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778A - Automatic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teered plmn - Google Patents

Automatic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teered pl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778A
KR20070081778A KR1020070014829A KR20070014829A KR20070081778A KR 20070081778 A KR20070081778 A KR 20070081778A KR 1020070014829 A KR1020070014829 A KR 1020070014829A KR 20070014829 A KR20070014829 A KR 20070014829A KR 20070081778 A KR20070081778 A KR 2007008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teered
identifier
network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1858B1 (en
Inventor
폴 마르쿠스 카펜터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by using a steered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home network administrator to steer a UE(User Equipment) to an arbitrary intentional network immediately and efficiently by sett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via an over the air programming procedur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by using a steered PLMN comprises the following several steps. The UE maintains content on a home network identifier, a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whose priorities are determined,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unit(504). The UE performs a scanning operation and receives one and more network identifiers matched with one and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coverage area of the UE(506). The UE performs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n the following order(508):(1) a home network, (2) a user-control list of a roaming network whose priority is determined, (3) a steered network, and (4) an administrator-control list of a roaming network whose priority is determined.

Description

스티어드 PLMN을 이용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장치 {AUTOMATIC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TEERED PLMN}AUTOMATIC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TEERED PLMN}

도 1은 이용자 장비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관련 검포넌트를 예시하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ssociated inspection components of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도 1의 바람직한 이용자 장비의 보다 상세한 도면.2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preferred user equipment of FIG.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자 장비에 대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돕는 시스템 구조.3 is a system architecture that assists in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s for user equipment in the wireless network of FIGS. 1 and 2;

도 4는 이용자 장비의 현재 동작 지역(예를 들어, 로밍 지역)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와 연관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용자 장비의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에 기억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한 예시.4 is stored i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of a user equipment that includes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steered network for the current operating region of the user equipment (eg, roaming region). For a modified network identifier.

도 5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위한 이용자 장비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er equipment for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도 6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네트워크로 스티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etwork equipment for steering user equipment to a steered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통신 시스템 102 : 이동국100 communication system 102 mobile station

104 :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6 : 제어기104: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6: controller

108 : RF 트랜시버 회로 112 : 디스플레이108: RF transceiver circuit 112: display

114 : 키보드 116 : 보조 이용자 인터페이스114: keyboard 116: auxiliary user interface

120 : 기지국 제어기 122 : 이동 교환 센터120: base station controller 122: mobile switching center

126 : SGSN 128 : GGSN126: SGSN 128: GGSN

134 : 배터리 인터페이스 136 : 레귤레이터134: battery interface 136: regulator

140 : SIM 142 : SIM 인터페이스140: SIM 142: SIM interfa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을 위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기술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utomatic network selection techniques for mobile stations oper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다양한 이유로, 홈 네트워크 운영자[예를 들어,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 또는 3GPP 용어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는 그 가입자가 자국(home country) 또는 해외에서 로밍(roaming)할 경우에 가입자가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할 것인지를 동적으로 제어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HPLMN 운영자는 국가 A에서의 그 가입자 로밍이 네트워크 X에 의해 서비스되도록 지시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 필요성은 상업적인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떤 때에는 일부 계약상의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로밍 가입자 전부가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를 향하도록 하는 것을 운영자가 보장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 다. 또 다른 이유는 네트워크 장애(fault) 상태로 인한 것이다. 일시적인 장애는, 소정의 국가에서의 하나의 네트워크가 HPLMN의 로밍 가입자에게 그 서비스의 전부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HPLMN 운영자는 그 로밍 가입자가 전체 서비스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그 나라의 다른 네트워크를 향하도록 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가 어떠한 방문 PLMN(VPLMN : Visited PLMN)에서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이 오늘날에는 드물지 않다. 또 다른 이유는 네트워크 부하 공유에 기초하고 있다. 예를 들어, HPLMN 운영자는 네트워크 X에 대해 국가에서의 그 로밍 가입자의 40%를 원하고, 네트워크 Y에 대해 35%를 원하며, 네트워크 Z에 대해 25%를 원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For various reasons, a home network operator (e.g., a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or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HPLMN) in 3GPP terminology) is used when a subscriber roams from home country or abroad. There may be a need to dynamically control which network to connect to. For example, an HPLMN operator may need to instruct its subscriber roaming in country A to be serviced by network X. This need may arise for commercial reasons, and at times it may be useful for the operator to ensure that all roaming subscribers are directed to one particular network to ensure that some contractual criteria are met. Another reason is due to network fault conditions. Temporary failure may mean that one network in a given country cannot provide all of its services to roaming subscribers of HPLMN. Therefore, the HPLMN operator may have a need to direct its roaming subscribers to other networks in the country that can provide full coverage. For example, it is not uncommon today that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is temporarily unavailable in any visited PLMN (VPLMN). Another reason is based on network load sharing. For example, an HPLMN operator may decide that it wants 40% of its roaming subscribers in the country for Network X, 35% for Network Y, and 25% for Network Z.

현재의 3GPP 표준은, 이용자 장비(UE : user equipment)가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억된 바람직한 PLMN(PPLMN : Preferred PLMN) 리스트에 정의된 것과 같은 최상위 우선순위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PPLMN 리스트의 이용을 통해 동적 제어가 달성된다면, HPLMN 운영자는 다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필요로 하는 오버-디-에어(OTA : over-the-air) 프로그래밍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에 대한 전체 PPLMN 리스트를 업데이트 해야 할 것이다. 로밍 가입자에 대한 모든 PPLMN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요구되는 많은 오버헤드(overhead)가 금지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부하 공유가 필요하다면, HPLMN은 모든 가입자에 기초 하여 PPLMN 리스트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PPLMN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구성 관리에 관하여 상당한 오버헤드를 추가한다.The current 3GPP standard is a list of preferred PLMNs (PLMNs) in which user equipment (UE) is stored i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It specifies to select the highest priority network as defined in. If dynamic control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a PPLMN list, HPLMN operators use an over-the-air programming mechanism that requires multiple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s. You will need to update the entire PPLMN list for each subscriber. Many of the overhead required to update all PPLMN lists for roaming subscribers can be inhibited. In addition, if network load sharing is required, the HPLMN will have to maintain a PPLMN list based on all subscribers. However, maintaining such a PPLMN list adds significant overhead with respect to configuration management.

로밍을 하면서 가입자를 특정 네트워크로 향하게 하는 기존의 해결책은, 이용자 장비가 PPLMN 리스트에 따라 VPLMN에 대한 접속 시도를 행할 경우에 HPLMN 운영자에 의한 네트워크 거부 메시지의 스푸핑(spoofing)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거부 메시지는, HPLMN 운영자에 의해 확인되는 것과 같이, 의도하는 VPLMN에 도달하기까지 각각의 선택된 VPLMN을 통해 송신된다. 이 기술은 이용자 장비가 HPLMN 운영자에 의해 의도된 특정 VPLMN을 향하도록 하지만,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을 필요로 할 때마다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적인 이용을 포함한다. Existing solutions for roaming subscribers to a particular network include spoofing network rejection messages by the HPLMN operator when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connect to the VPLMN according to the PPLMN list. The network reject message is sent over each selected VPLMN until it reaches the intended VPLMN, as confirmed by the HPLMN operator. This technique directs the user equipment to the specific VPLMN intended by the HPLMN operator, but, as is apparent, involves the wasteful use of network resources whenever this choice is needed.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함을 극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필요로 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that overcomes the deficiencies of the prior art.

"스티어드(steered)" PLMN을 이용하여 이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의 메모리(예를 들어, SIM 또는 USIM)에 기억되어 있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는, 스캐닝 동작이 수행되어, 커버리지 영역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용자 장비는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커버리지 영역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 및 등록된다. 이 절차는 이용자 장비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는 대신에 또는 이용하기 이전에 수행된다. 필요할 경우, (예를 들어, 모든 지역에 기초하여)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를 통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용자 장비를 임의의 의도된 네트워크로 즉시 그리고 효율적으로 "스티어(steer)" 할 수도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are describe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using a "steered" PLMN. The home network identifier, the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s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equipment (eg SIM or USIM).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a scan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coverage area.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overage area by comparing the network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f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are found to match,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selected and registered by the user equipment. This procedure is performed instead of or before using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of the user equipment. If necessary, by setting up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rough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eg, based on all regions), the home network operator can immediately and efficiently "steer" the user equipment to any intended network. (steer) "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은, 이용자 장비가 로밍 지역의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로밍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로밍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에 의해, 또는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다수의 방법이 실행가능하며, SMS 이외에, 새로운 시그널링 메시지의 정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 비구조화된 보충 서비스 데이터)(3GPP TS 22.090 참조)의 이용, 및 MAP(Mobile Application Part : 이동 애플리케이션 파트)와 같은 기존의 시그널링 시스템의 적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One exemplary technique for using a user equipment to steer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y a network equi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hich is the home 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a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in a roaming region. Verify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operating in one of the roaming regions of the mobile station; and ca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oaming are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through the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automatically Causing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be selected in a network selection procedur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y be sent by a message,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r by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Many methods for provid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a user equipment are feasible, in addition to SMS, the definition of new signaling messages, the use of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see 3GPP TS 22.090), And application of existing signaling systems, such as MAP (Mobile Application Part).

대안적인 구성에서는,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홈 통신 네트워크 없이도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URL 또는 기타와 같은) 정보가 이용자 장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것은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홈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혹은 특정 상황에서는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정보 기억공간으로부터 검색될 수도 있다.In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the user equipment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et URL or the like) that enables retrieval of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without the hom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his may be retrieved by a web site, a database, or by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or from other information storage provided by a third party in certain circumstances.

다른 추가적이고 대안적인 유용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Other additional and alternative useful features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DESCRIPTION OF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스티어드(steered)" PLMN을 이용하는 이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의 메모리(예를 들어, SIM 또는 USIM)에 기억되어 있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는, 스캐닝 동작이 수행되어,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다.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이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영역에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이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 및 등록(register)된다. 이 절차는 이용자 장비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또는 그 리스트를 이용하기 전에 수행된다.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모든 지역에 기초하여)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를 통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용자 장비를 임의의 의도하는 네트워크로 즉시 그리고 효율적으로 "스티어(steer)"할 수도 있다.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 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은, 이용자 장비가 로밍 지역의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로밍 지역 중 하나의 지역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로밍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using a "steered" PLMN is described. The home network identifier, the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s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equipment (eg, SIM or USIM).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a scan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coverage area. By comparing the network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overage area. If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are found to match,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selected and registered by the user equipment. This procedure is performed instead of or before using the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for which the user equipment has been prioritized. If necessary, by setting up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rough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eg, based on all regions), the home network operator can immediately and efficiently "steer" the user equipment to any intended network. (steer) ". One exemplary technique for use in steering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a network equi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through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roaming region. Verifying that the device is operating in one of the roaming regions of the mobile station, and ca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oaming reg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through the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using the network to be selected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y be sent by a message,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f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예시하기 위하여,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102)(이용자 장비, 무선 또는 이동 통신장치의 하나의 유형)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이동국(102)은 시각적 디스플레이(112), 키보드(114) 및 아마도 하나 이상의 보조 이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각각은 제어기(106)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106)도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트랜시버 회로(108) 및 안테나(110)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기(106)는 메모리 컴포넌트(도시하지 않음)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를 운영하는 중앙처리유닛(CPU : central processing unit)으로서 구현된다. 제어기(106)는 보통 이동국(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반면, 통신 기능과 연관된 신호 처리 동작은 통상적으로 RF 트랜시버 회로(108)에서 수행된다. 제어기(106)는 디스플레이 장치(112)와 인터페이스하여 수신된 정보, 기억된 정보, 이용자 입력 등을 표시한다. 전화 타입 키패드 또는 완전한 영문숫자 키보드일 수도 있는 키보드(114)는 보통 이동국(102)에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네트워크(104)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전화 호출을 하기 위한 전화 번호, 이동국(102) 상에서 실행될 명령, 및 아마도 다른 또는 상이한 이용자 입력을 입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To illustrate a general component for communication, FIG. 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mobile station 102 (a type of user equipment, wireless 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4. A block diagram of 100 is shown. Mobile station 102 preferably includes a visual display 112, a keyboard 114, and possibly one or more secondary user interface (UI) 116,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106. The controller 106 is also connected to a radio frequency (RF) transceiver circuit 108 and an antenna 110. Generally, the controller 106 is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at runs operating system software on a memory component (not shown). The controller 106 usu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2, while the signal process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re typically performed in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The controller 106 interfaces with the display device 112 to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stored information, user input, and the like. The keyboard 114, which may be a telephone type keypad or a full alphanumeric keyboard, typically has data for storage in the mobile station 102,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network 104, a telephone number for making a phone call, on the mobile station 102. It is equipped to enter a command to be executed, and possibly other or different user input.

