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492A -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492A
KR20070079492A KR1020060010218A KR20060010218A KR20070079492A KR 20070079492 A KR20070079492 A KR 20070079492A KR 1020060010218 A KR1020060010218 A KR 1020060010218A KR 20060010218 A KR20060010218 A KR 20060010218A KR 20070079492 A KR20070079492 A KR 2007007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controller
sub memor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8509B1 (en
Inventor
장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509B1/en
Publication of KR2007007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7Updating a frame memory using a transfer of data from a source area to a destination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display ID information and an updating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store an EDID(Extended Display ID Data) to more than one sub memory through one process without accessing additional equipment or each sub memory by enabling a controller of a sync device to access each sub memory and store the EDID to each sub memory. Each sub memory(141-143), which is an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vides the stored EDID by directly connecting to a source device(200), which is a PC. The controller(110) receives the EDID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providing the EDID and stores the received EDID to the sub memories while selectively connecting to the sub memories. The sub memories are included as many as the number of supported standard protocols and the EDID stored in each sub memory is different with each other. The standard protocol is a protocol supporting a DDC(Display Data Channel) protocol including D-sub, DVI(Digital Video Interface), and HMD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escription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도 1은 소스 기기와 영상 표시용 싱크 기기 사이의 연결도.1 is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a source device and a sink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도 2는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method.

도 3은 복수의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싱크 기기의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a sink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s.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7 is a flowchart showing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8 is a flowchart showing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9 is a flowchart showing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300: 싱크 기기 310: 제어부300: sink device 310: control unit

320: 주 메모리부 330: 통신부320: main memory unit 330: communication unit

340: 스위치부 350: 서브 메모리부340: switch unit 350: sub memory unit

351: 제 1서브 메모리부 352: 제 2서브 메모리부351: first sub memory unit 352: second sub memory unit

353: 제 3서브 메모리부 400: 소스기기353: third sub memory unit 400: source device

500: 개발기기500: development equipment

본 발명은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들을 영상 표기 기기의 제어부가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he sub-memories for stor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최근,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영상 표시 기기를 컴퓨터 혹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호스트(host) 기기와 연결할 경우,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호스트 기기는 DDC(display data channel)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식별 정보, 즉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전송받아 최적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cently, when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or a digital television is connected with a computer or various host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host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display data channel (DDC) communic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at is, the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so that an optimal screen can be displayed.

상기 DDC란, 영상 표시 기기와 컴퓨터 간의 통신 채널을 정의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표시 기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시 신호 라인 및 그 수순을 규정하는 프로토콜이다. 상기 DDC 기능을 지원하는 영상 표시 기기를 DDC를 지원하는 호스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컴퓨터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보다 구체적으로 는 상기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DD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상 표시 기기로부터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에 필요한 EDID를 전송받고 이 EDID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대표적으로는 모니터)에 맞는 최적의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EDID에는 표시부 사양, 제조자, 최대 해상도, 제품 ID, 일련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The DDC defin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mputer. In particular, the DDC is a protocol for defining signal lines and the procedures thereof when exchanging data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mputer. When the video display device supporting the DDC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most representative computer among the hosts supporting the DDC, the computer (more specifically, the computer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omputer) is plugg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DDC communication. The EDID required for Plug & Play is received, and the EDID is used to realize an optimal screen for a video display device (typically a monitor). The EDID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display unit specification, manufacturer, maximum resolution, product ID, serial number, and the like.

도 1은 상기 호스트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소스 기기(10)와 영상 표시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싱크 기기(20)의 DDC 통신 연결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DDC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통신 표준으로 D-Sub(아날로그 RGB),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FIG. 1 illustrates a DDC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between a source device 10 used as a concept encompassing the host device and a sink device 20 used as a concept encompassing an image display device. As standard, D-Sub (analog RGB), DVI (Digital Video Interactive),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etc. are currently used.

상기 D-Sub는 대부분의 모니터에 적용되는 통신 표준으로 아날로그 RGB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고, 상기 DVI는 그래픽 호스트로 동작하는 소스 기기와 디지털 표시 장치인 싱크 기기 사이의 고속 직렬 디지털 영상/제어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이며, HDMI는 상기 DVI에 기반을 둔 고속 디지털 영상/음향/제어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표준이다.The D-Sub uses analog RGB signals as a communication standard applied to most monitors, and the DVI enables high-speed serial digital video / control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source device operating as a graphics host and a sink device, which is a digital display device. HDMI is a standard that enables high-speed digital video / audio / control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the DVI.

현재 상기 EDID는 싱크 기기(20)에 내장된 독립된 서브 메모리(주로, 독립된 칩 형태의 직렬 통신 규약을 따르는 EEPROM을 사용함)(25)에 저장되며, 해당 메모리의 내용은 상기 다양한 통신 표준에 따라 상이하므로 각 통신 표준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독립된 서브 메모리를 준비하고 해당 서브 메모리에 각각 표준에 맞는 EDID를 기록해야 한다.Currently, the EDID is stored in an independent sub memory (mainly using an EEPROM complying with a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chip) 25 embedded in the sink device 20, and the contents of the memory differ according to the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Therefore, separate independent sub-memory should be prepared to support each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EDID conforming to each standard should be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sub-memory.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싱크 기기(100)의 펌웨어 기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 표시 기기인 싱크 기기(100)는 내부적으로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통합 또는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펌웨어 기록/갱신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30)와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주 메모리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싱크 기기(100)의 표시부 식별 정보인 EDID를 저장하는 별도 구성된 서브 메모리부(140)가 추가된다. 상기 서브 메모리부(140)는 외부 소스 기기(200)와 직접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EDID를 외부 소스 기기(200)가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mware recording method of a conventional general sink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the sink device 100, which is a general video display device, is internally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and the controller 110. As shown in FIG. An integrated or separated communication unit 130 for receiving firmware recording / update data from the outside and a main memory unit 120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and an EDID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splay unit of the sink device 100. Separately configured sub-memory unit 140 for storing is added. The sub memory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so that the external source device 200 can obtain the EDID.

