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290A -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290A
KR20070079290A KR1020060063726A KR20060063726A KR20070079290A KR 20070079290 A KR20070079290 A KR 20070079290A KR 1020060063726 A KR1020060063726 A KR 1020060063726A KR 20060063726 A KR20060063726 A KR 20060063726A KR 20070079290 A KR20070079290 A KR 20070079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working information
interworking
messag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945B1 (ko
Inventor
김용호
이진
류기선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780004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379769B/zh
Priority to TW096103786A priority patent/TWI420871B/zh
Priority to PCT/KR2007/000557 priority patent/WO2007089111A1/en
Priority to JP2008553164A priority patent/JP4955018B2/ja
Priority to EP07708708.8A priority patent/EP1980057B1/en
Priority to US12/162,982 priority patent/US8660100B2/en
Publication of KR2007007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lines, e.g. phantom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 망의 이동 단말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이 무선 랜(802.11, Wi-Fi) 망에 접속할 경우 무선랜 망과 연동(Interworking)되는 망의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상기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한 전송 시점에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상기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선 랜, 연동, 비콘, 연동 정보, AP

Description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interworking information in wireless LAN network}
도 1은 무선랜(IEEE 802.11, Wi-Fi)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 2는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관리 프레임 몸체(Management Frame Body)의 요소(component)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여러 개의 AP의 커버리지(coverage)가 중첩되는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랜과 3GPP간의 연동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이동 단말이 연동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일련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NMB와 NDB의 주기적인 전송 방법을 보여 주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즉, 상기 NDB Information)에 대한 정보 요소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Query Response 프레임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c는 Query Response 프레임의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d는 한 개 이상의 AReq IE에 대한 응답이 패킹(Packing)되어 전송 될 때의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의 일례이다.
도 9e 및 도 9f는 상술한 Frag/Pack이 조각화(fragmentation) 중에서 중간 조각(fragment) 또는 마지막 조각(fragment)임을 알려줄 때 사용되는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의 포멧(format)의 일례이다.
도 9g는 Query Response 동작 프레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h는 Query Response 동작 프레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기 NDB Information 정보 요소(IE)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2 개의 추가적인 제어 비트를 첨부하여 상기 연동 정보 IE를 개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요청한 연동 정보의 요청에 대해 AP가 이 요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이전에 상기 요청한 이동 단말이 상기 정보 요청을 취소하는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17은 상기 AP가 상기 ComeBackDelay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8은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무선랜 이동 단말이 요청하였던 정보 획득을 취소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AP가 NDB의 주기를 매 NMB에 포함하여 전달하여 이동 단말이 언제 NDB가 전송되어 올지를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된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된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의 또 다른 일례이다.
본 발명은 무선 랜 망의 이동 단말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이 무선 랜(802.11, Wi-Fi) 망에 접속할 경우 무선랜 망과 연동(Interworking)되는 망의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무선랜(IEEE 802.11, Wi-Fi)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 2는 무선 랜에서 사용되는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관리 프레임은 프레임 몸체(Frame Body)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 1 내지 표 3은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몸체에 포함되는 비콘(Beacon) 프레임과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비콘(Beacon) 프레임과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은 상기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의 일례이다.
Figure 112006048703349-PAT00001
Figure 112006048703349-PAT00002
Figure 112006048703349-PAT00003
도 3은 무선 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관리 프레임 몸체(Management Frame Body)의 요소(component)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관리 프레임 몸체(Management Frame Body)의 요소는 고정(Fixed) 영역과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 프레임 내에서, 고정된 길이의 강제 프레임 몸체 요소(fixed-lenth mandatory frame body components)는 상기 고정 영역으로 정의되며, 가변 길이의 강제 프레임 몸체 요소(variable length mandatory frame body components)와 모든 선택적 프레임 몸체 요소(optional frame body components)는 상기 정보 요소로 정의된다. (a)는 상기 고정 영역을 보여주며 (b)는 상기 정보 요소를 알려 주며 (c)는 상기 정보요소의 일 예인 SSID요소를 보여 준다.
이하 표 4는, 상기 도 3의 관리 프레임 몸체 요소들의 요소 ID(elements IDs)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48703349-PAT00004
이하, 종래 기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무선랜 (Wireless LAN-IEEE802.11)의 일반적 구성
무선 랜(Wireless LAN)이란 유선 랜의 허브(Hub)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약칭함)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 랜 카드를 장착한 PDA나 노트북과 같은 무선 단말에 랜(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이다. 쉽게 생각하면 기존의 Ethernet 시스템에서 허브(Hub)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유선 구간을 AP와 NIC(Network Interface Card)(예를 들어, 무선 랜 카드) 사이의 무선 구간으로 대체한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은 무선 단말의 배선이 필요 없어 단말기의 재배치가 용이하며, 네트워크의 구축 및 확장이 용이하고, 이동 중에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선 랜에 비하여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무선 채널을 특성상 신호품질이 불안정하며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랜의 네트워크 형태는 AP를 포함하느냐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상기 AP를 포함하는 형태를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 네트워크라고 하고, 포함하지 않는 형태를 ad-hoc 네트워크라고 한다. 또한, 하나의 AP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BSA(Basic Service Area)라고 하며, 상기 AP를 포함하여 상기 AP에 접속된 무선 단말을 지칭하여 BSS(Basic Service Set)이라고 한다. 이렇게 AP에 접속되어 무선 단말이 서비스받게 되는 것을 SS(Station Service)라고 한다. 상기 SS는 상기 ad-hoc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끼리 주고 받는 서비스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영역인 BSA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AP가 서로 연동되어 각각의 AP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단말이 다른 AP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AP들의 연결을 DS(Distribution System)이라고 하며, 이러한 DS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DSS(Distribution System Service)라고 한다. 또한 DSS가 제공 가능한 영역을 ESA(Extended Service Area)라고 하며, ESA 내에서 DSS를 제공받는 모든 무선 단말과 AP들을 합하여 ESS(Extended Service Set)이라고 한다.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한 서비스의 항목으로는 표 5과 같이 다음의 아홉 가지가 있다.
a) Authentication d) Deassociation g) Privacy
b) Association e) Distribution h) Reassociation
c) Deauthentication f) Integration i) MSDU delivery
Authentication 서비스와 Deauthentication 서비스는 사용자 인증에 관한 것이고, Association 서비스와 Deassociation, Reassociation 서비스는 무선 단말이 AP에 접속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Reassociation 서비스는 무선 단말이 ESS내에서 BSS를 변경하거나, 혹은 현재 접속되고 있는 상태를 변경할 경우 사용된다. Distribution 서비스는 DS를 통해서 하나의 AP에 접속된 무선 단말이 다른 AP에 접속된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는 개념적인 서비스이다. Integration 서비스는 IEEE 802.11 LAN과 외부의 유선이든 무선이든 집합적인 LAN과의 접속에 사용된다.