이동국(102)은 안테나(110)를 통한 무선 링크를 통하여 네트워크(104)에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104)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RF 트랜시버 회로(108)는 예를 들어, 변조/복조와, 아마도 부호화/복호화 및 암호화/역암호화를 포함하는, 스테이션(118) 및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20)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F 트랜시버 회로(108)는 BSC(1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더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RF 트랜시버 회로(108)가 이동국(102)의 동작이 예정된 특정 무선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Mobile station 102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to and receives communication signal from network 104 via a wireless link through antenna 110. RF transceiver circuitry 108 is similar to the functionality of station 118 and base station controller 120 (BSC) 120, including, for example, modulation / demodulation and possibly encoding / decoding and encryption / decryption. Perform the function.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RF transceiver circuitry 108 may perform certain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performed by BSC 12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may be applied to the particular wireless network or networks for which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2 is intended.

이동국(102)은 하나 이상의 충전가능한 배터리(132)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를 포함한다. 배터리(132)는 이동국(102)의 전기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는 배터리(132)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134)는 장치에 대한 전원 V+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136)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국(102)이 완전히 동작가능하면, RF 트랜시버 회로(108)의 RF 송신기는 통상적으로 네트워크에 송신할 경우에만 이용되거나 턴온(turned on)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턴오프(turned off)되어 자원을 보존한다. 마찬가지로, RF 트랜시버 회로(108)의 RF 수신기는 통상적으로,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있다면)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 때까지 주기적으로 턴오프되어 전력을 보존한다. Mobile station 102 includes a battery interface 134 for receiving one or more rechargeable batteries 132. The battery 132 provides power to the electrical circuitry of the mobile station 102, and the battery interface 134 provide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battery 132. The battery interface 134 is connected to a regulator 136 that regulates the power supply V + for the device. If the mobile station 102 is fully operational, the RF transmitter of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is typically used or turned on only when transmitting to the network, otherwise it is turned off and resources Preserve it. Similarly, the RF receiver of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is typically turned off periodically to conserve power until it needs to receive a signal or information (if at least)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이동국(102)은 SIM 인터페이스(142)를 통해 이동국(102)에 접속되거나 이동국(102)에 삽입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140)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SIM(140)이 없다면, 이동장치는 이동 장비(ME : Mobile Equipment)라고 부를 수 있고, SIM(140)을 가진다면, 이동장치는 이용자 장비(UE : User Equipment)라고 부를 수 있다. SIM(140)은 이동국(102)의 종단 이용자(end user)(또는 가입자)를 확인하고 무엇보다도 그 장치를 개인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 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하나의 유형이다. SIM(140)이 없다면, 이동국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104)를 통한 통신에 대해 완전히 동작가능한 것이 아니다. SIM(140)을 이동국(102)에 삽입함으로써, 종단 이용자는 자신이 가입한 임의의 서비스 및 모든 서비스에 대해 액세스할 수 있다. SIM(140)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와,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SIM(140)은 SIM 인터페이스(1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통신 라인(144)을 통해 제어기(106)에 연결된다. 가입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SIM(140)은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자(IMSI :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은 일부 이용자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SIM(140)을 이용하는 것의 장점은 종단 이용자가 임의의 단일 물리적 이동국에 의해 반드시 구속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SIM(140)은 메모책(또는 달력) 정보 및 최근 호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추가적인 이용자 정보도 기억할 수 있다.The mobile station 102 operates us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140 that is connected to or inserted into the mobile station 102 via the SIM interface 142. If there is no SIM 140, the mobile device may be called Mobile Equipment (ME), and if it has a SIM 140, the mobile device may be called User Equipment (UE). SIM 140 is one type of removable memory module or " smart card " used to identify the end user (or subscriber) of mobile station 102 and above all personalize the device. to be. Without the SIM 140, the mobile station terminal is not fully operable for communication over the wireless network 104. By inserting the SIM 140 into the mobile station 102, an end user can access any service and all services to which he or she subscribes. SIM 140 generally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Since SIM 140 is connected to SIM interface 142, it is connected to controller 106 via communication line 144. To identify a subscriber, SIM 140 includes some user parameters, such as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An advantage of using the SIM 140 is that the end user is not necessarily bound by any single physical mobile station. SIM 140 may also store additional user information of the mobile station, including memo book (or calendar) information and recent call information.

이동국(102)은 데이터 통신장치, 셀룰러 전화,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신장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내부 모뎀을 포함한 컴퓨터와 같은 단일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동국(102)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모뎀에 접속된 컴퓨터 또는 기타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한 다중 모듈 유닛일 수도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도 1의 이동국 블록도에서는, RF 트랜시버 회로(108) 및 안테나(110)가 랩톱(laptop) 컴퓨터상의 포트(port)에 삽입될 수도 있는 무선 모뎀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랩톱 컴퓨터는 디스플레이(112), 키보드(114), 하나 이상의 보조 UI(116), 및 컴퓨터의 CPU로서 구현되는 제어기(106)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보통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컴퓨터 또는 기타 장비가 상술한 것 중의 하나와 같은 단일 유닛 장치의 RF 트랜시버 회로(108) 및 안테나(110)에 접속되어 효율적으로 그 제어를 담당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이동국(102)은 도 2의 이동국(402)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보다 많은 특정 구현예를 가질 수도 있다.The mobile station 102 is composed of a single unit such a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a cellular telephone, a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a computer including an internal modem. May be Alternatively, mobile station 102 may be a multi-module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computer or other device connected to a wireless modem. In particular, in the mobile station block diagram of FIG. 1, for example,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and antenna 11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modem unit that may be inserted into a port on a laptop computer. In this case, the laptop computer would include a display 112, a keyboard 114, one or more secondary UIs 116, and a controller 106 implemented as the computer's CPU.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a computer or other equipment, usually in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and antenna 110 of a single unit device, such as one of those described above, to efficiently control the control. Such mobile station 102 may have many more specific implementations, as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mobile station 402 of FIG.

이동국(102)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 내에서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4)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104)가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및 차세대 이동통신 방식(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술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104)는 연관된 타워 스테이션(tower station)(118)을 갖는 기지국 제어기(BSC)(120), 이동 교환 센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2),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 서빙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 : Serving GPRS Support Node)(126)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128)를 포함한다. MSC(122)는 BSC(120)에 연결되어 있고,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24)와 같은 육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SGSN(126)은 BSC(120) 및 GGSN(128)에 연결되어 있고, GGSN(128)은 다음으로 (인터넷과 같은) 공중 또는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130)에 연결되어 있다. HLR(132)은 MSC(122), SGSN(126) 및 GGSN(128)에 연결되어 있다.Mobile station 102 communicates within a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4.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4 may be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 the embodiment of FIG. 1, a wireless network 104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and Next Generatio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technology. The wireless network 104 include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20,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22,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with an associated tower station 118. 132, a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SGSN) 126,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128. The MSC 122 is connected to the BSC 120 and to a land network, such a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124. SGSN 126 is connected to BSC 120 and GGSN 128, which in turn are connected to a public or private data network 130 (such as the Internet). HLR 132 is coupled to MSC 122, SGSN 126, and GGSN 128.

스테이션(118)은 고정된 트랜시버 스테이션이며, 스테이션(118) 및 BSC(120)는 트랜시버 장비라고 부를 수 있다. 트랜시버 장비는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트랜시버 장비는 그 셀 내에서 스테이션(118)을 통해 이동국에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보통, 트랜시버 장비는 그 제어기의 제어 하에서, 특정한,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 및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국 에 송신될 신호에 대한 변조와, 아마도 부호화 및/또는 암호화와 같은 그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트랜시버 장비는 마찬가지로 그 셀 내에서 이동국(102)으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통신 신호를 복조하고, 아마도 복호화 및 역암호화한다. 통신 프로토콜 및 파라미터는 상이한 네트워크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네트워크는 상이한 변조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고, 다른 네트워크와 상이한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Station 118 is a fixed transceiver station, and station 118 and BSC 120 may be referred to as transceiver equipment. Transceiver equipment provides wireless network coverage for a particular coverage area, commonly referred to as a "cell." The transceiver equipment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to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mobile station through the station 118 within the cell. Usually, transceiver equipment performs such functions, such as modulation and possibly encoding and / or encryption, on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station under certain, generally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s and parameters under the control of its controller. If necessary, the transceiver equipment likewise demodulates, possibly decrypts and de-encrypts any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102 within that cell. Communication protocols and parameters may vary between different networks. For example, one network may employ a different modulation scheme and may operate at a different frequency than the other network.

도 1의 통신 시스템(100)에 도시된 무선 링크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채널과, 통상적으로 상이한 무선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채널과, 무선 네트워크(104) 및 이동국(102) 사이에서 이용되는 연관된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RF 채널은 통상적으로, 전반적인 대역폭의 제한과, 이동국(102)의 제한된 배터리 전원으로 인해 보존되어야 할 제한된 자원이다. 당업자라면 실제 실무에서는, 무선 네트워크가 수백 개의 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셀이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의도하는 전체 확장에 따라 스테이션(118)(즉, 또는 스테이션 섹터)에 의해 서비스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든 관련 컴포넌트는 다수의 교환기 및 라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어, 다수의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The radio link depict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of FIG. 1 may include one or more different channels, typically different Radio Frequency (RF) channels, and associated protocols used between the wireless network 104 and the mobile station 102. Indicates. The RF channel is typically a limited resource that must be conserv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overall bandwidth and the limited battery power of the mobile station 102.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 a practical practice, a wireless network may contain hundreds of cells, and each cell may be serviced by a station 118 (ie, or station sector) according to the intended overall extension of network coverage. All relevant components may be connected by multiple switches and routers (not shown) and controlled by multiple network controllers.

