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960A -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 Google Patents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960A
KR20070080960A KR1020060012545A KR20060012545A KR20070080960A KR 20070080960 A KR20070080960 A KR 20070080960A KR 1020060012545 A KR1020060012545 A KR 1020060012545A KR 20060012545 A KR20060012545 A KR 20060012545A KR 20070080960 A KR20070080960 A KR 2007008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upport
flange
reinforcing memb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엽
강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1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960A/en
Publication of KR2007008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Abstract

A support member and a floating floor system are provided to secure the fluidity of adhesives and to have high resistance against compressive load. The floating floor system contains a heating system formed on a sound insulating system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provided with an insulation placed on the lowermost layer to prevent the loss of heat generated from a radiator to a floor, a radiator equipped with many passages to circulate heating water and grooves to increase static frictional force against the insulation and an upper finish member(50) placed to have a rapid heating function and a heat storage function, and a sound insulating system placed between the heating system and the floor and composed of an upper plate to support the heating system and a support(70) to support the upper plate to be floated from the floor, wherei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a vibration-proof block adhered closely to the floor,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vibration-proof block to support the heating system to be floated from the floor.

Description

지지 부재 및 뜬 바닥 시스템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Support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뜬 바닥 시스템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floating flo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3은 도2에서 지지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support in FIG.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지지 부재 및 뜬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내(耐) 압축하중을 가지는 지지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뜬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member and a floated botto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member having a high compressive load resistance while securing the fluidity of the adhesive and a floated bottom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주택은 인간이 주거할 수 있도록 인간 생활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냉방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비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대표 적인 주거 형식인 공동주택이다.In general, homes provid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human life so that humans can dwell, and for this purpose, a cooling or heating system is provided. It is a common house, which is a representative type of housing in modern society.

따라서, 다층 건축물의 일례로 공동주택을 들어 설명하면, 이 공동주택은 수직 방향으로 주택을 쌓아 놓은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냉방 또는 난방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 세대간 바닥과 벽을 공유하는 특수성 때문에 세대간 소음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차음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성을 가진다.Therefore, if an apartment hous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ulti-layered building, the apartment house forms a structure in which houses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cooling or heating system is provided, as well as sharing floors and walls between generations. Because of their uniqueness, there is a need to have a sound insulation system that can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between generations.

바닥 난방 시스템은 저렴한 연료비를 들이고도 신속하게 난방을 할 수 있고, 이 난방 상태를 장시간동안 추가 연료의 사용 없이, 유지할 수 있는 높은 축열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Underfloor heating systems need to have a high heat storage capability that allows them to heat up quickly at low fuel costs and to maintain this heating state for extended periods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fuel.

이 바닥 난방 시스템의 공법에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방열체를 직접 매립하는 습식 공법과,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단열재를 놓고 이 단열재에 방열체를 결합하는 건식 공법이 있다.The method of the floor heating system includes a wet method of directly embedding a heat sink using mortar on a concrete slab, and a dry method of placing a heat insulator on the concrete slab and bonding the heat sink to the heat insulator.

이와 같은 난방 시스템을 적용하는 바닥 시스템에는, 난방 시스템이 콘크리트 슬라브에 직접 시공되는 통상의 바닥 시스템과, 난방 시스템이 콘크리트 슬라브에 뜬 상태로 시공되는 뜬 바닥 시스템(floating floor system, 이중 바닥 구조)이 있다.Floor systems applying such a heating system include a common floor system in which the heating system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and a floating floor system in which the heating system is mounted on the concrete slab. have.

한편, 바닥 충격음은 공동주택에서 세대간 바닥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 뜬 바닥 시스템은 통상의 바닥 시스템에 비하여, 바닥 충격음 저감에 유리한 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floor impact sound refers to th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floor between generations in the apartment hous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The floor system floated above ha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floor impact soun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floor system.

이 뜬 바닥 시스템은 난방 시스템을 지지하는 차음 시스템을 구비하며, 이 차음 시스템은 지지대와, 이 지지대 상에 구비되는 상판을 구비한다. 이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지지 볼트를 구비한다.This floated floor system includes a sound insulation system for supporting a heating system, the sound insulation system having a support and a top plate provided on the support. This support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late which supports an upper plate, and the support bolt screwed so that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with this support plate.