상기 각 서비스의 항목은 상기 DS의 설정을 통해 달라진다. Privacy 서비스는 보안에 관한 것으로 WEP(Wired Equivalent Privacy)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MSDU(MAC Service Data Unit) delivery 서비스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 사용된다. 하기 표 6은 상기 서비스 항목을 묶어서 위에서 설명한 두 개의 서비스 범주로 나누고 있다.
SS (Station Service) DSS (Distribution System Service)
a)  Authentication b)  Deauthentication c)  Privacy d)  MSDU delivery   a)  Association b)  Deassociation c)  Distribution d)  Integration e)  Reassociation
상기 무선 랜 AP는 유선 LAN의 허브(Hub)와 같은 기능, Bridge 기능, Home Gateway 기능, automatic fall-back 기능, roaming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Bridge 기능은, 지향성 고 이득 외장 안테나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두 건물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Home Gateway 기능은 댁내의 정보통신 기기들의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무선 LAN AP를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Automatic fall-back 기능은 AP와 무선 단말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채널상태가 나빠지면, AP가 전송속도를 11Mbps에서 5.5Mbps 혹은 2Mbps, 1Mbps로 낮추는 기능이다.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데도 11Mbps로 고속 전송을 하게 되면, 재전송 등으로 인한 손실이 더 크기 때문에 적절히 전송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기본적인 roaming 기능은 상기 BSS 사이에서 가능하다.
2. 무선랜망의 전형적인 예
도 5는 여러 개의 AP의 커버리지(coverage)가 중첩되는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02.11 기술이 활성화되어 동일 ESS 내에서 핸드 오프(hand-off)가 지원되면 도 5와 같은 환경이 전형적인 802.11 네트웍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의 경우, STA(Station, WLAN UE)가 비콘 패킷(beacon packet)을 받는 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을 수행할 경우, 상기 STA는 동일 AN에 속하는 2개 이상의 AP로부터 비콘 패킷(beacon packet)을 전송받게 되고, AP에서 자신이 속하는 SSPN(or AN)의 정보를 비콘 패킷(beacon packet)에 포함시켜 보낼 경우, 상기 STA는 2개 이상의 패킷(packet)을 조합할 수 있게 된다.
3. 무선랜과 셀룰러 망의 연동 (Wireless LAN and 3GPP Interworking)
무선랜 (WLAN)과 셀룰러 (3GPP)와의 연동은 크게 무선랜망을 검출하는 Scanning절차, 무선랜망과의 인증(Authentication)절차, 셀룰러망 검출 절차 그리고 셀룰러 망과의 인증절차로 나뉜다. 셀룰러망 검출 및 선책절차는 셀룰러 망과의 인증절차의 일부분으로 수행된다.
3.1 무선 랜 망 스캐닝 절차(Scanning)
무선 랜은 무선 랜 망에 대한 이름이 SSID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로 제공된다. 무선 랜 단말(WLAN UE)은 상기 스캐닝 절차를 통해 가용한 무선망들을 대해 검출한다. 상기 스캐닝 절차는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i)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ning): 망에서 방송(Broadcast)하는 비콘(Beacon)을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ii)능동적 스캐닝(Active scanning): 망에 상기 무선 랜 단말이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3.2 무선 랜 망과의 인증 절차(Authentication)
인증(Authentication) 절차는 인증 관리(Authentication management) 프레임을 통해 수행되며, 802.11i를 지원하는 무선 단말과 AP의 경우 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한 이후에 802.1x 기반의 인증절차를 추가로 수행한다.
3.3 셀룰러 망 검출(Discovery) 절차
망 검출 절차는 무선 랜 단말(WLAN UE)에게 수동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원되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목록'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랜 단말(WLAN UE)과 로컬(local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서버 사이에서 수행된다.
3.4 셀룰러 망 인증(Authentication) 절차
셀룰러 망과의 인증은 지원되는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방식에 따라 EAP-AKA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EAP-SIM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Subscriber Identity Module)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무선 랜과 3GPP간의 연동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무선 랜과 셀룰러 통신 망 간의 연동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에 불과한바,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은 3GPP 이외의 셀룰러 통신 망(예를 들어, 3GPP2 등)과도 연동이 가능하다. 무선랜 단말은 무선 랜 망을 검출하기 위해 수동적 스캐닝(S601)혹은 능동적 스캐닝(S602, S603)을 수행한다. 스캐닝의 결과에 따라 무선 랜 망을 선택한다(S604). DS(Distribution System) 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distribution service는 특정 단말이 어느 AP를 통해 접속 가능한지를 알아야 하며 이는 Association 절차로써 수행된다(S605, S606). 무선 랜 이동 단말은 무선 랜 망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데 인증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보여 주는 것은 Open System Authentication(S607,S608)과 shared key authentication (S609 내지 S612) 방법이다. 무선랜 이동 단말은 무선랜 망을 통해 3GPP 망을 이용하기 위해 3GPP 망과의 인증 절차(S613 내지 S623)를 수행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과 통신 망이 EAP-SIM을 지원하는 경우를 보여 준다.
4.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 전달 방법
무선 랜 망에서 무선랜 망과 연동되는 망에 대한 연동 정보 전달 방법은 비콘(Beacon)에 의해 방송(broadcast)하는 방법과 무선랜 이동 단말의 요청(Probe Request)에 의해 AP가 이에 대한 응답(Probe Response)하는 방법이 있다.
4.1 비콘(Beacon)에 의한 연동 정보 방송
이하, Layered Beacon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종래의 비콘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즉, 비콘(Beacon)은 종래에 사용하던 NMB(Network Maintenance Beacon)과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담은 NDB(Network Discovery Beacon) 두 가지로 구분된다.
Network Maintenance Beacon (NMB): 종래 비콘(Beacon) 메시지를 나타낸다.
Network Discovery Beacon (NDB): 종래의 NMB에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비콘 메시지를 나타낸다.
4.2 단말의 요청에 의한 연동 정보 전달
무선랜 이동 단말(WLAN UE)은 상기 NDB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연동 정보를 무선 랜 망에 요청한다. 상기 무선랜 망은, 상기 연동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즉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연동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망이 상기 연동 정보를 보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해진 절차에 의해 상기 무선 랜 망과 연동되는 망으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이동 단말이 연동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일련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은 AP에 상기 연동 정보(IE1, IE2…등)를 제공해 줄 것을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요청한다 (S710). 상기 AP가 상기 연동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Probe Response)에 언제 다시 연동 정보를 전송할 것인지(ComeBackDelay)와 상기 연동 정보의 요청을 식별하기 위한 ID (Query ID)를 포함시켜 상기 이동 단말에 전달한다(S720). 상기 AP는 연동되는 망으로부터 단말이 요청한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한다(S730, S740). 상기 이동 단말은 돌아오기로 예정된 시간, 즉 다시 연동 정보를 전송해줄 시간(ComeBackDelay)에 다시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S72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상기 Query ID를 포함하여 요청한다(S750). 상기 Query ID가 포함되어 요청되는바, 상기 연동 정보를 다시 표시할 필요가 없다. 상기 AP는 상기 연동되는 망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S760).
