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368A -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368A
KR20070073368A KR1020060001157A KR20060001157A KR20070073368A KR 20070073368 A KR20070073368 A KR 20070073368A KR 1020060001157 A KR1020060001157 A KR 1020060001157A KR 20060001157 A KR20060001157 A KR 20060001157A KR 20070073368 A KR20070073368 A KR 2007007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s
seal
substrate
substrates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종
전백균
윤용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368A/ko
Publication of KR2007007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킨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은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중 표시영역에 액정을 적하하고, 주변영역에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기판과 다른 제2 기판 중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액티브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고, 실런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실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제1 및 제2 기판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들 및 제2 기판에 형성된 실런트가 서로 결합되어 실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표시패널을 제조하는데 소용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실 스페이서, 액티브 스페이서, 인쇄판, 인쇄롤러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 중 제2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기판 200 : 제2 기판
300 : 액정층 350 : 액티브 스페이서
400 : 실라인 410 : 실런트
420 : 실 스페이서 500 : 표시패널
600 : 인쇄판 610 : 스페이서 수납홀
612 : 내부 수납홀 614 : 외부 수납홀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킨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평판 표시장치인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적고, 낮은 구동전압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스위칭(switching)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 마주보며 배치되며 컬러필터가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에 형성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주변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셀갭을 유지시키는 액티브 스페이서와,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액정층에 형 성된 액정을 밀봉하는 실라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라인은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을 결합시키는 실런트와,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을 소정의 셀갭으로 유지시키는 실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액정 주입방식 및 액정 적하방식이 있다. 상기 액정 주입방식은 진공상태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두 기판 사이로 상기 액정을 주입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반면, 상기 액정 적하방식은 상압에서 상기 두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상기 실라인을 도포하고, 다른 한 기판에 상기 액정을 적하(dropping)한 후, 진공상태에서 상기 두 기판을 결합(assembling)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액정 적하방식은 상기 액정 주입방식에 비해 매우 짧은 공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므로,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최근에 주로 사용된다.
이때, 종래의 액정 적하방식은 상기 실라인을 상기 두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도포하기 전에, 상기 실런트에 상기 실 스페이서를 혼합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제조할 때, 상기 실런트에 상기 실 스페이서를 혼합하는 단계를 거칠 경우,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 스페이서의 배치방법을 변경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 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제1 기판, 제2 기판, 액정층, 복수의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실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은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셀갭을 유지시킨다. 상기 실라인은 상기 주변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액정층을 밀봉하는 실런트와, 상기 실런트 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셀갭을 유지하고,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와 동시에 형성된 복수의 실 스페이서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은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중 상기 표시영역에 액정을 적하하고, 상기 주변영역에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과 다른 제2 기판 중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액티브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고, 상기 실런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실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이때,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인쇄롤러에 의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롤러에 의해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들 및 제2 기판에 형성된 실런트가 서로 결합되어 실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실런트에 실 스페이서들을 혼합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의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500)은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액정층(300),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라인(400)을 포함한다. 이때, 표시패널(50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R1) 및 표시영역(AR1)의 외곽에 형성된 주변영역(A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제1 기판(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기판(100)은 제1 투명기판(110), 게이트 배선(미도시), 데이터 배선(미도시), 스토리지 배선(미도시), 게이트 절연막(120), 박막 트랜지스터(TFT), 보호막(130) 및 화소전극(140)을 포함한다.
제1 투명기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투명기판(110)은 예를 들면, 유리(Glass), 석영(Quartz), 사파이어(Sapphir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테르케톤(Poly ether ketone)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제1 투명기판(110) 상에는 제1 방향으로 복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복수의 데이터 배선(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스토리지 배선(미도시)들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20)은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스토리지 배선을 덮도록 상기 제1 투명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20)은 일례로, 산화 실리콘(SiOx)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의 투명한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절연막(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면, 상기 데이터 배선은 게이트 절연막(120)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 및 상기 데이터 배선들이 서로 수직하게 교차됨에 따라, 제1 기판(100) 중 표시영역(AR1)에는 복수의 단위화소(pixel)들이 정의된다. 상기 각 단위화소 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화소전극(140)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상기 각 단위화소 내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 액티브층(A) 및 오믹콘택층(O)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G)은 상기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다. 소스 전극(S)은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겹치도록 형성된다. 드레인 전극(D)은 소스 전극(S)과 마주보도록 소스 전극(S)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겹치도록 형성된다. 드레인 전극(D)은 콘택홀(132)을 통해 화소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액티브층(A)은 게이트 전극(G)과,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 사이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G)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오믹콘택층(O)은 액티브층(A)과 소스 전극(S)의 사이 및 액티브층(A)과 드레인 전극(D)의 사이에 형성된다.