예를 들어 설명하면, 뜬 바닥 시스템에서 차음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지대는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중공의 지지 볼트, 이 지지 볼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방진 블록, 및 지지 볼트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For example, in the floating floor system, the support applied to the sound insulation system includes a hollow support bolt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a dustproof block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lt, and a support plate screw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lt. Equipped.

지지 볼트는 지지판을 통하여 난방 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판을 지지하면서,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지지판에 도포한 접착제를 방진 블록으로 유동시킨다. 이와 같이 유동되는 접착제는 지지 볼트와 방진 블록 및 이들이 설치되는 바닥을 서로 접착시켜, 지지대를 바닥에 고정시킨다.The support bolt supports the top plate on which the heating system is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late, while flowing the adhesive applied to the support plate to the dustproof block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adhesive flowing in this manner bonds the support bolt and the dustproof block and the floor on which they are installed to fix the support to the floor.

이때, 접착제가 지지 볼트의 관통공을 통하여 자연 흐름 방식으로 유동되므로 접착제의 점도 및 관통공의 직경에 따라 접착제의 유동성이 좌우된다. 이 접착제의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관통공을 가능한 큰 직경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dhesive flow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bolt in a natural flow manner, the flowability of the adhesive depends on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a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In order to secure the fluidity | liquidity of this adhesive agent, it is necessary to form a through hole as large a diameter as possible.

그러나, 지지 볼트는 소정의 내(耐) 압축하중을 가져야 하고, 또한 소정의 직경을 가지게 되므로 관통공의 직경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이 관통공을 형성하는 만큼 낮은 내 압축하중을 가지게 된다. 즉 지지 볼트는 수직 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항할 수 있는 단면적이 감소되어 낮은 내(耐) 압축하중을 가지게 된다.However, since the support bolt must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compressive load and als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has a low internal compressive load as much as forming the through hole. In other words, the support bolt has a low cross-sectional area that can counteract the vertical compressive load, and thus has a low internal compressive load.

이로 인하여 지지 볼트는 관통공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면적에서 수직 방향의 하중에 대항하게 된다. 따라서 방진 블록에 지지되는 지지 볼트의 머리 부분이 집중 하중을 받게 된다. 이 집중 하중은 지지 볼트의 머리 부분을 파괴 시키게 된다.This causes the support bolt to counteract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area of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Therefore, the head of the support bolt supported by the dustproof block is subjected to a concentrated load. This concentrated load will destroy the head of the support bol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지지 볼트는 지지대 위에 상당한 하중을 가지고 구비되는 상판 및 이 상판 위에 설치되는 난방 시스템을 안정으로 지지 및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Therefore, such a support bol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and maintain the top plate provided with a significant load on the support and the heating system installed on the top plat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제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내(耐) 압축하중을 가지게 되는 지지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뜬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upport member having a high compressive load resistance while securing the fluidity of the adhesive and a floating floor system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뜬 바닥 시스템의 상판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과 방진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 부재에 있어서,In the support member for constituting the sup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of the floating floor system,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dustproof block of the suppo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 부재는,The support member,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를 형성하는 중공형 바디와,A hollow body for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방진 블록에 근접하는 상기 바디 끝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지지 면적에 추가 지지 면적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A flang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dustproof block and forming an additional support area in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상기 바디는,The body,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를 형성하는 제1 바디부와,A first body part which forms a screw to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디부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한다.And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flange and formed in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a minimum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제1 바디부는 드라이버 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may have a driver groove.

상기 제2 바디부는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er.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나사 골이 형성하는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formed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formed by the screw valley of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나사 산이 형성하는 직경과 동일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formed to a diameter having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formed by the screw thread of the first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에 직각으로 부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attached at right angles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forming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form a side connecting the second body portion side end and the flange side end in a straight line.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곡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form a side connecting the second body portion side end and the flange side end in a curve.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in pluralitie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뜬 바닥 시스템은,In addition, the floating flo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닥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뜬 상태를 유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상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에 구비되고 난방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판 형상의 방열체, 및 상기 방열체 상에 구비되는 상부 마감재를 포함하며,A support plate installed on the floor, a top plate installed on the support to maintain a floating state of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on the top plate, a plate shap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passage for heating water to circulate A heat sink, and an upper finish provided on the heat sink,