상기 싱크 기기(100)의 제어부(110) 펌웨어 기록/갱신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전용 개발기기(170)에 의해 실시되는데, 상기 전용 개발기기(170)란 일반적으로 펌웨어 기록용 바이너리 데이터(Hex code)를 소정 통신 방식에 따라 제공해 줄 수 있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상기 컴퓨터를 이용하여 해당 싱크 기기(20)의 제어부(110)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작성한 후 이를 컴파일/어셈블링함으로써 기록용 바이너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전용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해당 바이너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기본이다.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ink device 100 is performed by a dedicated development device 17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dedicated development device 170 is generally This refers to a computer that can provide binary data (Hex code) for firmware record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After generating program source code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110 of the corresponding sink device 20 by using the computer, compiling / assembling it to generate binary data for recording, and executing a dedicated download program to execute the control unit 110. The default is to send the binary data.

상기 서브 메모리부(140)에는 EDID가 저장되는데, 이를 처음 저장하거나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기기(200)가 연결되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부(140)에 접속한 후 EDID 기록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변환을 위한 전용 지그(Jig)(150)가 요구되며, 상기 전용 지그(150)에 컴퓨터 와 같은 개발기기(160)를 연결한 후 상기 서브 메모리부(140)에 데이터 기록을 실시하는 제어 명령과 EDID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개발기기(160)가 직접 서브 메모리부(140)와 연결될 수 없으므로 통신 인터페이스 변환용 지그가 요구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시된 경우와 같이 싱크 기기(100)를 개발하거나 생산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상이한 기록과정이 요구되며, 갱신의 경우라도 별도의 기록 과정이 요구되어 모든 생산라인에 2종류의 기록공정이 요구되게 된다.EDID is stored in the sub-memory unit 140. When it is necessary to store or update the first time, EDID is recorded after accessing the sub-memory unit 140 using the same interface to which the source device 200 is connected. Should be implemented. Therefore, a dedicated jig 150 for interface conversion is required, and the data is written to the sub memory unit 140 after connecting the development device 160 such as a computer to the dedicated jig 150. Provide control commands and EDID related data. That is, since the development device 160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b memory unit 140, a jig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is requir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develop or produce the sink device 100 as shown, two different recording processes are required, and even in the case of updating, separate recording processes are required so that two types of recording processes are applied to all production lines. Will be required.

도 3은 최근의 싱크 기기(100) 구성을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가 아닌 디지털 신호를 직접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표준을 동시에 지원하는 싱크 기기(100)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표준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 및 개별 표준을 위한 EDID가 저장된 서브 메모리부들(141~143)이 각각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에 EDID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복수 종류의 전용 지그를 사용하거나 모든 표준을 지원하는 멀티 전용 지그(150)를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생산 중에 EDID 갱신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모든 생산라인에 전용 지그(150)가 구비되어야 하며, 3번에 걸친 상이한 기록 과정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부(110)의 펌웨어 갱신도 요구되는 경우라면 2종류의 상이한 기록 시스템과 4번의 상이한 기록 과정을 실시해야 하나의 싱크 기기(100)에 대한 정보 갱신이 완료될 수 있어 수율이 극히 낮아지게 된다. FIG. 3 illustrates a recent configuration of the sink device 100. As shown in FIG. 3, a case in which a video display device is used by using a digital signal instead of an analog signal is being increased. Is increasing significantly. In this case, as illustrated, an interface (not shown) for supporting each standard and sub memory units 141 to 143 storing EDIDs for individual standards are configured. Therefore, in order to record the EDID therein, it is necessary to use a plurality of types of dedicated jigs or multi dedicated jigs 150 supporting all standards. Therefore, if an EDID update is required during production, all the production lines must be equipped with a dedicated jig 150 to support this, and three different recording processes must be performed. In addition, if the firmware update of the control unit 110 is also required, two different recording systems and four different recording processes must be performed to update information for one sink device 100 so that the yield is extremely low. do.