네트워크 운영자로써 등록된 모든 이동국(102)에 대하여, (이동국(102)의 이용자 프로파일과 같은) 영구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동국(102)의 현재 위치와 같은) 일시적인 데이터도 HLR(132)에 기억된다. 이동국(102)에 대한 음성 호출의 경우, 이동국(102)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HLR(132)에 대해 문의(query)한다. MSC(122)의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는 위치 영역 그룹을 담당하고 있고, 그 담당 영역에 현재 존재하는 이동국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것은 더욱 신속한 액세스를 위하여 HLR(132)로부터 VLR로 송신된 영구적인 이동국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MSC(122)의 VLR은 또한 일시적인 식별자와 같은 로컬 데이터를 할당 및 기억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서는, GPRS 및 비-GPRS 서비스와 기능(예를 들어, SGSN(126)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회선-교환 호출에 대한 페이징(paging), 및 조합된 GPRS 및 비-GPRS 위치 업데이트)의 더욱 효율적인 공동 배치를 위해 MSC(122)의 VLR이 확장될 수 있다.For all mobile stations 102 registered as network operators, not only permanent data (such as mobile station 102's user profile) but also temporary data (such as mobile station 102's current location) are stored in HLR 132. . For voice calls to mobile station 102, query HLR 132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mobile station 102.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of the MSC 122 is in charge of a location area group and stores data of mobile stations currently present in that area. This includes some of the permanent mobile st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HLR 132 to the VLR for faster access. However, the VLR of the MSC 122 can also allocate and store local data, such as temporary identifiers. Optionally, paging for circuit-switched calls tha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y GPRS and non-GPRS services and functions (eg, SGSN 126), and combined GPRS and non-GPRS The VLR of the MSC 122 can be extended for more efficient co-location of location updates.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126)는 MSC(122)와 동일한 계층 레벨이며, 이동국의 개별 위치를 추적한다. SGSN(126)도 보안 기능 및 액세스 제어를 수행한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28)는 외부의 패킷-교환 네트워크와의 상호연동을 제공하며, IP-기반 GPRS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SGSN(126)과 같은) SGSN과 접속된다. SGSN(126)은 기존의 GSM에서와 같이 동일한 알고리즘, 키 및 기준에 기초하여 인증 및 암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통상의 동작시에, 셀 선택은 이동국(102)에 의해, 또는 이동국(102)에 지시를 행하는 트랜시버 장비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되어, 특정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국(102)은 라우팅 영역으로 알려져 있는 또 다른 셀 또는 셀 그룹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에는 무선 네트워크(104)에 통지한다.The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126 is at the same hierarchical level as the MSC 122 and tracks the individual locations of the mobile stations. SGSN 126 also performs security functions and access control. The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128 provides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packet-switched network and is connected with an SGSN (such as SGSN 126) via an IP-based GPRS backbone network. SGSN 126 performs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setup procedures based on the same algorithms, keys, and criteria as in traditional GSM. In normal operation, cell selection may be performed autonomously by the mobile station 102 or by transceiver equipment instructing the mobile station 102 to select a particular cell. The mobile station 102 notifies the wireless network 104 when it reselects another cell or group of cells known as a routing area.

GPRS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우선, 이동국(102)은 GPRS "연결(attach)"이라고 알려져 있는 동작을 수행하여 자신의 존재를 무선 네트워크(104)에 알린다. 이 동작은 이동국(102)과 SGSN(126) 사이의 논리적 링크를 설정 하고, 이동국(102)이 예를 들어, SGSN(126)을 통한 페이지(page), 입력되는 GPRS 데이터의 통지, 또는 GPRS를 통한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GPRS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하여, 이동국(102)은 이용하기를 원하는 패킷 데이터 어드레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 동작은 이동국(102)이 GGSN(128)에 알려지게 하며, 그 다음,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상호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encapsulation) 및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이동국(102) 및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서 이용자 데이터가 투명하게 전달될 수도 있다. 데이터 패킷에는 GPRS-특정 프로토콜 정보가 구비되며, 이 데이터 패킷은 이동국(102) 및 GGSN(128) 사이에서 전달된다.To access the GPRS service, first, the mobile station 102 performs an operation known as GPRS " attach " to inform the wireless network 104 of its presence. This operation establishes a logical link between the mobile station 102 and the SGSN 126, and the mobile station 102 may, for example, receive a page through the SGSN 126, notify of incoming GPRS data, or GPRS. Makes it possible to receive SMS messages via SMS.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GPRS data, mobile station 102 assists in activating the packet data address that it wishes to use. This operation causes the mobile station 102 to be known to the GGSN 128 and then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data network can begin. For example, user data may be transparently transferred between mobile station 102 and an external data network using encapsulation and tunneling. The data packet is equipped with GPRS-specific protocol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between the mobile station 102 and the GGSN 128.

무선 네트워크는 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다른 네트워크를 아마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에 접속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실제로 교환되는 패킷 데이터가 없더라도, 네트워크는 보통 진행에 기초하여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를 매우 최소한의 일부 정렬에 의해 전송할 것이다. 네트워크가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이들 부품은 모두 함께 작동하여 무선 링크에서 특정 거동(behaviour)을 하게 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 wireless network may be connected to other systems, possibly including other networks not explicitly shown in FIG. Even if there is no packet data actually exchanged, the network will usually send the paging and system information by some very minimal alignment based on progress. Although the network consists of many parts, these parts all work together to make certain behaviors on the wireless link.

도 2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이동국(202)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동국(202)은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적어도 음성 및 진보된 데이터 통신 능력을 갖는 양방향 통신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국(202)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데이터 메시징 장치, 양방향 페이저(pager), 데이터 메시징 기능을 갖는 셀룰러 전화, 무선 인터넷 기기, 또는 (전화 기능을 갖거나 갖지 않 는) 데이터 통신장치로 불릴 수 있다. 이동국(202)은 그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복수의 고정된 트랜시버 스테이션(200) 중의 임의의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mobile station 202 of the present application. Mobile station 202 is preferably a two-way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t least voice and advanced data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cluding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computer systems.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mobile station 202, it may be referred to as a data messaging device, a two-way pager, a cellular telephone with data messaging, a wireless Internet device, or a data communication device (with or without phone functionality). Can be. The mobile station 202 may communicate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ed transceiver stations 200 within its geographic coverage area.

이동국(202)은 보통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포함할 것이며, 이 통신 서브시스템(211)은 수신기(212), 송신기(214),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내장된 또는 내부의) 안테나 소자(216 및 218)와 같은 연관된 컴포넌트, 국부 발진기(LO : local oscillator)(213),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서브시스템(211)은 도 1에 도시된 RF 트랜시버 회로(108) 및 안테나(110)와 유사하다. 통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통신 서브시스템(211)의 특정 설계는 이동국(202)의 작동이 예정된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한다.The mobile station 202 will typically include a communication subsystem 211, which may include a receiver 212, a transmitter 214, one or more (preferably embedded or internal) antenna elements ( Associated components, such as 216 and 218, a local oscillator (LO) 213, and a processing module, such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220. The communication subsystem 211 is similar to the RF transceiver circuit 108 and antenna 110 shown in FIG. 1.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communications art, the particular design of the communication subsystem 211 depends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r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2 is intended.

이동국(202)은 요구된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안테나(216)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212)에 입력되며, 이 수신기(212)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down conversion), 필터링, 채널 선택 등과 같은 수신기 기능과, 도 2에 도시된 예의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A/D 변환은 DSP(220)에서 수행될 복조 및 복호화와 같은 더욱 복잡한 통신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전송될 신호에 대해 DSP(220)에 의해 변조 및 부호화를 포함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들 DSP 처리된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218)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전송을 위해 송신기(214)에 입력된다. DSP(220)는 통신 신호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212) 및 송신 기(214)의 통신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gain)은 DSP(220)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mobile station 202 may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ignals over the network after the required network registration or activation procedure is comple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216 via the network is input to the receiver 212, which receives receiver functions such as signal amplification, frequency down conversion, filtering, channel selection, and the like, and FIG. Analog / digital (A / D) conversion of the example shown in FIG. A / D conversion of the received signal enables more complex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demodulation and decoding to be performed in the DSP 220. In a similar manner, for example, processing involving modulation and encoding is performed by the DSP 220 on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hese DSP processed signals are input to transmitter 214 for digital / analog (D / A) conversion, frequency up conversion, filtering,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ntenna 218. DSP 220 not only processes communication signals but also provides receiver and transmitter control. For example, the gain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s of the receiver 212 and the transmitter 214 may be adaptively controlled through an automatic gain control algorithm implemented in the DSP 220.

네트워크 액세스는 이동국(202)의 가입자 또는 이용자와 연관되므로, 이동국(202)은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가입자 식별 모듈 또는 "SIM" 카드(262)가 SIM 인터페이스(264)에 삽입될 것을 요구한다. SIM(262)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이들 특징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SIM(262)이 없으면 이동장치는 이동 장비(ME)라고 부를 수 있고, SIM(262)이 있으면 이동장치는 이용자 장비(UE)라고 부를 수 있다. 이동국(202)은 배터리에 의해 급전되는 장치이므로, 하나 이상의 충전가능한 배터리(256)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256)는 이동국(202)의 모든 전기 회로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전기 회로에 전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는 배터리에 대해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배터리 인터페이스(254)는 모든 회로에 전원 V+를 제공하는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Since network access is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or user of the mobile station 202, the mobile station 202 requires that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 SIM " card 262 be inserted into the SIM interface 264 to operate in the network. SIM 262 includes these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In other words, the mobile device may be called a mobile device (ME) without the SIM 262, and the mobile device may be called a user equipment (UE) with the SIM 262. Since mobile station 202 is a battery powered device, it also includes a battery interface 254 for receiving one or more rechargeable batteries 256. Such a battery 256 provides power to most, if not all, electrical circuits of the mobile station 202, and the battery interface 254 provide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battery. The battery interface 254 is connected to a regulator (not shown) that provides a power supply V + to all circuits.

이동국(202)은 이동국(2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8)(도 1의 제어기(106)의 하나의 구현예)를 가진다. 적어도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이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38)는 디스플레이(222), 플래쉬 메모리(22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26), 보조 입출력(I/O) 서브시스템(228), 시리얼 포트(230), 키보드(232), 스피커(234), 마이크(236),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 및 242로 통칭된 기타 장치 서브시스템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 서브시스템과 상호동작한다. 도 2 에 도시된 서브시스템의 일부는 통신-관련 기능을 수행하지만, 다른 서브시스템은 "상주(resident)" 또는 온-디바이스(on-devi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키보드(232) 및 디스플레이(222)와 같은 일부 서브시스템은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상의 전송을 위해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통신-관련 기능과, 계산기 또는 작업 리스트와 같은 장치-상주 기능에 모두 이용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의해 이용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플래쉬 메모리(224)와 같은 영구적인 기억공간에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방법으로 판독전용 메모리(ROM) 또는 유사한 기억소자(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특정 장치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가 RAM(226)과 같은 휘발성 기억공간에 일시적으로 로딩(loading)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The mobile station 202 has a microprocessor 238 (on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106 of FIG. 1)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2. Communication functions, including at least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ar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ubsystem 211. Microprocessor 238 also includes display 222, flash memory 224, random access memory (RAM) 226, auxiliary input / output (I / O) subsystem 228, serial port 230, keyboard ( Interoperates with additional device subsystems such as 232, speaker 234, microphone 236, short-range communication subsystem 240, and other device subsystem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242. Some of the subsystems shown in FIG. 2 perform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s, while other subsystems may provide " resident " or on-device functions. In particular, some subsystems, such as keyboard 232 and display 222, may have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entering text messages for transmission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evice-resident functions such as calculators or task lists. May be used for both. Operating system software used by microprocessor 238 is preferably stored in permanent storage, such as flash memory 224. Alternatively, read-only memory (ROM) or similar storage (not shown) may be used. May be us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operating system, particular device application, or portions thereof may be temporarily loaded into volatile storage, such as RAM 226.

