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46A -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46A
KR20070075546A KR1020060003930A KR20060003930A KR20070075546A KR 20070075546 A KR20070075546 A KR 20070075546A KR 1020060003930 A KR1020060003930 A KR 1020060003930A KR 20060003930 A KR20060003930 A KR 20060003930A KR 20070075546 A KR20070075546 A KR 2007007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shing
unit
controll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546A/ko
Publication of KR2007007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중 적어도 입력부가 상기 기계장치 본체의 일면에 있어 상부 또는 적어도 한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세탁기, 조작부, 위치변경

Description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A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Changeable Type Controller}
도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은 도2에 나타난 건조기에서 조작부가 본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도2에 나타난 건조기에서 조작부가 본체에 취부된 상태에서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5는 도2에 나타난 건조기에서 커버패널이 본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본체, 101 : 전면 프레임
102 : 상부프레임 103 : 나사체결홈
104 : 슬롯 105, 305 : 데코플레이트
110 : 조작부 111 : 놉(knob)
112 : 입력 버튼 113 : 조작부 패널
114 : 조작부 커넥터 115 : 나사체결홈
116 : 나사 117 : 돌기
120 : 커버패널 121 : 나사체결홈
130 : 메인제어부 131 : 메인제어부 상부 커넥터
141 : 메인제어부 하부 커넥터
143 : 나사체결홈 144 : 슬롯
220, 320 : 커버패널
본 발명은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중 적어도 입력부가 상기 기계장치 본체의 일면에 있어 상부 또는 적어도 한 측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 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전조 내부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 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회전조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펄세이터식, 교반식, 드럼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 장치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의 전면 상부 측에는 사용자가 세탁제어를 위한 기능 입력키 및 남은 시간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갖춘 컨트롤러(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3)에는 다수의 버튼(31)과 표시창(32), LED창(33) 및 로터리 놉(5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버튼과 로터리 놉(50)은 세탁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장치로써, 세탁시간, 세탁방법의 선택, 탈수 및 건조방식을 선택할 때 이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코스 및 시간등을 입력시키게 된다.
LED창(33)은 점멸을 통해, 그리고 표시창(32)은 문자나 기호를 통해 세탁진행 상태 및 잔류시간등 각종 세탁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계장치로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도1의 드럼세탁기와 같이 콘트롤러가 본체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
위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는 콘트롤러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있는 곳으로부터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높은 곳에 위치한 콘트롤러의 입력부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 이외에도 입력에 따라 또는 콘트롤러의 본체 제어에 따라 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 레이부를 고개를 젖히고 보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세탁기와 의류건조기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에 양자를 옆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사용에 편리하지만,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위로 배치된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의 콘트롤러를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장치는 콘트롤러가 상부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기계장치와 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콘트롤러의 사용이 불편하다. 예컨대, 세탁기와 건조기를 옆으로 나란히 배치한 경우에 그 콘트롤러들은 모두 상부에 위치되어 옆으로 길게 배치된 형태이어서 사용자의 작업 동선을 길게하는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세탁기와 건조기의 콘트롤러가 바로 인근에 모여 있다면 사용에 편리할 것이다.
또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구석진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 콘트롤러는 구석의 바깥쪽 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예컨대, 세탁기 또는 건조기를 오른쪽 구석에 배치하는 경우 콘트롤러는 좌측부에 설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종래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는 배치 장소의 조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배치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있어 적어도 콘트롤러의 입력부는 상부뿐만 아니라 측 부에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변경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을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 측면에서 좋은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기계장치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콘트롤러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세탁기와 건조기를 세트로 구비하여 설치하는 경우 콘트롤러 위치를 조화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도 편리하고 미관에도 좋은 효과를 내도록 한다. 예컨대, 세탁기와 건조기를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좌측으로 배치되는 세탁기의 콘트롤러는 우측에 설치하고, 우측으로 배치되는 건조기의 콘트롤러는 좌측에 설치하여 콘트롤러들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부, 좌측부, 우측부 등 3곳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부, 좌측부, 우측부, 하부 등 4곳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입력부가 어느 한 곳에 설치된 경우 다른 한 곳이나, 두 곳 또는 세 곳에는 커버패널을 설치한다.
또한, 입력부만이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한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함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피시비(PCB) 기판 등과 같은 그 구체적인 세부구성에 있어서도 일체로 통합되어 형성될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세부 구성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하우징과 같은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세부 구성품에 있어서도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각각의 피시비(PCB) 기판이 통합되어 하나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가 엘시디(LCD) 창을 통한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엘시디 창은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있어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 메인제어부는 본체 내부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입력부와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메인제어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모두 함께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 모두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한다 함은 위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메인제어부를 함께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 메인제어부와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선들의 배치 문제가 수월해 진다. 메인제어부를 한 곳에 고정 설치하고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만 이동시킨다면 그 전기선들의 배치 작업이 까다로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취부구조라 함은 그 취부 대상, 예컨대, 입력부를 본체에 취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며, 어떤 특정한 형태의 취 부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종래에 사용되던 취부구조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형태의 취부구조라도 무방하다. 다만,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구조를 선택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 또는 본체에 취부구조를 마련하여 입력부를 본체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선택적으로 취부시킴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에는 별도의 취부구조를 마련하지 않고, 입력부에 취부구조에 상응하는 자석을 구비시키고,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상기 본체에 취부될 수도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이러한 경우에라도 본체에 상기 입력부가 취부될 수 있는 자리로서 취부구조를 마련하고, 이와 같은 입력부 및 본체의 취부구조를 통해 입력부가 상기 본체에 취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본체라 함은 콘트롤러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콘트롤되어 그 장치의 본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을 말한다. 