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768A -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768A
KR20070078768A KR1020050091418A KR20050091418A KR20070078768A KR 20070078768 A KR20070078768 A KR 20070078768A KR 1020050091418 A KR1020050091418 A KR 1020050091418A KR 20050091418 A KR20050091418 A KR 20050091418A KR 20070078768 A KR20070078768 A KR 2007007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installation structure
anchor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856B1 (ko
Inventor
하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8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하천 제방부분을 콘크리트 옹벽으로 구축한 개량하천에 물고기나 하천의 제방이나 바닥에 기생하는 부착 식생물들의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하천생태계의 복원을 꾀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하천 바닥의 근저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구축되고, 상부에 일정형상의 안착부(12)가 형성된 기초옹벽(10)과;
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기초옹벽(10)의 안착부(12)로부터 하천 제방 상단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적층상태로 맞추어 결합되는 중량체의 앵커블록(20)과;
상기 앵커블록(20)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고정 설치되고, 두 개 부재의 조합에 의해 물고기나 하천의 부착생물의 피난공간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생태블록(30); 및
최상단의 앵커블록(20)과 생태블록(30)의 상부에 서로 맞춤식으로 안착되고, 전방에 난간턱(42)이 형성된 상부마감블록(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하천, 호안블록, 생태블록, 결합핀

Description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Parent environment river shore protection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도 1은 종래 개량하천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초옹벽, 12: 안착부,
20: 앵커블록, 22: 체결볼트,
24: 너트, 26: 결합핀,
30: 생태블록, 32: 제 1블록부재,
32a: 결합요부, 34: 제 2블록부재,
34a: 결합레일, 34b: 출입구,
40: 상부마감블록, 42: 난간턱,
본 발명은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하천 제방부분을 콘크리트 옹벽으로 구축한 개량하천에 물고기나 하천에 기생하는 부착 식생물들의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하천생태계의 복원을 꾀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개량하천은 강우시 하천제방의 법면이 쉽게 유실되거나 물이 범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정리사업의 일환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부분(2)을 콘크리트 옹벽(1)으로 구축하여 바닥부분과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시공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개량하천은 물이 흘러갈 때 유속저항을 일으킬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유속이 대체적으로 빠르다.
유속이 빠르다는 것은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나 제방이나 하천바닥에 붙어사는 부착생물들의 서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의 개량하천은 생태계가 전혀 없는 죽어 있는 하천으로 자정능력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미관적으로도 굉장히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하천 제방부분을 콘크리트 옹벽으로 구축한 개량하천에 물고기나 하천의 제방이나 바닥에 기생하는 부착 식생물들의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하천생태계의 복원을 꾀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천 바닥의 근저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구축되고, 상부에 일정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된 기초옹벽과;
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기초옹벽의 안착부로부터 하천 제방 상단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적층상태로 맞추어 결합되는 중량체의 앵커블록과;
상기 앵커블록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고정 설치되고, 두 개 부재의 조합에 의해 물고기나 하천의 부착생물의 피난공간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생태블록; 및
최상단의 앵커블록과 생태블록의 상부에 서로 맞춤식으로 안착되고, 전방에 난간턱이 형성된 상부마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생태블록은,
앵커블록으로부터 장입되는 길이방향의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방과 양측이 모두 개방상태를 취하고, 상단 및 하단에 길이방향의 결합요부를 갖는 반원호형의 제 1블록부재와;
상기 제1블록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에 제 1블록부재의 결합요부와 맞추어 결합하는 결합레일이 형성되며, 하천과 면하는 측에는 물고기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제 2블록부재;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바닥의 근저부에, 상부에 일정 형상의 안착부(12)가 형성된 기초옹벽(10)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구축된다.
한편, 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기초옹벽(10)의 안착부(12)로부터 하천 제방 상단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적층상태로 맞추어 결합되는 중량체의 앵커블록(20)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결합체로 된 앵커블록(20)은 다각형의 한쪽면에 결합핀(26)을 박은 다음 그 면 부분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하천 제방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20)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고정 설치되고, 두 개 부재의 조합에 의해 물고기나 하천의 부착생물의 피난공간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생태블록(30)이 마련되는데, 상기 생태블록(30)은,
앵커블록(20)으로부터 장입되는 길이방향의 체결볼트(22) 및 너트(24)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방과 양측이 모두 개방상태를 취하고, 상단 및 하단에 길이방향의 결합요부(32a)를 갖는 반원호형의 제 1블록부재(32)와,
상기 제1블록부재(32)와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에 제 1블록부재(32)의 결합요부(32a)와 맞추어 결합하는 결합레일(34a)이 형성되며, 하천과 면하는 측에는 물고기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34b)가 형성된 제 2 블록부재(34)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최상단의 앵커블록(20)과 생태블록(30)의 상부에는 상부마감블록(40)이 구축되는데, 그 상부마감블록은 서로 맞춤식으로 안착되고, 전방에 하천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을 보호하는 일정 높이의 난간턱(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천 바닥의 근저부에 콘크리트 타설로 기초옹벽(10)을 구축한 다음 경사진 안착부(12)로부터 제방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중량체의 앵커블록(20)을 시공 구축한다.
상기 앵커블록(20)의 시공방법은 먼저 안착부(12)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내고 그 구멍으로 결합핀(26)을 박은 다음 이와 맞대는 앵커블록(20) 역시 동일한 구멍을 형성한 후 그 구멍으로 상기 결합핀(26)의 나머지 부분을 억지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다단의 상기 앵커블록(20)간에 연결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 후 각 앵커블록(20)의 후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체결볼트(22)를 설치하고, 그 체결볼트(22)의 끝단으로 생태블록(30)의 제 1블록부재(32)를 끼우고, 너트(24)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제 2블록부재(34)의 결합레일(34a)과 제 1블록부재(32)의 결합요부(32a)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 2블록부재(34)를 측방향에서 슬라이딩시켜 하나의 생태블록(30)이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최상부의 앵커블록(20)까지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 설치한다.
이 후 상부마감블록(40)을 구축하게 되면 하천의 모든 정리작업은 종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태블록(30)은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하면서 구획되는 공간이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는 물고기나 다양한 부착생물들의 피난처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며, 또한 중량체인 앵커블록(20)에 의해 생태블록(30)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유속과 유량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쉽게 유실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호안시설물 설치구조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콘트리트 옹벽이 있었던 종래의 하천을 물고기나 하천 부착생물들이 충분히 서식하거나 피난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생태블록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천의 생태계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충분히 여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Claims (2)

