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029A -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 Google Patents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029A
KR20070081029A KR1020060012731A KR20060012731A KR20070081029A KR 20070081029 A KR20070081029 A KR 20070081029A KR 1020060012731 A KR1020060012731 A KR 1020060012731A KR 20060012731 A KR20060012731 A KR 20060012731A KR 20070081029 A KR20070081029 A KR 2007008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se
fan motor
housing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판상
안형진
Original Assignee
안판상
안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판상, 안형진 filed Critical 안판상
Priority to KR102006001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029A/en
Publication of KR2007008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0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An offensive odor removal device for a toilet bowl is provided to keep the inside environment of a toilet pleasant by exhausting an offensive odor from a toilet bowl using an exhaust device. The offensive odor removal device for a toilet bowl comprises a seat(24)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body(4) of a toilet bowl(2) to let a user sit on, a support body(8) installed on two sides of the top of the body by fixing pins(10), an inhaler(14) installed on the tail of the seat and provided with a suction port(16) to collect an offensive odor from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toilet bowl, a hinge pin(12) coupled to the tail of the inhaler and the support body, and an exhaust device(28) connected to the inhaler by an inflow hose(26) to exhaust an offensive odor compulsively.

Description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Stem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도 1a, 1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Figure 1a, 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의 분리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5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기호스가 피트랩 및 5a and 5b show that the exhaust ho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t wrap and

에스트랩에 연결된 상태도.          Also connected to the strap.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6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의 분리 사시도 및 배기호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exhaust hos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 연결 상태도.         Connection state diagram.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기호스가 에스트랩에 연결되는 8 is an exhaust ho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strap;

상태도.         State diagram.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단면도.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70,131:좌변기 4,72,133:몸체 2,70,131: Toilet 4,72,133: Body

6,92:홀 8,88:지지체 6,92: Hole 8,88: Support

10,90:고정핀 12,94:힌지핀 10,90: Fixed pin 12,94: Hinge pin

14,74,154:흡입기 16,78:흡입구 14,74,154: Suction unit 16,78: Suction port

18,80:케이스 20,84,96:돌출부 18,80: Case 20,84,96: Projection part

22,32,82,108,141:배기관 24,76:시트 22, 32, 82, 108, 141: exhaust pipe 24, 76: sheet

26,98,152:유입호스 28,100,138:배기장치 26,98,152: Inlet hose 28,100,138: Exhaust system

30,106,139:유입관 34,110,142:하우징 30,106,139: Inflow pipe 34,110,142: Housing

36,112,144:팬모터 38:유입구 36, 112, 144: fan motor 38: inlet

40:배기구 42,114,146:닥트 40: Exhaust vent 42,114,146: Duct

44,116,148:댐퍼 46:경첩 44,116,148: Damper 46: Hinge

48,118,140:제어부 50,86:작동스위치 48,118,140: control unit 50,86: operation switch

51,121:플러그 54,119:전원스위치 51,121: Plug 54,119: Power switch

55,104:브래킷 56,120,150:배기호스 55, 104: Bracket 56, 120, 150: Exhaust hose

57,113:고정나사 58,122:세면기 57,113: set screw 58,122: wash-basin

60,102:테이블 62,124:피트랩 60, 102: Table 62, 124: Flap

64,125:에스트랩 66,126:호스연결구 64, 125: STRAP 66, 126: Hose connector

67,127:배수관 130:비데기 67,127: drain pipe 130: bidet

132:컨트롤박스 134:메뉴보오드 132: control box 134: menu board

135:악취제거모드 136:메인제어부 135: odor removal mode 136: main control unit

본 발명은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사용 전,후로 하여 배기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게 하므로서 좌변기의 몸체에 머물러 있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켜 쾌적한 화장실 내부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면서 절전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여 기능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고, 또한 화장실의 세면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좌변기의 몸체에 머물러 있는 악취를 배기시키므로서 설치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게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s, and more particularly,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oilet seat to exhaust the odor remaining in the body of the toilet while operating for a certain time to create a comfortable toilet interior environment.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s, which has a power-saving function, further improves its functionality, and also reduces the installation cost by exhausting the odors remaining in the body of the toilet through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sh basin of the bathroom.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화장실내에는 여러 종류의 악취가 잔류하는데, 이러한 악취는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화장실에 머물러 있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탈취기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오존이 발생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In general, many kinds of odors remain in the bathroom, which can be offensive to the user using the bathroom. Therefore, in the past, a deodorizer was used to remove odors remaining in the toilet. In this manner, a large amount of ozon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odors, which affects the human body.

상기와는 달리 화장실에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천정에 별도의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악취의 발생 위치와는 무관하게 천정에 설치되어 있어서 악취를 근본적으로 배기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화장실내에는 항상 악취가 잔류하게 되는 결점을 지니고 있다. Unlike the above, a separate exhaust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in the bathroom, and this metho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odor, so that the odor cannot be fundamentally exhausted. The toilet has the drawback that odors always remain in the bathroom.

이로 인해 최근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좌변기에 근접한 위치에 별도의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As a result, recently, as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for removing odors, a separate exhaust devic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toilet.

한편 종래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11428호(명칭:화장실 냄새 배출장 치)를 도 1a, 1b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i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11428 (name: toilet odor discharge device) looking at Figure 1a, 1b as follows.

먼저 좌변기(1) 상부에는 시트커버(2)가 흡기공(3)을 저면에 형성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시트커버(2)에는 흡기공(3)을 연결하고 있는 배출호스(5)가 연결된다. First, the seat cover 2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1 while the intake hole 3 is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nd the discharge hose 5 connecting the intake hole 3 is connected to the seat cover 2. .

