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791A -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sliding module for the device and parts thereof - Google Patents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sliding module for the device and part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7791A KR20070077791A KR1020070007474A KR20070007474A KR20070077791A KR 20070077791 A KR20070077791 A KR 20070077791A KR 1020070007474 A KR1020070007474 A KR 1020070007474A KR 20070007474 A KR20070007474 A KR 20070007474A KR 20070077791 A KR20070077791 A KR 20070077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catching
- mounting plate
- sliding
- sliding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liding switc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기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device from the front,
도 3은 그 배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도,3 is an exploded view seen from the rear thereof;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사시도와 분리사시도,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결합한 휴대형 단말기의 제2몸체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using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position, the first position,
도 7은 도 6 휴대형 단말기의 제2몸체가 열린 위치인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7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second position, which is an open position;
도 8은 제1위치에서의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the first position;
도 9는 제2위치에서의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the second position;
도 10 도 6의 I - I에 따른 단면도이고,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설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파단 사시도,11 is a rupture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설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확대종단면도,1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예의 정면분리사시도,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배면분리사시도,Figure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ure 13,
도 15는 제2부착판에 이동편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제2부착판의 배면사시도,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piece is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도 16은 제2부착판의 정면사시도,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attachment plate,
도 17은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17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18은 제2부착판이 제1부착판에 결합되어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in the first position;
도 19는 제2부착판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도 20은 제2부착판이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21은 제2걸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제1부착판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ounting pl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제2걸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2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 24와 도 25는 제2걸림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24 and 25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과 도28은 도 26의 변형 예가 적용된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27 and 2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evice to which the modification of FIG. 26 is applied,
도 29는 도 2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29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26,
도 30은 도 26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3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도 31은 도 29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며,31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도 32는 도 31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32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31,
도 33은 도 32의 저면도,33 is a bottom view of FIG. 32,
도 34는 도 32의 배면 사시도,3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2;
도 35는 도 32의 분해도,35 is an exploded view of FIG. 32,
도 36은 도 3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3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30;
도 37은 도 36의 배면 사시도,3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6;
도 38은 도 27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에서 작동부를 제외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3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excluded from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 27,
도 39는 도 38의 저면도,39 is a bottom view of FIG. 38,
도 40은 도 28의 작동부가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 사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4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ng part of FIG. 28 is installed between a first mounting plate and a second mounting plate;
도 41은 도 40의 저면도,41 is a bottom view of FIG. 40;
도 42는 도 40의 배면도,42 is a rear view of FIG. 40;
도 43은 도 40의 배면 사시도,4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40;
도 44는 도 4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4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of FIG. 40;
도 45는 도 44의 저면도,45 is a bottom view of FIG. 44,
도 46은 도 32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이 제1몸체에 설치된 상태에의 사시도,4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 32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installed;
도 47은 캡을 갖는 작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4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part with a cap;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0 : 슬라이딩 개폐장치100: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a, 400, 400a, 500 : 슬라이딩 개폐모듈100a, 400, 400a, 500: sliding switch module
110, 310 : 제1몸체 120, 320 : 제2몸체110, 310:
123 : 제3걸림턱 130, 330, 430, 512, 512a : 안내부123: the third
131, 331 : 축부재 140, 340, 440 : 이동부재131, 331:
141, 440a : 이동편 150 : 안내부 고정부재141, 440a: moving piece 150: guide fixing member
153 : 제3걸림부 160, 460, 530 : 작동부153: third
161 : 스프링 170, 370, 470 : 제1부착판161:
171, 471, 514 : 제1걸림부 173, 473 : 제2걸림부171, 471, 514:
180, 380, 480, 550 : 제2부착판 181, 471, 556 : 제1걸림턱180, 380, 480, 550:
183, 486 : 제2걸림턱 442, 552, 552a, 552b : 이동결합부183, 486:
476, 516, 554 : 보조부재476, 516, 554: auxiliary member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전화기 등 슬라이딩 개폐방식을 채용한 각종 기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그에 이용 가능한 슬라이딩 개폐모듈 및 그 부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employ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thod such as a portable wireless telephone, and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usable therein and parts thereof.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단말기는 본체와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덮개와 본체와 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덮개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에서 열린 위치인 제2위치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and the cover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allow the cover to be moved while sliding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close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open position Consists of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형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가이드레일부재(10)와, 이 가이드레일부재(10) 상에서 활주하는 슬라이드부재(20) 및 이 슬라이드부재(20)의 활주를 돕는 제1, 제2토션 스프링(30, 4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드부재(20)는 가이드레일부재(10)의 길이의 약 1/2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는 휴대형 단말기의 덮개 등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서는 가이드레일부재(10)와 뒤에서 설명되는 가이드바(14a, 14b)의 길이가 덮개 등의 이동에 필요한 거리의 약 2배정도의 길이로 설치되어야 하고,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길이가 매우 길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가이드레일부재(10)에는 직사각형 판재(12)의 마주보는 평행한 양측면을 따라서 제1 및 제2가이드바(14a, 14b)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1 및 제2가이드바(14a, 14b)와 마주보고 있는 직사각형 판재(12)의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안내턱(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0)는 가이드레일부재(10)에서 직선방향으로 활 주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부재(10)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활주결합손(22a, 22b)을 그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하고 있다. 이 제1활주결합손(22a)은 제1가이드바(14a)가 관통하는 제1가이드홈(24a)과 제1안내턱(16a)에 요철결합하는 제1레일(26a)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활주결합손(22b)도 제2가이드바(14b)가 관통하는 제2가이드홈(24b)과 제2안내턱(16b)에 요철결합하는 제2레일(26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바(14a, 14b)와 제1 및 제2가이드홈(24a, 24b)의 결합에 의해 활주안내 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안내턱(16a, 16b)과 제1 및 제2레일(26a, 26b)의 결합에 의해 직진 안내성을 보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안내턱(16a, 16b)과 제1 및 제2레일(26a, 26b)은 연속된 직선형태의 요철로서 맞물려 있고, 주행 시 요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주행안내가 되도록 유격이 작게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20)에 비해 상당히 긴 직사각형 판형태의 가이드레일부재(10)가 약간의 휘어짐이나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제1 및 제2안내턱(16a,16b)에 제1 및 제2레일(26a, 26b)이 꽉 끼여 활주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한편, 한 쌍의 제1 및 제2토션 스프링(30, 40)은 각각 중앙의 코일부(32, 42)로부터 양쪽으로 한 쌍의 팔(34a, 34b, 44a, 44b)이 뻗어나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및 제2토션 스프링(30, 40)은 일단은 가이드레일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부재(20)에 고정되어 상호 활주 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레일부재(10)의 대략 중간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약간 어긋나게 제1 및 제2결합공들(18a,18b)이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결합공들(18a, 18b)에 제1 및 제2토션 스프링(30, 40)의 일측 팔(34a, 44a)의 단부가 각각 제자리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나머지 제1 및 제2토션 스프링(30, 40)의 타측 팔(34b, 44b)의 단부는 슬라이드부재(20)의 대략 중앙부위에서 서로 엇갈린 지점에 제자리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Meanwhile,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ar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air of
이러한 토션 스프링(30, 40)의 결합구조에 의해, 가이드레일부재(10)와 슬라이드부재(20)가 서로 활주하면 토션 스프링(30, 40)은 둔각인 양팔(34a, 34b, 44a, 44b)이 예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다시 둔각으로 펼쳐지면서 두 부재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s 30 and 40, when the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그의 가이드레일부재와 가이드바 및 슬라이드부재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기 등의 기기에 장착되어 작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바 등이 기기의 배면으로 노출된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이는 고급형 휴대 단말기의 품질과 디자인을 제한하고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매우 큰 문제이다.In the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ince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guide bar, and the slide member is long, the guide bar or the like is mounted to the back of the devic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and operated in a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big disadvantage of being exposed. This is a very big problem that limits the quality and design of high-end mobile terminals and lowers the value of the product.