그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능에 더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38)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이동국(202) 상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네트워크 선택 기술뿐만 아니라, 적어도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세트(set)는 보통 그의 제조 동안 이동국(202)에 인스톨(install)될 것이다. 이동국(202)에 로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음의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메일(e-mail), 달력 행사, 음성 메일, 약속 및 작업 항목과 같은 이용자와 관련된 데이터 항목을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갖는 개인 정보 관리자(PIM :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당연히, PIM 데이터 항목 및 다른 정보의 기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국(202) 및 SIM(262) 상에서 하나 이상 의 메모리 기억공간이 이용 가능하다.In addition to its operating system functionality, microprocessor 238 preferably enables execution of software applications on mobile station 202. In addition to the network selection techniqu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given set of applications that control basic device operation, including at least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applications, will usually be installed in the mobile station 202 during its manufacture. Preferred applications that may be loaded into the mobile station 202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rganizing data items associated with the user, such as e-mail, calendar events, voicemail, appointments, and work items. It may be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IM) application having the ability to manage. Naturally, one or more memory storage spaces are available on mobile station 202 and SIM 262 to facilitate storage of PIM data items and other information.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항목을 송신 및 수신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기억 및/또는 이와 연관된 이동국 이용자의 대응하는 데이터 항목으로써 PIM 데이터 항목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결절성(seamlessly) 통합, 동기화 및 업데이트됨에 따라, 이러한 항목에 관하여 이동국(202) 상에 미러링(mirroring)된 호스트 컴퓨터를 생성한다. 이것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 이동국 이용자의 사무실 컴퓨터 시스템일 경우에 특히 장점이 있다. 네트워크, 보조 I/O 서브시스템(228), 시리얼 포트(2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 또는 임의의 기타 적당한 서브시스템(242)을 통해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이 이동국(202)에 로딩될 수 있고, 이용자에 의해 RAM(226)에 인스톨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의한 실행을 위해 비휘발성 기억공간(도시하지 않음)에 인스톨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에 있어서의 이러한 유연성은 이동국(202)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향상된 온-디바이스 기능, 통신-관련 기능, 또는 이 둘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이동국(202)을 이용하여 수행될 전자상거래 기능 및 그 외의 이러한 재정적 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PIM application preferably has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data items via a wireless network.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IM data items are seamlessly integrated, synchronized, and updated over the wireless network as corresponding data items of the mobile station user stored in and / or associated with the host computer system, in relation to these items. Create a mirrored host computer on 202.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the host computer system is an office computer system of a mobile station user. Additional applications may be loaded into the mobile station 202 via the network, auxiliary I / O subsystem 228, serial port 230, short-range communication subsystem 240, or any other suitable subsystem 242. It may be installed in the RAM 226 by a user or, preferably, in a nonvolatile memory (not shown) for execution by the microprocessor 238. This flexibility in application installation can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station 202 and provide improved on-device functionality, communication-related functionality, or both. For example, a secure communication application may enable e-commerce functions to be performed using the mobile station 202 and other such financial transactions.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가 통신 서브시스템(211)에 의해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38)에 입력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8)는 디스플레이(222), 또한 다르게는 보조 I/O 장치(228)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를 더 처리할 것이다. 또한, 이동국(202)의 이용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2)와 아마도 보조 I/O 장치(228)와 함께 키보드(232)를 이용하여, 이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을 합성할 수도 있다. 키보드(232)는 완전한 영문숫자 키보드 및/또는 전화 타입 키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된 항목은 통신 서브시스템(211)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In the data communication mode, received signals, such as text messages, email messages, or web page downloads, will be processed by the communication subsystem 211 and entered into the microprocessor 238. Preferably, microprocessor 238 will further process the signal to output to display 222, or alternatively to auxiliary I / O device 228. The user of mobile station 202 may also synthesize data items, such as e-mail messages, for example using keyboard 232 with display 222 and possibly secondary I / O device 228. Keyboard 232 is preferably a full alphanumeric keyboard and / or telephone type keypad. This synthesized item may be transmitt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communication subsystem 211.

음성 통신에 관해서는, 수신된 신호가 스피커(234)에 출력될 것이라는 점과, 전송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236)에 의해 발생될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동국(202)의 전반적인 동작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기록 서브시스템과 같은, 다른 방법의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은 또한 이동국(202)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은 주로 스피커(234)를 통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예로서, 발신측의 식별자 지시, 음성 콜의 지속기간, 또는 그 외의 음성 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22)가 이용될 수 있다.As for voice communicatio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2 is substantially substantial except that the received signal will be output to the speaker 234 and that the signal for transmission will be generated by the microphone 236. Similar to Other methods of speech or audio I / O subsystem, such as voice message recording subsystems, may also be implemented on mobile station 202. The audio or audio signal output is preferably obtained primarily through the speaker 234, but in some instances, the display 222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indication of the originator's identifier, the duration of the voice call, or other voice call related information. Can be used.

도 2의 시리얼 포트(230)는 보통 이용자의 데스크톱 컴퓨터와의 동기화가 비록 선택사항이지만 바람직한 컴포넌트인 개인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입 통신장치에서 구현된다. 시리얼 포트(230)는 이용자가 외부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호하는 것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가 아니라, 이동국(202)에 대해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제공하여 이동국(202)의 기능을 확장한다. 예를 들어, 직접적이고 이에 따라 신뢰성이 있으며 믿을 수 있는 접속을 통해 이동국(202)으로 암호 키를 로 드(load)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의 다운로드 경로가 이용됨으로써, 보안성 있는 장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Serial port 230 of FIG. 2 is typically implemented i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ype communication device where synchronization with the user's desktop computer is an optional but desirable component. Serial port 230 allows a user to set preferences via an external device or software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functionality of mobile station 202 by providing information or software downloads to mobile station 202 rather than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xpand. For example, other download paths may be used to load the encryption key to the mobile station 202 via a direct and thus reliable and reliable connection, thereby providing secure device communication. have.

도 2의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40)은 이동국(202)과, 반드시 유사한 장치일 필요가 없는 상이한 시스템 또는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240)은 적외선 장치, 및 이와 연관된 회로와 컴포넌트, 또는 유사 가능한 시스템 및 장치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Bluetooth™는 Bluetooth SIG, Inc의 등록 상표이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ubsystem 240 of FIG. 2 is an additional and optional component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station 202 and different systems or devices that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similar devices. For example, subsystem 240 may include an infrared device, and associated circuits and components, or a Bluetooth ™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similarly possible systems and devices. Bluetooth ™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Bluetooth SIG, Inc.

도 3은 이동국에 대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돕는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은 채용될 수 있는 IP-기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의 기본 컴포넌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이동국(202)은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5)와 통신하고, 무선 음성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이트웨이(140)는 내부 또는 외부 어드레스 분석 컴포넌트(335)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이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 User Datagram Protocol) 패킷과 같은 데이터 패킷(330)은, 게이트웨이(140)로부터 이동국(202)으로 무선 네트워크 터널(325)을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145)를 통해, 이동국(202)에 전송될 정보의 소스(source)인 게이트웨이(140)로부터 전송된다. 이 무선 터널(325)을 생성하기 위하여, 고유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이동국(202)과 연관된다. 그러나, IP-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통상적으로 특 정 이동국(202)에 영구적으로 할당되지는 않지만, 그 대신에,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된다. 따라서, 이동국(202)이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게이트웨이(140)가 무선 터널(325)을 설정하기 위해 이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llustrates a system architecture that assists in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s to a mobile station. In particular, FIG. 3 illustrates the basic components of an IP-based wireless data network that may be employed. The mobile station 202 of FIG. 3 may communicate with a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145 and may communicate with a wireless voice network (not shown). As shown in FIG. 3, the gateway 140 may be coupled with an internal or external address resolution component 335 and one or more network entry points 305. A data packet 330, such as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User Datagram Protocol (UDP) packet, establishes a wireless network tunnel 325 from the gateway 140 to the mobile station 202. Thereby transmitting from the gateway 140, which is a source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202, via the network 145. To create this radio tunnel 325, a unique network address is associated with the mobile station 202. However, in IP-based wireless networks, network addresses are typically not permanently assigned to a particular mobile station 202, but instead are dynamically assigned as needed. Thus, it is desirable for the mobile station 202 to obtain a network address and the gateway 140 to determine this address in order to establish the radio tunnel 325.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는 많은 게이트웨이, 회사 서버, 및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대량 접속 중에서 멀티플렉스(multiplex) 및 디멀티플렉스(demultiplex)를 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는 또한 외부에서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집중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들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는 보통 그 수가 매우 적다.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는 게이트웨이 및 이동국 사이의 어드레스 할당 및 룩업(lookup)을 돕는 어드레스 분석 컴포넌트(335)의 일부 형태를 주로 이용한다. 이 예에서는, 어드레스 분석 컴포넌트(335)는 어드레스 분석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인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로서 도시되어 있다.Network entry point 305 is commonly used to perform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among many gateways, corporate servers, and mass connections such as the Internet, for example. Since network entry points 305 are also for centralizing externally available wireless network services, these network entry points 305 are usually very small in number. The network entry point 305 mainly uses some form of address resolution component 335 to assist in address assignment and lookup between the gateway and the mobile station. In this example, address resolution component 335 is shown as a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which is one method for providing an address resolution mechanism.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45)의 중앙 내부의 컴포넌트는 네트워크 라우터(315)이다. 보통, 네트워크 라우터(315)는 특정 네트워크에 소유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표준적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하드웨어로부터 구축될 수 있다. 네트워크 라우터(315)의 목적은, 비교적 큰 네트워크에서 보통 구현되는 수천 개의 고정된 트랜시버 스테이션(320)을,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로의 장거리 접속을 위한 중앙 위치로 집중화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라우터(315) 에 대한 다수의 타이어(tier)가 존재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 네트워크 라우터(315)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모든 경우에 그 기능은 유사하다. 종종, 네트워크 라우터(315)는 데이터 메시지를 라우팅하기 위한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이 경우에는 인터넷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동적 명칭 서버(DNS : dynamic name server)(307)로서 도시된, 명칭 서버(307)를 액세스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트랜시버 스테이션(320)은 이동국(202)과 같은 이동국에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The component inside the center of the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145 is the network router 315. Normally, network router 315 is owned by a particular network, but may alternatively be built from standard commercially available hardware. The purpose of the network router 315 is to centralize thousands of fixed transceiver stations 320, which are typically implemented in relatively large networks, to a central location for long distance connections to the network entry point 305. In some networks, there may be multiple tiers for network router 315, and in some cases master and slave network routers 315, but in all such cases the functionality is similar. Often, network router 315 is named server 307, shown as a dynamic name server (DNS) 307 as used in the Internet in this case to search for a destination for routing data messages. ) Will be accessed. As noted above, the fixed transceiver station 320 provides a wireless link to a mobile station, such as mobile station 202.

무선 터널(325)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터널은 IP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라우팅 및 어드레스 자원을 할당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145)를 가로질러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터널(325)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또는 "PDP 컨텍스트(context)"[즉, 데이터 세션(session)]라고 불리는 것의 일부로서 설정된다.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기 위하여, 이동국(202)은 무선 네트워크(145)와 연관된 특수한 기술을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는 단계는 이동국(202)이 도메인(domain), 또는 무선 터널(325)을 개방하기를 원하는 대상인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를 표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어느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가 제공된 도메인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명칭 서버(307)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라우터(315)에 터널이 먼저 도달한다. 리던던시(redundancy)을 위하여, 또는 네트워크 상의 상이한 게이트웨이 및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선 터널이 하나의 이동국(202)으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도메인 명칭이 일단 발견되면, 다음으로 터널은 네트워크 진입 포인 트(305)로 연장되고, 필요한 자원이 그 통로를 따라 각각의 노드에 할당된다. 그 다음 네트워크 진입 포인트(305)는 어드레스 분석(또는 DHCP(335))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이동국(202)을 위한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IP 어드레스가 이동국(202)에 할당되고 게이트웨이(140)에 전송되면, 게이트웨이(140)로부터 이동국(202)으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A wireless network tunnel, such as wireless tunnel 325, is open across wireless network 145 to allocate the memory, routing, and address resources needed to carry IP packets. This tunnel 325 is established as part of what is called a Packet Data Protocol or "PDP context" (ie, a data session). In order to open the radio tunnel 325, the mobile station 202 must use special techniques associated with the radio network 145. Opening such a radio tunnel 325 may require the mobile station 202 to indicate a domain, or network entry point 305 that is the object that it wishes to open the radio tunnel 325. In this example, the tunnel first arrives at the network router 315 using the name server 307 to determine which network entry point 305 matches the provided domain. Multiple radio tunnels can be opened from one mobile station 202 for redundancy or to access different gateways and services on the network. Once the domain name is found, the tunnel then extends to network entry point 305, and the necessary resources are assigned to each node along the path. Network entry point 305 then assigns an IP address for mobile station 202 using an address resolution (or DHCP 335) component. Once the IP address is assigned to the mobile station 202 and sent to the gateway 140, information may be sent from the gateway 140 to the mobile station 202.