보호막(13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외부의 열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상기 각 단위화소 내로 길게 연장된 드레인 전극(D)의 상부에는 보호막(130)의 일부가 개구되어 콘택홀(132)이 형성된다.
화소전극(140)은 상기 각 단위화소 내에 형성되며, 투명하면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화소전극(14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콘택홀(13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충전된다. 이렇게 충전된 화소전극(140)은 상기 스토리지 배선에 의해 상기 구동전압이 유지된다.
화소전극(140)은 일례로, 산화주석인듐 박막(Indium Tin Oxide film, ITO), 산화아연인듐 박막(Indium Zinc Oxide film, IZO), 아몰퍼스 산화주석인듐 박막(amorphous Indium Tin Oxide film, a-ITO) 등을 노광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패터 닝(patterning)되어 형성된다.
이어서, 제2 기판(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기판(200)은 제2 투명기판(210), 차광막(black matrix), 컬러필터(240), 평탄화막(250) 및 공통전극(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광막은 내부 차광막(220) 및 외부 차광막(230)을 포함한다.
제2 투명기판(2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2 투명기판(210)은 제1 투명기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차광막(220)은 제2 투명기판(210) 중 표시영역(AR1)의 일부에 형성되어 광의 이동을 차단한다. 내부 차광막(220)은 제1 기판(100)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스토리지 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과 대응되도록 제2 투명기판(210) 상에 형성되어,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광의 이동을 차단한다. 내부 차광막(220)은 제1 기판(100)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차광막(220)은 일례로, 불투명한 무기물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크롬(Cr)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차광막(230)은 제2 투명기판(210)의 주변영역(AR2)에 형성되어 광의 이동을 차단한다. 외부 차광막(230)은 내부 차광막(2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차광막(230)은 주변영역(AR2)을 따라 형성되어 폐루프(close loop)를 이루고, 외부 차광막(230)의 폭은 2mm ~ 3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필터(240)는 내부 차광막(220)을 덮도록 제2 투명기판(210)의 표시영역(AR1)에 형성된다. 컬러필터(240)에는 일례로,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등이 있다.
평탄화막(250)은 컬러필터(240) 및 외부 차광막(230)을 덮도록 제2 투명기판(210)의 전 영역에 형성된다. 평탄화막(250)은 컬러필터(240) 및 외부 차광막(230) 등에 의해 울퉁불퉁한 표면을 평탄화시킨다. 평탄화막(250)은 일례로, 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진다.
공통전극(260)은 평탄화막(250) 상에 형성된다. 공통전극(26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산화주석인듐 박막(Indium Tin Oxide film, ITO), 산화아연인듐 박막(Indium Zinc Oxide film, IZO), 아몰퍼스 산화주석인듐 박막(amorphous Indium Tin Oxide film, a-ITO)으로 이루어진다. 공통전극(260)은 외부로부터 공통전압이 인가되어 화소전극(140)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액정층(300)은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에 개재되며,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는 액정들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액정층(300)은 제1 기판(100)의 화소전극(140) 및 제2 기판(200)의 공통전극(260)의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재배열된다.
액티브 스페이서(active spacer, 350)는 복수개가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의 셀갭(cell gap)을 유지시킨다. 액티브 스페이서(active spacer, 270)들은 표시영역(AR1)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내부 차광막(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액티브 스페이서(350)는 일례로, 구 형상을 갖고, 상기 구의 지름은 약 4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티브 스페이서(3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례로 고분자 유기물질인 다이비닐 벤젠(Divinyl Benzene)으로 이루어진다.
실라인(400)은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에 개재되며, 주변영역(AR2)을 따라 폐루프를 이룬다. 즉, 실라인(400)은 외부 차광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실라인(400)은 주변영역(AR2)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들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액정들을 밀봉한다.
실라인(400)의 폭은 1mm ~ 1.6mm의 범위를 갖고, 바람직하게 1mm ~ 1.2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라인(400)은 실런트(410) 및 실 스페이서(420)를 포함한다.