뿐만 아니라,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가이드레일부재와 가이드바 및 슬라이드부재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휨강도를 견디기 위해 두께가 증가되어야 하고 원재료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가진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guide bar, and the slide member is long,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guide bar, and the slide member must be increased, and the raw materials are required.
그리고 부품의 크기가 커지면 부품의 보관 및 운송에 불리하고, 외력을 받아 가이드레일부재가 휘어지는 경우 슬라이드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확률이 크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component is increased, it is disadvantageous to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omponent, and when the guide rail member is bent under an external force, the slide member is likely to not operate smoothly.
그리고 슬라이드부재의 길이가 긴만큼, 상대적으로 큰 토션 스프링이 사용되어야 하고, 이는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불리하게 작용한다.And as the length of the slide member is long, a relatively large torsion spring should be used, which adversely affects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the product.
또,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는 덮개를 열어 통화 시에도 직선형을 이루고 있어 꺾여진 형태로 통화할 수 있는 폴더형 단말기에서보다 통화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us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all is more inconvenient than in the case of a folding terminal that can be open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even when talking on the phone open.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에 설치되어 덮개를 연 상태에서도 안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product, the gui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cover is op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eng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가볍고 휴대형 기기를 소형화 슬림화하는 데 유리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and slimming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두께를 많이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thickness muc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가 짧기 때문에 외력을 받더라도 쉽게 휘어지지 않아 작동이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smooth operation is not easily bent even under an external force because the length is sho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at can be suitably use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그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그 두께도 많이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ength thereof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its leng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을 만드는 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부속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of a sliding opening / closing module which is suitably used to make a sliding opening /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이용하면서도 휴대형 단말기에서 통화가 편리하도록 해주는 굽은 형태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굽은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nt-type sliding switch and a bent-type portable terminal to facilitate a call in the portable terminal while using a sliding switch.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된 이동부재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A guide part installed on the first body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coupled to the guide part, and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art, and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 corresponding position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Suppor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and to prevent the second body from mov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at is coupled to an auxiliary support means having elements,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가진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has a configuration such that it can escape one end of th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이렇게 하는 경우 안내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종래의 25㎜ 정도로 길게 형성하여야 했던 것을 약 3㎜ 정도의 길이로 매우 짧게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mov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to be moved to a length of about 25 mm, which is very short.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구비 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된 이동부재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In some cases,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device, a guide portion installed in the first body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ortion, one side is a moving member and the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When the body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t corresponding positions engaged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installed to suppor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resist an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mov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t comprises auxiliary support means having engaging elements that do not interfere,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 a position beyond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이 경우 역시, 안내부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종래의 25㎜ 정도로 길게 형성하여야 했던 것을 약 3㎜ 정도의 길이로 매우 짧게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oo, the mov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and moved to have a length of about 25 mm in the related art can be configured to be very short with a length of about 3 mm.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적어도 상기 제1몸체의 안내부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1걸림부, 상기 안내부의 타단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층을 이루며 상기 제1걸림부와 다른 높이로 설치된 제2걸림부, 상기 안내부의 일단 부근에 설치 된 제3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는 위치의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1걸림턱,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를 벗어나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2걸림턱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걸림부에서 이탈되는 위치의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3걸림턱 중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moving member operating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for pushing the moving member to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wherein the coupl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are at least A first catching part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guide part of the first body, a second catching part installed near the other end of the guide part and forming a layer with the first catching part and install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catching part, the guide A third catching portion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portio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A first engaging jaw provided in the second body at a position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body;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catching jaw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part and is in the first position; Take off the guide The second catch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catch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to have a portion are engaged with the third catching part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re separated from the third catching part when the second catching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t least one catching portion and a catching jaw engaged with each other among the third catching jaws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at the position.
상기 안내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축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한 쌍의 이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aft members installed in parallel at intervals, the movable member is coupled to the pair of shaft members, respectively, a pair of movable piece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shaft member, And a moving member operat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pushing the mov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상기 안내부의 끝단은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단이 지게 형성된 상기 안내부의 끝단에 상기 이동부재의 충격을 완화하여주기 위한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formed so that the end.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안내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2걸림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안내부의 길이방향 외의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 상기 안내부가 변형되거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안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있 는 것이 좋다.The first catching portion is formed from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to the second catching portion, and extends laterally to the moving member, and catches the first catching portion when the extension portion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deformed or a side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안내홈 또는 안내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안내홈 또는 안내돌기에 각각 이동 가능케 결합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안내홈 또는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some cases, the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guide grooves or guide protrusions installed in parallel at intervals, and the moving member is a coupling protrusion or coupling groove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grooves or guide protrusions, respectively. It may have a configuration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or guide projection.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적어도 상기 제1몸체의 안내부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는 위치의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1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moving member operating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for pushing the moving member to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wherein the coupl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are at least A first locking portion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first locking jaw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t a position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와 동일선상에서 상기 안내부와 층을 이루며 상기 안내부와 다른 높이로 설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나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nd a moving member operat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pushing the mov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in line with the guide portion. A second catching portion formed in a layer different from the guide portio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engaged with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ly, it may have a configuration having a second lock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to have a portion deviat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 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나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nd a moving member operat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pushing the mov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parallel to the guide portion at intervals. An installed second catching part, the second catching part engaging with the second catching part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having a portion deviat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art when the second catching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having a second lock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상기 안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2위치 쪽으로 치우쳐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uide part is disposed on the first body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guide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제1몸체에 부착 가능하고 양측을 따라 상기 안내부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와 층을 이루며 상기 제1걸림부와 다른 높이로 설치된 제2걸림부를 갖는 제1부착판,A first attachment portion that is attachable to the first body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uide portion along both sides,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having a second locking portion layer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install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locking portion. plate,
상기 제2몸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 부근의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상기 제2걸림부와 떨어진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상단 부근에 형성된 제1걸림턱,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를 벗어나는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걸림턱을 갖는 제2부착판,The first attachable to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catching portion near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way from the second catching portion to be in the second position; A first catching jaw formed near the upper end to be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and having the portion catching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when the first catching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A second attachment plate having a second catching jaw formed to have a portion deviating from the guide portion;
상기 제1부착판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의 양단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안내부 고정부재를 구비하고,A guide part fixing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mounting plat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guide part;
상기 제2걸림부 반대편의 상기 안내부 고정부재에 설치된 제3걸림부가 설치되고,A third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guide fixing member opposite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걸림부에 맞물리는 위치의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3걸림턱을 구비하고,A third locking jaw provided in said second body in a position to engage said third locking portion when said second body is in said first position,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걸림요소들은 상기 제1걸림부 ~ 제3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턱 ~ 제3걸림턱일 수 있다.The lock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may be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the third locking portion and the first locking jaw to the third locking jaw.
상기 안내부재는 원형 단면의 축부재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축부재가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상기 축부재의 반경보다 깊은 깊이의 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의 측면은 개구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be a shaft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movable member may have a circular groove having a depth deeper than a radius of the shaft member so that the shaft member is coupled and not removed,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ircular groove may have an open configuration. hav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부를 갖는 제1부착판,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first mounting plate having a guide portion install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t corresponding position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Installed to support each other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move the second body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an auxiliary support means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upling element,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가진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has a configuration such that it can escape one end of th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부착판, 상기 제1부착판과 상기 제2부착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A second attachment plate that allows the movable member to be attached to the second body,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and moves the movable member to a first position or a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Further comprising a moving member operating portion for pushing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제1부착판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와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구비하고,The first mounting plate has a pair of first catching portions formed in parallel along both edges and a second catching portion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catching portion,
상기 제2부착판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이웃한 위치의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서 멀어진 위치의 제1걸림부에 맞물리는 곳에 설치되는 1걸림턱과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를 벗어나는 부분을 가지고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는 부분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late is arranged to engage the first catching portion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body is install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position away from the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second position with a portion deviating from th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having a second catching jaw installed to have a portion engaging with the second catching portion.
