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254A - 현수막 거치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254A
KR20070076254A KR1020060005418A KR20060005418A KR20070076254A KR 20070076254 A KR20070076254 A KR 20070076254A KR 1020060005418 A KR1020060005418 A KR 1020060005418A KR 20060005418 A KR20060005418 A KR 20060005418A KR 20070076254 A KR20070076254 A KR 2007007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rotating member
rotation
fixing pa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130B1 (ko
Inventor
박기호
Original Assignee
업텍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업텍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업텍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거치시키는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중량체로 구성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이 고정되는 현수막지지봉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회전범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수막 거치대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도 1은 종래의 현수막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현수막 거치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대의 결합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대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표시된 Ⅵ-Ⅵ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지지체 11 : 힌지부재
20 : 회전부재 21 : 제1고정부
22 : 제2고정부 30 : 현수막지지봉
40 : 스토퍼 50 : 복귀수단
51 : 레일부재 52 : 휠부재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에 바람이 부는 경우 현수막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현수막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유인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킨 현수막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광고방법에는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방법, 아크릴간판을 이용한 광고방법,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방법 등이 있으나,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방법이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다는 이유로 최근 들어 그 사용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현수막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바람이 없는 날 실외에 설치되거나 실내에 설치되는 현수막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현수막(3)의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텐션바(1)들을 연결설치하고 이들 텐션바(1)를 지지대(2)에 의해서 거치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통상 실외에 설치되는 거치대로서, 텐션바(1)에 의해 현수막(3)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물통과 같은 중량의 웨이트(5)를 설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현수막 거치대들은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 제품들로서, 현수막이 어느 한 방향만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현수막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유인하는 효과가 미진하여 광고효과적인 측면에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바람이 부는 경우 그 바람에 의해 현수막이 회전됨으로써 그 움직임에 의해 현수막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유인하여 현수막에 의한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수막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거치시키는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중량체로 구성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이 고정되는 현수막지지봉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회전범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부재를, 그 회전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어느 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와,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 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와,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 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제2 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상면은 중앙부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낮은 곡면으로 되어 있는 레일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제2고정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레일부재의 상면과 구름접촉하는 상태로 이동되는 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정해진 어느 한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대의 결합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현수막 거치대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표시된 Ⅵ-Ⅵ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는 하부지지체(10), 회전부재(20), 현수막 지지봉(30), 회전범위제한수단, 복귀수단(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10)는 상기 현수막 거치대의 최하단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물을 포함하고 있는 물통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하부지지체(1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11)는 볼트(12)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체(1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20)는, 상기 하부지지체(10)상의 힌지부재(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재이다. 상기 회전부재(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베어링(15)이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재(11)와 상기 회전부재(20)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그 회전이 원활히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20)에는 제1고정부(21)와 제2고정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21)는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중심축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부(22)는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22)는 상기 제1고정부(21)와 마찬가지로 끼움공의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21)와 제2고정부(22)는 끼움공의 형태로서,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을 그 끼움공에 삽입시킴으로써 고정하는 형태이나,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수단 예컨대, 상기 제1고정부(21)와 상기 제2고정부(22)는 그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끼움공의 형태이고,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의 상기 고정부(21,22)에 결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현수막 지지봉(30)과 상기 나사부와 나사홈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은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다. 상기 현수막 지지 봉(30)은 끼움공 형태의 상기 두 개의 고정부(2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봉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은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1)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을 제1고정부(21)와 제2고정부(22)중 어느 고정부에 고정시키느냐는 광고의 성격이나 광고주의 취향 등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한편, 현수막 지지봉(30)은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되어야 하므로 현수막 지지봉(30)과 회전부재(20)의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에는 현수막(3)이 고정되는데 그 고정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텐션바(3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현수막(3)을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에 고정하는 수단은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범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부재(20)의 제한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범위제한수단은 하부지지체(10)의 상부에 그 상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40)이다.
