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274A - 고조파 저감 변압기 - Google Patents

고조파 저감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274A
KR20070080274A KR1020060011404A KR20060011404A KR20070080274A KR 20070080274 A KR20070080274 A KR 20070080274A KR 1020060011404 A KR1020060011404 A KR 1020060011404A KR 20060011404 A KR20060011404 A KR 20060011404A KR 20070080274 A KR20070080274 A KR 20070080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iron
secondary side
harmonic
r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진숙
김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숙, 김기성 filed Critical 김진숙
Priority to KR102006001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274A/ko
Priority to PCT/KR2006/001225 priority patent/WO2006104373A2/en
Publication of KR2007008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62Pull members; Ornamental attachments for sliders

Landscapes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조파를 제거하고, 충격 전압을 약하게 하기 위해 정현파에 가깝게 (양질) 전기를 만드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링코아(110) 및 링코아(110)의 1차측에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된 변압기에 있어서,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1 권선(120);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2 철권선(260);로 구성되고, 2차측 제 1 권선(120)의 양측은 교류 전기전자 부하(39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고조파의 자기장을 흡수하여 2차측 제 1 권선(120)의 고조파가 1차측 제 1 권선(130)으로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철(Fe) 권선, 고조파, 충격 전압, 정현파, 보자력, 중간 텝, 전파정류회로, 다이오드. 교류 전기전자부하

Description

고조파 저감 변압기{The Harmonic Eliminating Transformer}
도 1은 일반적인 전파 정류 회로의 변압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의 직류회로용 결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의 교류회로용 결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파 정류 회로의 변압기,
110 : 링코아,
120 : 2차측 제 1 권선,
130 : 1차측 권선,
140 : 리액터,
150 : 플러그,
160 : 2차측 제 2 권선,
170 : 제 1 다이오드,
180 : 제 2 다이오드,
190 : 직류 전기전자 부하,
191 : 제 1 출력선,
192 : 제 2 출력선,
200 : 고조파 저감 변압기 정류 회로,
220 : 2차측 제 1 철권선,
260 : 2차측 제 2 철권선,
300 : 고조파 저감 변압기 교류회로,
390 : 고조파 교류 전기전자 부하.
본 발명은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조파를 제거하고, 충격 전압을 약하게 하기 위해 정현파에 가깝게 (양질) 전기를 만드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주파수는 기본 주파수 60[Hz]이며, 이 주파수의 정수배 주파수의 파형을 고조파라 한다. 따라서, 제 2 고조파의 주파수는 60[Hz]의 2배수인 120[Hz]이며, 제 3 고조파의 주파수는 180[Hz] 이다. 3상 전력 시스템에서 짝수 고조파(제 2, 제 4, 제 6 등등)는 상쇄되므로 홀수 고조파만 다루면 된다. 고조파는 불평형 비선형 부하로부터 나타나며 다음 [표 1]과 같이 비선형 속에 포함된 고조파는 정상, 역상, 영상 분으로 나뉘어 진다. [표 1]은 고조파 차수와 대칭성분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대칭 고조파 차수
정상 1,4,7,10,13, .......
역상 2,5,8,11,14, .......
영상 3,6,9,12,15, .......
즉, 3고조파는 영상 분 고조파, 5고조파는 역상 분 고조파, 7고조파는 정상분 고조파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파 정류 회로의 변압기(100)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0)는 링코아(110)와 제 1, 2 다이오드(170, 180)로 구성된다. 즉, 링코아(110)의 1차측에는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되고, 2차측에는 2차측 제 1 권선(120)과 2차측 제 2 권선(160)이 구비된다. 제 1 다이오드(170)의 일단은 2차측 제 1 권선(1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출력선(191)과 제 2 다이오드(180)로 분지된다. 제 2 다이오드(180)의 일단은 2차측 제 2 권선(16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출력선(191)과 제 1 다이오드(170)로 분지된다. 그리고, 2차측 제 1, 2 권선의 공통선은 제 2 출력선(192)이 되어 직류전기전자 부하(19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한 동작은, 제 2 출력선(192)을 기준으로 양쪽에 다이오드(170, 18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교류가 아닌 반파직류가 양쪽으로 번갈아가며 흐른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다이오드(170,180)를 지나가는 전류에 의해 고조파전류가 역류로 흐르기 때문에 리액터(140)로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고조파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 파형이 전압 파형을 찌그러뜨리며, 이 전압왜형은 전기, 전자 장비의 장애,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급격한 정보통신시대로 변화하면서 전력전자의 급격한 보급으로 비선형 부하 설비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들이 각종 정밀기기에 손상을 입히고,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특히 저압부하 선로의 중성선 및 전기설비를 과열시켜 많은 전기화재 및 정전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3상 4선식 전력시스템의 3개의 상(S상, R상, T상)은 120°씩 차이가 나며, S상의 전류는 R상의 전류의 120° 후에 생긴다. 이와 마찬가지로, T상의 전류는 S°의 전류의 120° 후에 생긴다. 이것 때문에 기본파 60[Hz] 전류와 짝수 고조파는 중성선에서 3상 평형 부하일 때는 상쇄되어 0[A]가 된다.