상기 배출호스(5)에는 흡기팬(6)과 역류방지밸브(7)와 필터(8)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The intake fan 6, the non-return valve 7, and the filter 8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좌변기(1)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흡기팬(6)을 작동시키면 흡기공(3a)에 대해 흡입력이 제공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좌변기(1)에 있는 악취는 흡기공(3a)을 통하여 배출호스(5)를 따라 흡기팬(6), 역류방지밸브(7), 필터(8)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When the intake fan 6 is operated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toilet 1, suction power is provided to the intake hole 3a, whereby the odor in the toilet 1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hole 3a. Along with (5) it passes through the intake fan (6), the non-return valve (7), the filter (8) and so on out of the outside.

이때 상기 악취는 필터(8)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흡수 제거된다. At this time, the odor is absorbed and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8).

상기와 같이 좌변기(1)를 사용자가 이용한 후 흡기팬(6)을 정지시키면 간헐적으로 외부공기가 역류하여 좌변기(1) 쪽으로 유입 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호스(5)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7)가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If the user stops the intake fan 6 after using the toilet seat 1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air flows intermittently and flows into the toilet seat 1, where the non-return valve 7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se 5 To block backflow of air.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좌변기(1)를 이용한 후 곧바로 흡기팬(6)을 정지 시키는 방식이어서 좌변기(1)에 잔류하고 있는 일부 악취가 화장실내로 퍼지게 되어 불쾌한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고, 동시에 사용자가 흡기팬(6)을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지 않게 되면 연속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구조여서 기능성이 떨어지는 결점을 지니고 있다.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in which the user stops the intake fan 6 immediately after using the toilet seat 1 so that some odor remaining in the toilet seat 1 is spread into the toilet, creating an unpleasant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if the user does not stop after operating the intake fan (6), since it operates continuously, it has a drawback of poor functionality due to the structure of increased power consumption.

다른 문제점으로는, 화장실내에서 발생된 악취를 배기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배기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Another problem is that in order to exhaust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a separate exhaust facility is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installa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좌변기의 사용 전,후로 하여 배기장치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게 하므로서, 좌변기의 몸체에 머물러 있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켜 쾌적한 화장실 내부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하면서 절전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여 기능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that purpose, before and after use of the toilet bowl to operate the exhaust device for a certain time, while exhausting the odor remaining in the body of the toilet bowl to the outside comfortable toilet interior The purpose is to make the environment more efficient while having the power saving function.

다른 목적으로는 화장실내의 세면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좌변기의 몸체에 머물러 있는 악취가 배기 되도록 하므로서 설치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purpose is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allowing the odor remaining in the body of the toilet to be exhausted through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sh basin in the toile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좌변기(2)의 몸체(4)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24)와, 상기 몸체(4)의 후미 상단부 양측에 고정핀(10)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체(8)와, 상기 시트(24)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흡입구(16)를 형성하는 흡입기(14)와, 상기 흡입기(14) 후미와 지지체(8)에 결합 되어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핀(12)과, 상기 흡입기(14)에 유입호스(26)로 연결되어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at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body 4 of the toilet seat 2, and the fixed pin 10 is fitted to both sides of the rear upper end of the body (4) The support body 8 is installed, the inhaler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seat 24 to form the inlet 16, and the inhaler 14 is coupled to the rear end and the support 8 to form a rotation center The hinge pin 12 and the intake hose 26 is connected to the inlet hose 2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xhaust device 28 for forcibly exhausting the od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5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Figures 2 to 5 as follows.

먼저 좌변기(2)(도3참조)를 구성하는 몸체(4)의 상단면 후미 양측에는 홀(6)이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6)에는 지지체(8)에 형성되는 고정핀(10)이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 지지체(8)에는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핀(12)이 결합 된다. First, holes 6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4 constituting the toilet seat 2 (see FIG. 3)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each hole 6 is formed in the support 8. Fixing pin 10 is fitted and coupled, the support pin 8 is coupled to the hinge pin 12 forming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지지체(8) 사이에는 좌변기(2)의 몸체(4)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포집하는 흡입기(14)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입기(14)에는 악취가 유입되는 흡입구(16)를 전방에 형성한 케이스(18)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8) 후미 양측에는 힌지핀(12)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8)의 후미 중간부에는 악취가 빠져나갈 수 있게 안내하는 배기관(22)이 형성된다. Between the support 8 is provided with an inhaler 14 to collect the odor generated in the body 4 of the toilet seat 2, the inlet 14 is formed in the inlet 16 to the odor flows in front One case 18 is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case 18 are formed with protrusions 20 which are coupled to the hinge pins 12 and rotated, and odors can escape from the rear middle part of the case 18. Exhaust ducts 22 are formed which guide them.

그리고 상기 케이스(18) 양측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시트(24)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몸체(4) 상부에 배치된다. And the case 24 is formed on the body 4 while the seat 24 is formed integrally to allow the user to sit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시트(24)와 흡입기(14)는 제조할 때 일체로 제조할 수도 있고, 조립식으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The seat 24 and the inhaler 14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hen manufactured, or may be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m prefabricated.

상기 흡입기(14)의 배기관(22)에는 악취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호스(26)가 연결되고, 상기 유입호스(26)에는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28)가 연결된다. An inlet hose 26 for guiding the flow of odor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22 of the inhaler 14, and an exhaust device 28 for forcibly exhausting the odor is connected to the inlet hose 26.

