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428A -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428A
KR20070071428A KR1020050134846A KR20050134846A KR20070071428A KR 20070071428 A KR20070071428 A KR 20070071428A KR 1020050134846 A KR1020050134846 A KR 1020050134846A KR 20050134846 A KR20050134846 A KR 20050134846A KR 20070071428 A KR20070071428 A KR 20070071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mission
call connection
interrupt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3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1428A/ko
Publication of KR2007007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되며 특히, 메시지 송신 시에 수신되는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데이터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생성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메시지 전송 중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을 계속 하거나, 상기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인터럽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요한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 중에 수신되는 콜 연결에 의해서 그 전송이 취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문자 메시지, 동보 전송

Description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Method for Processing Response requirement received for Massage transmitt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being embodied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키 입력부 110: 제어부
112: 메시지 생성부 114: 메시지 전송부
116: 인터럽트 처리부 120: 저장부
130: 통신부 140: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되며 특히, 메시지 송신 시에 수신되는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지인들과의 연락 수단일 뿐 아니라, 이를 업무상 이용할 수도 있고, 일대 일의 단문메시지 전송에서 나아가 다수의 수신 단말기로 동일한 단문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즉 일대다로의 단문메시지 송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른바 동보 전송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전달 사항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보 전송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반 메시지 전송과 같은 처리 흐름에 의해 수행되는데, 발신 단말기는 트래픽 채널 점유하여 첫번째 수신 단말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나서 점유한 트래픽 채널을 해제한 후, 다시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아 점유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반복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을 통해 발신 단말기는 다수의 수신 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전송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런데 종래에는 메시지 전송 중에 전화가 걸려 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선택 없이 메시지 전송을 무시하고 사용자에게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거나, 그 호에 대하여 통화 중 메시지가 송출된다. 이 경우 메시지 전송 중이던 문자 메시지와 상관없이 걸려온 전화를 받게 되고, 통화가 종료되면 이전에 전송 중이던 문자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이 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재작성을 하여 다시 전송 해야한다. 만약 이 경우 걸려온 전화가 스팸성의 광고 전화일 경우에는 더욱 난감해 진다. 또한 MMS등의 기타 메시지 수신의 경우에도 전송 중에 곧바로 수신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여지 없이 송신중인 메시 지의 전송 속도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그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중에 외부로부터 호 접속 요구나 다른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할지, 아니면 현 진행 중인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수신된 콜이나 메시지에 응답할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하거나 수신된 호 접속 혹은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중요한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 중에 수신되는 콜 연결에 의해서 그 전송이 취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사용자가 발신자에 따라 수신된 호 접속 혹은 메시지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호 접속이나, 메시지 수신을 수행했을 경우에도 메시지 전송 상태와 전송된 그 메 시지를 자동 저장하고, 호 접속이나 메시지 수신이 완료되면 이전에 중단했던 메시지 전송을 재실행 할 수 있다.
이 같은 또다른 양상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도 급한 호 접속이나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다시 이전 전송 상태에 따라 재전송을 실행할 수 있고, 다시 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데이터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12)와, 생성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114)와, 메시지 전송 중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을 계속 하거나, 상기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인터럽트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장착된 0~9까지의 숫자키들과 메뉴키, 통화키, 종료키, 최수/지움키. 방향키등의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키 입력부(100)는 키 패드를 포함하며 키패드 에 장착된 각 키들에 대응된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표시부(140)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지된 구성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된다. 표시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중에 발행하는 상태정보와 사용자가 키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한 숫자 혹은 문자들, 그 밖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후술할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구하는 여러가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130)는 통신부(130)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알 에프 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대역상승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10)는 바람직하게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12)와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부(114)와 메시지 전송 중에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나 호 접속 요구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럽트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통신부(13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110)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의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 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12)는 키입력부(100)에서 출력된 각 키데이터들의 조합으로 문자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생성부(112)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SMS 혹은 그 외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텍스트 형태의 문자나 숫자 형태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데이타 통신 서비스의 일종인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지원한다. SMS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간에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보통 80byte(한글 문자로 40자)의 이용을 제공한다.
메시지 전송부(114)는 메시지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통신부(130)를 통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동보메시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부(114)는 동보 전송이 지정된 수신 단말기들에 순차적으로 채널을 형성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메시지 전송부(114)가 메시지 전송 중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하거나, 상기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한다.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메시지 전송 중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표시하고, 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 시 호 접속 요구 혹은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그 수신된 메시지 혹은 호 요구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확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중단을 선택하면,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내용과 전송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120)를 더 포함하고, 메시지 전송부(114)가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저장부의 메시지 전송 상태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중단된 메시지 전송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120)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발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와 같이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20)는 메시지 전송부(114)에서 전송된 메시지의 내용이 저장된다. 또한 메시지 전송 중에 발생된 인터럽트를 수행할 경우 그 메시지 전송 상태를 저장한다. 