그러나 고조파전류는 필요이상의 과대전류가 중성선 뿐만 아니라 3상(S상, R상, T상) 모두 증가하여 중성선 및 변압기의 과열 그리고, 기타 아래와 같은 장해를 일으킨다. 즉, i) 전력 라인 차단기의 차단현상, ii) 통신선의 통신장애, iii) 과전압문제, iv) 전기요금증가, v) 전력전자 계량, 계측의 오동작 등 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서 사용하는 고조파필터는 현재 전자기기로 된 능동필터와 리액터로 구성된 수동필터와 3고조파를 제거하는 오픈 델타 지그재그 변압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격은 높고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파정류회로의 중간텝이 있는 변압기의 다이오드 연결 권선을 보자력(리액턴스)이 강한 금속인 철(Fe)권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변압기 보다 더 용이하게 입력측으로 고조파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고조파 저감 변 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링코아(110) 및 링코아(110)의 1차측에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된 변압기에 있어서,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
일단이 2차측 제 1 철권선(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1 출력선(191)에 연결되는 제 1 다이오드(170); 및
일단이 2차측 제 2 철권선(260)과 연결되고, 타단은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1 출력선(191)에 연결되는 제 2 다이오드(180);로 구성되고,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의 공통선은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2 출력선(192)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자력이 큰 제 1, 2 철권선(220, 260)은 1 mm ~ 2 mm의 피복을 입힌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차측 권선(130)에는 플러그(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코아(110) 및 링코아(110)의 1차측에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된 변압기에 있어서,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1 권선(120);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2 철권선(260);로 구성되고,
2차측 제 1 권선(120)의 양측은 교류 전기전자 부하(39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철권선(260)은 1 mm ~ 2 mm의 피복을 입힌 것이 적합하고, 1차측 권선(130)에는 플러그(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2차측 제 1 권선(120)은 전도도가 큰 구리선인 것이 적합할 수 있고, 2차측 제 2 철권선(26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의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의 직류회로용 결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파 저감 변압기 정류회로(200)는 대략 링코아(110)와 제 1, 2 다이오드(170, 180)로 구성된다. 즉, 링코아(110)의 1차측에는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되고, 2차측에는 2차측 제 1 철권선(220)과 2차측 제 2 철권선(260)이 구비된다. 제 1 다이오드(170)의 일단은 2차측 제 1 철권선(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출력선(191)과 제 2 다이오드(180)로 분지된다. 제 2 다이오드(180)의 일단은 2차측 제 2 철권선(260)과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 제 1 선(191)과 제 1 다이오드(170)로 분지된다. 