상기 안내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축부재이고, 상기 제1부착판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축부재의 양단을 지지하여주는 안내부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걸림부 반대편의 상기 안내부 고정부재 또는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제3걸림부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3걸림부에서 이탈되는 제3걸림턱을 갖는 제2몸체와 함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The guide portion is a pair of shaft member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first mounting plate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and the second A third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guide fixing member or the first body opposite to the locking portion, and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third lock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third locking portion and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gether with a second body having a third locking jaw that is separated from the third locking portion.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부착판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원형단면의 축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축부재에 분할된 상태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축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한 쌍의 이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끝단은 단이 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끝단에 완충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A second attachment plate that allows the movable member to be attached to the second body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moves the movable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pushing member for moving member,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aft members of a circular cross-s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the movable member i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in a divided state And a pair of moving piece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shaft member, and the end of the guide part is formed to be stepped, and a shock absorbing material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guide part.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안내홈 또는 안내돌기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안내홈 또는 안내돌기에 결합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 형태의 이동결합부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한 쌍의 이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guide grooves or guide protrusions installed in parallel at intervals, and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oving protrus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r the coupling groove typ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r guide projections. It may be configured with a pair of moving piece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part.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2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부착판, 상기 제1부착판과 상기 제2부착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적어도 상기 제1부착판의 안내부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는 위치의 상기 제2부착판에 설치된 1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 second attachment plate that allows the movable member to be attached to the second body,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lates, and moves the movable member to a first position or a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member operating part for pushing to the second position, wherein the engag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are at least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the second body installed near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t this time, it may have a configuration having a first lock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plate of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상기 안내부와 층을 이루며 상기 안내부와 동일선상에서 다른 높이로 상기 제1부착판에 설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나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제2부착판에 설치된 제2걸림턱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Coupl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are layered with the guide part and are provided with the second catch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mounting plate at a different height in the same line as the guide part,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in the first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ngaging plate is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plate so as to have a portion deviating from one end of the guid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ing portion.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걸림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제2몸체의 이동가능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부착판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부착판의 저면을 받쳐주어 상기 제2부착판의 타단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위치에 설치된 받침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econd catch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catching portion, the second catching jaw is formed longer than the movable distance of the second body, and when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supports the bottom face of a 2nd attachment plate, and prevents the other end of the said 2nd attachment plate from lifting.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부착판이 상기 안내부보다 높게 절곡되고 결합구멍이 형성된 절곡부와 외주면에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ㄱ”자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절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부를 형성하고 일측은 상기 안내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하단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보조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atc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portion of the bent plate is bent higher than the guide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upled to the engaging hole and has a "b" shaped cross section in the state coupled to the bent portion The second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and one side may form a part of the guide portion, and a lower end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uxiliary member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mov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부착판이 2단으로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보조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ocking portion may be made by bending the first mounting plate in two steps. In this case,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n auxiliary member.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상기 안내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제1부착판에 설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걸림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나는 부분을 갖도록 상기 제2부착판에 설치된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ngag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are a second catch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plate in parallel with the guide portio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second position. When it is engag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posi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cond engaging jaw provided in the second mounting plate to have a portion deviating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에 휘어지게 설치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A guide part installed to be bent to the first body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coupled to the guide par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art, and one side includes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Can have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bent.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모듈을 만들기 위한 부속품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제1높이로 설치된 제1걸림부 또는 안내부 및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안내부와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accessory for making a sliding module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A first locking portion or guide portion which is attachable to the first body and is installed at a first height along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locking portion or guide portion.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모듈을 만들기 위한 부속품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제1높이로 설치된 제1걸림부 또는 안내부 및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안내부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some cases,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liding module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accessory for making, the first catching portion or guide portion and the first catching portion or guide portion installed at a first height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parallel to the first catching portion or the guide spaced apart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cond catching portion arranged to b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안내부, 상기 제2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는 이동결합부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llowing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A guide part installed on the first body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part, and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art, and one side of the movable coupl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a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stalled in the body to support each other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to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t comprises auxiliary support means having engaging elements that do not interfere,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have a configuration such that it can escape one end of th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된 이동결합부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In some cases,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sliding to allow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 guide portion installed on the first body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ortion, one side is a movabl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a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ody to support each other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move the second body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cludes secondary support means having engaging elements that do not interfere,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 a position beyond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이 경우에도,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상기 제1몸체의 안내부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까지 이동될 때 또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어 상기 제1걸림부의 안내를 받는 위치의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된 제1걸림턱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Even in this case, the engag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part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guide part of the first body,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second Preferably, the first locking jaw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jaw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locking portion engages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when moved from the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몸체에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고, 상기 이동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된 홈의 배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a long hol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the first body, the movable coupl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back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through the long hole in the second body. .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몸체에서 상기 제2몸체 쪽으로 돌출된 후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꺾여지거나, 안내부 밑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일자 또는 “ㄷ”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결합부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 쪽으로 돌출된 후 꺾여져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도록 “ㄷ” 자 또는 일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guide portion may be bent inward or outward after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second body, or may form a groove under the guide portion to form a straight or “c” shape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arallel to be spaced apart, the movable coupl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second body toward the first body and then bent to b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C" or to guide the guide portion or It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ate form.
이 경우 역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몸체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제2몸체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oo, i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o the second bod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econd bod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rt for pushing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를 갖는 제1부착판,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이동결합부를 구비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는 제2부착판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The first mounting plate having a guide part install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moving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part and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attachment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in a corresponding position to engage each other when the plate and the second body are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nd second body to support each other so as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oving through the secondary comprises a support means having a coupling element which does not disturb,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be configured to escape one end of th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를 갖는 제1부착판,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이동결합부를 구비하고 일측은 상기 제2몸체에 연결되는 제2부착판 및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 되었을 때 또는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서로 맞물리는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 결합요소들을 갖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하고,In some cases,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allow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the first mounting plate having a guide portion install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having a mobil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por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e second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body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r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support each other to resist the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is the first body Mov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cludes auxiliary support means having engaging elements that do not interfere,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는 상기 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부의 일단을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engaging ele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means may have a configuration installed in a position beyond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이 경우 역시,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결합요소들은 상기 제1부착판의 안내부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까지 이동될 때 또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리어 상기 제1걸림부의 안내를 받는 위치의 상기 제2부착판에 설치된 제1걸림턱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oo, the coupling elements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part installed near one end of the guide part of the first mounting plate, when the second body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the first Preferably, the first locking jaw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jaw installed at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a position where the first locking portion engages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when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부착판에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고, 상기 이동결합부는 상기 제2부착판에서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부착판의 배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Similarly, the guide portion is a long hol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on the first mounting plate, the movable coupl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back of the first mounting plate through the long hole in the second mounting plate. Can,
또, 경우에 따라,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부착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자 또는 “ㄷ”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결합부는 상기 제2부착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ㄷ”자 또는 일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 straight or "c" shape along both edges of the first mounting plate, the movabl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at both edges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It can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 or date form to be combined.