상기와 같은 이유로 번거로운 방법과 추가적인 장치가 요구되는 EDID 기록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EDID를 저장하는 개별 서브 메모리부에 억세스하여 EDID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나 개별적인 서브 메모리부 억세스 없이도 단일 과정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브 메모리부에 EDID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easily perform an EDID recording requiring a cumbersome method and an additional device for the above reas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rol unit of a sink device to access and store an EDID in a separate sub memory unit storing an EDI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capable of storing EDIDs in one or more sub-memory units through a single process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individual sub-memory unit accesses.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싱크 기기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싱크 기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갱신시 서브 메모리의 EDID 정보를 함께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EDID 정보를 기록/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과정을 통해 싱크 기기 동작에 필요한 모든 기록/갱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ink device control unit can access the sub memory, and receives EDID information of the sub memory at the time of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sink device control unit, and records the ED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It is to provide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ll the recording / updating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ink device through a single process.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싱크 기기에 복수의 서브 메모리가 존재하여 각각 서브 메모리에 상이한 EDID 정보가 기록되어야 하는 경우라도 단일한 경로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일괄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산 시간 및 사용 장비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roller of the sink device to collectively record using a single path even when a plurality of sub memories exist in the sink device so that different EDID information must be recorded in the sub memory. And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capable of greatly reducing used equipment.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싱크 기기에 존재하는 서브 메모리들에 저장된 EDID의 무결성 및 버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가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싱크 기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iodically check the integrity and version of the EDID stored in the sub-memory existing in the sink device to automatically recover when it has incorrect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sink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하드웨어 변경만으로 별도의 개발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충돌 없이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들에 EDID 정보를 기록/갱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싱크 기기의 생산 관리 및 수리 비용을 줄이도록 한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to record / remove the EDID information in the sub-memories without collision without using a separate development equipment with minimal hardware change, thereby managing and repairing the production of the sink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update device for reducing the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은 싱크 기기의 제어부에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를 소정의 표준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 및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in a predetermined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ing, by the controller,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ri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ub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n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ion interf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은 싱크 기기에 포함된 제어부에 펌웨어를 기록하기 위해 펌웨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를 기록 또는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 또는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connecting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firmware data to record firmware to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sink device; Recording or updating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by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firmware recording or updating of the controll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includes receiv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recording the receiv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ub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은 싱크 기기에 포함된 제어부의 펌웨어를 갱신하기 위해 펌웨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제어부를 소정의 표준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펌웨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펌웨어 갱신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한 종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firmware data to update the firmware of a controller included in a sink device and the controller through a predetermined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Receiving, by the controller, firmware data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updating the firmware; And receiving, by the controller, one or more types of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correspondingly recording the at least on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sub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는 소스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저장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서브 메모리부와; 상기 서브 메모리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memory unit which provid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And a controller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ub memory unit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rit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b memor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기기(300)의 구조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펌웨어 갱신을 지시하는 외부 개발 기기(5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330)와, 상기 통신부(330)와 연결되는 제어부(310)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주메모리부(320)와, 표시부 식별 정보(EDID)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부(350)와, 상기 제어부(310)와 외부 소스 기기(400)의 경로를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선택적으로 절환 연결하는 스위치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부(340)의 경로 선택은 상기 제어부(310)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ink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communication unit 330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500 for instructing firmware update and the communication unit are shown. A control unit 310 connected with the control unit 330, a main memory unit 320 connected with the control unit 310 to store necessary information, a sub memory unit 350 stor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DID, A switch unit 340 for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the control unit 310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400 with the sub memory unit 350. The path selection of the switch unit 340 is determined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ler 310.

상기 개발 기기(500)는 간단히 펌웨어 데이터를 준비하고, 준비된 펌웨어 데 이터를 상기 제어부(310)에 기록/갱신하는 컴퓨터로서, 일반적인 직렬 통신 방식이나 별도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펌웨어를 기록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330)는 제어부(310)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외부에 구성된 직렬 통신을 위한 레벨 변환기(예를 들어, RS-232, USB 등)나 통신 인터페이스(JTAG, 전용 연결부 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주 메모리부(320)는 상기 제어부(310)의 구동에 필요한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메모리부(350)는 D-Sub, DVI 및 DVI를 기반으로 하는 HDMI 등의 통신 표준 방식에서 DDC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EDID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것이다. 상기 각 통신 표준에 의하면 외부 소스 기기들은 전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에 연결될 경우, 상기 싱크 기기의 제어부(31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에 억세스하여 저장된 EDID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The development device 500 is a computer that simply prepares firmware data and writes / updates the prepared firmware data to the controller 310. The development device 500 uses a general serial communication method or a separate communication method to the controller 310. Record the firmwar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330 may include a level converter (eg, RS-232, USB, etc.) or a communication interface (JTAG, dedicated connection unit, etc.) for serial communic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310 or configured externally. Can be. The main memory unit 320 may be a volatile or nonvolatile memory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ler 310. The sub memory unit 350 is for storing EDID data for supporting the DDC protocol in a communication standard scheme such as HDMI based on D-Sub, DVI, and DVI. According to each of the communication standards, when external source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sink device using a dedicated cable, the EDID data is read out by accessing the sub memory unit 350 directly without using the control unit 310 of the sink device. .

즉,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는 상기 제어부(310)에 의해 읽혀질 수 있으나 거의 독립적인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래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EDID를 기록하거나 갱신할 경우 연결된 통신 표준에 따른 케이블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에 연결한 후 EDID를 기록해 주어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310)를 중계자로 이용하여 개발기기(500)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버전의 EDID를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에 직접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메모리(350)와 제어부(310) 및 서브 메모리(250)와 소스기기(400) 사이의 연결 경로에 스위치부(340)가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부(34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제어 부(310)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소스기기(400) 사이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그와 반대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소스기기(400) 사이의 경로를 연결하면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제어부(310) 사이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소스기기(400)와의 신호 충돌 없이 언제든지 서브 메모리(350)를 자유롭게 억세스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ub memory unit 350 may be read by the controller 310 but is used in an almost independent stat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recording or updating the EDID, the EDID should be recorded after connecting to the sub memory unit 350 from the outside using a cable according to a connected communication standard.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310 is used as a relay so that a new version of EDID provided by the development device 500 can be directly recorded in the sub memory unit 350. To this end, as illustrated, the switch unit 340 is positioned in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sub memory 350, the controller 310, and the sub memory 250 and the source device 400. The switch unit 340 blocks the path between the sub memory unit 350 and the source device 400 while connecting the sub memory unit 350 and the control uni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Alternatively, the path between the sub memory unit 350 and the controller 310 may be blocked while connecting the path between the sub memory unit 350 and the source device 400. Accordingly, the controller 310 can freely access the sub memory 350 at any time without a signal collision with the source device 400.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는 EDID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거의 독립된 정보 저장부이므로 대부분 단일 칩으로 이루어진 EEPROM을 사용한다. DVI표준에서는 필립스에서 제안한 직렬 통신 방식인 IIC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플래쉬 EEPROM을 적용하며, 영상 전송만 되던 DVI를 승계하여 음향 전송기능까지 확장함으로써 AV 통신 표준을 확립한 HDMI 역시 IIC 통신 방식으로 서브 메모리부(350)를 억세스한다. 하지만, 다른 방식의 직렬 EEPROM의 적용도 가능하므로 IIC 통신 방식과 함께 사용되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나 마이크로 와이어 통신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10) 역시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에 EDID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IIC 통신 방식으로 EDID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Since the sub memory unit 350 is an almost independ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ording and maintaining EDID information, the sub memory unit 350 mostly uses a single chip EEPROM. The DVI standard applies the flash EEPROM using the IIC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the serial communication method proposed by Philips, and HDMI, which has established the AV communication standard by inheriting DVI, which extends only video, extends to the sound transmission function, is also a sub-memory part. Access 350. However, other types of serial EEPROMs are also applicable, so the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or microwire communication method used with the IIC communication method may also be applied. Therefore, the controller 310 must also provide the EDID in the IIC communication method in order to record the EDID in the sub memory unit 350.

