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85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850A
KR20070071850A KR1020050135637A KR20050135637A KR20070071850A KR 20070071850 A KR20070071850 A KR 20070071850A KR 1020050135637 A KR1020050135637 A KR 1020050135637A KR 20050135637 A KR20050135637 A KR 20050135637A KR 20070071850 A KR20070071850 A KR 2007007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control part
user
voic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순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1850A/ko
Publication of KR2007007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음성과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표현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정 음성데이터 및 특정 문자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음성/문자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통화 중인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인식된 내용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내용이 상기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 감성, 음성 인식, 문자 인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method for expressing emotion of mobile phone}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사시도 및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00: 본체
112: 숫자/문자 키버튼 113: 마이크 홀
114: 음량버튼 116: 표준접속단자 슬롯
117: 카메라 렌즈 118: 플래시
119: 적외선 통신단자 120: 슬라이더
121: 키버튼 122: 평판 표시기
123: 스피커 홀 130: 안테나
140: 배터리 팩 143: 충전단자
150: LED 패널 210: 제어부
220: 무선주파 송/수신부 230: 키 입력부
232: 기능키 234: 숫자/문자키
240: 메모리 242: 프로그램 저장부
242a: 음성인식 프로그램 저장부 242b: 문자인식 프로그램 저장부
244: 데이터 저장부 244a: 특정 음성데이터 저장부
244b: 특정 문자데이터 저장부 250: 음성신호 처리부
252: 마이크 254: 스피커
260: 평판 표시기 구동부 270: 진동 발생부
272: 진동모터 274: LED 구동부
280: 카메라 구동부 282: CCD 카메라
284: 영상 처리부 286: 적외선 송/수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음성과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표현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고도 한다.)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 이외에도 숫자 및 문자를 이용하여 80byte 즉, 한글 40~50자, 영문 80자 정도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보다 긴 문장의 작성이 가능하며 음, 영상 등을 첨가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및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송신자가 수신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보이스 이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일명 소리샘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가입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가입자가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발신 잠금 기능 설정시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의 음성을 암호로 설정하는 음성 암호 설정 기능, 사용자의 음성을 문자로 자동 변환하여 시각 장애자나 일반인이 운전중에 SMS 또는 MMS를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음성/문자 변환 기능(Speech to Text; STT) 및 SST와는 반대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 내용을 읽어 주는 문자/음성 변환 기능(Text to Speech; TTS) 등과 같은 음성/문자 인식 기술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도입되고 있다.
한편, 체온, 맥박수 또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과값을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도록 된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대응되는 음성이나 음악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이 2001년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9826호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체온, 맥박수 또는 수분의 양과 같은 수치적인 값으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복합적인 감성 상태 즉, 기쁨, 슬픔, 분노 또는 긴장 등을 정확하게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되는 이 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감성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은 특정 음성데이터 및 특정 문자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음성/문자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통화 중인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인식된 내용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내용이 상기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와 배면도인바,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과 구조의 단말기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줄여서 ‘단말기’라고도 한다)(100)는 크게 주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10)와 평판 표시기(122)를 탑재한 채로 본체(11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10)의 전면에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숫자/문자 키버튼(112)이 배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하트 모양으로써 호나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 발생시에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 패널(150)이 부착되어 있는 안테나(130) 및 외부의 다른 통신 기기와 적외선 통신(IrDA)을 하는데 사용되는 적외선 통신소자(119)가 배치되며, 하부의 적소에는 내부의 마이크와 연통되어 있는 마이크 홀(113)이 천공되어 있다. 본체(110)에는 또한 배면의 적소, 예를 들어 상부에는 카메라 렌즈(117) 및 야간 촬영시의 조명을 위한 플래시(1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배터리팩(140)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10)의 하면에는 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본체(110)에 결합된 배터리팩(140)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이 전달되는 표준접속단자 슬롯(116)이 구비된다.