상기 복귀수단(50)은 상기 회전부재(20)를, 그 회전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한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현수막(3)이 도 3에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기 복귀수단(50)은 레일부재(51)와 휠부재(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일부재(51)는 상기 하부지지대(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상기 회전부재(20)의 제2고정부(22)의 하방에 있다. 상기 레일부재(51)의 상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낮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휠부재(52)는 상기 회전부재(20)의 제2고정부(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휠부재(52)와 상기 회전부재(20)사이에는 상기 휠부재(52)를 하방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휠스프링(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휠부재(52)는 상기 레일부재(51)의 상면과 구름접촉하는 상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레일부재(51)의 양 측단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레일부재(51)의 양 측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높이가 상기 레일부재(51)의 양측의 높이보다 더 높은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체(10)의 상부에 커버(7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현수막 지지봉(30)에 현수막(3)을 고정시킨 상태로 회전부재(20)에 결합한다. 상기 회전부재(20)에는 끼움공 형태의 제1고정부(21)와 제2고정부(2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은 상기 제1고정부(21) 또는 제2고정부(22)에 끼워질 수 있는 봉형태이므로 두 개의 고정부(2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상 기 현수막 지지봉(30)을 끼움으로써 현수막 지지봉(30)을 회전부재(20)에 결합시킨다.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이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게 되면, 그 바람의 힘에 의해 현수막(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현수막(3)은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현수막 지지봉(30)은 다시 상기 회전부재(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20)는 하부지지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현수막 지지봉(30)이 회전함으로써 그에 고정된 현수막(3)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부재(20)가 바람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복귀수단(5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어느 한 위치, 즉 현수막(3)이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회전부재(20)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에 의해 휠부재(52)가 레일부재(51)의 상면에 구름접촉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일부재(51)는 그 중앙부의 높이가 가장 낮고 양측의 높이가 높은 곡면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상기 휠부재(52)가 양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중앙부쪽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휠부재(52)가 상기 레일부재(51)상에서 이동할 때 항상 휠부재(52)가 레일부재(52) 상에 구름접촉되어야 하는 요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휠스프링(53)에 역할이 된다. 상기 휠부재(52)가 상기 레일부재(51)의 양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휠스프링(53)이 압축되고, 상기 휠부재(52)에 상기 레일부재(51)의 중앙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휠스프링(53)이 복원되어 상기 휠부재(52)가 항상 상기 레일부재(51)에 구름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은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부재(20)에 고정된 현수막 지지봉(30)과 현수막(3)이 원하지 않는 방향을 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건물을 지나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그 건물의 입구측에 현수막이 설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건물의 정면을 등진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어 있던 현수막이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180°회전하는 경우에는 현수막의 뒷면만이 현수막 주변의 사람들에게 노출되게 되어 광고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20)가 회전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현수막(3)이 특정한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회전을 일정범위내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부재(20)의 회전각의 제한은 상기 레일부재(51)의 양측에 마련된 스토퍼(4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토퍼(40)는 그 높이가 상기 레일부재(52)의 양측부의 높이보다 높은 직육면체 블록형태의 벽이므로, 상기 휠부재(52)가 상기 스토퍼(40)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그 이동이 제한되게 되고, 상기 휠부재(52)의 이동의 제한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현수막(3)에 바람이 부는 경우 그 바람의 힘에 의해 현수막(30)과 현수막 지지봉(30)에 의해 연결된 회전부재(20)가 회전됨으로써 현수막(3)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그러한 움직임에 의해 현수막(3)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시선을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간략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현수막 거치대 역시 하부지지체(10), 회전부재(20), 현수막 지지봉(30), 회전범위제한수단, 복귀수단(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10), 회전부재(20), 현수막 지지봉(30)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범위제한수단은 상기 하부지지체(10)의 상부에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블럭(41)이다. 상기 회전부재(20)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블럭(41)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20)의 회전을 일정범위내로제한하게 된다. 상기 블럭(41)의 상기 회전부재(20)와 접촉하는 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부재(20)와 상기 블럭(41)의 접촉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귀 복귀수단(50)은 스프링(55)과 스프링 고정부(5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55)은 상기 회전부재(20)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탄성가압한다. 