이 때에 예를 들어 한 사람에게 메시지의 일부만이 전송된 경우에는 추후에 다시 전송할 경우 그 메시지 전체를 다시 전송하기 위해서, 그 메시지 전체가 미 전송된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메시지 전송 중 발생한 호 접속 혹은 메시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메시지 전송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재전송 명령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부(114)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저장 상태에 따라 중단된 메시지의 전송을 다시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답 요구의 처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하나 혹은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생성된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메시지 전송을 계속 하거나,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부(112)는 키 입력부(100)로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역시 키 입력부(100)로부터 전송 명령이 있으면 메시지 전송부(114)는 생성된 메시지를 통신부(130)를 통하여 전송한다(단계 S200).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메시지 전송부(114)는 생성된 메시지를 동보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시지 전송부(114)는 동보 전송 설정된 수신 단말 기들로 순차적으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다.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 혹은 다른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해당되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단계 S210). 그리고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표시부(140)에 사용자에게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예를들면 수신된 호 접속 요구의 발신자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구에게 걸려온 전화인지를 파악함으로써 그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할 지 아니면 수신된 호 접속 요구에 응답할 지 선택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20). 이 때에 사용자가 중요한 메시지를 전송 중이거나, 수신된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스팸성인 경우에는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겠다는 선택을 할 수 있다(단계 S230). 이 경우에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수신된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를 무시하고,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한다(단계 S240).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은 메시지 전송 중단 시에 상기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내용과 전송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메시지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명령에 따라 중단된 메시지 전송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인터럽트 즉 수신된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가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이에 응답하겠다는 결정을 하면, 일단 메시지 전송부(114)는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내용과 현재 메시지 전송 상태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단계 S231). 예를 들어 A,B,C 순으로 동보 전송 중 B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저장부는 A에게만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에 메시지 전송시 일부만 전송된 B에게 메시지가 전송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메시지 전송부(114)는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처리부(116)는 호 접속 요구에 따른 음성 통화 혹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한다(단계 S232). 그리고 음성 통화 혹은 메시지 수신이 완료되면(단계 S233) 표시부(140)를 통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이전에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전송 상태를 표시한다(단계 S234). 이 때에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을 계속 수행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재 전송 명령이 있으면(단계 S235), 메시지 전송부(114)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메시지의 내용과 전송 상태에 기초하여 중단된 메시지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메시지 전송이 도중에 중단된 경우, 그 전송 상태를 저장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처음에 계획했던 메시지 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단계 S250).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중에 외부로부터 호 접속 요구나 다른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을 계속 진행할지, 아니면 현 진행 중인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수신된 콜이나 메시지에 응답할지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수의 수신자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에 수신되는 콜 연결에 의해서 그 전송이 최소되거나 메시지 수신으로 인해 그 전송이 지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나 메시지가 수신되면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에 따라 수신된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고 그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호 접속이나, 메시지 수신을 수행했을 경우에도 메시지 전송 상태와 전송된 그 메시지를 자동 저장하고, 호 접속이나 메시지 수신이 완료되면 이전에 중단했던 메시지 전송을 재실행 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전송을 중단한 경우에도 급한 호 접속이나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다시 이전 전송 상태에 따라 재전송을 실행할 수 있고, 다시 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키 데이터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상기 메시지 전송 중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을 계속 하거나, 상기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인터럽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동보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가: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시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전송 중단을 선택하면, 상기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내용과 전송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부가: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저장부의 상기 메시지 전송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중단된 메시지 전송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메시지 전송 중에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가 수신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을 계속 하거나,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가:
    동보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가: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메시지 전송 중단 시에 상기 전송 중이던 메시지의 내용과 전송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호 접속 요구 혹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명령에 따라 상기 중단된 메시지 전송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방법.
KR1020050134846A 2005-12-30 2005-12-30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1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46A KR20070071428A (ko) 2005-12-30 2005-12-30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846A KR20070071428A (ko) 2005-12-30 2005-12-30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28A true KR20070071428A (ko) 2007-07-04

Family

ID=3850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846A KR20070071428A (ko) 2005-12-30 2005-12-30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1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60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short message upon transmission failure in mobile radio terminal
US774727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of mobile terminal
US62788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in a portable telephone
US20060063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SM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aining received SMS message
US9531818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KR1003093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CN114270750B (zh) 重传请求方法和装置、重传数据接收方法和装置
US20080076456A1 (en) Message sending/receiv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200900425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1428A (ko) 메시지 전송 중 수신된 응답 요구의 처리 방법 및 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US91606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plementing response to editing message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KR1005757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자동 전송 방법
KR1004079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call 실패에 따른 단문 메시지전송 방법
KR100459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발신 통화방법
KR20050072982A (ko) 수신자 상황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518175B1 (ko)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9931A (ko) Vms에 바로 접속하는 방법
KR200300182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2007002538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정보서비스 방법
KR20050008239A (ko)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40049930A (ko) Vms에 바로 접속하는 방법
KR20050075496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 실패 원인에 따른 재다이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