한편, 슬라이더(120)의 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조작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문자나 그래픽 요소 및 정지 화상과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기(122)가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선택 또는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기능 키버튼(121)이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120)의 적소, 예를 들어 평판 표시기(122)의 상부에는 내부의 스피커와 연통되어 있는 스피커 홀(123)이 천공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14는 음량 버튼을 나타내고, 143은 배터리팩(140)의 하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단자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 기적인 구성은 안테나(130)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주파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 숫자/문자 키버튼(112)과 기능 키버튼(121)의 조작시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키 입력부(232)와 숫자/문자키 입력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입력부(230), 호 또는 메시지 수신에 따른 LED 패널(150) 구동 방법 등과 같은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저장부(242)와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모리(240), 외부의 음파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52),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254), 마이크(25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54)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50), 평판 표시기(122)를 구동시키는 평판표시기 구동부(260),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로 동작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272)와 그 구동부(270), LED 패널(150)을 구동시키는 LED 구동부(274),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적외선을 발사하고 외부로부터 발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IrDA 송/수신부(286) 및 이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본체(110)나 슬라이더(120)의 적소에 설치되는 CCD 카메라(282),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CCD 카메라(282)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280), CCD 카메라(28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84) 및 GPS 위성으로부터 발사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 여 단말기의 절대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처리부(미도시)가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데이터 저장부(244)는 특정 음성데이터 저장부(244a)와 특정 문자데이터 저장부(244a)를 포함하는바, 특정 음성데이터 저장부(244a)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 즉, 희로애락(喜怒哀樂)과 관련된 낱말을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나, 욕설이나 비속어를 나타내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특정 문자데이터 저장부(244b)에는 상기 특정 음성데이터 저장부(244a)에 저장된 내용과 상응하는 문자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저장부(242)는 음성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a)와 문자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b)를 포함하는바, 음성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a)에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를 통한 통화 음성의 내용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문자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b)에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를 통한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하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242)에 저장된 문자인식 프로그램과 음성인식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통화 음성 또는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244)에 저장된 문자데이터나 음성데이터가 발견되면, 미리 정해진 방식대로 LED 패널(150)를 구동시키거나, 발견된 특정 문자나 특정 음성에 상응하는 이미지나 이모콘티를 평판 표시기(122)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을 나 타내는 흐름도이며, 주체는 제어부(210)임을 밝혀둔다.
먼저, 단계 S11에서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를 통해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데, 판단 결과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문자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b)에 저장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인식한다. 다음 단계 S15에서는 상기 단계 S13에서 수신된 문자 메시지 중에서 특정 문자데이터 저장부(244b)에 저장된 문자(이하 특정 문자)가 발견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15에서의 확인 결과, 특정 문자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1로 진행하며, 반면에 특정 문자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단계 S17로 진행하여 미리 정해진 구동 방법대로 LED 패널(150)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수신된 문자 내용중 기쁨이 연상되는 낱말 즉, '사랑', '행복' 등이 발견되면, 다수의 하트 모양인 LED 패널(150)의 각각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킨다. 또한, 욕설이나 비속어를 나타내는 낱말이 발견되면, LED 패널(150)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모두 점등시킨다. 다음 단계 S19에서는 평판 표시기(122)를 통해 미리 정해진 이미지나 이모콘티를 표시하고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린 후 단계 S57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문자가 기쁨과 관련된 낱말인 경우, 환하게 웃는 형상의 이모콘티나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에서의 판단 결과,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5로 진행하여 문자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b)에 저장된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송 신 예정인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인식한다. 다음, 단계 S27에서는 단계 S25에서의 문자 메시지 중에서 특정 문자데이터 저장부(244b)에 저장된 특정 문자가 발견되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27에서의 확인 결과, 특정 문자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1로 진행하며, 반면에 특정 문자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단계 S29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S17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미리 정해진 구동 방법대로 LED 패널(150)을 구동시킨다. 다음 단계 S31에서는 상기 단계 S19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평판 표시기(122)를 통해 미리 정해진 이미지나 이모콘티를 표시하며, 단계 S33에서는 상기 단계 S27에서 발견된 특정 문자가 욕설이나 비속어인지를 판단한다. 단계S33에서의 판단 결과 욕설이나 비속어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41로 진행하며 반면에, 욕설이나 비속어인 경우에는 단계 S35로 진행하여 일단, 문자 메시지 송신을 중지하고 사용자에게 욕설 또는 비속어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평판 표시기(122)를 통해 표시하여 가급적 송신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다음, 단계 S37에서는 문자 메시지의 송신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확인 결과 문자 메시지를 편집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9로 진행하여 문자 메시지 편집창을 표시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재작성할 수 있도록 한 후, 단계 S23로 복귀한다. 