상기 제어부(310)를 중계 수단으로 이용하여 외부 개발기기(500)에서 제공하는 EDID를 서브 메모리부(350)에 기록 및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EDID 관리 방법은 이후 도 7내지 도 9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언급하도록 한다. Since the method of recording and managing the EDID provided by the external development device 500 to the sub memory unit 350 using the controller 310 as a relay means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EDID management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7. Referring to Figure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상기 도 4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310)의 펌웨어 기록시, 혹은 제조/수리 시에만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를 제어하 여 EDID를 기록하는 식으로, 제어부(310)가 서브 메모리부(350)에 억세스할 시점을 한정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구조이다. 즉, 제어부(310)와 소스 기기(400)가 동일한 경로를 이용하여 서브 메모리부(35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제어부(310)가 서브 메모리부(350)를 제어하여 EDID를 기록할때 상기 소스기기(400)는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이 보장되어야 한다. FIG. 5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FIG. 4, in which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sub-memory unit 350 to record the EDID only at the time of firmware recording of the controller 310 or at the time of manufacture / repair. In this way,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when the control unit 310 limits the time point for accessing the sub memory unit 350. That is, the controller 310 and the source device 400 are configured to directly control the sub memory unit 350 using the same path, and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sub memory unit 350 to record the EDID. When the source device 400 is to be guaranteed that the state is not connected to the sub memory unit 350.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310)와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의 연결이란 상기 제어부(310)의 입출력 단자(2~3개)와 서브 메모리부(350)를 이루는 메모리칩의 신호 단자들 사이의 결선을 의미하고, 상기 제어부(310)의 입출력 단자의 동작 방식(입력/출력/플로팅)은 제어부(310)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310)가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해당 입출력 단자의 동작 방식을 입력/출력 상태로 설정한 후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의 신호 단자들과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EDID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이 완료된 후라면 제어부(310)는 상기 입출력 단자들의 상태를 플로팅(혹은 입력)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입출력 단자들의 상태를 플로팅(혹은 입력)으로 설정하면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가 소스기기(400)와 연결되면서 신호를 주고 받을 때 해당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 단자들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Substantial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310 and the sub memory unit 350 is defined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 to 3) of the control unit 310 and the signal terminals of the memory chip forming the sub memory unit 350. The controller 310 may arbitrarily designate an operation method (input / output / floating) of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ler 310, and 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sub memory unit 350.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rresponding input / output terminal is set to an input / output state, and then the EDID is recorded while exchanging signals with the signal terminals of the sub-memory unit 350. Set the status of input / output terminals to floating (or input). When the state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s is set to floating (or input),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controller are not damaged by the corresponding signal when the sub memory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source device 4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이 경우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변경은 거의 없더라도, 상기 서브 메모리부(350)에 대한 EDID 기록을 제어부(310)가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부(310)의 동작방식을 적절히 변경하면 제어부(310)를 중계수단으로 이용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 다.In this case, although there is almost no hardware change, the controller 310 relays the control unit 310 whe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roller 310 is properly changed so that the controller 310 can perform the EDID recording of the sub memory unit 350. The operation can be used.

도 6은 전형적인 최근의 싱크 기기(300) 구성을 보인 것으로 복수의 DDC 프로토콜 지원 통신 표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표준용 인터페이스들을 설치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각각의 통신 표준을 위한 EDID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351~353)를 구성한다. 상기 각 서브 메모리부(351~353)와 제어부(31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위치부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 6 shows a typical recent sink device 300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faces for connection standards are installed to use a plurality of DDC protocol support communication standards, and an EDID storage sub for each communication standard is installed in each interface. Memory sections 351 to 353 are configured. A switch unit as shown in FIG. 4 may be further configured between each of the sub memory units 351 to 353 and the controller 310, and as shown in FIG. 5, a path may be commonly used.

이때, 상기 제어부(310)는 개발기기(500)로부터 통신 표준을 구별할 수 있는 신호가 포함된 EDID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서브 메모리부(351~353)에 기록해야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10 should receive EDID information including a signal for distinguishing a communication standard from the development device 500 and record the EDID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sub memory units 351 to 353.

이제, 상기 설명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을 살펴보았으므로, 상기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EDID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자. 이러한 관리 방법은 대부분 상기 제어부(310)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결선이 종래와 유사하더라도 이후 설명하는 기능이 부가된 제어부(310)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이한 구조로 파악되어야 한다. Now, since the basic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 method of managing EDID substantially us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Most of such management methods ar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10. As shown in FIGS. 5 and 6, even though the hardware connection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since the control unit 310 to which the functions described later are added is substantially different, It must be identified as a structure.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DID 관리 방법을 보인 것으로, 각각 제어부를 중계수단으로 이용하여 외부 개발기기로부터 제공되는 EDID를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EDID 기록을 위해 별도의 지그나 개별 기록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방법들은 독특한 특징들이 있는 것으로 이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중복 적용할 수 있다는데 주의한다.7 to 9 illustrate an EDI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ach control unit is used as a relay unit to write an EDID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into a sub memory so that a separate jig for EDID recording can be obtained. There is a common point that no separate recording process is required. Note, however, that each method has unique features, and that one or more of these methods can be applied in duplicate.