도 8은 NMB와 NDB의 주기적인 전송 방법을 보여 주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P는 어느 시점에 상기 NDB가 전송될지를 결정하여 적절한 시점에 상기 NDB를 전송한다. 예에서는 NDB가 전송되는 NDB 주기가 4라 가정하며 매 4번째 비콘(Beacon) 주기에 상기 NDB가 전송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무선 랜 이동 단말이 연동 정보 요청을 한 경우에 AP가 이 해당 연동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상기 AP는 ComeBackDelay를 상기 이동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하는 시도를 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ComeBackDelay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요청한 연동 정보를 받아 보기 위해 다시 요청 메시지를 AP에 전달해야 하는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AP가 많은 수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무선 랜 이동 단말이 상기 연동 정보를 상기 AP로부터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NDB를 수신해야 하는데, 상기 이동 단말은 NDB가 전달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연동 정보 요청 메시지(Probe Request)를 전송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연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로 하여금 연동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정확하게 알리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상기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한 전송 시점에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크워크 엔터티가 상기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요청한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된 전송 시점에 상기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콘 메시지는,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비콘 메시지가 전송되는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비콘 메시지의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시점에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정보 전송 방법은,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동 정보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하여 취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취소 메시지는, 상기 취소하고자 하는 연동 정보에 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이 무선 랜(802.11, Wi-Fi)망을 접속할 경우, 상기 무선랜 망과 다른 망(인터넷 서비스, Voice over IP서비스, IMS서비스 등)과의 연동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 즉 로밍 가능여부, 과금정보, 지원되는 서비스 정보 등을 연동(Interworking)되는 망(인터넷 서비스 등 서비스를 위한 망)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정보, 즉 연동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 랜 망과 통신을 수행하며 이 무선랜망을 통해다, 특정한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특정한 망으로부터 서비스 를 받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랜망에 접속하기 이전에 상기 특정한 망과 상기 무선랜망과의 연동정보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특정한 망과의 연동정보전송을 상기 무선랜망을 통해 요청하고, 상기 무선랜망은 상기 연동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연동 정보가 상기 무선랜망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 망으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 상기 무선 랜 망과 연동(interworking)되어 있는 망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 랜 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랜 망에 특정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무선 랜 망은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연동되는 특정한 망에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망이 상기 데이터, 즉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연동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연동 정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바,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망과 연동되는 망의 종류에도 제한이 없는바, 종래의 동기 및 비동기식의 셀룰러 통신망, 혹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으로부터 데이터, 즉 연동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연동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연동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전달하는데 자원 소모를 최소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메시지 전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와,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 및 비콘(Beacon)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기 각 메시지는 무선 랜(IEEE 802.11) 메시지를 개선한 것이다.
1.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
하기 메시지는 이미 요청한 연동 정보의 전송을 취소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취소되는 연동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Query ID를 이용할 수 있다.
Order Information Notes
1 SSID
2 Supported rates
3 Query Request Cancel 요청한 정보 요청을 취소하고자 할 때 포함한다.
2.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
본 실시예에서 추가된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NDB Information)은 비콘(Beacon)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DB Information이 상기 비콘 메시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 AP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Order Information Notes
1 Timestamp
2 Beacon interval
3 Capability information
4 SSID
5 Supported rates
6 FH Parameter Set
7 DS Parameter Set
8 CF Parameter Set
9 IBSS Parameter Set
10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 NDB가 언제 전송되는가 하는 정보와 연동 (Interworking)정보의 포함 여부가 표시된다. 즉, Next NDB=0인 경우에는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 내에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가 포함되는 것이다. 만약 Next NDB=0이 아니면,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 내에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가 포함되지 않는다. 즉, NDB가 전송될 시점을 통보하는 Next NDB 정보만 포함된다.
11 Interworking Information 요청한 Interworking에 대한 정보, 즉 연동 정보들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만약 현 시점에서 AP가 요청받은 Interworking정보들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로 어느 시점에 정보를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 주는 ComeBackDelay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들에 대한 식별자(ID)인 QueryID를 포함한다.
3. 비콘(Beacon) 메시지
본 실시에에서는 기존의 비콘(Beacon) 메시지에, 다음에 전송되는 NDB(Network Discovery Beacon)의 주기 정보와 연동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 항목이 추가된다.
Order Information Notes
1 Timestamp
2 Beacon interval
3 Capability information
4 SSID
5 Supported rates
6 FH Parameter Set
7 DS Parameter Set
8 CF Parameter Set
9 IBSS Parameter Set
10 TIM
11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 NDB가 언제 전송되는가 하는 정보와 연동 (Interworking)정보의 포함 여부가 표시된다. 즉, Next NDB=0인 경우에는 상기 비콘 메시지 내에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가 포함되는 것이다. 만약 Next NDB=0이 아니면, 상기 비콘 메시지 내에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가 포함되지 않는다. 즉, NDB가 전송될 시점을 통보하는 Next NDB 정보만 포함된다.
12 Interworking Information 요청한 Interworking에 대한 정보, 즉 연동 정보들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만약 현 시점에서 AP가 요청받은 Interworking정보들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로 어느 시점에 정보를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 주는 ComeBackDelay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들에 대한 식별자(ID)인 QueryID를 포함한다.
4. 상기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 IE와 상기 연동 정보 IE의 구체적 구현 방법 및 요청 취소 정보(Request Cancel IE).
도 9a는 상기 Network Discovery Beacon Information(즉, 상기 NDB Information)에 대한 정보 요소(IE)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NDB Information의 정보 요소에 있어서, Next NDB=0인 경우에는 상기 Next NDB 항목 다음에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가 포함된다. 또한, Next NDB=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Next NDB만 포함되고 상기 연동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Next NDB는, 연동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즉 상기 NDB가 언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Next NDB는 이후에 전송되는 NDB의 전송 간격(interval)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NDB 및 NMB 비콘(Beacon)이 전달되는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이 100ms이고, Next NDB가 5인 경우 다음 5번째 비콘 간격(beacon interval), 즉 500ms 이후에 전달되는 비콘(beacon)이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인 것이다. 즉, 즉 500ms 이후에 전달되는 비콘(beacon)이 상기 NDB가 되는 것이다.
