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916A -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916A
KR20070074916A KR1020060003051A KR20060003051A KR20070074916A KR 20070074916 A KR20070074916 A KR 20070074916A KR 1020060003051 A KR1020060003051 A KR 1020060003051A KR 20060003051 A KR20060003051 A KR 20060003051A KR 20070074916 A KR20070074916 A KR 20070074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tatic
communication terminal
static memory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0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916A/ko
Publication of KR2007007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할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수단의 소정의 영역을 자주 사용되는 크기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보다 큰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할당함으로써, 효율적인 동적 메모리 할당 기법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의 단편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실제 가용한 메모리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 할당 또는 해제에 따른 실행 시간을 단축하여, 실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적 메모리, 메모리 할당, malloc, 정적 메모리, 핸드폰

Description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COMMUNICATION DEVICE OF EFFICIENTLY ALLOCATING DYNAMIC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상태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단말기
110: 메모리 수단
120: 메모리 상태 테이블
130: 메모리 비교부
140: 메모리 할당 관리부
150: 어플리케이션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할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수단의 소정의 영역을 자주 사용되는 크기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보다 큰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할당함으로써, 효율적인 동적 메모리 할당 기법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 증가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제품의 특성상 메모리 용량을 PC(Personal Computer)만큼 크게 구현할 수 없는 통신 단말기들에도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를 채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들 중에서 브라우징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그 특성상 그 제품의 사용자들이 내장된 메모리를 확장할 수 없으므로 한정된 메모리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 특히 브라우징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브라우징 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페이지마다 다양한 사이즈의 동적 메모리 공간 할당을 요구하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에 단순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을 적용할 시에는 메모리 부족현상이라는 시스템적 문제에 도달한다. 그 결과 시스템이 죽거나(hangup) 재부팅(reboot)된다. 종래에는 부족한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내부 단편화 또는 외부 단편화된 메모리를 합병하는 등 종래 PC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해결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한정된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자원을 통해 구현하기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즉, 메모리 할당 또는 해제에 사용되는 시간이 실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에 비해 상당한 시간이 소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동적 메모리 할당 방법을 통해 항상 실제 메모리의 용량보다 더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동적 메모리 할당에 대한 기술적 사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모리의 단편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실제 가용한 메모리의 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할당 또는 해제에 따른 실행 시간을 단축하여, 실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된 메모리 수단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분할된 각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과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분할된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의 용량보다 큰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의 용량인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 수단(110), 메모리 상태 테이블(120), 메모리 비교부(130), 및 메모리 할당 관리부(140)을 포함한다.
메모리 수단(110)은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된다. 통신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단말기 등과는 달리 유사한 크기의 메모리를 빈번하게 할당하고 해제한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은 상기 빈번하게 할당되는 크기의 메모리로 설정된다. 일예로, 통신 단말기(100)가 빈번하게 할당하는 동적 메모리의 크기가 10Kbyte, 15Kbyte, 및 20Kbyte 인 경우, 정적 메모리 구역은 10Kbyte, 15Kbyte, 및 20Kbyte 의 연속된 복수의 메모리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수단(110)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상태 테이블(120)은 메모리 수단(110)에 분할된 각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사용상태 플래그 정보 및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에서 헤더 크기를 제외한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메모리 상태 테이블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상태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상태 테이블(200)은 정적 메모리 구역 필드, 크기 정보 필드, 및 사용상태 플래그 등의 상태 정보를 기록한 다.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 필드는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구역 식별 정보를 유지한다. 즉, 도 2에서 메모리 상태 테이블(200)은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구역 식별 정보로 '구역 #1', '구역 #2', 및 '구역 #3'을 기록한다. 즉, 빈번하게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은 각각 식별되는 복수의 구역 식별 정보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크기 정보 필드는 상기 각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응되는 크기 정보를 기록한다. 일예로, '구역 #1'에 대응되는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는 1Kbyte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메모리 상태 테이블(200)은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사용상태 플래그를 기록한 사용상태 플래그 필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현재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로 상기 사용상태 플래그 필드는 '사용' 또는 '미사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일예로, '구역 #1'에 대응되는 사용상태 플래그 필드는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에서, 메모리 비교부(130)는 어플리케이션(150)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과 메모리 상태 테이블(120)에 분할된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메모리 할당 관리부(140)는 메모리 상태 테이블(120)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의 용량보다 큰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의 용량인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메모리 상태 테이블(120)에 기록한다. 일예로, 어플리케이션(150)으로부터 1Kbyte의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메모리 할당 관리부(140)는 상 기 1Kbyte 보다 큰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가장 작은 정적 메모리 구역을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할당한다. 이는 메모리 사용에 있어서, 내부 단편화 또는 외부 단편화의 문제를 예방함과 더불어, 동적 메모리 할당에 따른 할당/해제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 관리부(140)는 어플리케이션(150)으로부터 메모리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의 기록을 삭제하고, 상기 사용상태 플래그를 '사용'에서 '미사용'으로 설정 변경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50)이 사용하던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은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150)의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은 메모리 수단(110)의 30%의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110)의 나머지 70%의 영역은 종래 동적 메모리 할당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는 사용자 또는 통신 단말기의 제작자가 통신 단말기(100)의 용도 또는 사용 연령층 등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단계(301)에서,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된 메모리 수단을 유지한다. 정적 메모리 구역은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에서 자주 할당되는 특정 동적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용량의 시스템 자원이며, 메모리 수단의 소정치 크기가 상기 복수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은 상기 메모리 수단의 30%의 영역이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는 전체 가용한 메모리 용량 중에서 30%의 메모리 용량을 복수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하고, 어플리케이션에 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유지한다(단계(302)).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 수단에 분할된 각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일예로,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은 소정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크기 정보 및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기록하고, 상기 소정의 정적 메모리 구역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경우,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현재 상태는 '사용' 상태로 설정 변경된다.
단계(3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과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분할된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를 비교한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단계(304)에서,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의 용량보다 큰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의 용량인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할당한다.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자주 할당 요청하는 소정의 크기로 분할되었으며, 상기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할당 요청된 상기 메모리의 용량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동적 메모리 할당에 따른 불필요한 메모리의 낭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3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할당된 상기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기록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은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사용' 상태로 설정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의 단편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실제 가용한 메모리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 할당 또는 해제에 따른 실행 시간을 단축하여, 실제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의 단편화 문제를 최소화하여 실제 가용한 메모리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할당 또는 해제에 따른 실행 시간을 단축하여, 실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처리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적 메모리 구역으로 분할된 메모리 수단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분할된 각각의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 용량과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분할된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 요청에 따른 메모리의 용량보다 큰 용량의 정적 메모리 구역 중에서 최소의 용량인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제1 정적 메모리 구역을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은 상기 메모리 수단의 30%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상태 테이블은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에 대한 사용상태 플래그 정보, 상기 정적 메모리 구역에서 헤더 크기를 제외한 크기 정보를 상태 정보로써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060003051A 2006-01-11 2006-01-11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070074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51A KR20070074916A (ko) 2006-01-11 2006-01-11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051A KR20070074916A (ko) 2006-01-11 2006-01-11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916A true KR20070074916A (ko) 2007-07-18