실런트(410)는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를 서로 결합시킨다. 실런트(410)는 일례로, 메인 수지, 충진제(filler), 결합제(coupling agent) 및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수지에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있고, 상기 경화제에는 자외선 경화제, 적외선 경화제 등이 있다.
실 스페이서(420)는 복수개가 실런트(410)의 내부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셀갭을 유지시키고, 일례로 구 형상을 갖는다. 이때, 실 스페이서(420)의 지름은 액티브 스페이서(350)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약 4.2um ~ 4.3um의 범위를 갖는다. 실 스페이서(420)는 일례로 고분자 유기물질인 다이비닐 벤젠(Divinyl Benzene)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액티브 스페이서(350) 및 실 스페이서(420)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 중 제2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은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영역(AR1) 상에 배치된다.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은 소정의 개수로 그룹화되어 복수의 단위블럭들을 형성한다. 이때,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은 7개 내지 8개로 그룹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티브 스페이서(350)에 의한 단위블럭들은 표시영역(AR1)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내부 차광막(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실 스페이서(420)들은 주변영역(AR2)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실런트(410) 내에 개재된다. 실 스페이서(420)들은 주변영역(AR2)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복수의 폐루프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폐루프들 중 어느 하나의 폐루프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420)들은 상기 폐루프와 인접하는 다른 폐루프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420)들의 사이, 즉 중간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 스페이서(420)들은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와 같이 소정의 개수로 그룹화되어 복수의 단위블럭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 스페이서(420)들이 실런트(410)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의 셀갭을 보다 균 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500)은 제2 기판(200)이 차광막 및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표시패널(500)은 제1 기판(100)이 차광막 및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COA(color filter on array)구조 및 그 외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COA(color filter on array)구조 및 그 외 다른 구조를 갖는 표시패널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의 실시예>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상기 도면들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인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납홈(610)들을 구비하는 인쇄판(600)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수납홈(610)들은 내부 수납홈(612)들 및 외부 수납홈(614)들을 포함한다. 이때, 인쇄판(600)은 표시영역(AR1) 및 표시영역(AR1)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AR2)으로 구분할 때, 내부 수납홈(612)들은 표시영역(AR1)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수납홈(614)들은 주변영역(AR2)에 적어도 하나의 폐루프를 이루며 형성된다. 일례로, 외부 수납홈(614)들은 주변영역(AR2)을 따라 4개의 폐루프들을 이루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외부 수납홈(614)들은 주변영역(AR2)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의 인쇄판에 스페이서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부 수납홈(612)들에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을 채우고, 외부 수납홈(614)들에 실 스페이서(420)들을 채운다. 이때, 내부 수납홈(612)들에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을 채우는 것을 먼저 수행하고, 나중에 외부 수납홈(614)들에 실 스페이서(420)들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각 내부 수납홈(612)에는 7개 내지 8개의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이 수납되고, 각 외부 수납홈(614)에는 한 개의 실 스페이서(420)가 수납된다. 이와 다르게, 각 외부 수납홈(614)에는 복수의 실 스페이서(420)들이 수납될 수도 있다.
한편, 내부 수납홈(612)들 및 외부 수납홈(614)들에는 소정의 잉크(650)도 함께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 수납홈(612)들에 수납된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외부 수납홈(514)들에 수납된 실 스페이서(420)들의 외표면에는 잉크(650)가 덮여진다. 이때, 잉크(650)는 소정의 점성을 갖고, 열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인쇄판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인쇄롤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쇄롤러(660)를 회전시켜 인쇄롤러(660)의 표면에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을 부착시킨다. 즉, 인쇄롤러(660)를 인쇄판(600)의 표면과 맞닿도록 회전시켜, 내부 수납홈(612)들로부터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을, 외부 수납홈(614)들로부터 실 스페이서(420)들을 인쇄롤러(660)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의 표면에 형 성된 잉크(650)가 점성을 가짐에 따라,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은 인쇄롤러(660)의 표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인쇄롤러에 부착된 스페이서를 제1 기판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쇄롤러(660)를 회전시켜, 인쇄롤러(660)의 표면에 부착된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을 제1 기판(100) 상에 배치시킨다. 이때에도,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의 표면에 형성된 잉크(650)가 점성을 가짐에 따라,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은 제1 기판(100)의 표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내부 수납홈(612)에 수납된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은 표시영역(AR1)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 수납홈(614)에 수납된 실 스페이서(420)들은 주변영역(AR2)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롤러(660)에 의해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을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제1 기판(100) 상에 배치시키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을 컬러필터가 형성된 제2 기판(200) 상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제1 기판 상에 실런트를 형성하고 액정을 적하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기판(200) 상에 실런트(410)를 형성하고, 액정 뭉치(310)를 적하한다. 실런트(410)는 주변영역(AR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폐루 프를 이룬다. 액정 뭉치(310)는 제2 기판(100) 중 표시영역(AR1)의 여러 곳에 적하한다. 이때, 액정뭉치(310)는 다량의 액정이 뭉쳐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액티브 스페이서(350)들 및 실 스페이서(420)들이 컬러필터가 형성된 제2 기판(200) 상에 배치될 경우, 제1 기판(100) 상에 실런트(410)를 형성하고, 액정 뭉치(310)를 적하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1 및 제2 기판을 결합하여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서로 결합한다. 이때, 제2 기판(200) 상으로 적하된 액정뭉치(310)들은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를 이동하여 액정층(300)을 형성한다. 이때, 실 스페이서(420)는 실런트(410)의 내부에 개재됨에 따라, 실라인(400)을 형성한다. 실라인(400) 중 실런트(410)는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서로 결합시키고, 실 스페이서(420)는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를 소정의 셀갭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실라인(400)은 액정층(300) 내의 액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의 사이를 밀봉한다.