5. Advertisement Request IE
이하 이동단말의 연동정보 요청을 위한 Advertisement Request IE를 설명한다. Probe request 또는 연동정보를 요청하는 Action frame에 포함되어 이동단말은 전송받고자 요구하는 SSPN들을 포함하여 AP에게 연동정보를 요청한다.
Field Size
Element ID Unit 8
Length Unit 8
Advertisement Service Unit 8
Advertisement Type Unit 8
Advertisement Identifier Unit 8 * 2
SSPN ID #1 TBD
SSPN ID #2 TBD
SSPN ID #N TBD
802.21 Information Service Query Frame TBD
이하, 표 10의 필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Advertisement Service
0 : SSPN Advertisement
1-255 : Reserved
-Advertisement Type
0 : Ethertype
1 : well-known port
2-255 : reserved
-Advertisement Identifier : Advertisement Type마다 unique value
- 802.21 Information Service Query Frame: 상위 개체가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인 경우 이 개체가 전달하는 Query 요청 frame이 포함된다.
6. Advertisement Response IE
상기 Advertisement Response IE는, Probe response에 포함되며 이동단말로부터 전송받은 Advertisement Request IE에 대한 응답이다. 이동단말이 요청한 연동정보를 AP가 이 정보를 아는 개체, 예를 들면 Advertisement Server나 해당 SSPN에 질의를 통해 획득한 연동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multicast address를 포함한다. 이 정보가 요청되는 순간에 요청 메시지에 대한 time out이전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정보인 Advertisement가 포함되어 전달 될 수도 있다. 이 메시지는 이동 단말에 unicast혹은 모든 단말에 broadcast될 수 있다. 이 경우 multicast address는 생략할 수도 있다.
Field Size
Element ID Unit 8
Length Unit 8
Status Code Unit 8
Advertisement (if any) Unit N
Multicast Address Unit 8 * 6
이하, 표 11a의 필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Status Code
0x00 : successful (요청한 SSPN ID에 대한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경우로 즉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Advertisement 가 포함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0x01 : 요청이 수락된다(Request has been accepted).
0x02 : 요청이 거절된다(Request has been declined).
0x03 : 서비스가 지원되지 아니한다(Service not supported).
0x04: 처음으로 요청한 SSPN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1st requested SSPN info doesn't exist).
0x05: 두 번째로 요청한 SSPN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2nd requested SSPN info doesn't exist).
0x06: 세 번째로 요청한 SSPN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3rd requested SSPN info doesn't exist).
이하, Advertisement Response IE의 또 다른 일례를 하기 표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eld Size
Element ID Unit 8
Length Unit 8
Status Code Unit 8
Multicast Address Unit 8 * 6
Query Response Waiting Time Unit 8
상기 표 11b의 Status code를 하기 표 1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tatus code
Status Code field value Description
0 Successful and information delivery using B-SNA beacon indication (AP가 Advs 서버, MIH 서버 등으로 질의를 통해 획득한 정보는 B-SNA Beacon을 전송 받은 후 전달될 것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1 Successful and immediate information delivery (AP가 Probe response를 전송한 후 특정 시간 내에 요청한 정보 전달(Action Frame 등을 통해) 할 것을 지시한다. 이는 AP가 이전 정보를 자신의 버퍼에 저장(Cache)하고 있거나 짧은 시간에 정보를 획득하여 정해진 시간(Query response waiting time) 안에 전달할 수 있을 경우에 설정되어 전달된다. 이 bit가 설정된 경우에는 Query Response Waiting Time이 설정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Query Response Waiting Time은 Station이 AP가 전달할 Query response를 기다리는 시간으로 사용된다. Query Response Waiting time이 설정되어 전송이 되지 않으면 station은 미리 정해진 default 값인 Query Response Waiting Time을 사용한다. )
3 Request has been declined
N Service not supported
N+1 Wildcard not supported
N+2 Null SSPN field not supported
4-255 Reserved
상기 표 11c의 B-SNA Beacon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상기 B-SNA Beacon은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DTIM Beacon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DTIM Beacon 주기와는 겹치지 않으며 B-SNA Beacon 다음에 Advertisement Action frame이 전송될 것을 지시하기 위한 Beacon이다.
7. Query Response (Action Frame)
상기 Query Response는, AP가 질의를 통해 획득한 연동정보를 이동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도 9b는 Query Response 프레임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b의 일례는, 한 개의 Advertisement가 길어서 조각화(Fragmentation)를 수행하여 여러 개로 전송하기 위한 action frame이다. 이때의 조각화는 다음과 같다.
00 : 절단되지 않음(Unfragmented)
01 : 첫 번째 조각(First fragment)
10: 계속된 조각(Continued fragment)
11: 마지막 조각(Last fragment)
도 9c는 Query Response 프레임의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즉 도 9c의 일례는, 연동정보를 이동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의 또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연동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사용되는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이다.
도 9d는 한 개 이상의 AReq IE에 대한 응답이 패킹(Packing)되어 전송 될 때의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의 일례이다.
도 9d에 표시된 데이터들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Category
Name Value Description
... ... ...
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6 Advertisement
-Action
Action field value Description
0 SSPN Advertisement
1-255 Reserved
-Remaining Repetitions : 추가적으로 Advertisement가 전송되는 횟수
-Adv Length : Length of Advertisement
-Frag/Pack : Fragmentation or Packing of Advertisement로 여러 개의 AReq IE에 대한 응답 Advertisement이 포함(packing)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개의 AReq IE에 대한 응답이 포함된 것이 조각화(Fragmentation)되어 전송될 수 있다. 처음 4 비트는 패킹(packing)과 조각화(fragmentation)의 상태를 나타내고 나머지 4 비트는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나타낸다. 이 시퀀스 번호는 각 조각화(fragmentation)되어 전송되는 packet된 정보를 합칠 때 사용된다.
4번째 비트: 패킹(Packeting)이 사용되어 있는지 유무
3번째 비트: Advertisement 중간이 잘렸는지 여부
2번째, 1번째 비트: 조각화(fragmentation)와 이번이 첫번째, 중간, 마지막 조각(fragmentation)인지를 나타냄
0000: 패킹(Packing)이 사용되지 않음. 조각화(Fragmentation)도 사용되어 있지 않음
0001: 패킹(Packing)이 사용되지 않음. 조각화(Fragmentation)가 사용되어 있으며 첫 번째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0010: 패킹(Packing)이 사용되지 않음. 조각화(Fragmentation)가 사용되어 있으며 중간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0011: 패킹(Packing)이 사용되지 않음. 조각화(Fragmentation)가 사용되어 있으며 마지막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1000: 두 개 이상의 Advertisement가 패킹(packing)되어 있고 조각화(Fragmentation)는 적용되지 않음.