이 경우 역시, 상기 제1부착판과 상기 제2부착판 사이, 상기 제2부착판 반대 편의 상기 제1부착판의 바깥 표면 또는 상기 제1부착판 반대편의 상기 제2부착판의 바깥표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부착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부착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부착판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제2부착판을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lso in this case, between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opposite the second mounting plate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opposite the first mounting plat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to move the second mounting plate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It is better to include mor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딩 개폐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안내부를 벗어난 부분을 갖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부착판 및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이동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안내부를 벗어난 부분의 상기 제1걸림부에 맞물려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부착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걸림부의 안내를 받는 제1걸림턱을 갖는 제2부착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for the second body to be moved while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body. The first locking part has a guide part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slid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a part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uide part and having a portion outside the guide part in the sliding direction. A first coupling plate comprising a first coupling plate and a guide part coupled to the guide part, the movable coupling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liding direction along the guide part and the first locking part of the part which is out of the guide part in the sliding direction, in the sliding direction. A first catching jaw that is guided by the first catching part while preventing the first attaching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ttaching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cond attachment plate having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기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배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사시도와 분리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device from the front,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n from the back, Figures 4 and 5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2와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휴 대폰, 피디에이 등 휴대형 단말기의 본체를 이루는 제1몸체(110)와 본체상에 결합되어 덮개 등을 이루는 제2몸체(120) 사이에 설치되어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상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제1몸체(110) 또는 제2몸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s 2 and 3,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제1몸체(110)의 상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대략 사각모양을 사각홈(111)을 형성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나머지 여타의 부분에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사이의 틈새를 최대한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110)의 사각홈(111) 내측으로 필요한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빈 공간(112)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몸체(110)의 상단부근에는 카메라(121) 등의 설치를 위해 배면으로 돌출된 제2몸체(120)의 돌출부(122)의 수용을 위해 사각홈(111)보다 더 깊은 돌출부수납홈(113)을 형성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upper half of the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2)에 홈 형태의 제3걸림턱(123)이 형성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된다.Preferably,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는 안내부(130)를 구비한다. 이 안내부(130)는 뒤에서 설명되는 이동부재(140)의 이동을 안내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핀 형태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축부재(13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130)를 축부재(131)로 구성하는 경우, 축부재(131)의 끝단은 다른 부분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이 지게 형성하여 고무 등의 완충재(133)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하여 안내부 고정부재(1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고무 등의 완충재(133)의 크기를 작게 하면 이를 고정하여주는 안내부 고정부재(15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전체 두께도 줄일 수 있다.As shown, the sliding opening and
안내부(130)는 경우에 따라 사각 바, 오각 바, 팔각 바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제1몸체(110)에 홈이나 돌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는 이동부재(140)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재(140)는 안내부(130)에 결합되어 안내부(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것으로, 일체로 만들어도 되고,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편(141)을 좌, 우로 한 쌍을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동부재(140)를 분리하여 구성하는 경우 이동부재(140)의 연결에 사용되는 부재의 두께는 통상 0.5㎜ 정도인 데, 이 두께만큼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Sliding opening and
안내부재(130)로 원형단면의 축부재(131)를 이용하는 경우, 축부재(131)에 결합되는 이동부재(140)에는 일 측면이 개구되고 축부재(131)의 반경 이상의 깊이의 원형홈(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이동부재(140)가 축부재(131)에서 빠지지 않으면서도 이동부재(1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140)를 이루는 이동편(141)의 일 측면으로는 측면으로 연장되어 안내부(130)의 길이방향 외의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뒤에서 설명되는 제1걸림부(171)에 걸려 안내부(130)가 변형되거나 이동부재(140)가 안내부(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측면돌출부(143)를 형성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부재(140)의 적어도 일측은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2몸체(120)에 연결되어 제2몸체(120)가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When using the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서는 이동부재의 길이와 이동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이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의 이동부재(140)의 길이는 이동부재(140)의 최대 이동거리인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하, 더 바람직하기로는 1/4 이하로 할 수도 있다. 종래의 이동부재는 그 길이를 약 25㎜정도로 구성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의 이동부재는 약 3㎜정도로 하여도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이동부재(140)의 길이를 종래의 것에 비해 1/8정도까지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안내부(13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에 이동부재(140)가 차지하는 거리를 더한 것과 같은 종래보다는 훨씬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length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movable member can be moved to have almost the same length, but the length of the
도 4와 5를 더 참조하면, 이동부재(140)와 제1몸체(110)에 고정되는 제1부착판(170) 사이에는 이동부재 작동부(160)가 설치된다. 이동부재 작동부(160)로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161)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 토션 스프링(161)은 일단은 제1부착판(170)의 회동지지부(172)들에 각각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양측 이동편(141)들에 각각 연결된다. 이 이동부재 작동부(16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부재(140)의 위치에 따라 이동부재(140)를 제2몸체(120)가 닫힌 상태인 제1위치 또는 제2몸체(120)가 열린 상태인 제2위치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부재 작동부(160)는 이동부재(140)가 안내부(130)를 따라 약 1/2정도 이동한 위치까지는 제자리 회동되면서 제1위치를 향해 힘을 작용시키다가 그 이상 초과되는 경우 제2위치를 향해 힘을 작용시킨다.4 and 5, the movable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는 제1부착판(170)과 안내부(130)를 이루는 축부재(131)를 제1부착판(170)의 양측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부 고정부재(150) 및 제1부착판(170) 등과 함께 보조지지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제2부착판(180)을 구비한다.The sliding opening and
제1부착판(170)은 얇은 금속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170)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걸림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부(171)는 측면으로 오목하게 된 “ㄷ”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 부근에서 상단까지 연속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걸림부(171)는 경우에 따라 상단부근과 하단부근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170)의 하단 부근에는 제2걸림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걸림부(173)는 제1걸림부(171)와는 다른 높이로, 바람직하게는 제1걸림부(171)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부착판(170)에는 제1몸체(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안내부 고정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75)들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 부위에 토션 스프링(161)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172)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안내부 고정부재(150)는 안내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축부재(131)를 제1 부착판(170)에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완충재(133)가 설치된 축부재(131)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축부재결합공(151)이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 안내부 고정부재(150) 중 상측의 것에는 제3걸림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걸림부(153)는 제2몸체(120)를 제1위치로 이동시켜 닫았을 때, 제1몸체(110)에 설치된 제3걸림턱(123)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3걸림부(153)와 제3걸림턱(123)의 설치 개수와 위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고, 단지 제1몸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단 부근에서 서로 맞물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안내부(130)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힘을 받아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그리고 안내부에 안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안내부(130)에 많은 휨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여줄 수 있으면 된다.The
제2몸체(120)에 부착되는 제2부착판(180)은 상단 부근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턱(181)을 구비한다. 이 제1걸림턱(181)은 제1걸림부(171)에 맞물려 제1부착판(170)이 안내부(130)의 길이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제1걸림부(171)에 걸려 지지되어 안내부(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이동부재(140) 등 서로 연결된 요소들의 이탈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1걸림턱(181)은 제2몸체(120)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에 있을 때, 하단 부근의 제1걸림부(171)에 걸려 있도록 배치되고, 열린 위치인 제2위치에 있을 때 상단 부근의 제1걸림부(171)에 걸려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부착판(180)에는 제2걸림부(173)와 맞물려 작용하는 제2걸림턱(18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걸림턱(183)은 제2몸체(120)가 열린 위치인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제2걸림부(173)에 맞물 릴 수 있도록 제2부착판(180)의 하단 부근에만 형성되어도 되나,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걸림턱(181) 하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더 좋다.The
이 제2걸림턱(183)은 보조지지수단의 하나의 맞물리는 결합요소로서 안내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부(130)를 벗어날 수 있다. 제2부착판(180)이 안내부(130)를 벗어날 수 있는 길이는 제1부착판(180)의 길이보다 조금 작은 길이까지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장치보다 약 절반의 짧은 길이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catching
이 제2부착판(180)에는 작은 나사부재(185, 186)들을 이용해 제2몸체(120)와 이동부재(140)에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87, 188)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부착판(180)은 경우에 따라 제2몸체(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몸체(120)의 배면에는 제3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몸체(120)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로 복귀할 때 제3걸림부(153)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The third catching
그 외에 제2몸체(120)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2걸림부(173)가 제1몸체(110)의 사각홈(111) 위쪽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2몸체(120)가 슬라이딩 시 제2걸림부(173)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atching
상기와 같은 제1부착판(180), 안내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축부재(131), 안내부(130)의 양단을 제1부착판(170)에 지지하여주기 위한 안내부 고정부재(150), 축부재(131)의 양단에 결합되어 이동부재(140)의 충격을 완충하여주는 완충 재(133), 이동부재(1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이동편(141)들, 이동부재(140)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부재 작동부(16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161) 및 기타 부품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나사부재(155)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를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모듈(100a)을 구성한다.A guide part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위에서 설명한 제1걸림부(171) ~ 제3걸림부(153)와 제1걸림턱(181) ~ 제3걸림턱(123)은 안내부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주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분리되거나 안내부(130)에 휨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first catching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에서의 보조지지수단은 슬라이드식 휴대폰 등의 덮개 등을 구성하는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에서 닫히거나 열린 상태에서 안내부(130)의 길이방향 외의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요소들로서, 적어도 제1몸체(110)의 안내부(130)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걸림부(171), 안내부(130)의 타단 부근에 설치되고 제1걸림부(171)와 층을 이루며 제1걸림부(171)와 다른 높이로 설치된 제2걸림부(173), 안내부(130)의 일단 부근에 설치된 제3걸림부(153), 제2몸체(12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173)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2몸체(12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걸림부(171)의 상단부근에 맞물리는 위치의 제2몸체(120)에 설치된 1걸림턱(181), 제2몸체(12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173)에 맞물리는 위치의 제2몸체(120)에 설치된 제2걸림턱(173) 및 제2몸체(12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제3걸림부(153)에 맞물리는 위 치의 제2몸체(120)에 설치된 제3걸림턱(12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auxiliary support means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제1걸림부(171)는 안내부(130)의 일단에서 제2걸림부(173)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first catching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를 이용하여 결합한 휴대형 단말기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6 and 7 illustrate a portable terminal coupled by using the slid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결합한 휴대형 단말기의 제2몸체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휴대형 단말기의 제2몸체가 열린 위치인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using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losed position, and FIG. 7 is an open position of the second body of FIG.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the second posi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슬라이드폰 등의 덮개에 대응되는 제2몸체(120)를 제1몸체(110)에서 연 상태에서도 휴대형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2몸체(110)를 닫으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even when the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는 문자키나 버튼,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되는 데,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는다. Character keys, buttons, displays, etc. are installed in the
도 8은 제1위치에서의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위치에서의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a first posi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n a second position.