이동국은 통상적으로 종단 이용자에 대해 수동 네트워크 선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도 제공한다. 현재의 3GPP 표준은, 로밍을 위하여, SIM에 기억된 선호되는 PLMN(PPLMN : Preferred PLMN) 리스트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용가능한 최고 우선순위 네트워크를 이동국이 선택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 표준의 섹션 4.4.3.1.1[3GPP TS 23.122 V7.3.0(2005-09)]을 참조하라. 그러나, 홈 네트워크 운영자[예를 들어,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 또는 3GPP 용어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는 그 가입자가 본국 또는 해외에서 로밍할 경우에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할지를 동적으로 제어할 필요성을 여전히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HPLMN 운영자는 국가 A에서의 그 가입자 로밍이 네트워크 X에 의해 서비스되도록 지시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이유는 본질적으로 상업적인 이유이다. 로밍 협약시에, 하나의 운영자는 로밍 가입자에 의한 어떠한 이용량에 대해 그 보답으로 더 나은 비용을 또 다른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때에는 이용 기준이 충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들 로밍 가입자 모두가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운영자가 보장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네트워크 장애 상태로 인한 것이다. 일시적 인 장애는, 소정 국가에서의 하나의 네트워크가 HPLMN의 로밍 가입자에게 그 서비스의 전부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HPLMN 운영자는 그 로밍 가입자가 전체 서비스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그 나라의 다른 네트워크를 향하도록 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GPRS가 어떤 방문 PLMN(VPLMN : Visited PLMN)에서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이 오늘날에는 드물지 않다. 또 다른 이유는 네트워크 부하 공유에 기초하고 있다. 예를 들어, HPLMN 운영자는 네트워크 X에 대해 국가에서의 그 로밍 가입자의 40%를 원하고, 네트워크 Y에 대해 35%를 원하며, 네트워크 Z에 대해 25%를 원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Mobile stations typically not only provide manual network selection for end users, but also provid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s. The current 3GPP standard specifies that for roaming, the mobile station will select the highest priority network available as defined in the Preferred PLMN (PPLMN) list stored in the SIM. See, for example, section 4.4.3.1.1 [3GPP TS 23.122 V7.3.0 (2005-09)] of the 3GPP standard. However, a home network operator (e.g.,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or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HPLMN) in 3GPP terminology) needs to dynamically control which network to connect to when its subscribers roam from home or abroad. You can still have For example, an HPLMN operator may need to instruct its subscriber roaming in country A to be serviced by network X. One reason is essentially a commercial reason. In a roaming agreement, one operator can provide another operator with a better cost in return for any usage by the roaming subscriber. Thus, it may be useful for an operator to ensure that all of their roaming subscribers are directed to one particular network to ensure that usage criteria are met at some time. Another reason is due to network failure conditions. Temporary failure may mean that one network in a given country cannot provide all of its services to roaming subscribers of HPLMN. Therefore, the HPLMN operator may have a need to direct its roaming subscribers to other networks in the country that can provide full coverage. For example, it is not uncommon today that GPRS is temporarily unavailable in some visited PLMN (VPLMN). Another reason is based on network load sharing. For example, an HPLMN operator may decide that it wants 40% of its roaming subscribers in the country for Network X, 35% for Network Y, and 25% for Network Z.

기존의 PPLMN 리스트의 이용을 통해 동적 제어가 달성된다면, HPLMN 운영자는 다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를 필요로 하는 오버-디-에어(OTA) 프로그래밍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에 대한 전체 PPLMN 리스트를 업데이트 해야 할 것이다. 로밍 가입자에 대한 모든 PPLMN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요구되는 많은 오버헤드가 금지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부하 공유가 필요하다면, HPLMN은 모든 가입자에 기초하여 PPLMN 리스트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PPLMN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대부분의 운영자의 동작 절차와 일치하지 않으며, 구성 관리에 관하여 상당한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로밍을 하면서 가입자를 특정 네트워크로 향하게 하는 기존의 해결책은, 이용자 장비가 PPLMN 리스트의 VPLMN에 대한 접속 시도를 최고 내지 최저 우선순위로 행할 경우에 HPLMN 운영자에 의한 네트워크 거부 메시지의 스푸핑(spoofing)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거부 메시지는, HPLMN 운영자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의도하는 VPLMN에 도달하기까지, 각각의 선택 된 VPLMN을 통해 송신된다. 이 기술은 이용자 장비가 HPLMN 운영자에 의해 의도된 특정 VPLMN을 향하도록 하지만,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을 필요로 할 때마다,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적인 이용을 포함한다.If dynamic control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existing PPLMN lists, the HPLMN operator can use the Over-the-Air (OTA) programming mechanism, which requires multiple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s, to complete the entire PPLMN list for each subscriber. You will have to update it. Many of the overhead required to update all PPLMN lists for roaming subscribers can be inhibited. In addition, if network load sharing is needed, the HPLMN will have to maintain a PPLMN list based on all subscribers. However, maintaining such a PPLMN list is inconsistent with most operator's operating procedures and adds significant overhead with respect to configuration management. Existing solutions for roaming subscribers to a particular network include spoofing network rejection messages by the HPLMN operator when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connect to the VPLMN in the PPLMN list with the highest or lowest priority. do. The network reject message is sent over each selected VPLMN until it reaches the intended VPLMN, as confirmed by the HPLMN operator. This technique directs the user equipment to the specific VPLMN intended by the HPLMN operator, but, as is apparent, involves the wasteful use of network resources whenever this choice is needed.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티어드" PLMN을 이용하여 이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채용된다. "스티어드 PLMN"은 홈 네트워크 운영자가 로밍 또는 그 외의 경우에 통신을 위해 임의의 이용자 장비를 향하게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용어 "스티어드" 네트워크 또는 PLMN이 여기에 채용되어 있으나, 임의의 적당한 다른 용어가 채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지향된(directed)" 네트워크 또는 PLMN).In order to solve the deficiencies of the prior art, a method and apparatus are employe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using a "steered" PLMN. A “steered PLMN” is a network that can direct home network operators to any user equipment for roaming or otherwise in communication. Although the term “steered” network or PLMN is employed herein, any suitable other terminology may be employed (eg, “directed” network or PLMN).

도 4는 본 출원에 따라 도 2의 이동국(202)의 SIM(262)에 기억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예시한 것이다. SIM(262)은 SIM(262) 상의 IMSI로부터 초기에 얻어진 홈 네트워크 식별자(402)(또는 HPLMN),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404)(또는 "이용자-제어 PPLMN 리스트")를 기억하는 데이터 파일,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406)(또는 "운영자-제어 PPLMN 리스트")를 기억하는 데이터 파일뿐만 아니라, 다른 데이터 파일(408)도 포함한다.4 illustrates a network identifier that may be stored in the SIM 262 of the mobile station 202 of FIG. 2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IM 262 is the home network identifier 402 (or HPLMN) initially obtained from the IMSI on the SIM 262, the user-control list 404 (or “user-control PPLMN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 As well as the data file storing the operator-control list 406 (or "operator-control PPLMN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s well as other data files 408.

또한, 도 4의 SIM(262)은 현재의 동작 범위(예를 들어, 로밍 지역)에 대한 스티어드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410)를 기억하는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410)는 예를 들어, 스티어드 통신 네트워크에 고유하게 대응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 mobile network code) 및 이동 국가 코드(MCC : mobile country code) 쌍이거나 이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로밍을 할 때,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동국에 표시될 때, 이동국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406)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또는 "운영자-제어 PPLMN 리스트")를 이용하여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대신에(또는 시도하기 이전에),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410)를 이용하여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필요할 경우, (예를 들어, 모든 지역에 기초하여)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를 통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용자 장비를 임의의 의도하는 네트워크로 즉시 그리고 효율적으로 "스티어"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 262 of FIG. 4 includes a data file that stores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410 associated with the steered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current operating range (eg, roaming region). Steered network identifier 410 may be or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network code (MNC) and mobile country code (MCC) pair that uniquely corresponds to a steered communication network. have. When roaming, and / or otherwise displayed to a mobile station, the mobile station uses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r “operator-controlled PPLMN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406. Instead of attempting to select a network (or before attempt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410 is used to attempt to select an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f necessary, by setting up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rough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eg, based on all regions), home network operators can immediately and efficiently "steer" user equipment to any desired network. " can do.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SIM(262)을 채용하는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의 이용자 장비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용자 장비의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이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자 장비는 이동 장비와,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억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동 장비는 무선 트랜시버, 무선 트랜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 인터페이스를 가진다.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er equipment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employing the SIM 262 of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user equipment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user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2 and 4, the user equipment includes a mobile device, a detachable memory module that stores a home network identifier, a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do. The mobile equipment has a wireless transceiver, one or more processors coupl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a detachable memory module interface coupled to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ing the method.

도 5의 시작 블록(502)에서 시작하면, 이용자 장비는 적어도 홈 네트워크 식 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한 기억을 메모리에 유지한다(도 5의 단계 504). 이들 네트워크 식별자는 SIM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SIM 또는 USIM으로부터 복사(copy)되어 이용자 장비의 다른 메모리(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RAM)에 기억될 수 있다. 이용자 장비는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이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영역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MNC/MCC 쌍과 같은 PLMN 식별자)를 수신한다(도 5의 단계 506). 스캐닝 동작 이후, 이용자 장비는 다음의 우선순위 순서, 즉, (1) 홈 네트워크(HPLMN)(또는 등가물), (2)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의 이용자-제어 리스트(이용자-제어 PPLMN 리스트), (3) 스티어드 네트워크(SPLMN), 및 (4)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운영자-제어 PPLMN 리스트)의 순서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한다(도 5의 단계 508). 현재의 3GPP 표준의 섹션 4.4.3.1.1[3GPP TS 23.122 V7.3.0(2005-09)]은 단계 508의 이 새로운 우선순위 결정 방식을 반영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Beginning at start block 502 of FIG. 5, the user equipment maintains a memory for at least a home network identifier, a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memory (step 504 of FIG. 5). ). These network identifiers are stored in the SIM and can also be copied from the SIM or USIM and stored in other memory (eg, volatile memory or RAM) of the user equipment. The user equipment performs a scanning operation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PLMN identifiers, such as MNC / MCC pai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coverage area of the user equipment (step 506 of FIG. 5). After the scanning operation, the user equipment performs the following order of priority: (1) home network (HPLMN) (or equivalent), (2) user-controlled list (user-controlled PPLMN list) of the roaming network whose priority has been determined,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3) the steered network (SPLMN), and (4) the operator-controlled list (operator-controlled PPLMN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step 508 of FIG. 5). Section 4.4.3.1.1 [3GPP TS 23.122 V7.3.0 (2005-09)] of the current 3GPP standard can be modified to reflect this new prioritization method of step 508.