1001: 두 개 이상의 Advertisement가 패킹(packing)되어 있고 조각화(Fragmentation)가 수행되며, 첫 번째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1010: 두 개 이상의 Advertisement가 패킹(packing)되어 있고 조각화(Fragmentation)가 수행되며, 중간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1011: 두 개 이상의 Advertisement가 패킹(packing)되어 있고 조각화(Fragmentation)가 되어 있으며, 마지막 조각(fragment)임을 나타냄.
x0xx: Advertisement 끝에서 조각(fragment)이 되었고, 새로운 AReq IE부터 시작됨.
x1xx: Advertisement 중간에서 조각(fragment)이 되었고, Advertisement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요소(IE)가 바로 이어지는 것을 나타냄.
도 9e 및 도 9f는 상술한 Frag/Pack이 조각화(fragmentation) 중에서 중간 조각(fragment) 또는 마지막 조각(fragment)임을 알려줄 때 사용되는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의 포멧(format)의 일례이다.
조각화(Fragmentation)는 advertisement 부분에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각화는 Advertisement 중간에서 할 수도 있고, advertisement가 끝나는 시점에 맞추어서 할 수도 있다.
도 9e의 일례는, 조각화(Fragmentation)가 Advertisement 끝에서 수행되었음을 알려 줄 때, 한 개의 advertisement만 포함되는 것만 보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일례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여러 개의 advertisement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도 9f의 일례는, 조각화(Fragmentation)가 Advertisement 중간에서 되었음을 알려 줄 때, 한 개의 advertisement만 포함되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여러 개의 advertisement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조각화에 의해 두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지는 경우, 중간 족fragment를 나타내는 것 없이 바로 첫번째 fragment임을 표시한 후 마지막 fragment임을 표시하는 action frame이 전송된다.
-Advertisement: Requested information으로, IEEE 802.21 규격에서 정의하는 Information Service의 Query response Frame이 삽입될 수도 있다.
도 9g는 Query Response 동작 프레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g의 일례는, AReq IE를 요청한 유일한 단말일 경우 AP가 전송한 Action Frame에 대해 Ack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Ack field가 삽입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AReq IE를 요청하는 단말의 수는 AP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 동안 혹은 Query response action frame을 전송할 순간까지 probe response의 Advertisement Response IE로 동일한 Multicast address를 알려 준 단말들의 수이다. 이 단말의 수가 하나일 경우, 전달해 준 Multicast address로 query response action frame을 전송하지만, Ack을 요청하고 Ack을 수신할 경우 수신을 확실히 한 것이므로 반복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다. 두 개 이상의 단말에 multicast address를 전송하여 query response action frame을 두 개 이상의 단말이 수신할 경우에는 Ack bit를 설정하여 전송하지 않는다. 두 개 이상의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는 Remaining repetition 값을 이용하여 여러 번 반복하여 전송함으로써 정보 전송의 신뢰도를 높인다.
도 9에 포함되는 Ack 필드의 값은 하기 표 1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ck field value Description
0 Ack not Required
1 Ack Required
2-255 Reserved
표 14의 일례에 따라 Ack 필드의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0 : AP가 다수의 이동 단말을 위해 그룹 방송(Multicast) 되는 Action frame을 전송할 시에는 Ack not required bit('0')을 설정한다.
1: AP가 하나의 이동단말로 Action Frame을 전송하는데 그룹 방송 주소 (Multicast Address)를 사용할 때에는 이동단말로 Ack required bit('1') 설정을 요구함으로서 이동단말이 Action frame을 전송받은 후 Ack 메시지를 AP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도 9h는 Query Response 동작 프레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h의 일례는 도시된 Remaining Repetitions의 일부가 Ack 요청을 수행하는 bit로 사용되는 특징으로 갖는다. Ack를 요청하는 bit 및 remaining repetition bit들의 용도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0은 상기 NDB Information 정보 요소(IE)의 구성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요소는 NDB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NDB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즉, NDB bit=0)에는, 상기 NDB 비트 이후 7bit는 다음 NDB가 전송될 전송 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비콘 간격(beacon interval)이 표시된다. 도 10의 실시예는 상기 NDB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NDB information 항목 다음에 상기 연동 정보가 추가로 포함된 경우에 상기 Next NDB 항목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NDB 비트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는바 특정한 메시지의 다양한 항목에 상기 NDB 비트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2개의 추가적인 제어 비트를 첨부하여 상기 연동 정보 IE를 개선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연동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QueryID를 나타내는 영역의 두 bit를 각각 ComeBack bit(제1 제어 비트), refer NDB bit(제2 제어 비트)로 사용된다. 상기 ComeBack Bit가 설정된 경우(즉, 상기 제1 제어 비트=1인 경우)에는, 상기 QueryID 뒤에 언제 다시 돌아와야 요청한 정보가 가용한지 시간정보를 알려주는 Come Back Delay Time 파라메터가 포함된다. 즉 상기 QueryID 다음에는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된 연동 정보가 언제 다시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재전송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만약, 상기 ComeBack Bit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즉, 상기 제1 제어비트=0인 경우)에는, 상기 Come Back Delay Time 파라메터가 포함되지 않는다. 도 11는 상기 ComeBack Bit가 설정된 경우의 일례인 반면, 도 12는 상기 Come Back Bit가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의 일례이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에, 도 12처럼 상기 come Back Bit가 설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첫 번째 경우는, 무선 랜 망의 AP가 통지한 Come Back Delay Time이 경과하고, 상기 AP가 연동되는 망으로부터 연동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이다. 두 번째 경우는, 이동 단말이 요청한 현재 시점에 요청한 연동 정보들이 이미 준비되어,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경우이다. 상기 첫 번째 경우는, 이동 단말이 특정한 연동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 상기 AP에 상기 연동 정보가 구비되지 못하였던 경우이므로, 상기 Query ID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두 번째 경우는 상기 AP가 이미 연동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상기 Query ID를 포함하는 것은 무선 자원의 낭비이다.
이러한 무선 자원의 낭비는 도 13의 일례에 의해 해결된다. 즉, 상기 Come Back Bit와 상기 Refer NDB Bit 모두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상기 QueryID가 포함되지 않으며,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가 포함된다.
만약, 상기 Come Back Bit가 설정되지 않고, 상기 Refer NDB Bit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는 상기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Next NDB가 전송되어 다음번 NDB의 전송 시점을 통지한다. 즉, 도 14에서, 상기 Refer NDB Bit 다음의 6bit가 다음번 NDB가 언제 전달되는지 알려주는 주기정보, 즉 Next NDB를 포함한다.