상기 배기장치(28)에는 유입호스(26)를 연결한 유입관(30)과 배기관(32)을 외부에 형성한 하우징(34)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4)(도4참조) 내부에는 흡입력을 제공하여 악취를 배기시키는 팬모터(36)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팬모터(36)에는 유입구(38)와 배기구(40)가 각각 형성된다. The exhaust device 28 includes a housing 34 having an inlet pipe 30 connecting the inlet hose 26 and an exhaust pipe 32 to the outside, and inside the housing 34 (see FIG. 4). A fan motor 36 is installed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exhaust odors. In this case, an inlet 38 and an exhaust port 40 are formed in the fan motor 36,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유입구(38)는 하우징(34)의 유입관(30)(도3참조)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구(40)(도4참조)에는 닥트(42)가 결합 되면서 배기관(32)과 연결되며, 상기 닥트(42)의 출구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댐퍼(damper)(44)가 개,폐 가능하게 경첩(46)으로 설치된다. The inlet 38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30 (see FIG. 3) of the housing 34, and the exhaust pipe 32 is coupled to the exhaust port 40 (see FIG. 4) while the duct 42 is coupled. The damper 44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uct 42 to prevent the backflow of odor.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댐퍼(44)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 되므로서, 상기 팬모터(36)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자중에 의해 닥트(42)의 출구측을 닫힘상태로 되게 한다. Since the damper 4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outlet side of the duct 42 is closed by its own weight while the fan motor 36 is not operated.

그리고 상기 팬모터(36)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48)가 연결되면서 하우징(3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48)에는 작동스위치(50)와 전원스위치(54)가 각각 연결되면서 하우징(34) 외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어부(48)에는 미 도시된 콘센트에 끼울 수 있도록 한 플러그(51)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fan motor 36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4 while the control unit 48 which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is connected, and the operation switch 50 and the power switch 54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8, respectively. The housing 3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upper end, and the plug 4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8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 outlet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기장치(28)(도3참조)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팔과 가까운 곳에 설치해야 되는데, 따라서 상기 배기장치(28)의 하우징(34) 일면을 "ㄱ"자로 절곡된 브래킷(55)에 고정나사(57)로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55)은 지지체(8)의 고정핀(10)에 끼워 결합하면서 몸체(4) 상단부에 배치한다.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the exhaust device 28 (see FIG.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re conveniently, the user should install the exhaust device 28 near one of the arms. The fixing screw 57 is fixed to the bent bracket 55, and the bracket 55 is fitted to the fixing pin 10 of the support 8 to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4.

이로 인해 상기 배기장치(28)는 몸체(4)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팔과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exhaust device 28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4 and is in a position close to the user's arm.

계속하여 상기 배기장치(28)의 배기관(32)에는 악취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기호스(56)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호스(56)(도5a참조)는 외관을 고려하여 화 장실내에 설치된 테이블(60) 아래로 배치한다. Subsequently, an exhaust hose 56 for guiding the flow of odor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2 of the exhaust device 28, wherein the exhaust hose 56 (see FIG. 5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toilet. Place it under the installed table 6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60)에는 세면기(58)가 설치되고, 상기 세면기(58)에는 피트랩(P trap)(62)이 연결되며, 상기 피트랩(62) 끝단부에는 호스연결구(66)가 배수관(67)을 연결하면서 결합 되는데, 이때 상기 호스연결구(66)는 티형관(T type pipe)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A wash basin 58 is installed on the table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 pit wrap 62 is connected to the wash basin 58, and a hose connector 66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pit wrap 62. Is coupled while connecting the drain pipe 67, wherein the hose connector 66 is used that is formed of a T-type pipe (T type pipe).

그리고 상기 호스연결구(66)에는 상기 배기호스(56)의 선단부가 결합 된다.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hose 56 is coupled to the hose connector 66.

상기와는 달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58)에는 에스트랩(S trap)(64)이 연결되고, 상기 에스트랩(64) 끝단부에는 호스연결구(66)가 배수관(67)을 연결하면서 결합 되며, 상기 호스연결구(66)에는 상기 배기호스(56)의 선단부가 결합 된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5B, a sink (S trap) 64 is connected to the wash basin 58, and a hose connector 66 connects a drain pipe 67 to an end of the strap 64. While being coupled, the hose connector 66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hose (56).

이때 상기 호스연결구(66)는 니플(nipple)로 형성되어 에스트랩(64)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hose connector 66 is formed as a nipple (nipple)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strap (6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도 6의 순서도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Figure 6 the flow chart as follows.

먼저 전원스위치(54)(도4참조)를 온 시키면 대기상태가 된다.(S1) First, when the power switch 54 (see Fig. 4) is turned on, a standby state is achieved. (S1)

상기와 같이 전원스위치(54)를 온 시키면 상기 제어부(48)는 대기상태를 명령한다. When the power switch 54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48 commands the standby state.

상기 S1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온 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 After the step S1, the control unit 48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S2).

상기 S2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온 되지 않았다 고 판단되면 S1단계로 이동한다. After the step S2, the controller 48 moves to step S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not turned on.

상기 S2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팬모터(36)에 온 명령을 전달한다.(S3) After the step S2, the control unit 48 transmits an on command to the fan motor 3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S3).