따라서, 이용자 장비가 로밍 지역에서 로밍할 때, 이용자 장비는 이용 가능하다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이것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대신(또는 시도하기 이전)에 행해진다. 이것을 행할 때, 이용자 장비는 스캐닝 동작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즉, 하나 이상의 MNC/MCC 쌍)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즉, 스티어드 MNC/MCC 쌍)를 비교한다.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비교 단계에 의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용자 장비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등록할 수 있다.Thus, when the user equipment roams in a roaming area,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f available. This is done instead of (or before) attempting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s. In doing this, the user equipment compares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ie, one or more MNC / MCC pairs)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s (ie, steered MNC / MCC pairs). If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are found to match by the comparing step, the user equipment may select and registe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가 선택될 경우, 이용자 장비는 이 네트워크 상의 우선순위에 의해 PPLMN 리스트로부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시도를 행하지 않을 것이다.If a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selected, the user equipment will not attempt to select a network from the PPLMN list by priority on this network.

스티어드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이용자 장비가 스티어드 네트워크와의 접속 시도에 성공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것에 실패한 후, 이용자 장비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즉,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할 수 있다. 이용자 장비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이 선택을 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비교 단계에 의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용자 장비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등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hat the steered network is not available or that the user equipment does not succeed in attempting to connect with the steered network. In this case, after failing to attempt the sel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 user equipment sel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ie, operator-controlled list). You can try The user equipment may make this selection by comparing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with a network identifier from a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If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and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are found to match by the comparing step, then the user equipment receives a reception that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registe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identifier.

상기 지시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의 이용자-제어 리 스트의 네트워크는 스티어드 네트워크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이용자-제어 네트워크가 지정되면, 이용자 장비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기 이전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이용자 장비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이 선택을 행한다.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비교 단계에 의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용자 장비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등록을 행한다.As indicated above, the network of the user-controlled list of the determined roaming network has priority over the steered network. Thus, if a user-control network is specified, the user equipment sel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user-control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before attempting to sel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ry. The user equipment makes this selection by comparing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with network identifiers from a user-control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If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and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user-control list are found to match by the comparing step, the user equipment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user-control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is selected and registered.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또는 적절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 필드(field)가 소거(예를 들어, 비트 0 또는 1로 설정)되거나, 또는 이용자 장비에 기억된 표시(예를 들어, 비트 표시기)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에 대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이용자 장비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 없이 기존의 방식대로 동작할 것이다. 이용자 장비가 더 이상 실행 가능하지 않거나, 특히, 새로운 로밍 지역 또는 국가로 진입할 경우, 이용자 장비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장비는 마지막으로 서비스가 행해진 네트워크의 국가와 상이한 현재의 국가를 확인하는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국가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용자 장비는 현재의 국가 코드와 상이한 국가 코드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메모리로부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소거하도록 동작(또는 비트 표시기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이 경우, 이용자 장비는 새로운 지역에 대한 새로운 업데이트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필요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file or the appropriat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ield may be erased (e.g., set to bit 0 or 1), or an indication (e.g., bit indicator) stored in the user equipment may be appropriate. If set,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y be considered not available for the user equipment. If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marked as unavailable, the user equipment will operate in the existing manner without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f the user equipment is no longer viable or, in particular, enters a new roaming region or country, the user equipment may caus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set as unavailable. For example, the user equipment may receive a country code from a scanning operation that identifies a current countr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untry of the network where the service was last performed. The user equipment operates (or sets the bit indicator appropriately) to clear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rom the memory based on receiving a country co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untry code. In this case, the user equipment may need a new updated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the new region.

다시 말하면,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예를 들어, 모든 지역을 기초로)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를 통해 이용자 장비의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프로그래밈 함으로써, 이용자 장비를 임의의 의도된 네트워크로 즉시 그리고 효율적으로 "스티어" 할 수도 있다. 이용자 장비는 메시지에 의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즉, SPLMN)를 수신하고,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home network operator can immediately program the user equipment to any intended network by programm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of the user equipment through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eg, based on all regions). And you can "steer" it efficiently. The user equipment may receiv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e, SPLMN) by message and stor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도 6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네트워크로 스티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장비의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는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상이한 로밍 지역에 각각 연관된 복수의 상이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억하고 있다. 도 6의 방법에서 채용된 네트워크 장비는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장비이다.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network equipment for steering user equipment to a steered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 method of network equipment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network equipment. The network equipment may have an accessible database, which stores a plurality of different steered network identifiers, each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roaming regions. The network equipment employed in the method of FIG. 6 is the equip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the hom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도 6의 시작 블록(602)에서 시작하면, 이용자 장비는 로밍 지역, 또는 홈 통 신 네트워크의 국가와 상이한 새로운 국가에 막 진입하였다. 이 상황에서는, 이용자 장비는 로밍 지역의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VPLMN에 접속하여 이를 통해 통신한다. 이 VPLMN은 이용자 장비의 운영자-제어 VPLMN 리스트에 지정된 최고 우선순위의, 먼저 이용가능한 VPLMN일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홈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는 이용자 장비가 복수의 로밍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한다(도 6의 단계 604). 로밍 지역에서 이용자 장비에 대해 완전한 통신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게 되기 전에, VPLMN이 홈 네트워크에 의해 인증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장비는 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 장비의 적절한 지역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로밍 지역과 고유하게 연관되는 적절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 또는 SPLMN을 확인 또는 선택한다(도 6의 단계 606). 이것은 로밍 지역(예를 들어, 국가 코드 또는 MCC)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문의하여 네트워크 코드(예를 들어, SPLMN/VPLMN 식별자)를 검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Beginning at start block 602 of FIG. 6, the user equipment has just entered a roaming area, or a new countr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untry of the hom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situation, the user equipment connects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VPLMN in the roaming area. Note that this VPLMN may be the first available VPLMN of the highest priority specified in the operator-controlled VPLMN list of the user equipment. Next, the network equipment of the home communication network confirms that the user equipment is operating in one of the plurality of roaming regions (step 604 of FIG. 6). The network equipment can confirm this situation since the VPLMN may need to authenticate by the home network before the full communication service is available for the user equipment in the roaming area.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e proper region of the user equipment, the network equipment identifies or selects an appropriate steered network identifier or SPLMN uniquely associated with the roaming region (step 606 of FIG. 6). This can be done by querying the database based on the roaming region (eg country code or MCC) to retrieve the network code (eg SPLMN / VPLMN identifier).

다음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이용자 장비의 SPLMN 식별자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하여, 로밍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S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VPLMN을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도 6의 단계 608). SPLMN 식별자를 갖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SIM 또는 USIM의) 적절한 SPLMN 필드의 SPLMN 식별자를 프로그래밍한다. 이 프로그래밍은 그 직후에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의해 SPLMN이 선택되도록 행해진다. 즉, 이용자 장비에 의해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가 수행되면, 이용자 장비는 도 5의 방법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대신(또는 시도하기 이전)에, SPLMN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할 것이다.Next, the network equipment causes a message including the SPLM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roaming region to be transmitted over the VPLMN to program the SPLMN identifier of the user equipment (step 608 of FIG. 6).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ssage with the SPLMN identifier, the user equipment programs the SPLMN identifier of the appropriate SPLMN field (eg, of SIM or USIM). This programming is then done so that the SPLMN is selected by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That is, if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s performed by the user equipment, the user equipment, instead of (or prior to) attempting to sel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Will attempt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PLMN.

도 6의 단계 608에서는, 임의의 적당한 메시지를 통해 SPLMN 식별자가 이용자 장비에 송신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SPLMN 식별자는 오버-디-에어 업데이트 다운로드 또는 프로그래밍 절차에 의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된다. SMS 메시지는 SPLMN과 연관된 MNC/MCC 쌍을 단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낮은 오버헤드 타입 메시지이다. 다른 대안으로서, 비구조화된 보충 서비스 데이터(USSD :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가 SPLMN 식별자에 대한 베어러(bear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SPLMN 식별자가 기존의 또는 새로운 이동 애플리케이션 파트(MAP : Mobile Application Part) 메시지에 내장될 수 있다.In step 608 of FIG. 6, the SPLMN identifier may be sent to the user equipment via any suitable message. Preferably, the SPLMN identifier is sent to the user equipment via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by an over-the-air update download or programming procedure. The SMS message is a low overhead type message because it can only contain the MNC / MCC pair associated with the SPLMN. As another alternative,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may be used as a bearer for the SPLMN identifier. As another alternative, the SPLMN identifier may be embedded in an existing or new Mobile Application Part (MAP) message.

다른 추가적인 특징 및 기술들이 상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타이머(validity timer)"가 SPLMN 또는 SPLMN 필드와 연관될 수 있다. 이 SPLMN 유효성 타이머는 홈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프로그래밍 될 수 있고, SPLMN이 이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시간일 수도 있다. 이 특징을 이용하면, 이용자 장비는 유효성 시간 기간에 동안 SPLMN을 이용하며, 그 다음에는 상이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추가로 또는 다른 대안으로, "선택 타이머(selection timer)" 또는 "선택 시간(selection time)"이 SPLMN 또는 SPLMN 필드와 연관될 수 있다. 선택 타이머는 SPLMN이 특정 시간 경과 후에 선택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고, 선택 시간은 SPLMN이 특정 시간 또는 날짜에 선택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SPLMN이 즉시,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이 예정되어 있는 다음 시간 이후에 선택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그러한 표시와 같이, 다른 표시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표시기는 SPLMN 식별자와 함께, 홈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Other additional features and techniques can be used in the method. For example, a "validity timer" may be associated with the SPLMN or SPLMN field. This SPLMN validity timer may be programmed by the home network operator and may be the time for which the SPLMN will be used by the user equipment. With this feature, the user equipment uses the SPLMN during the validity time period and then uses a different network.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selection timer" or "selection time" may be associated with the SPLMN or SPLMN field. The selection timer may indicate that the SPLMN should be selected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and the selection time may indicate that the SPLMN should be selected at a particular time or date. Other indicators are likewise possible, such as indicating that the SPLMN should be selected immediately or after the next time a background scan is scheduled. All these indicators, along with the SPLMN identifier, can be programmed by the home network operator.

또한, 도 6과 관련지어 설명된 방법에서는, 이용자 장비가 동작하는 지역은 로밍 지역일 필요가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다른 이유, 예를 들어, 장애 상태로 인해 홈 네트워크 지역에서 동작하는 이용자 장비를 상이한 홈이 아닌(non-homne) 네트워크에 일시적으로 스티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홈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진다. 이 대안적인 우선순위 결정방식은 필요할 경우에 홈 네트워크 운영자를 통해 설정 또는 프로그래밍 될 수 있는 별도로 기억된 표시(예를 들어, 비트 표시)에 의해 이용자 장비에 표시될 수 있다. 이용자 장비는 홈 네트워크 운영자가 SPLMN 식별자가 재설정 또는 다시 프로그래밍되도록 할 때까지 그의 홈 지역의 SPLMN을 통해 통신할 것이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the metho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6, the area in which the user equipment operates is not necessarily a roaming area. Home network operators may need to temporarily steer user equipment operating in a home network area to different non-homne networks due to other reasons, such as a failure condition. In this cas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has priority over the home network identifier. This alternative prioritization scheme may be indicated on the user equipment by a separately memorized indication (eg, a bit indication) that can be set or programmed through the home network operator if necessary. The user equipment will communicate over the SPLMN in its home area until the home network operator causes the SPLMN identifier to be reset or reprogrammed.