도 15는 요청한 연동 정보의 요청에 대해 AP가 이 요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이전에 상기 요청한 이동 단말이 상기 정보 요청을 취소하는 정보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 요청에 대해 AP가 할당한 QueryID가 존재하므로, 상기 취소를 위한 정보 요소는 상기 QueryID 포함한다. 상기 AP는 상기 QueryID를 통해 취소의 대상이 되는 요청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16의 일례는 이동 단말의 요청에 의해 AP가 연동 정보를 요청하고 획득하는 절차를 설명하되, 상기 AP는 단말(STA)의 요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프로브 응답 메시지(unsolicited Probe Response)를 전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도 16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연동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AP에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610). 상기 AP에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연동 정보를 얻어 오는데 예상되는 시간(ComeBackDelay)과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QueryID를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1620). 상기 AP는,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AP는 상기 연동 정보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를 획득한다(S1630, S1640).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AP가 지시한 ComebackDelay 동안 기다린 후, 상기 AP가 전송하는 Unsolicited Probe Response, 즉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경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된 QueryID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 단말은 자신이 S1610 단계를 통해 요청한 정보가 전송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S1650).
도 17은 상기 AP가 상기 ComeBackDelay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은 연동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AP에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710). 상기 AP에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연동 정보를 얻어 오는데 예상되는 시간(ComeBackDelay)과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QueryID를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1720). 상기 AP는,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연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나 아직 획득을 완료하지 못한다(S1730, S1740). 즉, 상기 AP는 상기 이동 단말에 알려준 상기 ComeBackDelay 시간까지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다(S1740).
상기 AP는 이동 단말에 알려준 상기 ComeBackDelay시간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S1720 단계를 통해 할당한 QueryID와 동일한 QueryID를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새로운 ComeBackDelay를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1750). 상기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은 새로운 ComeBackDelay시간을 기다린다(S1760). 상기 AP는 상기 새로운 ComeBackDelay동안 필요한 연동 정보를 획득한다(S1770). 상기 AP는 이동 단말에 S1750 단계를 통해 통지한 시간에 상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한다(S1780).
도 18은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8의 실시예는, AP가 제1 단말로부터 연동 정보 요청을 받고 상기 연동 정보를 망으로부터 획득하기 전에, 제2 단말로부터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AP는, 상기 두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함께 망으로부터 획득하여 방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8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정보 요청 수신 후 정보 획득 절차를 개시하기 전에 제2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를 보여 주었으나 제 1정보 요청을 제 1단말로부터 수신한 후 정보 획득 절차 수행 중에 동일한 정보 요청을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8의 S1830과 S1840의 순서에는 제한이 없다.
우선, 상기 제1 단말(STA1)이 연동 정보의 요청을 AP에 한다(S1810). 만약, 상기 AP가 상기 제1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연동 정보 획득에 필요한 예상되는 시간(ComeBackDelay)과 단말의 요청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QueryID를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1820). 제2 단말(STA 2)이 AP가 정보 획득을 개시하기 전에 정보 요청을 한다. 이때 요청하는 정보는 제 1 단말이 요청한 정보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만 같고 일부만 다를 수도 있다(S1830). AP는 제 1 단말과 제2 단말이 요청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한다(S1840). AP는 제2 단말에 정보 획득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획득한 정보를 방송(Broadcast) 하기 위해 제 1 단말에게 부여한 것과 동일한 QueryID를 부여한다(S1850). 상기 AP는 망으로부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획득한다(S1860). 획득한 정보를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모두 전달하기 위해 두 단말에 할당한 동일한 Query ID를 포함하여 정보를 방송한다(S1870).
도 19는 무선랜 이동 단말이 요청하였던 정보 획득을 취소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은 연동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AP에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1910). AP가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 정보를 얻어 오는데 예상되는 시간(ComeBackDelay)과 단말의 요청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QueryID를 상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1920). 이를 수신한 단말은, 이 시간 동안 기다릴 수 없다거나 이 시간 동안 다른 AP로부터 연동 정보를 획득하고 다른 AP로 접속할 것을 결정하는 등의 이유로 정보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S1910의 정보 요청시 할당 받은 QueryID를 포함하는 Query Request Cancel IE를 상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에 넣어 전송함으로써 정보 요청을 취소한다(S1930).
도 20은 AP가 NDB의 주기를 매 NMB에 포함하여 전달하여 이동 단말이 언제 NDB가 전송되어 올지를 명시적으로 알도록 하는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NMB(Network Maintenance Beacon)는 종래의 비콘 메시지로서, AP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로 상기 AP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DB(Network Discovery Beacon)는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는 비콘 메시지이다. 상기 비콘은 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전송되나, 비콘의 전송 간격을 제어하여 전송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0의 실시예는 상기 NMB에, 다음 NDB가 전송될 주기를 포함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이 언제 NDB가 전송되는지를 알린다. 상기 이동 단말은 언제 NDB가 전송되는지를 알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보 요청 (Probe Request)를 전송하지 않는다(S2001). 제2 단말은 다음 NDB가 전송되는 주기까지 기다릴 수 없는 이유 혹은 수신한 NDB에 필요한 정보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AP에 정보 요청(Probe Request)을 한다(S2002). 제3 단말도 비슷한 시점에 정보 요청을 한다. 상기 제3 단말이 요청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요청한 정보와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또는 일부만 동일할 수도 있다(S2003). AP는 정보가 가용하지 않아 망으로부터 제2 단말과 제3단말이 요청한 정보 획득 절차를 개시한다 (S2004). 다음 NMB 방송에 상기 AP가 제2 단말과 제3 단말이 요청한 정보 획득이 예상되는 시간에 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NDB의 주기를 Next NDB에 표시하여 알려준다. 도 20의 실시예에서는 바로 다음 비콘 전송 주기에 정보를 획득 가능하여 Next NDB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한다(S2005). 상기 AP가 상기 무선 망과 연동되는 백 엔드 망으로부터 제2 단말과 제3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획득한다(S2006). 상기 S2006을 통해 획득한 정보는 S2005을 통해 통지된 전송주기에 전송된다(S2007). 상기 AP는, 상기 NDB의 전송 주기를 조절하여 비콘이 전송될 때마다 상기 NDB의 전송 주기를 줄여 전송한다(S2008 내지 S2010). 즉 S2008의 경우에는, 이후 4번째 주기에 NDB가 전송되므로, Next NDB를 4로 설정하고, 즉 S2009의 경우에는, 이후 3번째 주기에 NDB가 전송되므로, Next NDB를 3으로 설정하고, 즉 S2010의 경우에는, 이후 2번째 주기에 NDB가 전송되므로, Next NDB를 2로 설정하고, 즉 S2011의 경우에는, 이후 1번째 주기에 NDB가 전송되므로, Next NDB를 1로 설정한다. 상기 비콘이 전송되는 도중에 새로운 제4 단말(STA 4)가 상기 AP와 통신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단말 역시 상기 NDB의 수신을 기다린다. 상기 제4 단말은 새로이 무선랜망으로 접속하기 위해 수동 스캐닝을 수행한다(S2011). 종래의 제1,2,3 단말 뿐만 아니라, 제4 단말도 상기 비콘(Beacon)(Network Maintenance Beacon)을 수신하며, 상기 NMB에는 다음 NDB의 전송 주기가 포함되어 전달된다(S2012). 상기 단말들은 다음 NDB의 전송 주기까지 기다려 상기 연동 정보를 수신한다(S2013).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된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21은 AP가 제1 단말(STA 1)로부터 정보요청 A를 받고 해당 정보를 망으로부터 획득하기 전에 제 2 단말(STA 2)로부터 정보요청 B를 수신하는 경우 AP가 즉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AP는 두 단말이 요청한 정보(A+B)를 함께 망으로부터 획득하여 그룹방송으로 전달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 예이다. 해당 그룹은 그룹방송 주소로 구분되며 특정시간 동안 연동정보를 요청한 이동단말들에 대해 같은 그룹으로 분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보 요청 수신 후 정보 획득 절차를 개시하기 전에 제 2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를 보여 주며 같은 정보를 요청한 경우도 포함된다.
