320)가 이완상태일 때는 씨앗 배출구(311)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솔레노이드(320)가 수축상태일 때는 씨앗 배출구(311)가 폐쇄된 상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직파관(310)이 하강하면 씨앗 배출구(311)가 하강하면서 누름판(312)의 수직면과 맞접하면서 폐쇄가 이루어지며, 직파관(310)이 상승하면 씨앗 배출구(311)가 개방되면서 상승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씨앗 직파부(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씨앗 공급부(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최상단으로는 씨앗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호퍼(410)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퍼(410)의 하단과 씨앗 직파관(310) 사이 연결부위에는 씨앗 토출구(430)가 종동 기어(420)와 결합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씨앗 토출구(430)는 원판형태로 제작되어 종동기어(420)와 동일 축 상에 설치되는바, 상기 씨앗 직파부(300)의 연동기어(350)와 체인(14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종동기어(420)가 1회전 함에 따라 씨앗 토출구(430)도 1회전 하는 구성을 가지며, 씨앗 토출구(430)의 일측으로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요홈이 상부를 향할 때는 씨앗(2)을 요홈에 담아 두었다가, 요홈이 하부를 향할 때 직파관(310) 내부로 씨앗(2)을 정량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구동부(100)의 후측으로는 다짐부(500)가 설치되는바, 다짐바퀴(510)와 연결부재(520) 및 스프링(530)으로 구성되어, 포설된 농업용 피복재(1)를 눌러줌과 동시에 씨앗 직파부(300)에 의해 파진 지면을 원상태로 다져줌으로써 씨앗(2)의 발아를 돕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짐바퀴(510)는 연결부재(520)를 통해 설치되며, 연결부재(520)의 일측 끝단으로는 스프링(530)이 결합되어 다짐바퀴(510)가 지면을 따라서 안정감 있게 이동되면서 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축(120)의 양측단에 이동바퀴(110)를 결합하되, 일측 축(120) 상에는 톱니바퀴 형태로 제작된 제 1구동기어(130a)와 제 2구동기어(130b)를 각각 결합하여 축(120) 상에 구동기어(13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며, 축(120)의 외부로는 축 하우징(121)이 결합된 형태로 조립한다.
그런 다음, 상기 구동부(100)의 전측으로 피복재 포설부(200)를 설치하는바, 롤러(210)에 농업용 피복재(1)를 권취하며, 롤러(210)의 양측에는 종동기어(210)를 형성하여 제 1구동기어(130a)와 체인(140)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한편, 구동부(100)의 상측으로는 씨앗 직파부(300)를 형성하는바, 중앙에 직파관(310)을 입설하되, 그 하측으로는 씨앗 배출구(311)와 누름판(312)를 결합하고, 직파관(310)의 일측으로는 제 2구동기어(130b)와 체인(140)을 통해 연결되는 종동기어(340)가 형성되고, 종동기어(340)와 접하도록 스위치(330)를 설치한다.
상기 종동기어(340)의 바로 옆 인접한 위치에는 연동기어(350)가 형성되며, 직파관(310)의 상측으로는 솔레노이드(320)와 연결구(321)를 결합하여 솔레노이드(320)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직파관(310)이 승강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씨앗 직파부(300)의 상측으로는 씨앗 공급부(400)를 형성하는바, 상기 연동기어(35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420)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420)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씨앗 토출구(430)가 직파관(310) 내부에 설치되며, 최상단으로는 호퍼(410)를 설치한다.
상기 구동부(100)의 후측으로는 다짐바퀴(510)와 연결부재(520) 및 스프링(530)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이앙기와 트렉터, 관리기 및 경운기 등의 동력을 구비한 농기계의 후측에 본 발명의 직파 장치를 3 내지 8대를 장착하고, 그 폭에 맞는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된 롤러(210)를 설치하며, 농기계의 전원을 스위치(330)와 솔레노이드(320)에 인가한 다음 농기계를 전진시키면, 본 발명의 직파장치 또한 전진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00)로부터 얻어진 동력이 구동기어(130)와 연결된 체인(140)을 통해 종동기어(220, 340)로 전달됨에 따라 롤러(210)에 감겨 있는 농업용 피복재(1)가 풀리게 된다.
또한, 종동기어(340)에 형성된 돌기(341)가 스위치(330)을 작동시킴에 따라 솔레노이드(320)가 수축 및 이완작용을 반복하게 되며, 솔레노이드(320)의 끝단에 연결된 연결구(321)가 회동하여 직파관(310)이 승강하게 된다.
직파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솔레노이드(320)가 수축함에 따라 연결구(3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직파관(310)이 하강하여 그의 하단에 결합된 씨앗 배출구(311)가 일정 간격으로 땅에 박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종동기어(340)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연동기어(350)와 연결된 종동기어(420) 및 씨앗 토출구(430)가 호퍼(410) 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요홈의 내부에는 씨앗(2)이 수장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솔레노이드(320)가 이완되면 연결구(32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위치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직파관(310)이 상승하면서 씨앗 배출구(311)가 개방되고, 씨앗 토출구(430)이 직파관(310)으로 회전함에 따라 요홈에 수장된 씨앗(2)이 지중에 직파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후, 구동부(100)의 후방에 결합된 다짐 바퀴(510)가 파진 땅을 다짐으로써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완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수축상태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이완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수축상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 솔레노이드의 이완상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직파관의 하강상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직파관의 상강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농업용 피복재 2: 씨앗
100: 구동부 110: 이동바퀴
120: 축 121: 축 하우징
130: 구동기어 130a: 제 1구동기어
130b: 제 2구동기어 140: 체인
200: 피복재 포설부 210: 롤러
220: 종동기어 300: 씨앗 직파부
310: 직파관 311: 씨앗 배출구
312: 누름판 320: 솔레노이드
321: 연결구 330: 스위치
340: 종동기어 341: 돌기
350: 연동기어 400: 씨앗 공급부
410: 호퍼 420: 종동기어
430: 씨앗 토출구 500: 다짐부
510: 다짐바퀴 520: 연결부재
530: 스프링