상기 지지대는,The support is,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바닥에 밀착되는 방진 블록 및 상기 지지판과 방진 블록에 그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dustproof block in close contact with a floor,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dustproof block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 부재는,The support member,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를 형성하는 중공의 바디와,A hollow body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방진 블록에 근접하는 상기 바디 끝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지지 면적에 추가 지지 면적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A flang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dustproof block and forming an additional support area in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상기 바디는,The body,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A first body part screwed to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디부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flange, the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뜬 바닥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2는 도1 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floating flo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뜬 바닥 시스템은 바닥 난방을 구현하는 난방 시스템(100)과, 이 난방 시스템(100)을 지지하면서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이 난방 시스템(200)은 차음 시스템(200) 위에 다층 구조로 형성되며, 일례로서 단열재(30), 방열체(40), 및 상부 마감재(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floated floor system includes a heating system 100 that implements floor heating, and a sound insulation system 200 that blocks the interlayer noise while supporting the heating system 100. The heating system 200 is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on the sound insulation system 200, and includes, for example, a heat insulating material 30, a heat sink 40, and an upper finish 50.

단열재(30)는 방열체(4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바닥(31) 측으로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방 시스템(100)의 최하층에 구비되어 차음 시스템(200)의 최상면과 맞닿다. 이 바닥(31)은 일례로써 공동주택에서 상층의 바닥으로써 하층의 천장으로써 공유되면서 층을 구획하도록 콘크리트 슬라브로 형성된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is provided on the lowermost layer of the heating system 100 to b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system 200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radiator 40 from being lost to the bottom 31 side unnecessarily. The floor 31 is formed as a concrete slab so as to partition the floor while being shared as a ceiling of the lower floor as the floor of the upper floor in the apartment house as an example.

방열체(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재(30)에 대응하지만 난방수가 순환되는 통로(41)를 다수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통로(41)의 연결 구조에 따라, 짧은 길이를 형성하여 난방수 순환 펌프(미도시)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The radiator 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heat insulator 30, but since a plurality of passages 41 through which heating water is circulated are formed, a short length is form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assages 41. The load of the circulation pump (not shown) can be reduced.

이 방열체(40)는 판 형상에 대응하여 동시에 넓은 면적으로 방열하므로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로 난방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방열체들(40)의 각 통로(41)들은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다.Since the radiator 40 corresponds to the plate shape and simultaneously radiates to a large area, heating can be realized with a more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Each passage 41 of the heat sinks 40 is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or (not shown).

이 방열체(40)는 그 표면에 홈(42)을 형성하여, 단열재(30) 상에 설치 시, 방열체(40)의 자중을 받는 단열재(30)의 자리부(32)와의 정지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The heat sink 40 forms a groove 42 on the surface thereof, and when installed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the heat radiator 40 has a static frictional force with the seat 32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which receives the self-weight of the heat sink 40. To increase.

또한, 상부 마감재(50)는 쾌속 난방을 구현하는 기능과 축열을 구현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우수한 축열 성능을 위하여, 상부 마감재(50)는 시멘트 보드 또는 목질 판재로 형성되거나, 시멘트 보드 층과 목질 판재 층을 각각 하나 이상 구비하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inisher 50 has a function of implementing rapid heating and a function of implementing heat storage. For excellent heat storage performance, the upper finish 50 may be formed of a cement board or wood board, or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having at least one cement board layer and one wood board layer.

이 상부 마감재(50)는 클램프(51)로 연결되고, 그 위에 바닥재(52)가 펼쳐져 실내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인간의 활동은 이 바닥재(52) 상에서 이루어진다.The upper finish 50 is connected to the clamp 51, the bottom 52 is spread thereon to form the floor of the interior space. Substantially human activity takes place on this flooring 52.