제1 단말(STA1)은 정보 요청을 AP에 한다(S2101). AP가 제1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SSPN Advs로 정보 질의를 한다(S2102). AP는 이동단말에게 그룹방송 주소를 포함하여 후에 이 주소를 사용하여 질의에 대한 응답을 방송할 것을 알린다. 만약 AP가 즉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경우에는 ARsp1 IE에 해당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S2103). 제 2 단말(STA 2)은 AP가 정보 획득을 개시하기 전에 정보 요청을 한다. 이때 요청하는 정보는 제 1 단말이 요청한 정보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만 같고 일부만 다를 수도 있다(S2104). AP는 또한 제 2 단말이 요청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한다(S2105). AP가 설정한 특정 시간(A time) 이내에 요청한 정보요청에 대해서는 같은 그룹방송 주소를 할당하여 제2 단말에도 제1 단말과 동일한 그룹방송 주소를 할당한다. 제1 단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만약 AP가 제2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경우에는, ARsp2 IE에 해당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S2106). AP는 망으로부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획득한다(S2107). AP는 획득한 정보를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모두 전달하기 위해 두 단말에 할당한 동일한 그룹 방송 주소로 정보를 방송한다(S2108). 만약 제1 단말과 제 2 단말이 요청한 정보가 다를 경우에는, 요청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된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22는 이동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AP가 임시저장(cache)하고 있는 경우 혹은 짧은 시간 동안 AP가 요청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경우, AP가 정보를 요청한 하나의 이동단말 혹은 다수의 이동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
이하, 하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를 설명한다. 하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는, S2201 내지 S2205의 절차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P는 Beacon을 통해 이동단말로 GAS(general advertisement service), TGu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알린다(S2201).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AP임을 인지한 이동 단말은 요청할 망 연동정보를 AReq I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2202). 이동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AP가 저장하고 있거나 어떤 동작을 통하여 즉시 제공할 수 있을 경우, AP는 IMI(Immediate message Indicator)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status code)인 'Successful and immediate information delivery'를 설정해서 그룹방송 주소(MCA: Multicast Address)와 함께 Probe response로 전달한다(S2203). 이때 이동 단말이 연동 정보를 전달을 기다려야 하는 시간인 'Query Response Waiting Time'도 설정되어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이값이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default로 정의된 값을 사용하며 이 시간동안에 기다리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는 S2202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AP는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담은 동작 프레임(Action frame)을 전송하고 이때 동작 프레임이 하나의 이동 단말을 위한 것인 경우 'Ack required bit'를 설정하여 특정 단말이 동작 프레임의 수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4, S2205).
이하, 다수의 이동 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를 설명한다. 다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는, S2206 내지 S2210의 절차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P는 Beacon을 통해 이동 단말 1(STA 1)과 이동 단말 2(STA 2)로 GAS (general advertisement service), TGu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린다(S2206).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AP임을 인지한 이동단말 1은 요청할 망 연동정보를 AReq I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2207). 이동단말 1이 요청한 정보를 AP가 저장하고 있거나 어떤 동작을 통하여 즉시 제공할 수 있을 경우 AP는 IMI (Immediate message Indicator)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status code)인 Successful and immediate information delivery를 설정해서 그룹방송 주소(MCA)와 함께 Probe response로 전달한다(S2208). S2209 내지 S2210 단계는 이동단말 2가 수행하는 동작으로, 상술한 S2207 내지 S2208 단계와 같다. AP는 설정한 임의의 시간 동안 두개 이상의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었으므로 이동 단말 1,2로 동작 프레임을 그룹 방송하며 'Ack required bit'를 해제해서 전송함으로써 ack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S2211). 이 경우는 정보 전송의 신뢰성을 위해 remaining repetition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동작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송수신된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의 또 다른 일례이다.
도 23은 이동 단말이 요청한 망 연동 정보를 AP가 SSPN Advs 서버로 질의를 통해 획득하는 경우, AP가 정보를 요청한 하나의 이동단말 혹은 다수의 이동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하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를 설명한다. 하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 S2301 내지 S2310 과정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AP는 Beacon을 통해 이동단말로 GAS(general advertisement service), TGu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알린다(S2301).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AP임을 인지한 이동 단말은 요청할 망 연동정보를 AReq I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2302). AP는 망연동 정보 요청에 대해 B-SNA beacon의 주기에 따라 정보를 전달할 것이라는 'Successful and information delivery using B-SNA beacon indication' 상태 코드와 그룹방송 주소(MCA)를 Probe response를 통해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단말은 전달받은 MCA로 요청한 정보를 획득할 것임을 안다(S2303). AP는 이동단말이 요청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여 획득한다(S2304 내지 S2307). AP는 이동단말로 B-SNA beacon을 전달하는데, 이는 B-SNA를 전송 받은 후 즉시 그룹방송 메시지가 전달될 것임을 의도하기 위한 것이다(S2308). AP는 이동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담은 동작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때 동작 프레임이 하나의 이동 단말을 위한 것일 경우 'Ack required bit'를 설정하여 전달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올바로 동작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ack을 전달하도록 한다(S2309). 올바로 동작 프레임을 전달받은 이동 단말은 ack을 AP로 전송한다(S2310).