상기와 같이 제어부(48)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팬모터(36)가 작동하면 흡입력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좌변기(2)(도3참조)의 몸체(4) 내부에서 발생 된 각종 악취는 흡입기(14)의 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8) 내부로 포집 되고, 상기와 같이 포집된 악취는 배기관(22)을 통해 유입호스(26)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관(30)과 유입구(38)(도4참조), 팬모터(36), 배기구(40), 닥트(42)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an motor 36 is operated by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8 as described above, suction force is generated. As a result, various odors generated in the body 4 of the toilet seat 2 (see FIG. 3) are generated. Collected into the case 18 through the inlet 16 of the inhaler 14, the odor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inlet hose 26 through the exhaust pipe 22 and the inlet pipe 30 and the inlet ( 38) (see FIG. 4), the fan motor 36, the exhaust port 40, and the duct 42 are sequentially moved.

계속하여 상기 악취는 닥트(42)를 통과하면서 댐퍼(44)를 밀어 경첩(46)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방되게 하고, 이후로 상기 악취는 배기관(32)을 통하여 하우징(34)을 빠져나가게 된다. Subsequently, the odor is pushed through the duct 42 to push the damper 44 to rotate around the hinge of the hinge 46 to open, and then the odor exits the housing 34 through the exhaust pipe 32. Will go out.

상기와 같이 배기 되는 악취는 배기관(32)에 연결된 배기호스(56)를 따라 이동하다가 호스연결구(66)(도5a참조)를 통하여 배수관(67)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The odor exhausted as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exhaust hose 56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2 and then exits to the drain pipe 67 through the hose connector 66 (see FIG. 5A).

이때 상기 호스연결구(66) 타측에는 세면기(58)에 연결된 피트랩(62)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악취는 피트랩(62)에 머물러 있는 물에 의해 세면기(58)측으로의 흐름이 차단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악취는 배수관(67)을 통해 하수구로만 빠져나가게 되고, 더욱이 상기 세면기(58)에 머물러 있는 사용된 물이 배수되면 상기 악취는 배수되는 물에 의해 밀려지면서 하수구로 함께 빠져나가게 된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ose connector 66 is connected to the pit wrap 62 connected to the wash basin 58, the odor is blocked by the water remaining in the pit wrap 62, the flow to the wash basin 58 side, This causes the odor to escape only through the drain pipe 67 into the sewer. Moreover, when the used water staying in the wash basin 58 is drained, the odor is pushed out by the drained water and then escapes to the sewer.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에스트랩(64)의 경우도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strap 64 shown in Figure 5b also performs the function to prevent the backflow of odor in the same manner as above.

상기 S3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도4참조)는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었는가를 판단한다.(S4) After the step S3, the controller 48 (see Fig. 4)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0 is off (S4).

상기 S4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8)는 5분 동안 팬모터(36)를 작동시킨 후 정지 명령을 전달한다.(S5) After the step S4, when the control unit 48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off, the control unit 48 operates the fan motor 36 for 5 minutes and then transmits a stop command. (S5)

상기와 같이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면 제어부(48)는 팬모터(36)를 5분 동안 작동시킨 후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팬모터(36)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소멸 되어 상기 흡입기(14)(도3참조)의 흡입구(16)를 통한 악취 포집은 중단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8 stops after operating the fan motor 36 for 5 minutes. As a result,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fan motor 36 is dissipated. Odor collection through the inlet 16 of (14) (see Fig. 3) is stopped.

상기와 같이 소멸된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댐퍼(44)는 자중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닥트(42)의 입구를 닫힘 상태로 되게 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배기장치(28)를 통한 악취의 배기는 중단 되고, 또한 상기 배기호스(56)에 머물러 있는 일부 악취가 역류하면서 좌변기(2)(도3참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댐퍼(44)가 차단하게 된다. Due to the suction force dissipated as described above, the damper 44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own weight, thereby causing the inlet of the duct 42 to be in a closed state, which causes exhaust of the odor through the exhaust device 28. The damper 44 stops, and some odor remaining in the exhaust hose 56 flows to the left toilet 2 (see Fig. 3) while being flowed back.

상기와 같이 팬모터(36)의 작동시간은 5분 이외에 2-5분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제어부(48)에 특정시간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motor 36 may be used by setting a specific time in the controller 48 within a range of about 2-5 minutes in addition to 5 minutes.

상기 S5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도4참조)는 S1 단계로 이동하여 최초와 같이 대기상태가 된다. After step S5, the control unit 48 (see Fig. 4) moves to step S1 to be in a standby state as in the beginning.

한편 상기 S4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8)는 팬모터(36)가 20분 동안 작동했는가를 판단한다.(S6) 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4, when the control unit 48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not off, the control unit 48 determines whether the fan motor 36 has been operated for 20 minutes.

상기와 같이 팬모터(36)가 20분 동안 작동했다고 판단되는 상황은, 사용자가 작동스위치(50)를 오프 시키지 않고 화장실을 나간 상황으로 판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50)를 오프 시키지 않았으면 상기 팬모터(36)가 계속 작동하게 되어 전력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ituation in which the fan motor 36 has been operated for 20 minutes is determined to b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has left the toilet without turning off the operation switch 50. If not, the fan motor 36 continues to operate to increase power loss.

따라서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경과 하면 팬모터(36)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통 팬모터(36)의 작동시간은 20분 이외에 10-20분 정도의 범위내에서 특정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power loss,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36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Usually, the operation time of the fan motor 36 is within a specific time within a range of about 10-20 minutes in addition to 20 minutes. It is desirable to set.

상기 S6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팬모터(36)가 20분 동안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단계로 이동한다. After the step S6, the controller 48 moves to step S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an motor 36 has not been operated for 20 minutes.

