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391A -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391A
KR20070080391A KR1020060011663A KR20060011663A KR20070080391A KR 20070080391 A KR20070080391 A KR 20070080391A KR 1020060011663 A KR1020060011663 A KR 1020060011663A KR 20060011663 A KR20060011663 A KR 20060011663A KR 20070080391 A KR20070080391 A KR 2007008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lens module
longitudinal direction
camera lens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391A/ko
Publication of KR2007008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폴더와,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상기 회전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힘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단말기의 회전에 상관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의 방향을 항상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고,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소프트 웨어(s/w)가 필요없어 단말기의 부품수를 줄여 단말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카메라 촬영 후 발생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시 발생되는 부하를 방지하여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렌즈 모듈, 폴더, 회전 수단, 회전 동력 수단.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CAMERA ROTATING APPARATUS FOR DISPLAY ROTATION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폴더를 개폐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폴더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폴더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폴더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개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카메라 폰, 게임 폰, 인터넷 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한 개의 힌지 장치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표시장치를 통한 디스플레이된 정보 확인이 불편할 때가 종종 발생되었고, 키들의 조작이 불편한 때가 종종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디스플레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기 개발되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1)는 본체 하우징(2)과, 디스플레이부(3a) 및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구비한 폴더(3)와, 상기 폴더(3)를 길이방향(세로방향)(A1)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A2)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4)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4)에 의해 상기 폴더(4)를 회전시킬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a)의 화면을 길이방향(A1)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5)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신호변환부(5)는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하는 신호입력부(5a)와, 상기 신호입력부(5a)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a)를 제어하는 제어부(5b)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사용방향에 따라서 변환할 수 있으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경우 카메라 렌즈 모듈이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회전할 수 없어 카메라 렌즈 모듈에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방향을 신호입력부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환시키고, 이때 상기 신호입력부는 상기 신호변환부에 신호를 인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신호에서 부하가 발생할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변환이 늦어져는 단점이 있고, 이와 같이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신호입력부와 함께 많은 동영상 및 사진촬영 데이터(data) 신호처리로 인가받아 처리해야함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로 인해 부하가 발생하여 단말기의 전체적인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 써, 단말기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의 방향을 항상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소프트 웨어(s/w)가 필요없어 단말기의 부품수를 줄여 단말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카메라 촬영 후 발생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시 발생되는 부하를 방지하여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본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폴더와,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폴더를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및
상기 회전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 능하게 힘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본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폴더와,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폴더를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부로 인가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도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1)는 본체 하우징(2)과, 디스플레이부(3a) 및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구비한 폴더(3)와, 상기 폴더(3)를 길이방향(A1)(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4)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4)에 의해 상기 폴더(3)를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길이방향(A1)(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5)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는 회전 수단(10)과, 회전 동력 수단(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 수단(10)은 상기 폴더(3)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으로 회전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동력 수단(20)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힘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 수단(10)과 연결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 수단(10)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비꾸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기어부(10)는 피니언 기어(11)와, 랙 기어(1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1)는 상기 랙 기어(12)의 직선운동에 따라서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의 외곽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랙 기어(12)는 후술하는 상기 회전 동력 수단(20)의 감아서 당기거나 풀면서 밀어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기 어(11)와 서로 맞물려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회전 동력 수단(20)은 상기 이축 힌지 장치(4)의 회전에 따라서 당겨서 감거나 풀면서 밀어 상기 랙 기어(12)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부(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20)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부(20)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랙 기어(12)를 직선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랙 기어(1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부(20)의 타일단은 상기 와이어부(20)를 감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이축 힌지 장치(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는 회전 수단(10)과, 회전 동력 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도 6과 같이, 상기 폴더(3)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모듈(3b)의 이웃한 위치에 회전 수단(10)의 랙 기어(1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랙 기어(12)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11)와 서로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부(20)의 일단은 상기 랙 기어(12)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일단은 이축 힌지 장치(4)에 연결시킨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폴더(3)를 상기 본체 하우징(2)의 길이방향(A1)(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폴더(3)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모듈 (3b)이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가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폴더(3)를 상기 본체 하우징(2)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축 힌지 장치(4)도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도 10과 같이, 상기 이축 힌지 장치(4)는 상기 와이어부(20)를 감아서 상기 랙 기어(12)를 당긴다.
