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789A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789A
KR20070080789A KR1020060012277A KR20060012277A KR20070080789A KR 20070080789 A KR20070080789 A KR 20070080789A KR 1020060012277 A KR1020060012277 A KR 1020060012277A KR 20060012277 A KR20060012277 A KR 20060012277A KR 20070080789 A KR20070080789 A KR 2007008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utton
input
selection butt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789A/ko
Priority to EP07001666A priority patent/EP1818765A2/en
Priority to CNA2007100054961A priority patent/CN101017403A/zh
Priority to US11/704,178 priority patent/US20070210939A1/en
Publication of KR2007008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8Wheeled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16Collapsible or foldable sl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상기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으면,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에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할당된 문자 중에서 상기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키패드, 3×4키패드, 문자입력방법, 선택버튼, 문자버튼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문자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모드에서 한글 입력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문 입력모드에서 알파벳 입력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선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뿐 아니라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웹서핑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많아 지고 있다.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때,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해 스케줄을 입력할 때,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 후에 촬영한 이미지의 명칭을 입력할 때 등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계속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보면,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3×4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키번튼에 다수의 문자들을 할당해 미리 정한 순서대로 키버튼의 누르는 횟수로 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문자 배열을 도시 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100)는 3×4키패드(key pad)(110),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 종료키,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을 제어부로 제공한다.
3×4키패드(key pad)(110)는 한글의 자음/모음, 알파벳 및 0∼9의 숫자를 입력하는 12개의 키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의 문제점을 영문자 입력의 예로 설명하면,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버튼에 3 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한 문자를 입력할 때 최대 3 번 버튼을 눌러야 한다. 동일 문자를 입력할 때는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입력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즉 각 버튼의 3 번째 문자로 할당된 Z, C, F, I, L, O, S, V, Y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버튼을 3 번 눌러야 한다. 그리고 동일한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하기 위해서는 3 x 4 버튼 외부에 위치해 있는 방향 버튼으로 커서를 움직여야 한다.
예를 들어 school 이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7, 7, 7, 2, 2, 2, 4, 4, 6, 6, 6, 방향버튼 또는 잠시 기다리고 6, 6, 6, 5, 5, 5, 즉 17 또는 18 번의 버튼 입력이 필요하다.
즉, 3×4키패드(key pad)(110)는 한정된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검색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키 버튼을 다수번 눌러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 또는 알파벳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같은 자음, 모음, 또는 알파벳을 연속해서 입력하거나 또는 연속한 자음, 모음, 또는 알파벳이 하나에 키버튼으로 입력해야하는 경우 입력함에 있어 일정시간을 대기하거나 방향키를 조작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히 완전한 문자 집합을 갖는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이지만(예를 들어 QWERTY 키보드), 점차 소형화 되어가는 단말기에 완전한 문자집합을 갖는 키패드를 갖추는 것은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어려운 문제이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간편한 단말기를 원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 시 3 x 4 의 숫자 버튼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를 이용하므로 버튼의 수가 제한되어 문자 입력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버튼의 수가 제한되어 있는 기존의 3 x 4 키패드를 이용할 때, 보다 적은 버튼 입력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선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버튼을 입력하여 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다수의 문자를 선택하는 2개의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 입력시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순서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상기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으면,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에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할당된 문자 중에서 상기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방법은 문자버튼을 입력하여 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입력버튼에 할당된 다수의 문자를 선택하는 2개의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 입력시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순서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 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키패드(202), 표시부(204), 메모리(206), 기저대역처리부(208), RF 모듈(210), 안테나(212), 코덱(214), 마이크(216) 및 스피커(218)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에서 문자버튼이 선택버튼과 동시에 입력받으면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각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 입력하고, 문자버튼만 입력되면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각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 중에서 첫번째 문자가 입력되도록 제하며 상기 문자 입력에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3내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패드(key pad)(202)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문 자를 포함하는 문자버튼과 문자버튼으로 문자 입력시 문자버튼이 포함하는 문자중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선택버튼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표시부(204)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204)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202)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10)은 안테나(212)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08)로 제공하고, 기저대역처리부(208)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212)를 통해 송신한다. 기저대역처리부(208)는 RF모듈(210)과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214)과, 코덱(214)에 접속된 마이크(216) 및 스피커(218)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코덱(214)은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 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18)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16)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선택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아래에서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모드에서 한글 입력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300단계로 진행하여 문자버튼의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300단계의 감지결과 문자버튼이 입력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302단계의 검사결과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된 것이 아니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한글 입력모드에서 문자버튼에 할당된 첫번째 문자를 입력한다.