상기 S6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는 팬모터(36)가 20분 동안 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팬모터(36)에 정지 명령을 전달한다.(S7) After the step S6, when the control unit 48 determines that the fan motor 36 has been operated for 20 minutes, it transmits a stop command to the fan motor 36. (S7)

상기와 같이 제어부(48)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팬모터(36)가 정지되면, 상기 흡입기(14)(도3참조)의 흡입구(16)를 통한 악취 포집은 중단되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fan motor 36 is stopped by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8 as described above, the odor collection through the inlet 16 of the inhaler 14 (see FIG. 3) is stopped.

상기 S7 단계 이후로, 상기 제어부(48)(도4참조)는 S1단계로 이동하여 최초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After step S7, the controller 48 (see Fig. 4) moves to step S1 and maintains the same state as the first time.

상기와는 달리 화장실 이용자가 오랜 시간 동안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팬모터(36)가 정지되면, 상기 작동스위치(50)를 재차 온 시키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진행과정을 반복시킬 수 있다. Unlike the above, when the fan motor 36 is stopped while the toilet user stays for a long time,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repeated by turning on the operation switch 50 again.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9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먼저 좌변기(70)(도7참조)를 구성하는 몸체(72)의 후미 상단부에 악취를 포집하는 흡입기(74)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기(74)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시트(76)가 설치된다. First, an inhaler 74 is install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body 72 constituting the toilet seat 70 (see FIG. 7), and a seat 76 for allowing a user to s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haler 74.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설치된 흡입기(74)에는 흡입구(78)를 전방에 형성한 케이스(8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80)의 후미 중간부에는 악취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배기관(82)이 설치된다. In the inhaler 74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 case 80 having a suction port 78 formed therein is formed, and an exhaust pipe 82 is provided at 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case 80 to allow odors to escape. .

또한 상기 케이스(80)의 후미 양단부에는 돌출부(84)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80)의 상단부 중앙에는 작동스위치(86)가 설치된다. In addition, protrusions 84 are formed at both rear ends of the case 80, and an operation switch 86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ase 80.

상기와 같이 형성된 흡입기(74)의 돌출부(84)에는 지지체(88)의 고정핀(90)이 결합 되고, 상기 고정핀(90)은 몸체(72)의 홀(92)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체(88)에는 힌지핀(94)이 결합 된다. 상기 힌지핀(94)에는 시트(76)의 후미에 형성된 돌출부(9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The fixing pin 90 of the support 88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84 of the inhaler 74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xing pin 90 is fitted into the hole 92 of the body 72. Hinge pin 94 is coupled to the 88. The hinge pin 9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rotrusion 96 formed at the rear of the sheet 76.

계속하여 상기 흡입기(74)의 배기관(82)에는 악취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호스(98)가 연결되고, 상기 유입호스(98)에는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00)가 연결되며, 상기 배기장치(100)는 테이블(102) 하부에 벽면 측으로 설치된 브래킷(104)에 설치된다. Subsequently, an inlet hose 98 for odor flow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82 of the inhaler 74, and an exhaust device 100 for forcibly exhausting the odor is connected to the inlet hose 98. The exhaust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bracket 104 installed on the wall side under the table 102.

이때 상기 배기장치(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 상부에 러그(111)가 형성되고, 상기 러그(111)는 브래킷(104)에 결합된 고정나사(113)에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배기장치(100)는 브래킷(104)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lug 111 is formed on the housing 110 constituting the exhaust device 100, the lug 111 is coupled to the fixing screw 113 coupled to the bracket 104, thereby the exhaust The device 100 is stably fixed to the bracket 10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기장치(100)에는 유입관(106)과 배기관(108)을 구비한 하우징(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도9참조) 내부에는 팬모터(112), 닥트(114), 댐퍼(116), 제어부(118) 등이 제 1 실시 예의 배기장치(28)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In the exhaust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housing 110 having an inflow pipe 106 and an exhaust pipe 108 is configured, and a fan motor 112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see FIG. 9). The duct 114, the damper 116, the control part 118, etc. are provided similarly to the exhaust apparatus 28 of 1st Embodiment.

상기 제어부(118)에는 흡입기(74)에 설치된 작동스위치(86)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어부(118)에는 전원스위치(119)와 플러그(121)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An operation switch 86 installed in the inhaler 7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8, and a power switch 119 and a plug 121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8.

계속하여 상기 배기관(108)(도7참조)에는 배기호스(120)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호스(120) 선단부는 배수관(127)을 결합한 호스연결구(126)가 연결되며, 상기 호스연결구(126) 타측에는 세면기(122)에 연결되는 피트랩(124)이 연결된다. Subsequently, an exhaust hose 12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108 (see FIG. 7), and a hose connector 126 coupled to the drain pipe 127 is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exhaust hose 120, and the hose connector 126. ) The other end of the pit wrap 124 is connected to the wash basin (122).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호스연결구(126)는 티형관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Hose connector 126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form a tee tube.

상기와는 달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연결구(126)는 니플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니플로 된 호스연결구(126)는 세면기(122)에 연결되는 에스트랩(125)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Unlike the above, as shown in FIG. 8, the hose connector 126 is formed using a nipple, and the hosed hose connector 126 is perpendicular to the strap 125 connected to the basin 122.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플러그(121)(도9참조)를 미 도시된 콘센트에 끼우고 전원스위치(119)를 온 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76) 위에 앉으면 작동스위치(86)가 온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8)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순서도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Firs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76 while the plug 121 (see FIG. 9) is inserted into an outlet not shown and the power switch 119 is turned on, the operation switch 86 is turned on. 118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in the same manner as the flowchar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작동스위치(86)가 온 되면 제어부(118)는 팬모터(112)에 작동명령을 전달하여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좌변기(70)(도7참조)의 몸체(72) 내부에 있는 악취는 흡입기(74)의 흡입구(78)를 통해 케이스(80) 내부로 포집 된다. When the operation switch 86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8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the fan motor 112 to provide suction power, which causes the body 72 of the toilet seat 70 (see FIG. 7). Odors therein are collected into the case 80 through the suction port 78 of the inhaler 74.