먼저, 도 7은 싱크 기기의 제어부 펌웨어를 기록하면서 동시에 서브 메모리에 EDID를 기록하는 방법을 보인 것으로, 싱크 기기의 동작을 위한 펌웨어 및 EDID 정보 기록을 단일 통신 채널을 통해 일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First, FIG. 7 illustrates a method of recording the controller firmware of the sink device and simultaneously recording the EDID in the sub memory. The firmware and EDID information recording for the operation of the sink device is collectively performed through a single communication channel.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싱크 기기와 펌웨어 데이터 및 EDID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개발 기기를 상호 연결한다. 이때, 상기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면 해당 통신부와 외부 개발 기기(컴퓨터)의 통신부가 직접 결선될 수 있고(USB나 RS-232를 이용한 연결),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통신부(RS-232 레벨 변환용 소자, USB 지원 소자 등)를 더 구성하여 외부 개발 기기(컴퓨터)의 통신부와 연결할 수 있다. 그 외에, 펌웨어 기록을 위해서 별도의 신호들과 인터페이스(ISP(In circuit Serial Programming), JTAG, 전용 결선 등)를 필요로 한다면 싱크 기기에 구성된 인터페이스와 개발 기기에 구비된 전용 프로그래머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방식들은 이미 싱크 기기의 제어부 펌웨어 기록 및 갱신을 위해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이러한 제어부 펌웨어 기록 및 갱신을 위해 구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EDID를 제공하고, 제어부가 이를 중계하여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다.As shown, first, a sink device and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providing firmware data and EDID information are interconnected. 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supports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external development device (computer) can be directly connected (connection using USB or RS-232), the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supports the communication function If not,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RS-232 level conversion element, USB support element, etc.) can be further configured to connect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computer). In addition, if separate signals and interfaces (ISP (In circuit Serial Programming), JTAG, dedicated wiring, etc.) are required for the firmware recording, the interface configured in the sink device and the dedicated programmer provided in the development device may be connected. These connection schemes are already determined for the controller firmware recording and updating of the sink device. Here, the EDID is provided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figured for the controller firmware recording and updating, and the controller relays and writes the data to the sub memory. Do it.

상기와 같은 연결을 통해 제어부의 펌웨어를 갱신한 후, 상기 제어부는 리셋 과정을 통해 다시 갱신된 펌웨어로 구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개발 기기와 통신을 실시하여 EDID를 수신받아 주 메모리 등에 임시 저장한다. 그다음, 상기 수신된 EDID의 소정 위치에 포함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고, 서브 메모 리의 특정 주소에 저장된 EDID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버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EDID를 서브 메모리에 기록한다. After updating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above connection, the controller can be driven again with the updated firmware through a reset process. Thereafter, the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elopment device to receive the EDID and temporarily stores the EDID. Next, check the ver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ceived EDID, and check the version information of the EDID stored in a specific address of the sub-memory, and if the versions do not match, the temporary stored EDID is recorded in the sub memory.

상기 버전 정보는 EDID 관리를 위해 새롭게 약속된 것일 수 있고, 버전 정보의 확인 없이 펌웨어 기록이 완료되면 무조건 EDID 정보를 개발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EDID 정보를 전부 수신받아 임시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EDID 정보를 단위별로 받아 서브 메모리에 저장한 후 다음 단위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EDID 정보를 서브 메모리에 기록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The version information may be newly promised for EDID management,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EDID information from a development device and record it in a sub memory when firmware recording is completed without checking version information, and receive all EDID information. Note that the EDID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sub memory by receiving EDID information in units of real time and storing the data in the sub memory without receiving the temporary unit.

최근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제어부에는 일반 리셋에 의한 재기동인지, 펌웨어 갱신 후의 재기동인지, 문제 발생에 의한 재기동인지, 혹은 전원 차단에 의한 재기동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레지스터의 플래그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펌웨어 갱신 후 한번만 상기 EDID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어, 상기 과정이 제어부 리셋이나 전원 인가시마다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Most of the recently used controllers have system register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restarted by a normal reset, restarted after a firmware update, restarted by a problem, or restarted by a power failure. Since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EDID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only once after updating the firmware, the proces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rocess does not occur every time the controller is reset or the power is applied.

상기 설명한 방식은 일괄적인 기록을 위해서 선호될 수 있는 방식이기는 하지만, EDID 개발 시에 무조건 펌웨어까지 기록하도록 하면 기록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개발 편의를 위해서 상기 펌웨어 기록과 분리시켜 EDID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과정에서 펌웨어 기록과 관련된 부분을 제외시키고, 외부 개발 기기에서 소정의 특정한 명령을 제어부에 제공하면 EDID 기록 모드로 제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부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경 우, 제어부가 정상 구동 중이라도 상기 외부 개발 기기의 명령에 의해 EDID 기록 모드가 실행되며 상기 외부 개발 기기가 제공하는 EDID 정보를 수신하여 버전 검사후 서브 메모리에 이를 기록하거나 무조건 서브 메모리에 이를 기록하는 등의 상기 설명했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preferred for batch recording,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recording time is long when the firmware is unconditionally recorded during EDID development, so that the EDID data is separated from the firmware recording for development convenience. Can be updated. That is, the control unit program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control unit in the EDID recording mode by excluding a portion related to firmware recording in the process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control unit from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perates normally. While the EDID recording mode is executed by the command of the external development device,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receiving the EDI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ternal development device and writing it to the sub memory after version checking or unconditionally writing it to the sub memory is performed. Can be performed.