상기 302단계의 검사결과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되었으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선택버튼이 제1 선택버튼인지 검사한다.
상기 306단계의 검사결과 제1 선택버튼이면, 한글 입력모드에서 제1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인 두번째 문자를 입력한다.
상기 306단계의 검사결과 제1 선택버튼이 아니고 제2 선택버튼이면, 한글 입력모드에서 제2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인 첫번째 문자의 된소리 문자를 입력한다. 한글의 된소리 문자는 ㄲ, ㄸ, ㅃ, ㅆ, ㅉ 이 있다.
그러면 상기 도 3의 한글 입력을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의 예를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3 x 4 키패드(410)는 한글 입력을 위해 각각 최대 3개의 문자가 할당된 10개의 문자버튼(412)과 문자버튼(412)과 함께 입력할 때 문자버튼에 할당된 자음 중에서 두번째 자음을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414)와 문자버튼에 할당된 첫번째 자음의 된소리를 선택하는 제2 선택버튼(41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도 4의 한글 입력을 위한 3 x 4 키패드(410)를 이용한 입력은 아래 <표 1>과 같다.
키패드의 번호 문자버튼만 입력 문자버튼 + 제1 선택버튼(414) 문자버튼 + 제2 선택버튼(416)
1 ㅣ(모음) 미정 미정
2 ·(모음) 미정 미정
3 ㅡ(모음) 미정 미정
4
5 미정
6
7
8
9
0 미정
상기 도 4는 한글입력을 위한 3 x 4 키패드의 구성의 하나의 예로, 선택버튼(414, 416)의 위치는 키패드 내 어디라도 될 수 있고 문자버튼(412)의 해당 버튼에 할당된 문자 배열도 또한 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문 입력모드에서 알파벳 입력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500단계로 진행하여 문자버튼의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500단계의 감지결과 문자버튼이 입력되면, 50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502단계의 검사결과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된 것이 아니면, 504단계로 진행하여 영문 입력모드에서 문자버튼에 할당된 첫번째 알파벳을 입력한다.
상기 502단계의 검사결과 선택버튼과 함께 문자버튼이 입력되었으면, 506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선택버튼이 제1 선택버튼인지 검사한다.
상기 506단계의 검사결과 제1 선택버튼이면, 영문 입력모드에서 제1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인 두번째 알파벳을 입력한다.
상기 506단계의 검사결과 제1 선택버튼이 아니고 제2 선택버튼이면, 영문 입력모드에서 제2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버튼에 할당된 알파벳인 세번째 알파벳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도 5의 영문 입력을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의 예를 아래에서 도 6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3×4 키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를 참조하면 3 x 4 키패드(610)는 한글 입력을 위해 각각 최대 3개의 문자가 할당된 9개의 문자버튼(612)과 문자버튼(612)과 함께 입력할 때 문자버튼에 할당된 알파벳 중에서 두번째 알파벳을 선택하는 제1 선택버튼(614)와 문자버튼에 할당된 세번째 알파벳을 선택하는 제2 선택버튼(61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도 6의 한글 입력을 위한 3 x 4 키패드(610)를 이용한 입력은 아래 <표 2>과 같다.