한편, 차음 시스템(20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난방 시스템(100)과 바닥(31) 사이에 구비된다. 이 차음 시스템(200)은 난방 시스템(100)을 설치하여 지지하는 상판(60)과, 이 상판(60)을 바닥(31)으로부터 이격시켜 뜬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7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insulation system 200 is provided between the heating system 100 and the floor 3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insulation system 200 includes a top plate 60 that supports and installs a heating system 100, and a support 70 that supports the top plate 60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bottom 31.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0)는 상판(60)을 지지하는 지지판(72)과, 바닥(31)에 밀착되는 방진 블록(73), 및 지지판(72)과 방진 블록(73)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74)를 포함한다. 이 지지대(70)는 난방 시스템(100)을 바닥(31)으로부터 뜬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70 includes a support plate 72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60, a dustproof block 73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31, and a support plate 72 and a dustproof block 73. And a support member 74 coupled to it. The support 70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sufficient mechanical rigidity to support the heating system 100 in a state lifted from the floor 31.

이 지지판(72)과 방진 블록(73)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The support plate 72 and the dustproof block 73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n example.

즉, 지지판(72)은 상판(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판(71)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판(72)의 중심부에는 통공(72a)이 형성되고, 이 통공(72a)에는 너트(75)가 삽입되며, 지지판(72)의 상부 면에는 상판(6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된다.That is, the support plate 72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plate 71 so as to stably support the top plate 60, a through hole 72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72, the through hole 72a The nut 75 is inserted, and an adhesive tape (not shown) for adhering to the upper plate 6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2.

이 지지판(72)은 금속, 플라스틱, 무기질, 나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판(60)과의 일체화를 위한 못박음 고정이 가능하도록 판 형상의 목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너트(75)가 삽입되는 위치의 지지판(72) 상면에는 도포되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홈(72b)이 구비된다.The support plate 72 may be formed of metal, plastic, inorganic material, wood, or the like, and preferably uses a plate-shaped wood to enable nailing fixing for integration with the upper plate 60. And the adhesive receiving groove 72b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to be appli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2 at the position where the nut 75 is inserted.

그리고, 방진 블록(73)은 지지 부재(74)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지지 부재(74)와의 결합 상태에서 지지 부재(7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홈(73a)을 구비하는 몸체(73b)와, 이 몸체(73b)의 외측을 둘러싸는 스커트부(73c)를 구비한다. 이 방진 블록(73)은 탄성 및 제진성을 가지는 고무에 첨가제, 예컨대 카본, 산화철 등을 배합하여 금형을 이용한 성형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proof block 73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74, and a body 73b having a groove 73a to enable rotation of the support member 74 in an engaged state with the support member 74. And a skirt portion 73c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body 73b. The dust block 73 may be manufactured by a molding process using a mold by adding an additive such as carbon and iron oxide to rubber having elasticity and vibration damping properties.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74)는 지지판(72)에 결합되는 중공형 바디(75)와, 이 바디(75)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진 블록(73)에 결합되는 플랜지(7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70)는 지지 부재(74)를 지지판(72)과 방진 블록(73)에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support member 74 includes a hollow body 75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72 and a flange 76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75 and coupled to the dustproof block 73. It is formed to include. Therefore, the support 7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support member 74 to the support plate 72 and the dustproof block 73.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부재(74)는 바디(75)의 중심에 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77)를 구비하고, 바디(75)의 외주에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제1 바디부(75a)와 제2 바디부(75b)를 구비한다.In more detail, the support member 74 has a through hole 77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t the center of the body 75, and is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75 to form a first portion. A body portion 75a and a second body portion 75b are provided.

상기 관통구(77)는 바디(75)의 중심에 형성되고, 이 바디(75)에 연결되는 플랜지(76)의 중심에도 연속적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 관통구(77)는 지지판(72)의 수용홈(72b)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유도하여 방진 블록(72)의 스커트부(73c) 내부, 즉 바닥(31)에까지 유도될 수 있게 한다.The through hole 7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75, and continuously penetra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ange 76 connected to the body 75. The through hole 77 guide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receiving groove 72b of the support plate 72 so that it can be guided into the skirt portion 73c of the dustproof block 72, that is, to the bottom 31.

이 관통구(77)는 접착제의 유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74)가 소정의 내(耐) 압축하중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induction of the adhesive, the through hole 77 is preferably formed with the largest diameter possibl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74 has a predetermined internal compressive load.