이하, 다수의 이동 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를 설명한다. 다수의 이동단말이 정보요청을 한 경우, S2311 내지 S2321 과정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AP는 Beacon을 통해 이동 단말 1,2(STA 1, 2)로 GAS(general advertisement service), TGu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린다(S2311).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AP임을 인지한 이동 단말 1은 요청할 망 연동정보를 AReq I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S2312). AP는 망 연동 정보 요청에 해 대해 B-SNA beacon의 주기에 따라 정보를 전달할 것이라는 'Successful and information delivery using B-SNA beacon indication' 상태코드와 그룹방송 주소(MCA)를 Probe response를 통해 이동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은 전송된 MCA로 요청된 정보를 획득될 것을 안다(S2313). S2314 내지 S2315 단계는 이동단말 2가 수행하는 동작으로 S2312 내지 S2313 동작과 같다. AP는 이동단말이 요청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여 획득한다. 이 절차는 B-SNA beacon을 전송하고 query response 동작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일어나는 절차이다(S2316 내지 S2319). AP는 이동 단말 1, 2로 B-SNA beacon을 전달하는데, 이는 B-SNA를 전송받은 후 즉시 그룹방송 메시지가 전달될 것임을 의도하기 위한 것이다(S2320). AP는 이동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담은 동작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때 동작 프레임이 두 개 이상의 이동 단말을 위한 것일 경우에는 'Ack required bit'를 해제하여 전송함으로써 동작 프레임을 수신 후 이동 단말이 ack을 전송하지 못하도록 한다(S2321). S2320 내지 S2321 단계는 신뢰성을 위해 여러 번 반복되어 전송될 수 있고, 반복 정보는 Remaining repetiton 파라메터를 통해 이동 단말에 알려 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통해 무선랜 이동 단말이 연동 정보를 AP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수신해야 하는 NDB가 언제 전송되는지 NMB (Network Maintenance Beacon)에 포함하여 알려 줌으로써 이동 단말이 불필요하게 전송하는 Probe Request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이동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AP가 연동 정보를 망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일정 시간 후 단말에 전송하는 메시지에 처음 단말이 요청한 시점에 부여한 QueryID를 포함하여 전달함으로써 AP가 부여한 일정시간 후에는 단말의 요청 없이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안에 다수의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다수의 요청에 대해 동일한 ID를 부여하고 일정 시간 후에 이들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방송함으로써 한 개의 메시지 전송으로 다수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았다. 또한 NDB의 주기를 명시적으로 알려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한 요청을 NDB에 포함하여 방송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요청을 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요청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상기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한 전송 시점에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된 전송 시점에 상기 연동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통지된 전송시점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된 전송시점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이 지연(delay)되는 시간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시점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단말로 상기 연동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동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정보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단말로 방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연동 정보의 요청을 구별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6.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크워크 엔터티가 상기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요청한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된 전송 시점에 상기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통지된 전송 시점에 상기 연동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통지된 전송시점을 갱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된 전송시점을 갱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이 지연(delay)되는 시간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단말이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시점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 단말로 상기 연동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정보를 방송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연동 정보의 요청을 구별하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1. 무선 랜(Wireless LAN)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생성하 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콘 메시지는,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비콘 메시지가 전송되는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연동 정보의 획득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획득한 연동 정보는 상기 비콘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상기 전송 시점은 상기 요청된 연동 정보의 획득을 위해 필요한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4.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의 존재를 알리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동 정보가 포함된 비콘 메시지의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시점에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16. 특정한 통신 망으로부터 특정한 연동 정보(interworking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무선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연동 정보의 전송 시점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동 정보의 요청을 취소하기 위하여 취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취소 메시지는, 상기 취소하고자 하는 연동 정보에 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KR1020060063726A 2006-02-01 2006-07-07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KR10126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800042445A CN101379769B (zh) 2006-02-01 2007-02-01 用于在无线局域网络系统中传输信息的方法
TW096103786A TWI420871B (zh) 2006-02-01 2007-02-01 在無線區域網路系統中用於傳送資訊的方法和回應站台
PCT/KR2007/000557 WO2007089111A1 (en) 2006-02-01 2007-02-01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2008553164A JP4955018B2 (ja) 2006-02-01 2007-02-01 無線ラン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伝達方法
EP07708708.8A EP1980057B1 (en) 2006-02-01 2007-02-01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2/162,982 US8660100B2 (en) 2006-02-01 2007-02-01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851 2006-02-01
KR20060009851 2006-02-01
KR1020060057429 2006-06-26
KR20060057429 2006-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90A true KR20070079290A (ko) 2007-08-06
KR101264945B1 KR101264945B1 (ko) 2013-05-15

Family

ID=3859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726A KR101264945B1 (ko) 2006-02-01 2006-07-07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9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30B1 (ko) * 2007-08-08 2009-06-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Usn 환경에서의 노드간 동기화 및 네트워크 자동 재구성방법
CN103493397A (zh) * 2011-06-28 2014-01-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将客户端与无线局域网中的接入点相关联的方法
WO2014030894A1 (ko) * 2012-08-24 201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36B1 (ko) 2014-08-29 2016-07-18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캐니스터용 히팅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1692A1 (en) 2003-01-13 2004-09-16 Johanna Wil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information to a mobile station by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60019635A1 (en) 2004-06-29 2006-01-26 Nokia Corporation Enhanced use of a network access identifier in wla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30B1 (ko) * 2007-08-08 2009-06-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Usn 환경에서의 노드간 동기화 및 네트워크 자동 재구성방법
CN103493397A (zh) * 2011-06-28 2014-01-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将客户端与无线局域网中的接入点相关联的方法
WO2014030894A1 (ko) * 2012-08-24 201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36139A (ko) * 2012-08-24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고속 링크 셋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16584B2 (en) 2012-08-24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up high-speed link in WLAN system and device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945B1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005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6367896B2 (ja) 高速初期リンク設定探索フレーム
US93636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broadcast and multicast frames buffered in an access point
EP2975883B1 (en)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switch in network converging plurality of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for same
EP21492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neighbor bs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098056B2 (en) Broadcast/multicast based network discovery
JP6173483B2 (ja) 無線lanシステムの中継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8363590B2 (en) Physical layer repeater with roaming support based on multiple identifiers
KR101668764B1 (ko)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1978728A (zh) 用于搜索封闭订户组小区的方法和设备
WO2005002116A2 (en) Proxy active scan for wireless networks
CN112262608A (zh) 用于cv2x的随机接入过程
EP29897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raffic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19798A (ko) 무선 자원 집성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81837B1 (ko) 무선네트워크에서 통신방법 및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KR101264945B1 (ko) 무선 랜 망에서의 연동 정보 전달 방법
US201402413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nd Acquiring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KR101207666B1 (ko) 무선 랜 망에서의 정보 전달 방법
GB2475968A (en) Super frame header configuration bit to indicate an advance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legacy network
He et al. Achieving seamless handoffs via backhaul support in Wireless Mes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