그리고,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 의 공통선은 제 2 출력선(192)이 되어 직류전기전자 부하(19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정류회로(2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조파를 제거하는 리액터(140)의 역할을 변압기 정류회로(200) 내부의 2차측 철권선(220, 260)이 철(Fe)로 바뀜으로써 대신 그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파정류회로의 변압기(100)에서 2차권선(120,160)은 중간의 제 2 출력선(192)을 기준으로 맥류가 흐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변압기 정류회로(200)의 내부 2차측 철권선(220, 260)의 재질을 철(Fe)로 바꿈으로써 리액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훨씬 높은 제거율을 나타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철은 보자력이 세고 전도율도 크다. 그리하여 직류 외엔 리액턴스(무효저항)가 크다. 그리고 철(Fe)로 제작된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은 교류와 고조파에 대해 높은 리액턴스를 갖는 (무효저항) 특징을 갖고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의 교류회로용 결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파 저감 변압기 교류회로(300)는 대략 링코아(110)로 구성된다. 즉, 링코아(110)의 1차측에는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되고, 2차측에는 2차측 제 1 권선(120)과 2차측 제 2 철권선(260)이 구비된다. 2차측 제 1 권선(120)의 양단은 고조파 교류 전기전자 부하(390)에 연결된다. 그리고, 2차측 제 2 철권선(260)은 고조파 교류 전기전자 부하(390)와 연결되지 않고 개방시킨다. 이로서, 2차측의 고조파 전류를 흡수하여 제거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고조파 저감 변압기 정류 회로(200) 출력의 2차측 제 1 철권선(220)을 도 1과 같은 종래의 전도도가 높은 구리선(120)으로 교체함으로써 제 1, 2 출력선(191, 192)측에 전압강하를 보완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류에 쓸 수 있도록 도 2의 제 1 실시예에 도시되었던 제 1, 2 다이오드(170, 180)를 제거하고 2차측 제 2 철권선(260)은 개방시키고 고조파 제거하는 권선으로 사용한다. 도 3에서 단상 복권 절연 변압기 형태인 고조파 저감 변압기 교류회로(300)에 차폐안정권선용으로 제 2 철권선(260)을 보자력 강한 철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고조파 전류가 안전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순수한 철은 백색의 광택을 가진 금속이다. 전성(展性)·연성(延性)이 풍부하고, 굳기는 4.5 이고, α, γ, δ의 동소체가 존재한다. α철은 상온에서 안정하며, 강자성(强磁性)이지만 769℃ 이상에서는 상자성이 되는데 이를 일명 β철이라 부른다. 또한 906℃에서 전이점이 있고 이 온도부터 1,401℃까지를 γ철, 1,401℃의 전이점 이상을 δ철이라 한다. 결정격자는 α 및 δ철은 체심입방격자(體心立方格子), γ철은 면심입방격자(面心立方格子)이다.
이러한 성질 중에 강자성이 존재한다. 또한 히스테리손실을 발생하는 보자력, 리액턴스 등이 철의 성질이다. 즉 자기장을 흡수하고 일정시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은 전선 주변에 놓으면 교류(주파수)가 지나가는 것을 막는다.
고조파의 성질을 보면 기본파의 정수배이고, 자기장은 벡터로서 방향이 있 다.
전류를 주파수로 보는 파동설외에 다른 한편으로 입자설로 설명할 수도 있다. 입자설인 경우, 직류는 전자가 등속운동하는 것이고, 교류는 전자가 기본파의 주기로 하여 양이온을 기준으로 등속 타원 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조파는 전자가 스핀 등속 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으로 고조파의 자기장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스핀운동과 타원운동을 120분에 1초인 반주기 동안에 함께 보면 고조파의 자기장 방향은 전류의 진행방향과 거의 같다.
앞서 설명한 철의 성질을 이용해 피복(예를 들어, 절연재, 합성수지재 등)을 두껍게(약 1 mm ~ 2 mm 정도) 코팅한 철성분의 2차측 제 2 철권선(260)을 변압기 권선과 나란히 감거나 비스듬히 감아 1차권선(130)과 2차측 제 1 권선(120) 사이에 배치하면 기본파 전류는 변압기 링코아(110)를 통해 1차측 권선(130)과 2차측 제 1 권선(120)에 전달되지만 고조파의 전류는 자기장의 방향이 권선과 거의 평형하여 나란히 또는 비스듬히 감은 2차측 제 2 철권선(260)에 전달되고 철의 보자력에 의해 상쇄되어 사라진다.