  1. 하천 바닥의 근저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구축되고, 상부에 일정형상의 안착부(12)가 형성된 기초옹벽(10)과;
    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기초옹벽(10)의 안착부(12)로부터 하천 제방 상단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적층상태로 맞추어 결합되는 중량체의 앵커블록(20)과;
    상기 앵커블록(20)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되게 고정 설치되고, 두 개 부재의 조합에 의해 물고기나 하천의 부착생물의 피난공간 및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생태블록(30); 및
    최상단의 앵커블록(20)과 생태블록(30)의 상부에 서로 맞춤식으로 안착되고, 전방에 난간턱(42)이 형성된 상부마감블록(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블록(30)은,
    앵커블록(20)으로부터 장입되는 길이방향의 체결볼트(22) 및 너트(24)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방과 양측이 모두 개방상태를 취하고, 상단 및 하단에 길이방향의 결합요부(32a)를 갖는 반원호형의 제 1블록부재(32)와;
    상기 제1블록부재(32)와 서로 대향하는 반원호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에 제 1블록부재(32)의 결합요부(32a)와 맞추어 결합하는 결합레일(34a)이 형성되며, 하천과 면하는 측에는 물고기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출입구(34b)가 형성된 제 2 블록부재(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KR1020050091418A 2005-09-29 2005-09-29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KR10075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8A KR100754856B1 (ko) 2005-09-29 2005-09-29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8A KR100754856B1 (ko) 2005-09-29 2005-09-29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768A true KR20070078768A (ko) 2007-08-02
KR100754856B1 KR100754856B1 (ko) 2007-09-04

Family

ID=3859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18A KR100754856B1 (ko) 2005-09-29 2005-09-29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225A (zh) * 2022-02-15 2022-05-13 嘉兴市环泰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水土保持生态修复治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14B1 (ko) * 2004-05-28 2005-04-29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생태계 보호용 호안시설물
KR200367416Y1 (ko) 2004-08-26 2004-11-10 김길평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200390876Y1 (ko) 2005-03-11 2005-07-27 주식회사 한길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225A (zh) * 2022-02-15 2022-05-13 嘉兴市环泰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水土保持生态修复治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856B1 (ko) 200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445B1 (en) Modular artificial reef, sea wall and marine habitat
KR100746535B1 (ko) 개비온 벽체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0344368A (zh) 一种桩基装配式透空式防波堤
KR100655266B1 (ko) 친환경적인 하천 굴곡부의 사면보호시설
KR20070078768A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블록 설치구조
KR200437093Y1 (ko) 인공어초
KR100577845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시설물 설치구조
KR100566721B1 (ko)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100978807B1 (ko) 조립식 계단블록
KR100584664B1 (ko) 연약 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0649391B1 (ko) 하천비탈면의 친환경적인 식생대 블록 설치구조
KR100770161B1 (ko) 소하천 바닥 세굴 방지 및 어도를 갖는 수중보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JP385169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落差工
KR100421059B1 (ko) 수중보 어도 블록
KR20050038805A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80107144A (ko) 골조식 선박 접안시설
KR101161424B1 (ko) 생태하천의 생태보호시설
KR200306400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 수중보 구조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KR100619453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의 밑다짐 구조물
JP3748878B1 (ja) 生態系配慮型水路構造
KR200228783Y1 (ko) 친환경세굴방지 어소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10044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524

Effective date: 200707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524

Effective date: 2007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