상기와 같이 포집된 악취는 배기관(82), 유입호스(98), 유입관(106)(도8참조), 닥트(114)(도9참조), 댐퍼(116), 배기관(108), 배기호스(120)를 순차적으로 따라 이동하여 호스연결구(126)를 통하여 배수관(127)을 따라 하수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The odor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is exhaust pipe 82, inlet hose 98, inlet pipe 106 (see Fig. 8), duct 114 (see Fig. 9), damper 116, exhaust pipe 108, exhaust The hose 120 is sequentially moved to exit the sewer along the drain pipe 127 through the hose connector 126.

이때 상기 호스연결구(126) 타측에는 피트랩(124) 또는 에스트랩(12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피트랩(124) 또는 에스트랩(125) 내부에 머물러 있는 물이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ose connector 126 is provided with a pit wrap 124 or a strap 125, the water remaining in the pit wrap 124 or the strap (125) to block the back flow of odor .

상기 이후로 사용자가 시트(76)(도7참조)에서 일어나면 하중이 제거되므로 작동스위치(86)가 오프 되는데, 이로 인해 팬모터(112)(도9참조)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소멸 되면서 몸체(72)(도7참조)로부터 더 이상 악취를 포집하지 않게 된다. After the above, when the user takes place in the seat 76 (see FIG. 7), the load is removed, and thus the operation switch 86 is turned off. As a result, the suction force provided from the fan motor 112 (see FIG. 9) is dissipated and the body ( 72) (see Fig. 7), the odor is no longer collected.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10, 11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비데기(130)(도10참조)에는 좌변기(131)를 구성하는 몸체(133)의 일측에 컨트롤박스(1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박스(132) 상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작동모드를 형성한 메뉴보오드(134)가 설치되고, 상기 메뉴보오드(134)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메인제어부(136)가 연결되면서 컨트 롤박스(132)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메뉴보오드(134)에는 악취제거모드(135)가 형성되면서 메인제어부(136)에 연결된다. First, a widely used bidet 130 (see FIG.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132 on one side of the body 133 constituting the left toilet 131, the control box 132 of the various types The menu board 134 forming the operation mode is installed, and the menu board 134 is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box 13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36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he menu board 13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36 while the odor removing mode 135 is formed.

계속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32) 내부에는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38)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기장치(138)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배기장치(28)(도4참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유입관(139)(도10참조)과 배기관(141)을 외부에 형성한 하우징(142)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42)(도11참조) 내부에는 팬모터(144), 닥트(146), 댐퍼(148), 제어부(140) 등이 설치된다. Subsequently, an exhaust device 138 for forcibly releasing odors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 box 132, which is the same as the exhaust device 28 (see FIG. 4)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a structure, a housing 142 having an inlet pipe 139 (see FIG. 10) and an exhaust pipe 141 formed therein is provided, and a fan motor 144 and a doc inside the housing 142 (see FIG. 11). 146, damper 148, control unit 140 and the like are provided.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메인제어부(136)에 연결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36.

그리고 상기 하우징(142)(도10참조)의 배기관(141)에는 배기호스(150)가 컨트롤박스(132)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상기 배기호스(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42)의 유입관(139)에는 유입호스(152)가 컨트롤박스(132)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상기 유입호스(15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좌변기(131)의 몸체(133)에 설치되어 악취를 포집하는 흡입기(154)가 연결된다. In addition, an exhaust hose 15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141 of the housing 142 (see FIG. 10)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trol box 132, and the exhaust hose 15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hose 152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139 of the housing 142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trol box 132, and the body of the toilet seat 131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inlet hose 152. An inhaler 154 is installed at 133 and collects odor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컨트롤박스(132)(도10참조)에 설치된 메뉴보오드(134)에서 악취제거모드(135)를 온 시키면, 상기 컨트롤박스(132)의 메인제어부(136)는 배기장치(138)의 제어부(140)에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First, when the odor removal mode 135 is turned on in the menu board 134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132 (see FIG. 10), the main control unit 136 of the control box 132 may control the control unit of the exhaust device 138. 140) to send the operation command.

따라서 상기 배기장치(138)에 설치된 제어부(14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순서도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되는데, 그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140 installed in the exhaust device 138 transmits the operation comman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와 같이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상기 배기장치(138)(도11참조)의 제어부(140)는 팬모터(144)에 작동명령을 전달하므로서 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좌변기(131)(도10참조)의 몸체(133) 내부에 있는 악취는 흡입기(154)를 통해 포집 되면서 유입호스(152), 배기장치(138)의 하우징(142), 배기호스(150)를 순차적으로 따라 이동하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악취는 배기호스(150)를 따라 배수관으로 이동하면서 하수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By the command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40 of the exhaust device 138 (refer to FIG. 11) provides a suction force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fan motor 144, thereby providing the toilet seat 131 ( 10, the odor inside the body 133 is collected through the inhaler 154 to sequentially move the inlet hose 152, the housing 142 of the exhaust device 138, and the exhaust hose 150 sequentially. Subsequently, the odor moves out of the sewer while moving to the drain pipe along the exhaust hose 150.