상기 과정을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싱크 기기에 적용하려면, 상기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에 억세스하기 전에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제어부와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만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서브 메모리 사용 후 제어부와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이 더 필요할 수 있다. To apply the process to the sink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 unit before the controller accesses the sub memory to activate only a path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ub memory and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ub memory after the sub memory is used. It may be necessary to further control the switch to deactivate the path.

그리고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싱크 기기에 적용하려면, 상기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에 억세스할 경우에만 연결된 입출력핀을 입/출력으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억세스가 끝난 후 해당 입출력핀을 입력 또는 플로팅 상태로 설정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싱크 기기가 영상 표시 기기이므로 상기 억세스 전에 화면 상에 외부 연결된 소스 기기들을 제거하라는 경고 문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pply to the sink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only when the control unit accesses the sub memory, the connected input / output pin is used as an input / output, and after the access is completed, the input / output pin is input or floated. You may need to do more to set it up. Since the sink device is an image display device, a warning message may be provided to remove externally connected source devices on the screen before the access.

상기 설명한 방법 외에 펌웨어 기록/갱신과 EDID 기록을 동시에 실시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외부 개발 기기에서 싱크 기기 제어부용 펌웨어 데이터(Hex code)를 생성할 경우, EDID 정보를 일정 메모리 위치에 저장되도록 삽입하여 단일 파일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펌웨어 기록 후 별도의 과정을 거쳐 외부 기기로부터 EDID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펌웨어 기록시 EDID 정보까지 제어부에 기록해 버리는 것이다. 비록 제어부의 메모리 낭비가 있을 수 있으나, EDID 정 보가 비교적 작은 크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즉, 이러한 펌웨어 갱신이 끝나면 해당 제어부를 리셋하여 재기동하도록 하고, 이후 제어부가 재기동할 때마다 버전 일치를 검사한 후 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서브 메모리의 EDID 정보를 제어부에 저장된 정보로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As the simplest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firmware recording / update and EDID recording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when generating firmware data (Hex code) for the sink device controller from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the EDID information is inserted to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location. There may be a way to create a single file. That is, instead of receiving the EDI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separate process after the firmware recording, the EDI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control unit during the firmware recording. Although there may be a waste of memory in the controller, considering that EDID information is relatively small in size, it is sufficiently feasible. That is, after the firmware updat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may be reset and restarted. After that,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version match every time the controller is restarted, and if the versions do not match, update the EDID information of the sub memory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ler.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최근의 펌웨어 갱신 방식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 입장에서 싱크 기기들의 펌웨어를 갱신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전체 프로그램을 실제 프로그래밍 방법에 따라 다시 기록하는 방법 대신에 부트 프로그램이라 불리는 기본 프로그램을 제어부에 기록한 후, 나머지 펌웨어 부분은 일반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펌웨어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펌웨어 갱신은 이미 8비트 제어기 레벨에서도 가능한 일반적인 기능으로, 상기 부트 프로그램은 통신 관련 부분과 펌웨어 기록 부분등의 일반적인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고, 해당 부트 프로그램의 수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부트 프로그램 작성시 펌웨어 갱신을 완료한 다음, EDID 정보를 후속 수신한 후 이를 적절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하는 부분을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가 펌웨어 갱신을 위한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 중에 EDID 갱신도 일괄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the latest firmware update scheme. Recently, instead of rewriting the entire program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actual programming method to update the firmware of the sink devic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 basic program called a boot program is recorded in the controller, and the rest of the firmware is stored in a general communication method. A method of receiving and updating firmware is used. The firmware update using such a boot program is a general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even at the 8-bit controller level. The boot program includes a general program such as a communication related part and a firmware recording part, and the boot program can be modified. Therefore, after the firmware update is completed when the boot program is created, an EDID information may be added after the EDID information is subsequently received and recorded in the appropriate sub memory, so that the EDID update is collectively performed while the controller is operating in the mode for firmware update. It can be done as an enemy.

도 9는 보다 관리 측면을 강화한 EDID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펌웨어 기록을 실시한 후, 앞서 설명한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EDID 정보를 저장해 둔 다음, 제어부가 정상 구동될 때 주기적으로 EDID 정보의 유효성을 파악하여 서브 메모리의 EDID 갱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DID management method with enhanced management. After performing firmware recordin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DID information is stored through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EDID information is periodically executed when the controller is normally driven. Is to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EDID of the sub memory.

즉, EDID 정보는 펌웨어에 부가되어 제어부에 기록될 수 있고, 펌웨어 기록 후 제어부 재기동 시 외부 개발 기기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그 외에 펌웨어 기록과는 무관하게 외부 개발 기기의 명령에 의해 EDID 정보를 수신하여 주 메모리(이때의 주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함) 등에 EDID를 저장해 둘 수도 있다.That is, the EDID information may be added to the firmware and recorded in the controller, or may be obtained from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when the controller is restarted after the firmware is recorded.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firmware recording, the EDI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a command of an external development device, and the EDID may be stored in the main memory (the main memory includes nonvolatile memory).

이후, 제어부가 동작할 경우,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EDID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파악한 후 유효하지 않으면 서브 메모리의 EDID를 상기 저장된 EDID로 갱신하도록 한다.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controller periodically checks the ED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if not, updates the EDID of the sub memory to the stored EDID.