도 8에서, 토션 스프링(161)은 제거된 상태이며, 제2부착판(180)만 제1위치로 하강시킨 상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부착판(180)은 제1부착판(170)의 하단 부근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제1걸림턱(181)은 하단 부근의 제1걸림 부(171)에 맞물려 있다. 이 때, 제1걸림턱(181)은 제2걸림부(173)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상황에서 제2걸림턱(183)도 제2걸림부(173)에 맞물려 있으나, 제1걸림턱(181)과 이웃한 위치에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2부착판(180)에 큰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2걸림턱(183)은 제2부착판(180)의 하단 부근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제1걸림턱(181)과 제2걸림턱(183)이 이웃한 위치에서 맞물려 있어 큰 지지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 앞에서 설명한 제3걸림부(153)와 제3걸림턱(123)으로, 이들은 도 8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그 하반부 쪽에 제2부착판(180)이 결합되는 제2몸체(120)가 닫힌 상태에서, 안내부 고정부재(150)에 형성된 제3걸림부(15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몸체(120)의 배면 돌출부(122)에 형성된 홈 형태의 제3걸림턱(123)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어야 된다.In FIG. 8,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안내부(130) 등의 사용되는 부품들과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전체 길이가 짧으면서도 덮개 등이 닫힌 상태에서 안내부(130)의 상단 부근과 하단 부근에서 서로 큰 거리를 두고 각각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지지될 수 있어 안정적이다.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sliding opening and
도 9를 참조하면, 제2부착판(180)은 제2위치로 이동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제3걸림부(153)와 도 3의 제2몸체(120)에 설치된 제3걸림턱(123)의 결합은 해제되고, 제1걸림부(171)와 제1걸림턱(181)은 제1부착판(170)의 상단부근에서 서로 맞물리고, 제2걸림부(173)와 제2걸림턱(183)은 제1부착판(170)의 하단 부근에서 서로 맞물려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안내부(130),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길이가 짧으면서도 덮개 등이 열린 상태에서 안내부(130)의 상단 부근과 하단 부근에서 서로 큰 거리를 두고 각각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지지될 수 있어 안정적이다.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length of the
도 8과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몸체(12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안내부(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내부(130) 또는 이 안내부(130)가 설치되는 제1부착판(170)은 제2위치 쪽으로 치우쳐 제1몸체(110)의 상반부 부근에 설치되고, 반면에 제1걸림턱(181)과 제2걸림턱(183) 또는 이들이 설치되는 제2부착판(180)은 제1위치 쪽으로 치우쳐 제2몸체(120)의 하반부 부근에 설치된다.8 and 9, the
도 10은 도 6의 I - 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설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파단 사시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and FIG. 1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sliding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11에서, 제1부착판(170)은 제1몸체(110)에 작은 나사부재 등을 통해 고정되고, 제2부착판(180)은 나사부재(185)들을 통해 제2몸체(120)에 고정된다. 또, 제2부착판(180)의 하면으로는 나사부재(186) 등을 통해 이동편(141)들이 좌우로 각각 연결된다. 각 이동편(141)들은 하측이 개구된 원형단면의 원형홈(135)을 통해 축부재(13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편(141)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면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제1걸림부(171)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 측면돌출부(143)의 저면은 제1부착판(170)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토션 스프링(161)이 일단은 제1부착판(170)에 회동 가능케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양측의 이동편(141)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10 and 11, the first mounting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설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확대 종단면도이다.12 is an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그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곡률로 굽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덮개에 대응되는 제2몸체(320)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통화 시에 단말기는 굽은 형태로 되어, 단말기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부분은 사람의 귀 쪽에 가깝게, 그리고 단말기의 마이크가 설치되는 부분은 사람의 입 쪽에 가깝게 되어 통화가 편리하고 양호한 음질로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310), 제2몸체(320), 안내부(330)를 구성하는 축부재(331), 축부재(331)가 설치되는 제1부착판(370), 제2몸체(320)에 부착되는 제2부착판(380)을 대략 같은 곡률로 휘어지게 만들면 된다. 여기에 적용되는 제1몸체(310) 등의 곡률의 정도는 사람의 귀와 입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 12. In this case, the
특히, 축부재(331)는 제1몸체(310) 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제2몸체(320) 쪽으로 당기는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강도가 매우 크고, 이에 따라 튼튼한 제품을 만드는 데에도 유리하다.Particularly, since the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몸체(310)의 배면과 제2몸체(320)의 전면은 서로 접하는 부분의 곡률과는 다른 곡률로 형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몸체(310)의 배면과 제2몸체(320)의 전면은 직선으로 꺾인 형태 또는 전체가 직선인 형태로 하고 서로 접하는 부분과 그 사이의 부속품들만 굽은 형태로 하여도 된다.In some cases, the back surface of the
이 때 도 12에는 보이지 않는 이동부재 작동부를 구성하는 토션 스프링과 그 길이가 짧은 이동부재(340)는 곡률을 주어도 되지만 곡률을 주지 않아도 상관없다. 나머지 사항들은 이 실시 예 이전의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constituting the moving member operating portion and the short moving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예의 정면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배면분리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front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rear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앞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을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in some cases, the sliding opening /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 역시, 휴대형 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제2몸체가 제1몸체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부착판(470)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개폐모듈(400)을 얇게 구성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제1부착판(470)은 금속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부착판(470)은 휴대형 단말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제1몸체에 부착 되는 것으로, 하반부 중앙부위는 대략 4각 모양의 절개부(472)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부(4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부(430)는 휴대형 단말기의 덮개 등과 같은 제2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홈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430)는 경우에 따라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안내부(43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440)에 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sliding opening and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470)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본체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용 플랜지(47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 제1걸림부(471)가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471) 안쪽으로 마감부재(450)의 설치를 위한 구멍(475)이 형성되어 있다.As illustrated, fixing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470)의 하단부근에는 안내부(430)보다 높게 제2걸림부(473)가 형성된다. 이 제2걸림부(473)는 제1부착판(470)의 하단 부근이 안내부(430)보다 높게 절곡되고 결합구멍(474)들이 형성된 절곡부(473a)와 이 절곡부(473a)에 결합되는 보조부재(476)로 이루어진다. 보조부재(476)는 외주면에 결합구멍(474)에 결합되는 돌기(476a)들을 구비하고 “ㄱ”자 단면을 가지며 절곡부(47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걸림부(473)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하면은 안내부(430)의 내측 상면 높이와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안내부(430)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보조부재(476)의 하단에는 이동부재(440)가 제1부착판(470)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7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걸림부(473)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걸림부(473)의 설치위치와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부착판(470)의 상하 중간 부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거나 한 변에 2개 이상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catching
제1부착판(470)의 절개부(472)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이동부재 작동부(460)의 일단을 연결하기 위한 통공(477)들이 형성되어 있다.Through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은 이동부재(440)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재(440)는 안내부(430)에 결합되어 안내부(430)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안내부(430)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442)를 구비한다. 이 이동결합부(442)는 결합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30)가 안내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이동결 합부(442)는 결합홈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 이동부재(440)는 좌, 우 한 쌍의 이동편(440a)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동편(440a)의 상면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2부착판(48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44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편(440a)으로는 금속끼리의 마찰 방지, 금속끼리의 마찰에 따른 분진방지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의 윤활성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이동편(440a)은 서로 연결되어 또는 제1부착판(47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opening and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은 이동부재(440)의 위치에 따라 이동부재(440)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밀어주기 위한 이동부재 작동부(460)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재 작동부(460)는 제1부착판(470)과 이동부재(440) 사이에 설치하여도 되고, 이동부재(440)가 설치되는 제2부착판(480)과 제1부착판(470)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The sliding opening and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은 제2부착판(480)을 구비한다. 이 제2부착판(480)은 휴대형 단말기의 덮개, 슬라이더 등의 제2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481)들을 구비하고 있고, 상반부 중앙부근에 이동부재 작동부(460)를 설치하기 위한 2개의 통공(482)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sliding opening and