예컨대, 콘트롤러에 대해서 세탁기 본체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콘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대상물이 세탁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예컨대, 모터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족하다. 또 다른 예로서, 콘트롤러에 대한 건조기 본체라 함은 건조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2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기 본체(100)의 상부에 콘트롤러의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부, 우측부 및 하부에는 커버패널들(220, 320, 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110) 및 커버패널들(220, 320, 120)은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이하게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서로 위치 바꿔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부(11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커버패널들(220, 320, 120)이 설치된 본체(100)의 좌측부, 우측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커버패널들(220, 320, 120)은 상기 조작부(110)가 설치되었던 본체(10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은 도2의 조작부(110)가 본체(100) 상부에 취부되는 그 조립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의 메인제어부(130)가 본체(100) 내에 설치되고,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110)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제어부(130)가 조작부(110)와는 분리 형성되어 본체(100)에 설치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제어부(130)가 상기 조작부(110)와 함께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실시형태는 본 실시형태로부터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3에 보이듯이, 조작부(110)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로서 각종 버튼과 놉(knob) 등이 설치되어 있고, 메인제어부(130)로 부터 신호를 받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엘시디(LCD) 창 또는 엘이디(LED)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버튼, 놉, 엘시디 및 엘이디 등등은 조작부 피시비(PCB)(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는 조작부 패널(113)에 설치된다. 여기서, 조작부 피시비는 입력부 만을 위한 입력부 피시비와 디스플레이부 만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피시비가 분리 형성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입력부 피시비 및 디스플레이부 피시비는 하나의 피시비로 통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조작부 패널(113)에는, 본체(100)에 마련된 조작부 상부취부구조(103, 104), 조작부 좌측부취부구조(미도시), 조작부 우측부취부구조(미도시), 또는 조작부 하부취부구조(143, 144)에 취부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나사체결홈(115)이, 타측에는 결합을 위한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 좌측부취부구조 및 조작부 우측부취부구조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작부 상부취부구조(103, 10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조작부 상부취부구조(103, 104)는 본체(100)의 상부프레임(102) 중 일측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03)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된 돌기(117)와 결합될 수 있는 슬롯(104)을 포함한다.
도4는 상기 조작부(110)가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상태 및 본체(100)와의 결합 상태에 대한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3을 함께 참조하여 조작부(110)가 본체(100) 상부에 어떻게 취부되는가를 설명한다.
먼저, 본체(100)의 전면 캐비넷(101)에 상부프레임(102)이 결합되어 설치되며, 본체(100)의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부(110)는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대해 약간 좌측으로 어긋나 배치된 후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17)는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형성된 슬롯(104)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기(117)는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이 절곡된 형태이고, 슬롯(104) 또한 그에 맞게 절곡된 상태이어서, 상기 돌기(117)와 슬롯(104)이 결합된 이 후 조작부(110)는 본체(100)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02)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03)과 조작부 패널(113)에 형성된 나사체결홈(115)에 나사를 끼워 결합시키면 조작부(110)의 취부는 확고한 상태가 된다.
조작부(110)가 본체(100)의 상부에 위와 같이 취부된 상태에서 외관을 위해 데코플레이트(105)가 설치될 수 있다.
도5는 본체(100)의 하부에 커버패널(120)이 설치되는 조립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커버패널(12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 패널(113)과 같이 나사체결홈(121) 및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커버패널(120)의 이와 같은 취부구조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조작부 패널(113)의 그것과 다르게 별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5에 보이듯이,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102)에 대응하여 하부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102)과 마찬가지로 슬롯(144)과 나사체결홈 (1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커버패널(120)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방법은 위에서 조작부(110) 특히 조작부 패널(113)이 상기 상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10)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방법 또한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10)는 커버패널(220)이 설치된 조작부 좌측부취부구조에 설치될 수도 있고, 커버패널(320)이 설치된 조작부 우측부취부구조자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설치방법은 상기 상부취부구조(103, 104)에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체(1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110)와 본체(100) 내에 설치되고 있는 메인제어부(1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대해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인제어부(130)에는 상기 조작부(11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신호선 및 전원선 등이 연장되어 나와 상기 상부프레임(102)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제어부 커넥터(131, 141)와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기 조작부 좌측부취부구조 및 조작부 우측부취부구조에도 마련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110)에는 마찬가지로 전원선 및 신호선이 연장되어 나와 조작부 커넥터(114)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30)와 상기 조작부(110)는 메인제어부 커넥터(131, 141)와 조작부 커넥터(114)의 연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10)의 버튼 등 입력부를 통해 건조 조건을 입력하면 메인제어부(130)는 그 입력에 따라, 이를 엘시디창 또는 엘이디 등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건조기 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메인제어부(130)에는 일반적으로 마이컴과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드럼 내로 공급될 공기를 데우는 히터 및 상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드럼 내로 송풍하기 위한 블로워(blower) 등등을 제어하여 건조기로 하여금 건조를 수행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첨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따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실시예 이외에도 많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와 같은 다른 다양한 실시 형태는 상기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10)가 본체(10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부는 그대로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채, 입력부 만이 본체(1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것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 형성하여 각각 별도로 본체(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있어 적어도 콘트롤러의 입력부는 상부뿐만 아니라 측부에도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변경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을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 측면에서 좋은 효과를 낸다.
아울러, 기계장치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콘트롤러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다.
또한, 세탁기와 건조기를 세트로 구비하여 설치하는 경우 콘트롤러 위치를 조화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도 편리하고 미관에도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예컨대, 세탁기와 건조기를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좌측으로 배치되는 세탁기의 콘트롤러는 우측에 설치하고, 우측으로 배치되는 건조기의 콘트롤러는 좌측에 설치하여 콘트롤러들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다.