도 11과 같이, 상기 와이어부(20)를 당김에 따라서 상기 랙 기어(12)는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랙 기어(12)의 직선운동에 따라서 상기 피니언 기어(11)는 회전한다.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1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도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더(3)를 상기 본체 하우징(2)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도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 모듈(3b)이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상기 폴더(3)를 다시 닫을 경우 상기 폴더(3)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축 힌지 장치(4)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부(20)가 풀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랙 기어(12)를 밀어 상기 피니언 기어(11)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1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폴더(3)를 다시 상기 길이방향(A1)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은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게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 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와 같이, 과 같이,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는 방향감지 센서(30)와, 구동 모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더(3)내에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러 렌즈 모듈(3b)의 외곽에 구비된 기어부(10)와 상기 구동 모터(40)의 기어부(10)가 서로 맞물려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상기 사용자가 폴더(3)를 상기 본체 하우징(2)의 길이방향(A1)(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폴더(3)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모듈(3b)이 상기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도 14와 같이, 사용자가 폴더(3)를 상기 본체 하우징(2)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축 힌지 장치(4)도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폴더(3)의 회전 방향을 상기 방향 감지센서(30)가 감지한다.
상기 방향 감지 센서(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부(5)의 신호입력부(5a)에 입력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5a)를 통해 제어부(5b)에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5b)는 상기 구동 모터(40)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 모터(4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A2)(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은 사용자의 정면을 향하여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와 같이, 상기 폴더(3)를 다시 닫을 경우 상기 폴더(3)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축 힌지 장치(4)도 회전하고, 이때, 상기 방향 감지 센서(30)는 상기 폴더(3)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화하여 신호 입력부(5a)에 입력한다.
상기 신호 입력부(5a)는 다시 제어부(5b)에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5b)는 상기 구동 모터(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을 원위치 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폴더(3)를 다시 상기 길이방향(A1)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b)은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게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회전에 상관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의 방향을 항상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렌즈 모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를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시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회전에 상관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의 방향을 항상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렌즈 모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소프트 웨어(s/w)가 필요없어 단말기의 부품수를 줄여 단말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카메라 촬영 후 발생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시 발생되는 부하를 방지하여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본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폴더와,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폴더를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및
    상기 회전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힘을 제공하는 회전 동력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시키는 기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서로 맞물려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랙 기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동력 수단은 상기 랙 기어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이축 힌지 장치의 회전에 따라서 감아서 당기거나 풀어서 밀어 상기 랙 기어를 직선이동시키는 와이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은 상기 랙 기어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일단은 이축 힌지 장치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6. 본체 하우징과,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폴더와, 상기 폴더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축 힌지 장치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에 의해 상기 폴더를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가로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부로 인가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폴더를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때 이를 감지하여 신호화 하고, 다시 폴더를 닫을때 이를 감지하여 신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KR1020060011663A 2006-02-07 2006-02-07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KR20070080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63A KR20070080391A (ko) 2006-02-07 2006-02-07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63A KR20070080391A (ko) 2006-02-07 2006-02-07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391A true KR20070080391A (ko) 2007-08-10

Family

ID=3860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663A KR20070080391A (ko) 2006-02-07 2006-02-07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3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7760B2 (en) 2019-09-23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7760B2 (en) 2019-09-23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03402B1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480282B1 (ko)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30098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120852A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640500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06108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장치
KR20070080391A (ko) 디스플레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장치
KR2005000978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01B1 (ko)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57065B1 (ko)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4096735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07564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20060071286A (ko) 광학 줌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70080063A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
KR20060093434A (ko) 피사체 촬영 범위가 확장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휴대 장치
KR101009772B1 (ko) 휴대 통신 장치의 전기적 연결 장치
KR101155250B1 (ko)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