만약. 피복이 1 mm 미만이 되면, 자기력선이 상호 통전이 되어 버리고, 2 mm 이상이 되면 자기적으로 안정되는 장점이 있지만 비경제성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저감 변압기는 무부하 손실을 줄이고, 고조파에 강하고, 낙뢰와 충격전압으로부터 강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파정류회로의 중간탭이 있는 변압기의 다이오드 연결 권선을 보자력(리액턴스)이 강한 금속인 피복절연 철(Fe)권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변압기 보다 더 용이하게 입력측으로 고조파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링코아(110) 및 상기 링코아(110)의 1차측에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
    일단이 상기 2차측 제 1 철권선(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1 출력선(191)에 연결되는 제 1 다이오드(170); 및
    일단이 상기 2차측 제 2 철권선(26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1 출력선(191)에 연결되는 제 2 다이오드(180);로 구성되고,
    상기 2차측 제 1, 2 철권선(220, 260)의 공통선은 상기 직류 전기전자 부하(190)의 제 2 출력선(192)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철권선(220, 260)은 1 mm ~ 2 mm의 피복을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130)에는 플러그(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4. 링코아(110) 및 상기 링코아(110)의 1차측에 1차측 권선(130)이 구비된 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1 권선(120);
    상기 링코아(110)의 2차측에 구비되는 2차측 제 2 철권선(260);로 구성되고,
    상기 2차측 제 1 권선(120)의 양측은 교류 전기전자 부하(39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철권선(260)은 1 mm ~ 2 mm의 피복을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130)에는 플러그(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제 1 권선(120)은 구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제 2 철권선(26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KR1020060011404A 2005-04-01 2006-02-07 고조파 저감 변압기 KR20070080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04A KR20070080274A (ko) 2006-02-07 2006-02-07 고조파 저감 변압기
PCT/KR2006/001225 WO2006104373A2 (en) 2005-04-01 2006-04-03 Nuclear fusion devices and method of promoting nuclear fusion, and harmonic eliminating transformers using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04A KR20070080274A (ko) 2006-02-07 2006-02-07 고조파 저감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74A true KR20070080274A (ko) 2007-08-10

Family

ID=3860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404A KR20070080274A (ko) 2005-04-01 2006-02-07 고조파 저감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60B1 (ko) * 2012-09-06 2014-05-16 김은희 고조파 제거용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1429464B1 (ko) * 2014-06-09 2014-08-13 주식회사 미주파워텍 노이즈 차폐 기능을 가지는 전력용 변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60B1 (ko) * 2012-09-06 2014-05-16 김은희 고조파 제거용 하이브리드 변압기
KR101429464B1 (ko) * 2014-06-09 2014-08-13 주식회사 미주파워텍 노이즈 차폐 기능을 가지는 전력용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 II IEEE recommended practices and requirements for harmonic control in electrical power systems
US8692644B2 (en) Harmonic mitigation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Attia et al. Harmonic distortion effects and mitigation in distribution systems
Kamenka Six tough topics about harmonic distortion and Power Quality indices in electric power systems
Li et al. An inductively filtered multiwinding rectifier transformer and its application in industrial DC power supply system
Dogan et al. Investigation of transformer-based solutions for the reduction of inrush and phase-hop currents
Halpin et al. Power quality
US81995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direct voltage or a direct current
Kumar et al. Power quality issues by nonlinear loads and use of k-rated transformer
Farazmand et al. Analysis,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phase-hop condition in transformers: The largest inrush currents
Sasitharan et al. Rating and design issues of DVR injection transformer
AU2017393086B2 (en) Harmonics filters using semi non-magnetic bobbins
Galli et al. Power Quality and Utility Interface Issues
KR100990329B1 (ko) 고조파 제거 가능한 3상 정전압장치
KR20070080274A (ko) 고조파 저감 변압기
Tseng et al. Quasi‐bridge‐type fault current limiter for mitigating fault transient phenomena
CN109742742A (zh) 一种基于非线性电阻元件的励磁涌流抑制系统及方法
Gottlieb Practical Transformer Handbook: for Electronics, Radio and Communications Engineers
Okba et al. Harmonics in HVDC Links, part II—Effects and reduction techniques
KR200352351Y1 (ko) 3상 변압기
KR200428265Y1 (ko) 철판형 차폐보호 권선을 갖는 고조파 저감 변압기
Kumar Power Quality Issues and Harmonics Performance Analysis for Non-Linear Load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AU2002334320B2 (en) Voltage converter
KR101034989B1 (ko) 전원품질개선장치
KR100882856B1 (ko) 노이즈필터가 구비된 전원안정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