상기 이후로 사용자가 악취제거모드(135)를 오프 시키면 팬모터(144)가 정지되면서 흡입력이 소멸 된다. After the user turns off the odor removal mode 135, the fan motor 144 is stopped and the suction force disappears.

따라서 상기 흡입기(154)를 통하여 좌변기(131)의 몸체(133)로부터 더 이상의 악취를 포집하지 않게 된다. Therefore, no more odors are collected from the body 133 of the toilet seat 131 through the inhaler 15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변기(2)를 사용하는 중과 사용 후에도 배기장치(28)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좌변기(2)의 몸체(4)에 머물러 있는 악취를 외부로 모두 배기시켜 쾌적한 화장실 내부 환경을 만들 수 있고, 또한 절전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device 28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and after using the toilet seat 2 so that all of the odor remaining in the body 4 of the toilet seat 2 is exhaust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inside the bathroom, and also has a power saving function,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functionality.

다른 효과로는 화장실내의 세면기(58)에 연결된 배수관(67)을 통하여 좌변기(2)의 몸체(4)에 있는 악취를 배기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악취를 배기시키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 없게 되어 설치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다. Another effect is that the odor in the body 4 of the toilet seat 2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67 connected to the wash basin 58 in the toilet, so that no additional facility for exhausting the odor is required. The cost can be reduced.

Claims (10)

좌변기(2)의 몸체(4)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24)와, Seat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body 4 of the toilet seat 2, 상기 몸체(4)의 후미 상단부 양측에 고정핀(10)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체(8)와, The support body 8 is installed by being fitted with a fixing pin 10 on both sides of the rear upper end of the body 4, 상기 시트(24)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흡입구(16)를 형성하는 흡입기(14)와, An inhaler 14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seat 24 to form an inlet 16; 상기 흡입기(14)의 후미를 지지체(8)에 결합하여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핀(12)과, Hinge pin 12 which forms the center of rotation by coupling the rear end of the inhaler 14 to the support 8, 상기 흡입기(14)에 유입호스(26)로 연결되어 악취를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n inlet hose (26) connected to the inhaler (14) for exhausting the odor forc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기(14)에는, In the inhaler 14, 상기 흡입구(16)를 전방으로 형성한 케이스(18)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8) 후미에 힌지핀(12)에 결합 되는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8)의 중간부에 유입호스(26)가 결합 되는 배기관(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A case 18 having the suction port 16 formed forward is formed, and a protrusion 20 coupled to the hinge pin 1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ase 18, and flows in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ase 18. Odor removal apparatus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pipe 22 is coupled to the hose 26 is install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배기장치(28)는, The exhaust device 28, 배기관(32)과 상기 유입호스(26)가 결합 되는 유입관(30)을 외측에 각각 형성한 하우징(34)과, A housing 34 having an inlet pipe 30 to which the exhaust pipe 32 and the inlet hose 26 are coupled,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34) 내부에 설치되면서 유입관(30)과 배기관(32)의 통로 사이에 위치하는 팬모터(36)와, A fan motor 36 installed in the housing 34 and positioned between a passage of the inlet pipe 30 and the exhaust pipe 32; 상기 팬모터(36)의 출구측과 배기관(32) 사이의 통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댐퍼(44)와, A damper 44 installed inclined in a passage between the outlet side of the fan motor 36 and the exhaust pipe 32; 상기 팬모터(36)에 연결되면서 하우징(34)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48)와, A control unit 48 connected to the fan motor 36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4; 상기 제어부(48)에 연결되면서 하우징(34)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스위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odor removing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on switch 5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8).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지지체(8)의 고정핀(10)에 브래킷(55)이 끼워져 결합 되고, 상기 브래킷(55)에 배기장치(28)의 하우징(34)이 고정나사(57)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bracket 55 is fitted to the fixing pin 10 of the support 8, and the housing 34 of the exhaust device 28 is installed as a fixing screw 57 on the bracket 55.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우징(34)의 배기관(32)에 배기호스(56)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호스(56) 선단부에는 호스연결구(66)가 배수관(67)을 연결하면서 결합 되며, 상기 호스연결구(66)는 세면기(58)에 연결되는 피트랩(62) 또는 에스트랩(64)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An exhaust hose 56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32 of the housing 34, and a hose connector 66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exhaust hose 56 while connecting the drain pipe 67, and the hose connector 66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se 56.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it wrap (62) or estrap (64) connected to the wash basin (58).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온 되면 팬모터(36)에 온 명령을 전달하고, The control unit 48 transmits an on command to the fan motor 36 when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상기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면 팬모터(36)를 2-5분 동안 작동시킨 후 오프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When the operation switch 50 is off,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o operate the fan motor 36 for 2-5 minutes to turn off.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48)는 작동스위치(50)가 오프 되지 않으면 팬모터(36)가 10-20분 동안 작동되게 한 후 정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control unit (48) if the operation switch 50 is not off, the fan motor 36 is to operate for 10-20 minutes and then stop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좌변기(70)의 몸체(72)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76)와; A seat 76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72 of the toilet seat 70; 상기 몸체(72)의 후미 상단부 양측에 고정핀(90)으로 각각 끼워지고, 힌지핀(94)으로 상기 시트(76)의 후미를 결합하면서 설치되는 지지체(88)와; A support member 88 fitted to both sides of the rear upper end of the body 72 by fixing pins 90 and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heet 76 by a hinge pin 94; 상기 고정핀(90)에 결합 되어 몸체(72)와 시트(76) 사이에 설치되면서 흡입구(78)를 형성하는 흡입기(74)와; An inhaler 74 coupled to the fixing pin 90 to form an inlet 78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body 72 and the seat 76; 상기 흡입기(74)에 유입호스(98)로 연결되면서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00)와; An exhaust device 100 connected to the inhaler 74 by an inlet hose 98 to forcibly exhaust odors; 상기 배기장치(100)에 배기호스(120)로 연결되면서 일측에 배수관(127)을 연 결하고 있는 호스연결구(126)와; A hose connector 126 connected to the exhaust device 100 by an exhaust hose 120 and connecting a drain pipe 127 to one side thereof; 상기 호스연결구(126)는 세면기(122)의 피트랩(124) 또는 에스트랩(125)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hose connector 126 is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it wrap (124) or estrap 125 of the wash basin (122).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배기장치(100)는, The exhaust device 100, 배기관(108)과 상기 유입호스(98)가 결합 되는 유입관(106)을 외측에 각각 형성하면서 상부에 러그(111)를 형성한 하우징(110)과, A housing (110) having a lug (111) formed thereon while forming an inlet pipe (106) to which an exhaust pipe (108) and the inlet hose (98) are coupled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면서 유입관(106)과 배기관(108)의 통로 사이에 위치하는 팬모터(112)와, A fan motor 112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pipe 106 and the passage of the exhaust pipe 108; 상기 팬모터(112)의 출구측과 배기관(108) 사이의 통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댐퍼(116)와, A damper 116 installed inclined in a passage between the outlet side of the fan motor 112 and the exhaust pipe 108; 상기 팬모터(112)에 연결되면서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18)로 구성되고, Consists of a control unit 118 is connected to the fan motor 112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흡입기(74)에는 작동스위치(86)가 설치되면서 상기 배기장치(100)의 제어부(118)에 연결되며, The inhaler 7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8 of the exhaust device 100 while the operation switch 86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110)은 테이블(102)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104)에 러그(111)가 고정나사(113)로 결합 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housing 110 is a odor removing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lug 111 is installed in the bracket 104 installed on the lower table (102) combined with a set screw 113. 메뉴보오드(134)를 메인제어부(136)에 연결하면서 구성되는 컨트롤박스(132) 가 좌변기(131)의 몸체(133) 일측에 설치되는 비데기(130)에 있어서, In the bidet 1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33 of the toilet 131, the control box 132 is configured while connecting the menu board 134 to the main control unit 136, 상기 메뉴보오드(134)에 악취제거모드(135)가 형성되면서 메인제어부(136)에 연결되고, The odor removal mode 135 is formed on the menu board 134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36. 상기 컨트롤박스(132) 내부에는 악취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138)가 설치되며, Inside the control box 132 is provided with an exhaust device 138 for forcibly exhausting odors, 상기 배기장치(138)는 유입관(139)과 배기관(141)을 외측에 형성한 하우징(142)과, 상기 하우징(142) 내부에 설치되면서 유입관(139)과 배기관(141)의 통로 사이에 위치하는 팬모터(144)와, 상기 팬모터(144)의 출구측과 배기관(141) 사이의 통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댐퍼(148)와, 상기 메인제어부(136)와 팬모터(144)에 연결되는 제어부(140)로 구성되고, The exhaust device 138 includes a housing 142 having an inlet pipe 139 and an exhaust pipe 141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 passage between the inlet pipe 139 and the exhaust pipe 14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42. In the fan motor 144, the damper 148 is installed inclined in the passage between the outlet side of the fan motor 144 and the exhaust pipe 141, the main control unit 136 and the fan motor 144 Consists of a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상기 유입관(139)에는 흡입기(154)가 유입호스(152)로 연결되면서 좌변기(131)의 몸체(13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The inlet pipe 139, the inhaler 154 is connected to the inlet hose 152, the odor removal device for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body 133 of the toilet seat 131.
KR1020060012731A 2006-02-09 2006-02-09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0700810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31A KR20070081029A (en) 2006-02-09 2006-02-09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31A KR20070081029A (en) 2006-02-09 2006-02-09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029A true KR20070081029A (en) 2007-08-14