이러한 제2부착판(480)의 저면 상단부근 양측 가장자리에 이동편(440a)을 설치하기 위한 이동편고정부(48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치에 제1걸림턱(471)에 걸릴 수 있는 제1걸림턱(48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485)은 제2부착판(480)이 덮개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개방한 상태인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걸림부(471)에 걸리고 닫은 상태인 제1위치에서는 제1걸림부(471)에서 이탈되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있는 부분이다.A moving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착판(480)은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2걸림턱(486)을 구비한다. 이 제2걸림턱(486)은 제2걸림부(473)에 걸려 제2부착판(480), 제2부착판(480)이 고정되는 제2몸체 등이 외력을 받더라도 제1부착판(47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제2걸림턱(486)은 경우에 따라 하단 부근에만 형성하여도 되지만, 제1걸림턱(485)의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 제2부착판(480) 즉, 제2몸체의 이동가능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부착판(47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여도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걸림턱(485)은 제2부착판(480)이 설치되는 제2몸체가 닫힌 위치인 제1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473) 쪽으로 배치되고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473)에서 멀어진 위치의 제1걸림부(471)에 맞물려 제1부착판(470)이 고정되는 제1몸체에서 제2부착판(480)이 고정되는 제2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tching
그리고 제2걸림턱(473)은 제2부착판(480)이 고정되는 제2몸체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안내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부(430)를 벗어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걸림부(473)에 맞물려 제2몸체가 제1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제1위치에서도 제2걸림턱(486)이 제2걸림부(473)에 걸려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atching
위에서 설명한 제1부착판(470) 또는 제2부착판(480)은 경우에 따라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5는 제2부착판에 이동편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제2부착판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제2부착판의 정면사시도이다.FIG.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attachment plat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piece is coupled to the second attachment plate, and 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attachment plate.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440)를 구성하는 두 이동편(440a)은 제2부착판(4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부(430)에 이동 가능케 결합되는 이동결합부(442)는 제2부착판(48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이동편(440a)의 내측으로 제1걸림턱(471)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제2걸림턱(486)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two moving
도 17 ~ 도 20은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이 서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 제2부착판이 제1부착판에 결합되어 제1위치에 있는 상태, 제2부착판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 중인 상태 및 제2부착판이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7 to 20 show a state before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late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17 ~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부재(476)가 절곡부(473a)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부재(476)는 제2걸림부(473)와 안내부(430)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2부착판(480)이 제1부착판(470)에 결합되어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제1부착판(470) 바깥 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부(442)는 보조부재(476)의 하면이 구성하는 안내부(430)에 결합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제2부착판(480)의 제2걸림턱(486)은 보조부재(476)가 구성하는 제2걸림부(473)에 걸려있다. 즉, 제1위치에서 제2부착판(480)은 제1부착판(470)에 2중으로 걸려있어 제1부착판(470)과 제2부착판(480)을 분리하려는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견딜 수 있다.As shown in FIGS. 17 to 20, in a state in which the
이 상태에서 제2부착판(480)에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동결합부(442)는 안내부(430)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부착판(480)은 제2걸림턱(486)이 제2걸림부(473)에 걸린 상태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2부착판(480)이 제2위치까지 이동하면 이동편(440a)이 마감부재(450)에 걸리게 되고, 제2부착판(480)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1걸림턱(485)은 제1걸림부(471)에 맞물려 있는 상태로 되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걸림턱(486)은 제2걸림부(473)에 맞물려 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 이동편(440a)의 이동결합부(442) 역시 안내부(430)에 물려있는 상태이다. 즉, 제2부착판(480)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부착판(480)은 제1부착판(470)과 3중으로 맞물려 있게 되어 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2부착판(480)이 제1부착판(47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when a force is applied upwardly to the
도 21은 제2걸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제1부착판의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mounting plate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제1부착판(470)의 하단 부근을 내측으로 2단의 계단식으로 절곡하여 안내부(430)와 제2걸림부(473a)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보조부재를 여기에 결합하여 안내부와 제2걸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경우에 따라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걸림부(473b)를 안내부(430)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설치하고, 제2부착판(480)의 좌우 중간부위를 길게 절개하여 그 내측을 따라 제2걸림턱(486a)을 형성하여 제2걸림부(473b)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걸림부(473b)의 높이는 안내부(430)와 같게 하거나, 낮게 하거나, 높게 하고, 제2걸림턱(473b)을 그 높이에 맞추어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400a)을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절곡부를 높게 형성하고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윤활성 재료의 보조부재를 사용하여 마찰, 분진, 소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2걸림부(473b)를 구성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22, the second catching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470)에는 제2부착판(480)이 제1위치에 있을 때 그 저면을 받쳐주어 제2부착판(480)의 타단이 들리지 않도록 지지하여주는 받침부(47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제2걸림턱(486a)은 이동부재(440)의 이동가능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As illustrated, the first mounting
도 23은 제2걸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430)와 제2걸림부(473c)는 상하 2단으로 각각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24와 도 25는 제2걸림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4 and 25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걸림부(473c)는 제1부착판(470)의 상하 중간 부위의 가장자리에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 작동부(460a)는 앞 실시 예의 것과는 달리 평면상에서 좌우로 굴곡 되면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원호모양을 이루는 스프링 한 쌍을 이용해 구성하여도 된다. 이 이동부재 작동부(460a) 역시 일단은 제1부착판(47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제2부착판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4, the 2nd catching
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걸림부(473d) 2개 이상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도 되고, 그 이상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 작동부(460b)는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식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5, two or more 2nd catching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500)은 제1부착판(510)을 구비한다. 이 제1부착판(510)은 기기의 제1몸체 등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부(512)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부(512)에 이웃하여 안내부(5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1걸림부(51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512)는 양측 가장자리에 단이 지게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걸림부(514)는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며 개구가 내측을 향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부(514)의 적어도 일부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2부착판(5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안내부()를 벗어난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제1걸림부(514)의 내측에는 제1걸림부(514)의 안내를 받는 부분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플라스틱과 같은 윤활성재료로 만들어진 보조부재(516)가 장착되어 있다. 제1부착판(510)의 표면에는 휴대전화기 등의 본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518)들이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재(518)는 제1부착판(510)을 기기의 몸체 등에 조립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부착판(510)에는 작동부(530)의 동작을 위한 개구(52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 sliding opening and