이 접착제의 유동성 향상을 구현함에 따라 바디(75)는 동일 직경의 중실 부재에 비하여, 낮은 내 압축하중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내 압축하중이 저하되는 것을 감안하여, 제1 바디부(75a)는 지지판(72)에 결합되는 나사를 형성하고 있지만, 제2 바디부(75b)는 내 압축하중을 보강하도록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있다.By implementing the fluidity improvement of the adhesive, the body 75 has a lower compressive load resistance compared to the solid member of the same diameter. In view of the lowering of the compressive load in this manner, the first body portion 75a forms a screw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72, but the second body portion 75b forms a screw to reinforce the compressive load. It is not.

이 제1 바디부(75a)는 지지 부재(74)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판(72)의 너트(75)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지 부재(74)를 회전시켜 지지판(7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바디(75) 및 지지 부재(74)를 회전시키도록 제1 바디(75a)의 상단에는 드라이버 홈(75c)이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75a is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74 and screwed to the nut 75 of the support plate 72, thereby rotating the support member 74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72. To be. At this time, the driver groove 75c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75a to rotate the body 75 and the support member 74.

제2 바디부(75b)는 방진 블록(73)에 인접하는 지지 부재(74)의 하부에 형성되며, 단순히 나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내 압축하중을 보강 및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1 바디부(75a)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75b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74 adjacent to the dustproof block 73. The second body portion 75b is not simply formed with a screw but may be used to reinforce and increase the compressive load.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minimum cross sectional area of 75a) is formed.

이러한 예로써, 제2 바디부(75b)는 원통으로 형성되면서 제1 바디부(75a)의 나사 골이 형성하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즉 제2 바디부(75b)는 제1 바디부(75a)의 나사 산이 형성하는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바디(75)를 형성하는 소재에서 나사를 형성하지 않을 때와 같은 상태이다.In this example, the second body portion 75b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formed by the screw valley of the first body portion 75a while being formed in a cylinder. That is, the second body portion 75b is formed to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formed by the thread of the first body portion 75a. This is the same state as when no screw is formed in the material forming the body 75.

이 제2 바디부(75b)는 제1 바디부(75a)의 나사 골이 형성하는 횡단면적보다 넓은 횡단면적을 가짐으로써, 지지 부재(74) 전체의 내 압축하중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디부(75b)는 지지 부재(74)의 내 압축하중을 보강하면서, 제2 바디부(75b)에서 나사를 형성하지 않는 만큼 지지 부재(74)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This second body portion 75b has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formed by the screw valleys of the first body portion 75a, thereby reinforcing the internal compressive load of the entire supporting member 74. Accordingly, the second body portion 75b ha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processing of the support member 74 as much as not forming a screw in the second body portion 75b while reinforcing the compressive load of the support member 74. .

한편, 플랜지(76)는 방진 블록(73)에 근접하는 바디(75)의 끝, 즉 제2 바디부(75b)에 구비되어, 바디(75)의 지지 면적(A1)에 추가 지지 면적(A2)을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74)는 바디(75)의 지지 면적(A1)과 플랜지(76)의 지지 면적(A2)을 합한 면적으로 압축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이 플랜지(76)에 의한 지지 면적(A2)은 지지 부재(74)에 의한 지지 면적(A1)보다 더 넓게 형성기 대문에, 지지 부재(74) 전체의 지지 면적은 더욱 증대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ange 7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75 adjacent to the dustproof block 73, that is, the second body portion 75b, and additional support area A2 to the support area A1 of the body 75. ). Therefore, the support member 74 resists the compressive load by the sum of the support area A1 of the body 75 and the support area A2 of the flange 76. Since the support area A2 by this flange 76 is wider than the support area A1 by the support member 74, the support area of the whole support member 74 is further increased.

이 플랜지(76)는 방진 블록(73)의 홈(73a)에 결합된다. 이 방진 블록(73)의 몸체(73b)는 지지 부재(74)의 관통구(77)에 대응하는 관통구(73d)를 구비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74)의 관통구(77)로 유동되는 접착제는 몸체(73b)의 관통구(73d)를 통하여 스커트부(73c) 내부로 유동된다.This flange 76 is coupled to the groove 73a of the dustproof block 73. The body 73b of the dustproof block 73 has a through hole 73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77 of the support member 74. Therefore, the adhesive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77 of the support member 74 flows into the skirt portion 73c through the through hole 73d of the body 73b.