대안적인 구성에서는,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홈 통신 네트워크 없이도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URL 또는 기타와 같은) 정보가 이용자 장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SPLMN 식별자는 웹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홈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혹은 어떤 상황에서는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정보 기억공간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In alternative configurations, the user equipment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et URL or the like) that enables retrieval of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without the hom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his SPLMN identifier can be retrieved by a web site, database, or other information store provided by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or in some circumstances by a third party.

이용자 장비가 필요로 하지 않거나 유익하지 않은 이유가 있다면, 이용자 장 비는 SPLMN으로 스티어링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이용자 장비는 GPRS가 SPLMN에 의해 이용가능하지 않다고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GPRS-가능 네트워크를 그 대신에 선택할 수 있다. 이 특징을 이용하면, SPLMN이 이용자 장비에서 프로그래밍 된 후, 이용자 장비는 이용자 장비가 SPLMN을 선택하라는 요청을 무시하였다는 표시로써 홈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응답할 수 있다. 그 메시지는 이용자 장비가 왜 그 요청을 무시하였는지에 관한 복수의 이유에 대한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user equipment does not need or is not beneficial, the user equipment does not need to be steering with SPLMN. For example, the user equipment may confirm that GPRS is not available by the SPLMN and thus select a GPRS-enabled network instead. Using this feature, after the SPLMN has been programmed at the user equipment, the user equipment can respond to the home network operator as an indication that the user equipment has ignored the request to select the SPLMN. The message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for a plurality of reasons as to why the user equipment ignored the request.

따라서,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본국 또는 해외에서 로밍할 경우에 그들 가입자가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할지를 용이하게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용자 장비가 국가 A에 진입할 경우, 네트워크 X에 대응하는 SPLMN 식별자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국가 A에서 로밍하는 그 가입자가 네트워크 X에 의해 서비스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상이한 국가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어떤 때에는, 그들 로밍 가입자 모두가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를 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운영자가 SPLMN 식별자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인 네트워크 장애는 소정 국가에서의 하나의 네트워크가 그 로밍 가입자에 대해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SPLMN 식별자를 이용하여, 그 로밍 가입자를 완전한 서비스 범위를 제공할 수 있는 그 국가의 다른 네트워크로 일시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VPLMN에서 GPRS가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것이 오늘날에는 드물지 않으며, 이 상황에서는, 홈 네트워크 운영자가 가입자를 GPRS가 가능한 VPLMN으로 일시적으로 향하게 할 것이다.Thus, home network operators can easily dynamically control which networks their subscribers connect to when roaming from home or abroad. For example, a home network operator may program a user equipment with an SPLM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network X when the user equipment enters country A, thereby instructing that subscriber roaming in country A to be served by network X. Can be. This can be done for each different country. At some time, it may be useful for an operator to use an SPLMN identifier to ensure that all of their roaming subscribers are directed to one particular network. In addition, a temporary network failure may mean that one network in a given country may not be able to provide all services to its roaming subscribers. Thus, the home network operator can use the SPLMN identifier to temporarily direct the roaming subscriber to another network in the country that can provide full coverage. For example, it is not uncommon today that GPRS is temporarily unavailable in some VPLMNs, in which case home network operators will temporarily direct subscribers to GPRS-enabled VPLMNs.

네트워크 부하 공유에 관하여,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네트워크 X에 대해 국가에서의 로밍 가입자의 40%를 원하고, 네트워크 Y에 대해 35%를 원하며, 네트워크 Z에 대해 25%를 원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부하 공유가 필요하다면,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모든 가입자에 기초하여 PPLMN 리스트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PPLMN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구성 관리에 대하여 상당한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그 가입자에 대한 상이한 운영자-제어 PPLMN 리스트를 유지할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어, 네트워크 X, Y 및 Z에 대응하는 상이한 SPLMN에 의해 상이한 이용자 장비를 프로그래밍하면서, 현재 가입자의 수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X, Y 및 Z에 대한 간단한 데이터베이스 리스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Regarding network load sharing, the home network operator may decide that he wants 40% of roaming subscribers in the country for network X, 35% for network Y, and 25% for network Z. If network load sharing using existing technology is needed, home network operators will have to maintain a PPLMN list based on all subscribers. Maintaining this PPLMN list adds significant overhead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 home network operator does not need to maintain a different operator-controlled PPLMN list for that subscriber, but is currently programming different user equipment by different SPLMNs corresponding to networks X, Y and Z, for example. There is a need to maintain a simple database list for each network X, Y and Z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subscribers.

SPLMN을 이용하면,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다수의 SMS 메시지를 필요로 할 OTA 프로그래밍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전체 PPLMN 리스트를 업데이트 해야 할 필요가 없다. OTA 프로그래밍 메커니즘, 또는 다른 시그널링 기술을 이용한 작은 오버헤드 메시지만 채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택이 필요할 때마다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적인 이용을 포함하므로, 네트워크 거부 메시지의 스푸핑을 포함하는 다른 기존의 해결책이 불필요하다. SPLMN 식별자의 프로그래밍은 적당한 SPLMN에 대한 이용자 장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향(directing)을 포함한다.With SPLMN, home network operators do not have to update the entire PPLMN list for each subscriber using an OTA programming mechanism that will require multiple SMS messages. Only small overhead messages using OTA programming mechanisms or other signaling techniques need to be employed. Since this choice involves wasteful use of network resources whenever necessary, other existing solutions, including spoofing network rejection messages, are unnecessary. The programming of the SPLMN identifier includes the fast and efficient directing of user equipment to the appropriate SPLMN.

"스티어드" PLMN을 이용하여 이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 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의 메모리(예를 들어, SIM 또는 USIM과 같은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기억되어 있다.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는, 스캐닝 동작이 수행되어, 이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영역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용자 장비는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커버리지 영역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한다.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 및 등록된다. 이 절차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는 대신(또는 이용하기 이전)에 수행된다. 상술한 이용자 장비 기술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이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용자 장비는 이동 장비와,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억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동 장비는 무선 트랜시버와, 무선 트랜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 인터페이스를 가진다.A method and apparatus have been describe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using a "steered" PLMN. The home network identifier, the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s ar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equipment (eg, a detachable memory module such as SIM or USIM).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a scan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the coverage area of the user equipment. The user equipment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overage area by comparing the network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f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are found to match,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selected and registered by the user equipment. This procedure is performed instead of (or before using)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The user equipment technology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user equipment. The user equipment includes a mobile device and a detachable memory module that stores a home network identifier, a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 mobile equipment has a wireless transceiver, one or more processors coupl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and a detachable memory module interface coupled to the one or more processors implementing the method.

필요할 경우, (예를 들어, 모든 지역에 기초하여)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를 통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운영자는 이 용자 장비를 임의의 의도된 네트워크로 즉시 그리고 효율적으로 "스티어" 할 수 있다.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은, 이용자 장비가 로밍 지역의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로밍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로밍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오버-디-에어 프로그래밍 절차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 장비 기술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If necessary, by setting up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via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eg, based on all regions), the home network operator can immediately and efficiently "put this user equipment into any intended network." Steer. " One exemplary technique for use in steering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y a network equi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hich is the home 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a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in a roaming region. Verify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operating in one of the roaming regions of the mobile station; and ca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roaming are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through the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automatically Causing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be selected in a network selection procedure.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y be sent by a message,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of an over-the-air programming procedure. The network equipment technology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network equipment.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특정 실시예에 대한 변경, 변형 및 변동을 실시할 수 있다.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발명은 기술적으로 모든 적당한 변경을 포함하고 수용하도록 의도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o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is intended to cover and embrace all suitable modifications technically.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드 PLMN을 이용하는 이용자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using a steered PLMN.

Claims (38)