도 26에는 제2부착판(55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2부착판(550)은 덮개, 뚜껑 등의 기기의 제2몸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그 일단 양측 가장자리에 안내부(512) 에 결합되어 안내를 받는 이동결합부(552)를 구비한다. 이 이동결합부(552)는 제1걸림부(514)에서와 같이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며 개구가 내측을 향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512)와 이동결합부(552)는 그 형상을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이 이동결합부(552)의 내측에도 바람직하게 안내부(512)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윤활성재료로 만들어진 보조부재(55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이동결합부(552)와 동일선상의 제1부착판(55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걸림턱(5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556)은 제1걸림부(514)에 결합되어 제2부착판(550)이 안내부(512)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 시 제1걸림부(514)의 안내를 받는 부분으로,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부착판(510)에서 이탈시키려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이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부착판(550)의 배면에는 휴대전화기의 덮개 등의 제2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558)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2부착판(550)에도 필요에 따라 개구(56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제1부착판(510)의 바깥 표면상에는 작동부(5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작동부(530)는 상, 하부캡(532, 534)과 상, 하부캡(532, 534) 내부에 내측단이 고정되고 그 팔이 외부로 노출된 두 토션스프링(53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팔의 일단은 지지핀(538)을 통해 제1부착판(51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팔의 타단은 지지핀(539)을 통해 제2부착판(55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완전 수동으로 제2부착판(55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 작동부(530)는 없어도 된다.The operating
같은 형태로 하여, 작동부(530)는 제2부착판(550)의 바깥 표면 쪽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same manner, the
도 27과 도28은 도 26의 변형 예가 적용된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27 and 2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apparatus to which the modification of FIG. 26 is applied.
도 27에는 휴대전화기 등의 기기를 구성하는 제1몸체(610), 제2몸체(620), 기판(630) 및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낸 슬라이딩 개폐모듈(500)은 안내부(512a)가 장공형태로 형성된 제1부착판(510)을 구비한다. 이 안내부(512a)에는 안내부(512a)와 마주보는 부위의 제2부착판(550)에서 돌출되어 안내부(512a)를 통과하여 제1부착판(510)의 배면에 걸리는 부분을 갖는 이동결합부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이동결합부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 제1부착판(510)의 일단에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ㄱ"자 형태의 제1걸림부(5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514)는 길게 형성되어도 되지만,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부착판(55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 부근이 하방으로 한번 꺾인 후 바깥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5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556)은 제1걸림부(51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시 안내를 받음과 동시에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이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1걸림턱(556)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위치에서 안내부(512a)를 많이 벗어나 있으며, 제2부착판(550)이 상방의 제2위치로 이동하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증가하며, 이 때 제1걸림턱(556)의 하단부는 제1걸림부(514)에 걸려서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즉 상단부는 안내부(512a)와 이동결합부가 서로 잡아주고, 하단부는 제1걸림부(514)와 제1걸림턱(556)이 서로 잡아주어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이 슬라이딩 방 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하 양측에서 서로 잡아주므로 안내부(512) 등이 모멘트를 받아도 파손되지도 않는다.27 illustrates a
이 실시 예에서 작동부(530)는 도 26에서와는 반대로 제2부착판(550)의 바깥 표면 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작동부(530)에 대한 설명은 도 26에서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500)이 제1몸체(6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로부터, 제1부착판(510)은 제1몸체(6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부착판(550)은 제2몸체(6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28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opening and
도 29는 도 2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도 26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26, and FIG.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26.
도 29와 도 30에 나타낸 제1부착판(510)은 그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제2부착판(550)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부(512)를 구비하고, 이 안내부(512)에 이웃하여 안내부(512)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된 제1걸림부(514)를 갖는다. 제1걸림부(514)는 도 2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제1부착판(510)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은 기기의 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518)이다.The
제2부착판(550)은 그 상단 양측에 안내부(512)에 결합되어 안내부(51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결합부(552)를 구비한다. 이 이동결합부(552)는 “ㄷ”자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안쪽에 안내부(512)의 턱부(513)에 걸리는 돌기(5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결합부(552)의 하측으로 제2부착판(55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걸림턱(5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556)은 제1걸림부(514)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26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단지 도 29의 제1걸림턱(556)은 단이 지게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부착판(550)의 배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은 스크루 등의 나사부재로 된 결합부재(558)이다. 이 제2부착판(550)에 필요에 따라 개구(560)가 형성될 수 있다.The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 사이에 작동부(530)가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530) 없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the
도 31은 도 29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부착판(5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단을 형성하지 않고 제1부착판(5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일자형태의 안내부(512)로 형성하고, 이동결합부(552)에 단(553)을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사항은 도 29와 동일하다.FIG. 31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29, and both edges of the
도 32는 도 31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도 32의 저면도, 도 34는 도 32의 배면 사시도, 도 35는 도 32의 분해도로, 제2부착판(550)의 위에 작동부(530)를 배치하고, 제2부착판(550)에 작동부(530)의 작동에 적합하도록 일측에 장공 형태의 개구(561)를 더 형성하고, 작동부(530)의 일단은 제1부착판(510)에, 타단은 제2부착판(550)에 각각 연결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에서 이동결합부(552), 제1걸림부(514) 등에 삽입되는 보조부재(516, 554), 결합부재(518, 538)의 분리된 형상을 알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31에서와 같다.FIG. 3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31, FIG. 33 is a bottom view of FIG. 32, FIG. 3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2, and FIG. 35 is an exploded view of FIG. 32, and operates on the
보조부재(516, 564)는 조립방식으로 이동결합부(552), 제1걸림부(514) 등에 결합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을 만들 때 처음부터 해당위치에 삽입하여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도 36은 도 3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배면 사시도이다.3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30, and FIG. 3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6.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작동부(530)는 제2부착판(550)의 배면, 즉, 제1부착판(510) 반대편의 제2부착판(550) 표면에 배치하고, 작동부(530) 양단을 지지핀(538, 539)을 통해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에 각각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안내부(512)와 이동결합부(552)의 결합모습은 도 37을 보면 알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3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36, in some cases, the
도 38은 도 27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에서 작동부를 제외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는 도 38의 저면도이다.FIG. 3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excluded from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 27, and FIG. 39 is a bottom view of FIG. 38.
도 38과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500)는 작동부 없이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안내부(512a)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552a)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부착판(550)에서 제1부착판(510)을 향해 돌출되어 장공형태의 안내부(512a)를 통과한 후 끝단이 양측 바깥쪽으로 꺾인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물론, 이동결합부(552a)의 끝단은 안쪽으로 꺾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좌우 양측 모두에 걸리는 형태로 구성하여도 된다. 나머지 사항은 도 2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38 and 39, the sliding opening and
도 40은 도 28의 작동부가 제1부착판과 제2부착판 사이에 설치된 예를 나타 낸 사시도이고, 도 41은 도 40의 저면도, 도 42는 도 40의 배면도, 도 43은 도 40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4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ng part of FIG. 28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ounting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FIG. 41 is a bottom view of FIG. 40, FIG. 42 is a rear view of FIG. 40, and FIG. 43 is FIG. 40. Back perspective view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 사이에 작동부(530)를 배치하여 그 일단은 제1부착판(510)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고, 그 타단은 제2부착판(550)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모듈(50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내부(512a)는 제1부착판(510)에 양측으로 평행하게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이동결합부(552b)는 도 41 내지 도 4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부착판(550)에서 장공 형태의 안내부(512a)를 통과하여 제1부착판(510) 배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된 부분이 제1부착판(510)의 배면 안내부(512a)의 양측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결합부(552b)는 제1부착판(510) 배면에서 장공 형태의 안내부(512a)를 통해 제2부착판(55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결합부(552b)는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514)와 제1걸림턱(556)은 도 2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shown, the
도 44는 도 4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의 저면도이다.4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40, and FIG. 45 is a bottom view of FIG. 44.