이렇게 스커트부(73b) 내로 유동되는 접착제는 방진 블록(73)을 바닥(31)에 고정 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70)는 바닥(31)에 고정되고, 이 지지대(70)에 설치된 상판(60) 및 난방 시스템(200)은 고정된다.Thus, the adhesive flowing into the skirt 73b fixedly attaches the dustproof block 73 to the bottom 31. Accordingly, the support 70 is fixed to the bottom 31, and the upper plate 60 and the heating system 200 installed on the support 70 are fixed.

이와 같이 지지 부재(74)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상판(60) 및 난방 시스템(100)을 지지하는 내 압축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upport member 74 can increase the compression load to support the top plate 60 and the heating system 100 while securing the fluidity of the adhesive.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유사 내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여기에서는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Since the second embodiment has similar or identic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s a whole when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herein.

제2 실시예의 지지 부재(174)는 제2 바디부(175b)와 플랜지(176)에 보강부재(78)를 더 구비한다. 이 보강부재(78)는 바디(175b)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바디부(175b)의 측면과 플랜지(176)를 상호 연결한다.The support member 174 of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78 in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and the flange 176. The reinforcing member 78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75b to interconnect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and the flange 176.

따라서 바디(175)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이 제1 바디부(175a)에서 제2 바디부(175b)를 통하여 플랜지(176)로 일부 전달될 때, 보강부재(78)는 제2 바디부(175b)에서 플랜지(176)로 또한 전달한다.Therefore, when the compressive load acting on the body 175 is partial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75a to the flange 176 through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the reinforcing member 78 is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 To flange 176 as well.

이 보강부재(78)는 바디(175)에 전달되는 압축하중이 제2 바디부(175b)에 대응하는 플랜지(176)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플랜지(176)의 외곽 부분으로 분산시켜, 지지 부재(174) 전체의 내 압축하중을 증대시키게 된다.The reinforcing member 78 distributes the compressive load transmitted to the body 175 to the portion of the flange 176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to the outer portion of the flange 176,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 174 to increase the overall compressive load.

이 보강부재(78)는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제2 바디부(175b)의 측면과 플랜지(176)에 직각으로 부착되고, 제2 바디부(175b) 측 끝과 플랜지(176) 측 끝을 연결하는 변(78a)을 직선으로 형성하고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78 is attached at right angles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and the flange 176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side and the end of the flange 176 side The side 78a to be formed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이 보강부재(78)는 복수로 형성되어 제2 바디부(175b)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reinforcing member 78 is formed in plural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75b.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2 바디부(275b) 측 끝과 플랜지(276) 측 끝을 연결하는 변(79a)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지지 부재(79)를 예시한다.The third embodiment i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llustrates a support member 79 that curves a side 79a connecting the second body portion 275b side end and the flange 276 side en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 부재를 대경의 중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지지 부재의 바디를 제1 바디부와 이보다 내 압축하중이 큰 제2 바디부로 형성함으로써 즉, 제2 바디부를 제1 바디부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넓은 횡단면적을 가지게 형성함으로써 높은 내(耐) 압축하중을 가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바디부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다수로 구비함으로써 내 압축하중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to a large diameter hollow to ensure sufficient fluidity of the adhesive, and the body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having a higher compressive load than that, By forming the second body portion to have a wid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minimum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a high compressive load resista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connecting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compression load.

Claims (15)