이용자 장비에 의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user equipment,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 및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및 A portion of a home network identifier,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user-controlled and operator-controlled list of said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Storing in the memory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having a priority fo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동작을 시도하는 단계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user equipment, attempting selection and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having priority ove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동작을 시도하는 단계는,Attempting to select and ope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이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Performing a scanning operation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coverage area of the user equipment; 상기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And 상기 비교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confirms that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tch, then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A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done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하는 대신에, 로밍할 때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함으로써,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가 더 수행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Instead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when roaming. In which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s further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에 의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by message;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및Sto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And 상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 및 동작하는 대신에, 이용자 장비가 로밍할 경우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동작을 행하는 단계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nstead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a steered network for user communication when the user equipment roams.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용자 장비에 대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기 이전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는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for the user equipment, prior to attempting sel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 selec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using the user-control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 Further comprising attempting,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at least on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with a network identifier from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And 상기 비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determines that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matches a network identifier from a user-control list, the priority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user-control list of the determined network identifier.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A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done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용자 장비에 대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것이 실패한 후,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는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for the user equipment, after attempting to selec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ails, the operator-control list of the roaming network identifier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is used. Further comprising attempting a selection, which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at least on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with a network identifier from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상기 비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determines that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matches a network identifier from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operator-control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list. 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A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done b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및 이용자-제어 리스트, 및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의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기억되어 있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The home network identifier, an operator-controlled and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y b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of the user equipment. A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홈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에 의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by message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home network identifier; And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Sto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현재의 국가 코드와 상이한 국가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Receiving, from the scanning operation, a country code different from a current country code; And 현재의 국가 코드와 상이한 국가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메모리로부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소거하는 단계Clea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rom the memory based on receiving a country co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untry code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es. 무선 트랜시버와,Wireless transceiver,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One or more processors coupl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장비로서,A mobile device comprising a detachable memory module interface coupled to the one or more processors, 상기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은,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 및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억하도록 적응되어 있고, The detachable memory module includes a home network identifier,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user-controlled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at is not part of an operator-controlled list and that has priority ove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동작을 시도함으로써,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적응되어 있고, 이는The one or more processors attempts to select and operat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that has priority ove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thereby performing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s adapted to perform, which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이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Performing a scanning operation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coverage area of the user equipment; 상기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And 상기 비교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confirms that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tch, then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인, 이동 장비.That is done by the transfer equipmen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하는 대신에, 로밍할 때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함으로써, 상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적응되어 있는 것인 이동 장비.The one or more processors correspond to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when roaming, instead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By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equipment being further adapted to perform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에 의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by message;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및Sto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And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하는 대신에, 이용자 장비가 로밍할 때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 및 동작을 행하는 단계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nstead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a steered network for user communication when the user equipment roams.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를 더 포함하는 이동 장비.Mov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기 이전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함으로써,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적응되어 있고, 이는 The one or more processors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before attempting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reby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More adapted to carry out the procedure, which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at least on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with a network identifier from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And 상기 비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우선 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determines that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matches a network identifier from a user-control list, the priority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user-control list of the determined network identifier.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인 이동 장비.The transfer equipment being done b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기 이전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함으로써,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적응되어 있고, 이는 The one or more processors attempts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before attempting to sele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ereby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More adapted to carry out the procedure, which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at least on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with a network identifier from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상기 비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 중의 하나와,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로부터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determines that one of the one or more received network identifiers matches a network identifier from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operator-control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Selecting and regist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network identifier from the list 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인 이동 장비.The transfer equipment being done b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장비.And the detachable memory module comprise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홈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에 의해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by message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home network identifier; And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상기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에 기억하는 단계Sto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n the removable memory module 를 더 포함하는 이동 장비.Mov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The one or more processors, 상기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현재의 국가 코드와 상이한 국가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from the scanning operation, a country code different from a current country code; And 현재의 국가 코드와 상이한 국가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소거하는 단계Clear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based on receiving a country co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untry code 에 의하여,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적응되어 있는 것인 이동 장비.And is further adapted to perform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이동 장비를 위한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로서,A removable memory module for mobile equipment, 메모리;Memory; 홈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기 위한 파일;A file for storing a home network identifier in a memory;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메모리에 기억하기 위한 파일;A file for storing in the memory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메모리에 기억하기 위한 파일; 및A file for stor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in a memory; And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메모리에 기억하기 위한 파일To store in the memory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at is not part of the user-controlled and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and has priority over the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file 을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Removable memory module comprising a.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동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상기 이동 장비에 의해 이용하기 위한 것인,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for use by the mobile device instead of using the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mobile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가입자 식별 모듈(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것인,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A detachable memory module, compris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Mobile Network code) 및 이동 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를 포함하는 것인,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Wherein each network identifier comprises a Mobile Network Code (MNC) and a Mobile Country Code (MCC).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대응하는 것인,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Each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s to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method for use in steering a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a network equi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상기 이용자 장비는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 및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The user equipment is configured to operate using a home network identifie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and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복수의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역에서 이용자 장비가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Confirming that the user equipment is operating in the reg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상기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이용자 통신에 대한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상기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에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인, 단계Ca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are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that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selected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for user communication. As a step,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not part of the user-controlled and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 at the user equipment and is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Which has priority for 를 포함하는,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And using the device to steer the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 및 동작하는 대신에,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corresponds to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instead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steer the user equipment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 및 이동 국가 코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Wherein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mprises a mobile network code and a mobile country code corresponding to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Enabl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further comprises ca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includ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How to use.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지역은 로밍 지역인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rein the area is a roaming area. 제 2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Steering a user equipment in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being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tor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network equipment. Method to use to d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로서, A network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 및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이용자 장비에 대한 홈 통신 네트워크이고,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for user equipment configured to operate using a home network identifier,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and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복수의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역에서 이용자 장비가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Confirming that the user equipment is operating in the reg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상기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이용자 통신에 대한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상기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단계로서,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인, 단계Causing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selected 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for the user communication.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not part of the user-controlled and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network identifiers and is prioritized over the operator-controlled list of networked prioritized networks 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Having steps 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Network equip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ed to perform.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선택의 및 동작을 시도 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is such that, instead of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roaming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attempting to perform and ope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 Network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 및 이동 국가 코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Wherein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mprises a mobile network code and a mobile country code corresponding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메시지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And ca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further comprises ca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compri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버-디-에어(over-the-air) 다운로드 메시지가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Ca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further comprising causing an over-the-air download message includ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to be transmitted. Network equipment.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지역은 로밍 지역인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Wherein sai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aid area is a roaming area.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는 이용자 장비에 대한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는 이용자 통신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대신에, 이용자 통신에 대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는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is for use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for the user equipment, wherein the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allows sele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network identifiers prioritized for user communication. Instead of attempting, attempting to select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for user communication, which includes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이용자 장비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Performing a scanning operation to receive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coverage area of the user equipment; 상기 스캐닝 동작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one or more network identifiers received from the scanning operation with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And 상기 비교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와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와 일치하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선택 및 등록을 행하는 단계If the comparison confirms that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and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match, selecting and registering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etwork identifier that matches the steered network identifier. 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A network equip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done by.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복수의 상이한 로밍 지역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상이한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Further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teered network identifiers, each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roaming regions. 이용자 장비의 홈 통신 네트워크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method for use in steering a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a network equi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user equipment, 상기 이용자 장비는, 홈 네트워크 식별자,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리스트,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 및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이용자-제어 및 운영자-제어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며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로밍 네트워크 식별자의 운영자-제어 리스트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한 기억을 유지하고, The user equipment comprises a home network identifier, a use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 operator-controlled list of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and a user-controlled and operator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s. Maintain a memory of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that is not part of the control list and that has priority over the operator-controlled list of the prioritized roaming network identifier, 복수의 지역 중의 하나의 지역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지역에서 이용자 장비가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Confirming that the user equipment is operating in the reg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상기 확인된 지역의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스티어드 네트워크 식별자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 장비에 송신되도록 하여, 이용자 장비의 자동 네트워크 선택 절차에서 상기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Causing a steered network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identified are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quipmen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that the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selected in a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procedure of the user equipment. 를 포함하는,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And using the device to steer the user equipment to a steer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3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방문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은 이용자 장비의 로밍 지역을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visit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rein the area comprises a roaming area of the user equipment. 제 3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홈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은 이용자 장비의 홈 지역을 포함하는 것인, 이용자 장비를 스티어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스티어링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ho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rein the area comprises a home area of user equipment.
KR1020070014829A 2006-02-13 2007-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twork selection using steered PLMN KR1009318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250765A EP1819184B1 (en) 2006-02-13 2006-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a mobile station
EP06250765.2 2006-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778A true KR20070081778A (en) 2007-08-17
KR100931858B1 KR100931858B1 (en) 2009-12-15

Family

ID=3633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829A KR100931858B1 (en) 2006-02-13 2007-02-13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twork selection using steered PLMN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2) EP1819184B1 (en)
JP (1) JP4512602B2 (en)
KR (1) KR100931858B1 (en)
CN (2) CN102752832B (en)
AU (1) AU2007200551B2 (en)
BR (1) BRPI0701397B1 (en)
CA (1) CA2577689C (en)
ES (2) ES2399441T3 (en)
HK (1) HK1111034A1 (en)
MX (1) MX2007001781A (en)
SG (2) SG155197A1 (en)
TW (1) TWI35189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19A1 (en) * 2016-12-12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network access method for mobile terminal roaming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36826B (en) * 2007-09-30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ccess to family base station overlay area through core network
US8588738B2 (en) 2007-10-01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access in a diverse access point network
GB2454654B (en) * 2007-11-06 2010-04-14 Nec Corp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list structure
US8971888B2 (en) 2008-03-21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in deployments with home nodeBs
CN101562870A (en) * 2008-04-17 2009-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network and terminal
US8909236B2 (en) 2008-08-2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femtocell deployment information
JP4759621B2 (en) * 2009-01-09 2011-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bscriber authentication method, subscriber authentication module, mobile device system, authentication error detection method, authentication vector gener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vector generation method
CN102056273A (en) * 2009-11-02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home evolved node B to select core network
US8611957B2 (en) * 2010-05-07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a device personality based on mobile device identity module
US8903367B2 (en) 2010-05-20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backward compatibility in open market handsets
CA2724871C (en) 2010-12-10 2015-10-13 Telus Communications Company Method for instant registration of a roaming ue onto a preferred vplmn from a non-preferred vplmn
CN103918316A (en) * 2011-06-30 2014-07-09 福柯移动公司 Method and system for roam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unit
CN102395175B (en) * 2011-06-30 2018-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LMN system of selection and mobile terminal
GB2500267A (en) * 2012-03-16 2013-09-18 Nec Corp Using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device to select parameters when handing over from a LTE network to a CDMA network
CN103731894B (en) * 2012-10-12 2018-01-02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Method for switching network and device
CA2816684C (en) 2013-05-17 2021-02-09 Robert Manalo Method for instant registration of a roaming ue onto a preferred vplmn using airplane mode of operation
KR101821693B1 (en) 2014-03-28 2018-01-24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Roaming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82109A1 (en) * 2014-03-31 2015-10-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amless migration to radio networks
JP6708626B2 (en) * 2014-05-02 2020-06-10 コニンクリーケ・ケイピーエヌ・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from a wireless access network.
US10064122B2 (en) * 2014-06-27 2018-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elect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and apparatus and device thereof
US9942816B2 (en) * 2014-11-27 2018-04-10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selecting a cellular network
CN104869562A (en) * 2015-04-24 2015-08-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4853409B (en) * 2015-04-30 2017-07-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network acces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902533B (en) 2015-04-30 2016-12-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network acces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853345B (en) * 2015-04-30 2017-03-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network acces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980999B (en) 2015-06-19 2017-03-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for network access and mobile terminal
CN105050112B (en) 2015-06-19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Network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7067568A1 (en) * 2015-10-19 2017-04-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06954235A (en) * 2016-01-07 2017-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ell selec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8149494A1 (en) * 2017-02-15 2018-08-23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Techniques for sharing 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different networks
KR102450419B1 (en) 2017-07-18 2022-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Anti-steering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roaming a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7276442B2 (en) * 2019-05-29 2023-05-18 新東工業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gateway,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7412347A (en) * 2019-07-09 2024-01-16 荣耀终端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network reselection during disasters
KR20230002409A (en) * 2020-04-21 2023-01-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Network selection for roaming user equipment
CN111586683B (en) * 2020-05-29 2023-12-15 上海英哈科技有限公司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wo iSIMs and an interface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network
EP3955610A1 (en) * 2020-08-12 2022-02-16 Apple Inc. Steering of roaming plmn list update and management
US11696114B2 (en) 2020-08-12 2023-07-04 Apple Inc. Steering of roaming PLMN list update and management
CN112601122A (en) * 2020-12-14 2021-04-02 福建福讯人才服务有限公司 Screen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udp
US11991525B2 (en) 2021-12-02 2024-05-21 T-Mobile Usa, Inc. Wireless device access and subsidy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950B2 (en) * 1992-12-22 1999-06-23 富士通株式会社 Search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999811A (en) * 1996-02-16 1999-12-07 Ericsson, Inc. Mobile telephone for roaming using dual mode/band equipment including SIM cards
GB2369265B (en) * 2000-09-11 2004-03-17 Cable & Wireless Hkt Csl Ltd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roaming service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463366B1 (en) * 2003-03-24 2007-12-05 Star Home GmbH Preferred network selection
CN100337510C (en) * 2004-05-11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users to access network
JP4271677B2 (en) * 2005-09-01 2009-06-03 エスアイアイ移動通信株式会社 Telecommunications carrier selec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19A1 (en) * 2016-12-12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network access method for mobile terminal roaming service
KR20190057384A (en) * 2016-12-12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Network access method for roaming service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10785711B2 (en) 2016-12-12 2020-09-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network access method for mobile terminal roam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1397A (en) 2007-10-30
TWI351890B (en) 2011-11-01
TW200742458A (en) 2007-11-01
AU2007200551A1 (en) 2007-08-30
KR100931858B1 (en) 2009-12-15
HK1111034A1 (en) 2008-07-25
SG135104A1 (en) 2007-09-28
AU2007200551B2 (en) 2009-09-10
SG155197A1 (en) 2009-09-30
CA2577689A1 (en) 2007-08-13
ES2399441T3 (en) 2013-04-01
EP2259629B1 (en) 2013-04-24
MX2007001781A (en) 2008-11-18
JP2007221786A (en) 2007-08-30
CN101031145A (en) 2007-09-05
ES2422908T3 (en) 2013-09-16
CN102752832A (en) 2012-10-24
EP2259629A1 (en) 2010-12-08
CN101031145B (en) 2012-08-08
EP1819184B1 (en) 2012-11-14
JP4512602B2 (en) 2010-07-28
EP1819184A1 (en) 2007-08-15
CA2577689C (en) 2013-08-06
CN102752832B (en) 2015-11-18
BRPI0701397B1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twork selection using steered PLMN
US8027677B2 (en) Automatic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steered PLMN
JP4990341B2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domestic networks in border areas
EP1881716B1 (en)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tization after network signal recovery or power-on
EP1683380B1 (en)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home network priorization after network signal recovery or power-on
US20050113088A1 (en) Home network name display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home networks
US200702546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user-controlled PLMN list for a SIM/USIM card with use of a user agent application
EP18506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user-controlled PLMN list for a SIM/USIM card with use of a user-agen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