Claims (12)

  1.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2. 본체와;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구조는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 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상기 메인제어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취부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조작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구조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하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상부나,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좌측부나,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우측부나, 또는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때, 다른 곳에 설치되는 커버패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구조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본체의 측면들 중 어느 일면에 있어 하부에도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1020060003930A 2006-01-13 2006-01-13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20070075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30A KR20070075546A (ko) 2006-01-13 2006-01-13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30A KR20070075546A (ko) 2006-01-13 2006-01-13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46A true KR20070075546A (ko) 2007-07-24

Family

ID=3850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30A KR20070075546A (ko) 2006-01-13 2006-01-13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6984A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KR20090096946A (ko) 드럼 세탁기
US2009002543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US7269979B2 (en) Set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rear cover assembly thereof
KR101275202B1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20070075543A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20070067976A (ko) 적층 구조의 복합세탁장치 및 이를 구성할 수 있는건조기와 세탁기
KR10103715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AU2007205397B2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CN101171385A (zh) 具有位置可变的控制器的洗衣或烘干机
KR101275201B1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101306699B1 (ko)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세탁장치
KR20070075546A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20070067977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및 이를 포함한복합세탁장치
KR101306698B1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RU2363788C1 (ru) Стиральная или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 сменным положением
KR20070075544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75547A (ko) 외부입력부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75545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101275200B1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77928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77927A (ko)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20070067468A (ko) 더블 콘트롤러 입력부를 갖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기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세탁장치
KR101306693B1 (ko) 세탁 장치
KR20130044609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