Family

ID=3850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051A KR20070074916A (ko) 2006-01-11 2006-01-11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9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689B2 (en) 2010-05-14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689B2 (en) 2010-05-14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60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source
US8627029B2 (en) Methods for managing files according to application
US8429666B2 (en) Computing platform with resource constraint negotiation
WO2017054610A1 (zh) 计算机、服务质量控制方法及装置
US8838926B2 (en) Interacting with data in hidden storage
RU246022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амяти во встроенных системах или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330265B2 (en) Method for component access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303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ache
US20040003188A1 (en) Deferred memory allocation for application threads
JP2007026094A (ja) 実行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10048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browser processes according to a selected browser process mode
US200201039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files associated with a virtual server
EP4328705A1 (en) Storage space arran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0544471C (zh) 扩展移动终端的存储空间的方法和系统
CN106354718B (zh) 用户识别模块的文件管理方法及装置
US8423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verse memory access schemes
KR20070074916A (ko) 효율적으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7681009B2 (en) Dynamically updateable and moveable memory zones
EP2077498B1 (en)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device
CN114070820B (zh) 一种域名重定向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082691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할당 방법
JP2007267106A (ja) 基地局装置及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KR100758282B1 (ko) 비트맵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080448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memory of terminal device
US200501983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eting a given content throughput using at least one memory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