상기 EDID의 유효성 확인은 앞서 설명한 버전 정보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체크섬(check sum)과 같이 전체 데이터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체크섬은 매번 구할 수도 있고, (EDID 정보 생성시) EDID의 정보 내의 일정 영역에 버전 정보처럼 추가로 기록될 수도 있다. 이는 구동중 EDID의 손상이나 다양한 개발 환경에 의한 버전 충돌, 혹은 종래 펌웨어 기록이나 종래 EDID 기록 방식의 혼용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Validation of the EDID may use only the above-described version information, but may also us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entire data, such as a check sum. The checksum may be obtained each time, or may be additionally recorded as vers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information of the EDID (when generating EDID information). This can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EDID corruption during operation, version conflicts due to various development environments, or mixing of conventional firmware recording or conventional EDID recording methods.

전술한 각종 방법들은 공통적으로 단일한 통신 채널을 펌웨어 갱신 및 EDID 갱신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를 EDID 갱신의 주체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나 추가적인 기록 과정 없이도 EDID를 복수의 통신 표준에 따라 구성된 서브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할 경우 개발, 생산, 관리가 크게 용이해 질 수 있으며, 점차 다양한 통신 표준을 모두 수용하는 싱크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필요성도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aforementioned various methods commonly use a single communication channel for firmware update and EDID update in common, and use the control unit as a subject of the EDID update, thereby enabling a plurality of EDIDs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additional recording process. It can be stored in sub-memor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can greatly facilitate development, production, and management, and the necessity also increases as sink devices adopting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gradually emerge. It is expected to be.

상기 설명한 방법들 중 단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방법들이 혼용되면서 적용될 경우 더욱 뛰어난 EDID 관리가 가능해진다.Although a single method amo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may be applied, when a plurality of methods are mixed and used, superior EDID management is possibl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는 싱크 기기의 제어부가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 서브 메모리부에 억세스하여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나 개별적인 서브 메모리부 억세스 없이도 단일 통신 채널 및 과정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브 메모리부에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로인해 비용이 감소하고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the upd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to access the individual sub-memory unit stor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tore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one or more sub memory units through a single communication channel and process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individual sub memory unit access,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yiel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는 싱크 기기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싱크 기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갱신시 서브 메모리의 EDID 정보를 함께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EDID 정보를 기록/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과정을 통해 싱크 기기 동작에 필요한 모든 펌웨어 및 데이터의 기록/갱신을 실시할 수 있어 양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updat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allow the sink device controller to access the sub memory, and receive EDID information of the sub memory during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sink device controller. By allowing the ED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to be recorded / updated, all firmware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ink device can be recorded / updated through a single process, thereby simplifying the mass production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는 싱크 기기에 존재하는 서브 메모리들에 저장된 EDID의 무결성 및 버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가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 용이성, 양산 신뢰성 및 사용자 수준에서의 싱크 기기의 신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updat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checks the integrity and version of the EDID stored in the sub-memory existing in the sink device so that it can automatically recover when it has incorrect information.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ease of development, mass production reliabil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ink device at the user lev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갱신 장치는 싱크 기기 제어부가 서브 메모리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싱크 기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갱신시 서브 메모리의 EDID 정보를 함께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EDID 정보를 기록/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펌웨어 갱신 기능을 제공할 경우, 제어부의 펌웨어뿐만 아니라 EDID 정보의 갱신도 사용자 레벨에서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싱크 기기의 성능 향상 제한이 완화되고, 사용자 실수로 발생되는 버전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updat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allow the sink device controller to access the sub memory, and receive EDID information of the sub memory during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sink device controller. By allowing the EDID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to be recorded / updated, when the firmware update function is provided by the user, not only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but also the EDID information can be updated at the user level,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of the sink device. The restriction is relaxed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version conflict caused by a user mistake.

Claims (21)