이어서, 결합된 제1 및 제2 기판(100, 200)으로 소정의 열을 인가하여 실런트(410)를 경화시킨다. 이때, 실런트(410)가 열경화될 때,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의 표면에 형성된 잉크(650)도 함께 경화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이 부착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롤러(660)를 통해 제1 기판(100)의 표시영역(AR1)에 액티브 스페이서(350)들을 배치시킬 때, 제1 기판(100)의 주변영역(AR2)에 실 스페이서(420)들을 배치시키고,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결합시킬 때, 실 스페이서(420)들을 실런트(410)와 결합시켜 실라인(400)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종래의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중 실런트(410)에 실 스페이서(420)들을 혼합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롤러를 통해 기판 상에 액티브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킬 때, 실 스페이서들을 함께 배치시키고, 나중에 제1 및 제2 기판을 결합시킬 때, 실 스페이서들을 실런트와 결합시켜 실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실런트에 실 스페이서들을 혼합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 스페이서들이 실런트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셀갭을 보다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셀갭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주변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액정층을 밀봉하는 실런트와, 상기 실런트 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셀갭을 유지시키고,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와 동시에 형성된 복수의 실 스페이서들을 갖는 실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복수의 폐루프들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폐루프들 중 어느 하나의 폐루프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어느 하나의 폐루프와 인접하는 다른 폐루프에 배치된 실 스페이서들의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는 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의 지름은 4um ~ 5um 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라인의 폭은 1mm ~ 1.2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7.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감싸는 주변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 기판 중 상기 표시영역에 액정을 적하하고, 상기 주변영역에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과 다른 제2 기판 중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액티브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고, 상기 실런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실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복수의 폐루프들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실 스페이서들은 인쇄롤러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실 스페이서들을 배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내부 수납홈들 및 상기 주변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외부 수납홈들을 구비하는 인쇄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부 수납홈들에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을 채우고, 상기 외부 수납홈들에 상기 실 스페이서들을 채우는 단계;
    상기 인쇄롤러를 상기 인쇄판 상에서 회전시켜 상기 인쇄롤러의 표면에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실 스페이서들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쇄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들 및 상기 실 스페이서들을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스페이서 및 상기 실 스페이서의 표면에는 열 경화성 잉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60001157A 2006-01-05 2006-01-05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3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157A KR20070073368A (ko) 2006-01-05 2006-01-05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157A KR20070073368A (ko) 2006-01-05 2006-01-05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368A true KR20070073368A (ko) 2007-07-10

Family

ID=3850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157A KR20070073368A (ko) 2006-01-05 2006-01-05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3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0516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61953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74364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color filters having overcoat layer thereover formed on substrate except for fourth color filter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US8004635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1841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301281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070009761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40042411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JP200220251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121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41337A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82164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450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6243A (ko)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표시기판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US92504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having greater chemical affinity for a first thin film than for a first alignment layer
KR20120018978A (ko)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WO2011145258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60859B1 (ko) Gip 타입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79141A (ko) 표시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스페이서 인쇄장치
JP20081395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9858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3368A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26801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75727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00447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