도 44와 도 45는 제1부착판(510)과 제2부착판(550) 사이에 캡이 없는 작동부(530a)를 한 쌍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안내부(512a)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552a)가 “ㄴ”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40 내지 도 4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44 and 45 show that a pair of
도 46은 도 32의 슬라이딩 개폐모듈이 제1몸체에 설치된 상태에의 사시도이 다.FIG. 4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of FIG. 32 installed in the first body.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판(510)은 결합부재(518)를 통해 제1몸체(610)에 결합되어 있고, 제1부착판(510)에는 이동결합부(552)와 제1걸림턱(556)을 통해 제1부착판(510)의 안내부(512)와 제1걸림부(514)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제2부착판(550)에 기기의 덮개, 뚜껑 등의 제2몸체가 부착된다. 작동부(530)의 일단은 지지핀(539)을 통해 제1부착판(51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지지핀(538)을 통해 제2부착판(55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 first mounting
제1부착판(510)이 제1몸체(6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안내부(512)는 제1몸체(510)에서 제2부착판(550)이 부착되는 제2몸체 쪽으로 돌출된 후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꺾여지거나, 안내부(512) 밑으로 홈을 형성하여 제2몸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일자 또는 “ㄷ”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때 이동결합부(552)는 제2몸체 쪽에서 제1몸체(610) 쪽으로 돌출된 후 꺾여져 안내부(512)에 결합되어 안내부(512)의 안내를 받도록 “ㄷ” 자 또는 일자 형태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mounting
위에서 설명한 제1부착판 또는 제2부착판은 인서트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plate or the second attachment plate described above may be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ttachment plate or the second attachment plate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도 29 내지 도 46에서 안내부가 장공형태로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걸림부는 이동결합부가 한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안내부가 장공형태로 된 실시 예에서는 안내부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Except that the guide is installed in the long hole form in Figure 29 to 46, the first locking portion also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movable coupling portion can be moved further in one direction.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guide portion is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e guide portion also serves as a stopper.
도 47은 캡을 갖는 작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4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part with a cap;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530)는 상부캡(532), 고정돌기(533)를 갖는 하부캡(534) 및 한 쌍의 토션스프링(536)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동부(530)는 토션스프링(536)을 구성하는 와이어가 겹쳐지지 않으므로 와이어가 겹쳐지는 종래의 토션스프링에 비해 두께를 줄일 수 있다.As shown, th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슬라이딩 개폐모듈은 안내부와 이에 관련된 부품의 길이를 종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약 1/2정도의 길이까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dramatically reducing the length of the guide portion and related components to about half the length of the convention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의 연결부를 제거하고, 축부재의 끝단을 단이 지게 형성하여 작은 직경의 완충재를 이용하고, 이동편에 일측이 개구된 홈을 형성하여 축부재에 결합하고, 길이가 짧아지므로 슬라이딩 개폐장치 또는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두께도 많이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is removed, the end of the shaft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end is used with a buffer of a small diameter, th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piece to be coupled to the shaft member, the length is Since it becomes shorter,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switch or the sliding switch module can be greatly reduced.
안내부로 축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딩 개폐장치 또는 슬라이딩 개폐모듈의 두께를 더 많이 줄일 수 있고,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도 줄어든다.When the shaft member is not used as a guide,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switch or the sliding switch module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number of parts used is also reduced.
그리고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모듈의 길이가 줄어듦에 따라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의 덮개 등을 작동시켜 연 상태에서도 안내부를 구성하는 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품의 디자인이 수월하고 부품배치도 쉽다.And as the length of the sliding switch and the module is reduced, the shaft member constituting the guide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cover of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so that the design of the product is easy and the parts are easily 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모듈은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외력에 쉽게 휘어지지 않고, 이에 따라 안내부가 휘어지거나 홈의 간격이 줄어들지 않아 휴대형 단말기의 덮개 등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bent due to the external force because of its short length, and thus the guide portion is not bent or the gap of the groove is reduced so that the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smoothly.
그리고 굽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굽은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는 슬라이드식이면서도 송, 수화기가 사람의 입과 귀에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양호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And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bent form and the bent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makes it possible to make a good call by allowing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to be close to the mouth and ears of the person.
뿐만 아니라 굽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굽은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는 축부재가 제1몸체부 쪽으로 휘어져 있어 제2몸체부 쪽으로 당기는 힘에 큰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 튼튼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rved form and the curve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the shaft member is bent toward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great resistance to the pulling force toward the second body portion to make a durable product There is also an advantage.
Claims (4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451 | 2006-01-24 | ||
KR20060007451 | 2006-01-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7791A true KR20070077791A (en) | 2007-07-27 |
KR100837148B1 KR100837148B1 (en) | 2008-06-12 |
Family
ID=3850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7474A KR100837148B1 (en) | 2006-01-24 | 2007-01-24 |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sliding module for the device and part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7148B1 (e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1045B1 (en) * | 2004-04-21 | 2006-04-14 | 주식회사 엠투시스 | Sliding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
KR20050027654A (en) * | 2003-09-16 | 2005-03-2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
KR100587773B1 (en) * | 2003-10-30 | 2006-06-09 | (주)쉘-라인 | Portable phone having a slinding part curvedly extending |
KR100599870B1 (en) * | 2003-11-20 | 2006-07-13 | (주) 프렉코 | A mobile terminal |
KR20040104358A (en) * | 2004-04-26 | 2004-12-10 | 주식회사 우영 |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with smooth sliding structure |
KR100703150B1 (en) * | 2004-10-13 | 2007-04-05 |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 Small slide hinge module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
JP2006270804A (en) * | 2005-03-25 | 2006-10-05 | Kato Electrical Mach Co Ltd |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device and cellular phone |
KR100640446B1 (en) * | 2005-04-21 | 2006-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2007
- 2007-01-24 KR KR1020070007474A patent/KR10083714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7148B1 (en) | 2008-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5114B1 (en) | module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100617690B1 (en) |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709652B1 (en) | Folding cellular phone | |
EP2034700A1 (en) |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1662754B1 (en) |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KR20100018697A (en) |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with built-in key pad | |
KR100837148B1 (en) |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sliding module for the device and parts thereof | |
JP4668216B2 (en) | Sliding mobile terminal | |
KR100741492B1 (en) | Relay type hinge module for slide portable terminal | |
KR100580104B1 (en) |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mobile phone | |
KR200419120Y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KR100669990B1 (en) | Elastic spring for a slim type slide module | |
KR200394697Y1 (en) |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 | |
KR20100123063A (en) | Slim type slide module and slid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 |
KR20090104401A (en) | Sliding device of a mobile phone | |
KR100853659B1 (en) |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 |
KR100966554B1 (en) | Mobile phone for slide type | |
KR200411625Y1 (en) | Slim Sliding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 |
KR101038930B1 (en) | Slide type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12188B1 (en) | Slide hinge module and portable phone comprising it | |
KR100800678B1 (en) |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353355Y1 (en) | module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 |
KR19980014749U (en) | Flip cover switchgear of portable cordless phone | |
KR200355886Y1 (en) |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 |
KR100678065B1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