반면 단계 S37에서의 확인 결과,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1로 진행하여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측에 전송한 후 단계 S57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3에서의 판단 결과,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키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호 수신 또는 발신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확인 결과 호 수신 또는 발신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55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는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단계 S43에서의 확인 결과, 호 수신 또는 발신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5로 진행하고, 단계 S45에서 통화가 연결된 경우에는 단계 S47로 진행하여 음성인식 프로그램 저장부(242a)에 저장된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통화 중인 음성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다음, 단계 S49에서는 단계 S47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에서 특정 음성데이터 저장부(244a)에 저장된 음성(이하 특정 음성)이 발견되는지를 확인하는데, 확인 결과 특정 음성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3으로 진행하며 반면에, 특정 음성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단계 S51로 진행하여 발견된 특정 음성에 상응하는 미리 정해진 자동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통화 음성 중에 욕설이나 비속어가 발견되면, 단말기 사용자가 유념하도록 경고 음성을 스피커(254)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 S53에서는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7로 복귀하고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 S57로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57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에서 특정 음성이나 특정 문자의 발견 횟수를 업데이트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를 평판 표시기(122)를 통해 표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날씨에 비유하여, 사용자가 기쁨과 관련된 낱말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창한 날씨를 표현하는 이미지가 평판 표시기(122)를 통해 표현되며, 슬픔과 관련된 낱말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흐린 날씨를 표현하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감성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단말기 사용자가 바르고 고운 말을 자주 쓰도록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통화 예절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특정 음성데이터 및 특정 문자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음성/문자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a) 통화 중인 음성이나 송/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인식된 내용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내용이 상기 특정 음성데이터 또는 특정 문자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음성데이터 및 특정 문자데이터는 희로애락과 관련된 낱말, 욕설이나 비속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LED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LED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되는 문자 메시지에서 상기 욕설이나 비속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KR1020050135637A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KR20070071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637A KR20070071850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637A KR20070071850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850A true KR20070071850A (ko) 2007-07-04

Family

ID=3850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637A KR20070071850A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18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54B1 (ko) * 2007-12-17 2009-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를 이용한 감성 메시지 작성 및 표현 방법과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KR100911725B1 (ko) * 2007-08-09 2009-08-10 한국과학기술원 언어청정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25B1 (ko) * 2007-08-09 2009-08-10 한국과학기술원 언어청정로봇
KR100909954B1 (ko) * 2007-12-17 2009-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를 이용한 감성 메시지 작성 및 표현 방법과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18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위메뉴 표시 방법
US20050119032A1 (en) Optical messaging
KR2007007185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성 표현 방법
US7505579B2 (en) Shortened dialing device and phone combined a frame
KR20070071881A (ko) 의사소통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화 중계 방법
KR200700718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검색 제공 방법
KR200601296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암호 확인 방법
KR200600764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 및 메시지 관리방법
KR200700449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효과음 제공 방법
KR200601296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메뉴 제공 방법
KR200700718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아용 대언모드 제공 방법
KR2007007185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각장애인과 정상인 사이의 통화 보조방법
KR20070071852A (ko) 주변환경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활지침 안내 방법
KR2007001459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방지용 차량 원격 시동기
KR200600415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기능 제공 방법
KR200600386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명령 저장 방법
KR20070044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주소록 제공 방법
KR2007007187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 방법
KR200600787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관상/수상 서비스 방법
KR200700718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목록 관리 방법
KR200700718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메뉴 제공 방법
KR200600652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방법
KR200600621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정보 제공 방법
KR2007007187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별 호 또는 문자메시지 송/수신횟수 안내 방법
KR20070071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아용 대언모드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