뜬 바닥 시스템의 상판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과 방진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 부재에 있어서,In the support member for constituting the sup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of the floating floor system,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dustproof block of the suppo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 부재는,The support member,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를 형성하는 중공형 바디와,A hollow body for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방진 블록에 근접하는 상기 바디 끝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지지 면적에 추가 지지 면적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A flang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dustproof block and forming an additional support area in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상기 바디는,The body,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를 형성하는 제1 바디부와,A first body part which forms a screw to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디부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And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flange and formed in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a minimum cross 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바디부는 드라이버 홈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And 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 driver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바디부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나사 골이 형성하는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formed by a screw valley of the first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나사 산이 형성하는 직경과 동일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the same size as the diameter formed by the thread of the first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And a reinforc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지지 부재.The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ming a right angle to each other.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직선으로 형성하는 지지 부재.The reinforcing member is a support member for forming a straight line to the side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side.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지지 부재.The reinforcing member is a support member for forming a curve connecting a side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sid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바닥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뜬 상태를 유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상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에 구비되고 난방수가 순환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판 형상의 방열체, 및 상기 방열체 상에 구비되는 상부 마감재를 포함하며,A support plate installed on the floor, a top plate installed on the support to maintain a floating state of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on the top plate, a plate shap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passage for heating water to circulate A heat sink, and an upper finish provided on the heat sink, 상기 지지대는,The support is,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바닥에 밀착되는 방진 블록 및 상기 지지판과 방진 블록에 그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dustproof block in close contact with a floor,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dustproof block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지지 부재는,The support member,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를 형성하는 중공의 바디와,A hollow body forming a through-hole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방진 블록에 근접하는 상기 바디 끝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지지 면적 에 추가 지지 면적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A flange provided at an end of the body proximate to the dustproof block and forming an additional support area in the support area of the body, 상기 바디는,The body,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A first body part screwed to be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디부의 최소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뜬 바닥 시스템.Floating floor system comprising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flange, the second body portion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를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뜬 바닥 시스템.And a reinforcing member interconnecting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에 직각으로 부착되고,The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at right angles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forming a right angle to each other,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직선으로 형성하는 뜬 바닥 시스템.The reinforcing member is a floating floor system to form a side connecting the second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lange side end in a straight line. 청구항 1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플랜지에 직각으로 부착되고,The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at right angles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forming a right angle to each other,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 측 끝과 상기 플랜지 측 끝을 연결하는 변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뜬 바닥 시스템.The reinforcing member is a floating floor system to form a curved side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lange side end.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형성되는 뜬 바닥 시스템.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formed in a plurality of floor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KR1020060012545A 2006-02-09 2006-02-09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KR200700809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45A KR20070080960A (en) 2006-02-09 2006-02-09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45A KR20070080960A (en) 2006-02-09 2006-02-09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774U Division KR200441876Y1 (en) 2008-06-11 2008-06-11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60A true KR20070080960A (en) 2007-08-14

Family

ID=3860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545A KR20070080960A (en) 2006-02-09 2006-02-09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9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76B1 (en) * 2019-11-04 2021-04-09 주식회사 플로아테크 Architectural floor panel and Method for floor panel construction
KR20220009042A (en) 2020-07-15 2022-01-24 (주)유로하우징안성공장 Slat and slat bar fastening structure to form the bottom of pig s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76B1 (en) * 2019-11-04 2021-04-09 주식회사 플로아테크 Architectural floor panel and Method for floor panel construction
KR20220009042A (en) 2020-07-15 2022-01-24 (주)유로하우징안성공장 Slat and slat bar fastening structure to form the bottom of pig s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233A1 (en) Heating floor system
TWI328065B (en) Floor system
KR101006837B1 (en) Vibration & noise prevention apparatus capable of easy levelling between slab layers
KR200431410Y1 (en) Assembling structure of panel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KR100647908B1 (en) Sound reduction type dry floor system using deck plates
KR101509586B1 (en) Noise Insulation Heating Device having Double Flooring Structure
KR20070080960A (en)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KR100897545B1 (en) Upper finish and floor system
KR100571671B1 (en) Protection board against heat using the ondol panel
KR200441876Y1 (en) Supporting member and floating floor system
KR100723970B1 (en) Noise prevention goods for shock absorption
KR101559558B1 (en) Structure of heating and cooling floor for noise reduction
KR100835231B1 (en) Heat insulator and floor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776676B1 (en) Building of noise and vibration diminution device
KR100750478B1 (en) Heating floor system
KR101642289B1 (en) Float floor assembly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in building
KR100831632B1 (en) Floor heating system
KR100762409B1 (en) floor system
KR101650429B1 (e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s between stairs using stiffness of ondol layer
KR100673970B1 (en) A house heating system and structure
KR200346337Y1 (en) Soundproofing panel assembly for building
KR101336643B1 (en) Floor noise flooring for heating of a prefabricated
KR20070053874A (en) Raised access floors system and floor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586162B1 (en) A korean underfloor heating panel for reducing noise
KR100668468B1 (en) Assembly type panel for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