Claims (3)

  1.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에 있어서,
    농기계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0)와 축(120) 및 축 하우징(121)으로 구성되고, 축(12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130)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전측으로는 농업용 피복재(1)가 권취되도록 원통형태의 롤러(210)가 구비되되, 그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220)로 구성된 피복재 포설부(200)와;
    상기 구동부(100)의 상부로 설치되되, 직사각 관형태의 직파관(310)이 입설되며, 직파관(310)의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동기어(3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연동기어(350)가 형성되고, 직파관(310)의 하단으로는 씨앗 배출구(311)와 누름판(312)이 구비되며, 직파관(310)의 상부로는 종동기어(340)의 형성된 돌기(341)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330)와 솔레노이드(320) 및 연결구(321)가 설치된 씨앗 직파부(300)와;
    상기 씨앗 직파부(300)의 상단에 결합되되, 연동기어(350)와 체인(140)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20)와 그 일측에 설치된 씨앗 토출구(430) 및 씨앗(2)을 저장 · 공급하는 호퍼(410)로 구성된 씨앗 공급부(400)와;
    상기 구동부(100)의 후측에 설치되어 직파가 완료된 지면을 다지도록 제작된 다짐바퀴(510)와 연결부재(520) 및 스프링(530)으로 구성된 다짐부(500)로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기어(130)는 제 1·2구동기어(130a, 130b)로 구성되며, 제 1구동기어(130a)는 피복재 포설부(200)의 종동기어(220)와 연결되고, 제 2구동기어(130b)는 씨앗 직파부(320)의 종동기어(320)와 체인(140)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씨앗 토출구(430)는 원판형태로 제작되어 종동기어(420)와 동일 축 상에 설치되는바, 연동기어(350)와 연결된 종동기어(420)가 1회전 함에 따라 씨앗 토출구(430)도 1회전 하도록 구성되며, 씨앗 토출구(430)가 회전하여 일측에 형성된 요홈이 상부를 향할 때는 씨앗(2)을 수장한 후, 요홈이 하부를 향할 때 직파관(310) 내부로 씨앗(2)을 정량 공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KR1020070076150A 2007-07-30 2007-07-30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KR10088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50A KR100884569B1 (ko) 2007-07-30 2007-07-30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50A KR100884569B1 (ko) 2007-07-30 2007-07-30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079A true KR20070082079A (ko) 2007-08-20
KR100884569B1 KR100884569B1 (ko) 2009-02-18

Family

ID=3861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150A KR100884569B1 (ko) 2007-07-30 2007-07-30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9694A (zh) * 2015-07-14 2015-10-14 荣成市佳鑫农业机械有限公司 西洋参播种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3927B2 (ja) * 1992-06-10 1999-01-06 小橋工業株式会社 マルチ播種薬剤散布装置
KR960028794A (ko) * 1995-01-16 1996-08-17 김선봉 비닐피복 동시 파종기
KR100414183B1 (ko) * 2001-03-30 2004-01-07 대한민국 유공비닐 피복 동시 파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9694A (zh) * 2015-07-14 2015-10-14 荣成市佳鑫农业机械有限公司 西洋参播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569B1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88375Y (zh) 多功能起垄铺膜播种机
CN201004780Y (zh) 播种铺管铺膜联合作业机
KR100998970B1 (ko) 액비 땅속투입 및 파종장치
CN201138934Y (zh) 土豆播种机
KR100884569B1 (ko) 농업용 피복재의 포설 및 직파장치
CN201051769Y (zh) 组合式多功能播种机
CN103733754A (zh) 一种深施肥式花生铺膜播种机及其方法
CN208908547U (zh) 一种高效多功能花生覆膜播种机
KR101369493B1 (ko) 자동 농약살포장치가 구비된 파종기
RU2161391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ая посевная машина
KR101303217B1 (ko) 씨앗 피복장치
KR200214872Y1 (ko) 건답직파기
KR100873651B1 (ko) 잔디 식재기
CN102652467A (zh) 多功能玉米、豆类自动播种机
KR100368841B1 (ko) 파종기
CN208175283U (zh) 一种一垄四行多功能膜上花生播种机
CN205161092U (zh) 一种向日葵全覆膜施肥精量穴播机
KR200287452Y1 (ko) 자주식 볍씨파종기
KR100433264B1 (ko) 파종기
KR101662127B1 (ko) 직파용 멀칭지를 이용하는 건답용 직파장치
CN213426849U (zh) 一种用于农田播种上的电动智能液压播种机装置
RU2739803C1 (ru) Агрега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с внесением удобрений
CN212034724U (zh) 一种微型半旱式水稻直播机
CN211210414U (zh) 一种施肥、旋耕、精播一体机
CN218649191U (zh) 一种播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