키패드의 번호 문자버튼만 입력 문자버튼 + 제1 선택버튼(614) 문자버튼 + 제2 선택버튼(616)
1 . Q Z
2 A B C
3 D E F
4 G H I
5 J K L
6 M N O
7 P R S
8 T U V
9 W X Y
0 (빈칸) 미정 미정
상기 도 6는 알파벳 입력을 위한 3 x 4 키패드의 구성의 하나의 예로, 선택버튼(614, 616)의 위치는 키패드 내 어디라도 될 수 있고 문자버튼(612)의 해당 버튼에 할당된 문자 배열도 또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문자버튼에 할당하는 문자는 최대 3개이고, 선택버튼은 2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버튼에 할당하는 최대 문자의 수에서 하나를 뺀 수만큼의 선택버튼을 가진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모드는 한글입력모드, 영문자 입력모드 및, 3 x 4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가능한 모든 문자 입력모드가 가능하며, 선택버튼의 위치와 문자버튼에 포함된 문자의 배치 및 개수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상기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으면,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에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할당된 문자 중에서 상기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같은 문자버튼을 다수번 누르지 않고, 또한 같은 문자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경우에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방향키 또는 일정시간의 기다림 없이 상대적으로 빠른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이 상기 선택버튼의 입력과 함께 감지되었으면,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에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할당된 문자 중에서 상기 선택버튼에 상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상기 문자버튼의 입력만이 감지되면, 감지한 상기 문자버튼에 상기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할당된 상기 문자 중에서 첫번째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버튼 각각은 다수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버튼의 갯수는 상기 문자버튼이 포함하는 최대 문자 수에서 하나를 뺀 수만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버튼 각각이 포함하는 최대의 문자 수는 3개이고, 상기 선택버튼의 갯수는 2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는 한글 입력모드 또는 영문자 입력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버튼은 제1 선택버튼과 제2 선택버튼으로 구성하며,
    한글 입력모드에서 입력시 상기 제1 선택버튼은 함께 입력된 상기 문자버튼에 포함된 두번째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선택버튼은 함께 입력된 상기 문자버튼에 포함된 첫번째 문자의 된소리 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버튼은 제1 선택버튼과 제2 선택버튼으로 구성하며,
    영문자 입력모드에서 입력시 상기 제1 선택버튼은 함께 입력된 상기 문자버튼에 포함된 두번째 문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선택버튼은 함께 입력된 상기 문자버튼에 포함된 세번째 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버튼은 3×4 키패드의 좌측 가장 하단에 위치한 * 버튼이고, 상기 제2 선택버튼은 상기 3×4 키패드의 좌측 가장 하단에 위치한 #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12277A 2006-02-08 2006-02-0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80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77A KR20070080789A (ko) 2006-02-08 2006-02-0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EP07001666A EP1818765A2 (en) 2006-02-08 2007-01-26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NA2007100054961A CN101017403A (zh) 2006-02-08 2007-02-08 便携式终端的字符输入设备和方法
US11/704,178 US20070210939A1 (en) 2006-02-08 2007-02-08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77A KR20070080789A (ko) 2006-02-08 2006-02-0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789A true KR20070080789A (ko) 2007-08-13

Family

ID=3796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277A KR20070080789A (ko) 2006-02-08 2006-02-0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10939A1 (ko)
EP (1) EP1818765A2 (ko)
KR (1) KR20070080789A (ko)
CN (1) CN1010174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831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0939A1 (en) 2007-09-13
CN101017403A (zh) 2007-08-15
EP1818765A2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7089B (zh) 信息输入设备
US7552142B2 (en) On-screen diagonal cursor navigation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alphabetic keyboard
US2007029878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US20060012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KR1011795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터치패드 이용 방법
KR1006751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KR2007008078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475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KR100672343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KR100684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성조합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336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30100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US20070115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23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5019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방법
KR101058505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6046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1069873B1 (ko) 문자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4014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3866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800780B1 (ko) 휴대형 복합 무선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JP2000341761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入力制御方法
KR20070061969A (ko) 동작검출센서를 이용한 한글입력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