Family

ID=3860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731A KR20070081029A (en) 2006-02-09 2006-02-09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02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53B1 (en) * 2019-01-31 2020-05-14 주식회사 가은테크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one-piece type toilet
KR20200095310A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가은테크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53B1 (en) * 2019-01-31 2020-05-14 주식회사 가은테크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one-piece type toilet
KR20200095310A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가은테크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3B1 (en) Deodorizing Toilet Seat Features a Flush
JP3119811U (en) Toilet device with deodorant function
US6158058A (en) Ventilated toilet
KR20070081029A (en) Stench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0492905Y1 (en)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KR20090043779A (en) Bidet of toilet stool having for removing bad smell and supplying dry air easily
JP2002047715A (en) Deodorizing device for western-style toilet stool
KR20100005081U (en) Bidet and chamber pot
KR100776253B1 (en) Flexible toilet-bowl adapter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0438551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EP1616058B1 (en) Aspirat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toilets
KR200220437Y1 (en) Stink exhaust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0373279Y1 (en) A toilet stool
KR20190089256A (en)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KR102272300B1 (en) A Outgasing Device of the Stool
KR200438550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KR102169150B1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KR200428087Y1 (en) Odor elimination backflow prevention device in toilet
US20210395990A1 (en) Vented Toilet System
JPH063898Y2 (en) Toilet bowl deodorizer
KR200405776Y1 (en) Toilet odor discharge device with exhaust fan
JP2010084390A (en) Structure of ventilation/drainage pipe line of toilet bowl
CN2437758Y (en) Deodorization closet
JPH0756388Y2 (en) Simple flush toilet deodo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