싱크 기기의 제어부에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를 소정의 표준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providing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 unit of the sink device in a predetermined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 및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receiving, by the controller,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rit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ub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ion inte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ing unit writ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b memory.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와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연결한 후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Blocking, by the controller, a path between the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ub memory, connecting the path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ub memory, and writ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b memory; 상기 기록이 완료된 후 제어부가 상기 제어부와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서브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after the record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blocking the path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sub memory and connecting the path between the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ub memo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ing unit writ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b memory.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브 메모리가 요구하는 하드웨어적인 통신 방식에 따라 직접 상기 서브 메모리를 조작하면서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the control unit record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le directly operating the sub memory according to a hardware communication method required by the sub memor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모리가 요구하는 하드웨어적인 통신 방식은 직렬 EEPROM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와이어, SPI, IIC를 포함하는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rdware communication method required by the sub memory is one of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a micro wire, an SPI, and an IIC applied to a serial EEPRO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 및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rites it to a sub memory connected to the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상기 외부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이며 상기 서브 메모리는 독립된 칩 상태의 EEP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a computer, the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and the sub memory is an EEPROM in an independent chip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는 D-Sub, DVI, 그리고 HDMI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source device connection interface is at least one of D-Sub, DVI, and HDMI.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 및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rites it to a sub memory connected to the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갱신을 위한 새로운 펌웨어 데이터에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후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를 기록/갱신하는 단계와; Recording / updating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after includ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new firmware data for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controller; 상기 펌웨어의 기록/갱신이 완료된 제어부가 재기동한 후 펌웨어 내에 포함된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record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mware into the sub memory after the controller which has completed the recording / update of the firmware is resta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 및 외부 소스 기기 접속용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writes it to a sub memory connected to the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external source device.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갱신을 위한 새로운 펌웨어 데이터에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포함시킨 후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를 기록/갱신하는 단계와; Recording / updating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after includ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new firmware data for firmware recording / update of the controller; 상기 펌웨어의 기록/갱신이 완료된 제어부가 재기동한 후 소정 시간을 단위로 상기 서브 메모리의 정보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펌웨어 내에 포함된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Checking the validity of the information of the sub-membrane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after restarting the controller after the recording / update of the firmware is completed, and writ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mware to the sub-memory if the information is not vali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모리의 정보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hecking of information validity of the sub memory comprises: 상기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부 식별 정보의 버전 정보 그리고/또는 서브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부 식별 정보의 체크섬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메모리의 표시부 식별 정보가 무결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identifying whether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 memory is intact by using the checksum of the vers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and / or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mem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싱크 기기에 포함된 제어부에 펌웨어를 기록하기 위해 펌웨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Connecting the controller with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firmware data to record firmware in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sink device;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를 기록 또는 갱신하는 단계와; Recording or updating the firmware of the controller by the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 또는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when the firmware recording or updating of the controll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receiv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recording the receiv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ub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display pa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recording the receiv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sub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연결된 복수의 서브 메모리부에 상이한 표준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classifying and record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into a plurality of connected sub-memory unit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표준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는 D-Sub, DVI, 그리고 HDMI를 포함하는 표준들에 따른 표시부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ndards i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standards including D-Sub, DVI, and HDMI.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 또는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when the firmware recording or updating of the controller is completed, the controller receiv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records the receiv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ub memory unit for stor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steps are 상기 제어부의 펌웨어 기록 또는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리셋되는 단계와; Resetting the controller when firmware recording or updating of the controller is completed; 상기 리셋후 상기 외부 기기에서 제공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가 자신과 연결된 서브 메모리부를 직접 제어하면서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receiv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ternal device after the reset, and recording the information by directly controlling the sub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싱크 기기에 포함된 제어부의 펌웨어를 갱신하기 위해 펌웨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제어부를 소정의 표준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Connecting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firmware data to update firmware of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sink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펌웨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펌웨어 갱신을 실시하는 단계와; Receiving, by the controller, firmware data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updating the firmware;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한 종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one or more types of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correspondingly recording one or mor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sub-memory uni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를 갱신하기 위해 외부 기기와 상기 제어부를 소정의 표준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to update the firmware comprises: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부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펌웨어 갱신을 실시하기 위해 표준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connecting in a standard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o perform a firmware update by using a boot program provided in the controll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한 종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one or more types of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recor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sub memory uni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펌웨어 저장 완료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종류가 구분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Receiving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ype of which is classified, from the external device after firmware storage is completed by a boot program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부트 프로그램이 상기 수신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대응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저장용 서브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관리 방법.And storing, by the boot program of the controller, the receive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sub-memory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소스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저장된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서브 메모리부와; A sub memory unit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 source device and provid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상기 서브 메모리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표시부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브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And a controller which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ub memory uni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rites the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b memory.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는 설계시 지원하도록 결정된 복수의 통신 표준 숫자만큼 존재하며, 각각의 서브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표시부 식별 정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sub memory unit h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 numbers determined to be supported in design, and display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each sub memory unit is different.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표준은 D-Sub, DVI, HDMI를 포함하는 DD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표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communication standard is a communication standard supporting a DDC protocol including D-Sub, DVI, and HDMI.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서브 메모리부 사이의 경로와 상기 서브 메모리부와 상기 소스 기기 사이의 경로를 절환하면서 연결 혹은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is located between the sub memory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or disconnected while switching a path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sub memory unit and a path between the sub memory unit and the source device by sel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further comprising a switch uni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컴퓨터이고, 상기 표시부 식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이며 상기 서브 메모리는 독립된 칩 상태의 EEP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식별 정보 갱신 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a computer, the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and the sub memory is an independent chip state EEPROM.
KR1020060010218A 2006-02-02 2006-02-02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KR100748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218A KR100748509B1 (en) 2006-02-02 2006-02-02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218A KR100748509B1 (en) 2006-02-02 2006-02-02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92A true KR20070079492A (en) 2007-08-07
KR100748509B1 KR100748509B1 (en) 2007-08-13

Family

ID=386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218A KR100748509B1 (en) 2006-02-02 2006-02-02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5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844A (en) * 2019-05-13 2019-09-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011B1 (en) * 1998-08-25 2000-12-15 윤종용 Monitor id auto registration system
JP4286530B2 (en) 2001-12-26 2009-07-01 東芝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KR20030080762A (en) * 2002-04-10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Writing EDID of The Monitor
KR100526612B1 (en) * 2003-08-2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sto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844A (en) * 2019-05-13 2019-09-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509B1 (en) 200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750B2 (en) Data access method and data access apparatus for accessing data at on-vehicle information device
US7856614B2 (en) Programmable system-on-chip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US11042365B2 (en) Firmware upd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414619B2 (en)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437110B (en) Metho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rt-up picture display mode and video player
CN109120973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rewriting EDID data
CN111399922B (en) Dual-system display device and system
US20100325326A1 (e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8375378B2 (en) Circuit for updating firmware of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I725523B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0748509B1 (en) Display identification data managing method and update apparatus thereof
US2011026825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mable Device Incorporated i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gram Writing of the Device
USRE47206E1 (en) Display controller device and method for reprogramming the function of a display system
JP2008076653A (en) Ddc circuit of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US66970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peatedly updating the function of a LCD monitor
TWI588738B (en) Display system for an array of video displays
KR10079146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263264A1 (en) Data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emory device
JP2010117944A (en) Software update system, software update method, mobile phone terminal, and program
CN112735501B (en) Data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main board and equipment with main board
US85394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the function of monitor
US20070216818A1 (en) TV and TV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CN114637538B (en) Substrate management contro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management control method
KR20090040489A (en) Edid downloa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4657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eatedly updating the function of a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