상기 스프링(5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사용되며, 그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20)의 제2고정부(22)측 단부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56)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2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들(55)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은 압축되고, 나머지 하나의 스프링은 인장되게 되는데 그 압축과 인장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20)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복귀하게 된 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20), 회전범위제한수단, 복귀수단(50)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다 깔끔한 인상을 주게 되어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에서는 복귀수단을 포함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복귀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귀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복귀수단으로서 레일부재와 휠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와 스프링 및 스프링 고정부를 사용한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귀수단으로서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설시된 구성을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재를 그 회전범위 내에 미리 설정된 어느 한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성이 어떠한 것이라도 그러한 구성을 포함한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복귀수단의 일 구성요소로 설시된, 인장코일 스프링 이외에도 다양한 탄성체,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에서는 현수막 지지봉과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회전부재에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마련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두 개의 고정부가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고정부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다양한 현수막 거치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이 부는 경우 그 바람에 의해 현수막이 회전됨으로써 그 움직임에 의해 현수막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유인하여 현수막에 의한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Claims (5)

  1. 현수막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거치시키는 현수막 거치대에 있어서,
    중량체로 구성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현수막이 고정되는 현수막지지봉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회전범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그 회전범위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어느 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와,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 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와, 그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현수막 지지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제2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상면은 중앙부의 높이가 양측의 높이보다 낮은 곡면으로 되어 있는 레일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제2고정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레일부재의 상면과 구름접촉하는 상태로 이동되는 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지지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정해진 어느 한 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대.
KR1020060005418A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거치대 KR10078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418A KR100786130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418A KR100786130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254A true KR20070076254A (ko) 2007-07-24
KR100786130B1 KR100786130B1 (ko) 2007-12-21

Family

ID=3850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418A KR100786130B1 (ko) 2006-01-18 2006-01-18 현수막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326B1 (ko) * 2021-09-01 2022-08-23 주식회사 무새 이동성이 개선된 간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60B1 (ko) * 2013-08-21 2014-02-12 하태길 가로등 회전윈드배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69B1 (ko) * 2004-04-14 2006-07-03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광고대
KR200409840Y1 (ko) 2005-12-09 2006-03-03 고경훈 회전 광고판 스탠드용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포함하는회전 광고판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326B1 (ko) * 2021-09-01 2022-08-23 주식회사 무새 이동성이 개선된 간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30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1700A (ko) 이동이 용이한 광고용 입간판
KR100786130B1 (ko) 현수막 거치대
KR200490288Y1 (ko) 바람충격에 지지 가능한 스탠드형 광고시트 거치대
KR200410843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1391918B1 (ko) 움직이는 배너 광고장치
KR101954522B1 (ko) 회전형 깃발 광고장치
KR20110055493A (ko) 옥내 공간을 활용한 동영상 광고 장치 및 그 광고 방법
US4176486A (en) Advertising display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2372184B1 (ko) 입체형 애드벌룬 및 그 입체형 애드벌룬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419016Y1 (ko) 회전 광고판 스탠드용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포함하는회전 광고판 스탠드
KR20120008005A (ko) 움직이는 배너 광고장치
KR200409840Y1 (ko) 회전 광고판 스탠드용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포함하는회전 광고판 스탠드
KR102178365B1 (ko) 배너 광고 장치
JP2006235458A (ja) 広告媒体
KR200231597Y1 (ko) 광고대
CN211529510U (zh) 一种广告箱
AU2012100287A4 (en) Pivoting display sign
KR200274986Y1 (ko) 광고 장치
KR200465088Y1 (ko) 외벽설치용 돌출형 간판지지장치
JP2000019999A (ja) 可搬式看板
CN215376854U (zh) 一种支撑稳定的图文广告牌
CN210722340U (zh) 一种宣传栏
KR200394541Y1 (ko) 광고물 거치대
Huang When does the public look at public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