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253A -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253A
KR20070070253A KR1020077012029A KR20077012029A KR20070070253A KR 20070070253 A KR20070070253 A KR 20070070253A KR 1020077012029 A KR1020077012029 A KR 1020077012029A KR 20077012029 A KR20077012029 A KR 20077012029A KR 20070070253 A KR20070070253 A KR 20070070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ise generating
audio signal
output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켈너
게오르그 쿠르즈-바우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7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21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disk tracks
    • G11B5/5586Minimising seek noise, e.g. actuat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렌더링할 때 소음 방해를 낮추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출력 레벨을 판독하고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출력 레벨 변화들은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렌더링, 오디오 신호 출력 레벨, FIFO 버퍼, 저장 수단

Description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NOISE PRODUCING COMPONEN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출력 레벨을 판독하고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출력 레벨 변화들은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도록 이용된다.
하드 디스크들 및/또는 광 드라이브들 뿐만 아니라 냉각 팬들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컴퓨터들과 같은 장치들에 이용되는 소음 발생 요소들의 예들이다. 냉각 팬들의 특정 문제는 이들이 종종 턴-온되고 동작하는 동안 유지되는데, 이로 인해 팬 소음이 예컨대 음악 또는 영화의 재생을 방해할 수 있다. 이 팬 소음은 특히 음악 또는 영화의 조용한 부분에서 대단히 성가실 수 있다. 그러나, 이 성가심은 소리가 더 큰 부분에서 낮아진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하드-디스크 및/또는 광 드라이버들에 입력 출력 액세스를 고려할 때 발생 되는데, 이는 또한 음악 또는 영화의 조용한 파트들에서 매우 현저할 수 있고 성가실 수 있는 방해 소음을 발생시킨다.
미국 특허 제 6,591,198호는 주변 소음 레벨에 응답하여 장치에서 소음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폰을 포함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는 마이 크로폰의 이용에 의해 주변 소음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는 장치의 소음 출력이 주변 소음 레벨에 응답하여 변화되도록 한다. 이 발명의 문제는 현재 주변 소음 레벨이 검출되고 이에 기초하여 장치의 출력이 변화된다는 것이다. 이는 소음 출력이 특정 시간 기간에 걸쳐서 낮춰지도록 하거나 셧다운되도록 허용되지 않을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이는 소음 출력이 냉각 팬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인데, 냉각 팬을 셧다운하는 것이 장치의 과열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특허 6,494,381호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에 응답하고 전자 장치 및/또는 반도체 기판 내에서 발생한 열에 응답하는 냉각 팬 제어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냉각 팬 제어 메커니즘은 냉각 팬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오디오 출력 레벨 및 현재 장치 온도를 토대로 한다. 그러므로, 현재 오디오 출력 레벨이 높을 때, 냉각 팬의 속도는 높게 되고 이와 반대도 성립한다. 현재 오디오 출력 레벨이 낮을 때, 냉각 팬의 속도는 낮다. 본 발명의 문제는 현재 오디오 출력 레벨 및 현재 장치 온도가 고려되기 때문에 냉각 팬에 의해 초래되는 소음으로 인한 방해를 낮추도록 보장할 수 없다. 이는 장치 내의 소음 출력이 긴 시간 기간에 걸쳐서 낮춰지는 곳에서 현저하게 될 수 있다. 장치 내에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메커니즘은 냉각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요구되는데, 이는 이에 대응하는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 출력 레벨이 상기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한 결과 상기 소음 발생 요소로부터의 소음을 낮추는,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소음 발생 요소로부터의 소음은 렌더링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출력 레벨의 감소가 더 낮은 소음보다 먼저 오거나 그 반대가 되도록 한다. 출력 레벨의 증가 다음에 더 높은 소음이 온다. 이 결과는 발생된 소음이 사용자에게 청취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소음 발생 요소는 냉각 팬이고 상기 제어는 냉각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팬 소음으로 인한 방해는 재생 동안 낮추어질 수 있다. 특정 예는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어댑터를 갖는 컴퓨터의 소음 요소인 냉각 팬이다.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전 오디오 어댑터에 의해 렌더링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냉각 팬은 이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냉각 팬의 속도 및 이로 인한 냉각 성능은 출력 레벨이 낮은 곳에서 낮고 출력 레벨이 높은 곳에서 높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결과는 팬의 냉각 성능이 유지되도록 하지만 동작은 렌더링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들에 따라서 스케쥴링 된다는 것이다. 이 소음 발생 요소는 냉각 팬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소음 발생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소음 발생은 렌더링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들에 따라서 스케쥴링되는 것을 따른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냉각 팬의 주변에서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 및 또한 상기 냉각 팬의 속도를 제어할 때 제어 파라미터로서 상기 예측된 온도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냉각 팬을 제어할 때 출력 레벨 변화들과 동시에 예측된 온도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제어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예측된 온도는 고 출력 레벨에서 냉각 팬의 최대 속도가 필요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냉각 팬의 주변에서 예측된 온도가 최대 온도 한계보다 아래이기 때문이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특성을 더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2개의 오디오 신호들이 동일한 강도를 갖지만,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경우, 소음 방해는 주파수 차이로 인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은 경우, 이 소음은 주파수가 낮은 곳에서보다 높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욱 정확한 제어가 얻어진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소음 발생 요소는 디스크 드라이브이고 상기 소음 발생 요소의 제어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입력/출력 (I/O)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 드라이브에 액세스할 때 야기되는 소음은 재생하는 동안 낮추어질 수 있다. 이는 출력 레벨 변화들에 따라서 I/O 액세스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지는데, 즉 출력 레벨이 높은 곳에서, I/O 액세스가 허용되고 그 반대로도 된다. 출력 레벨이 낮은 곳에서, I/O 액세스가 금지된다.
한 실시예에서, 소음 발생 요소는 2개 이상의 소음 발생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2개 이상의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소음은 재생하는 동안 낮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제어 단계는 출력 레벨 변화들에 따른 냉각 실행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로의 상기 I/O 액세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냉각 파라미터들은 팬 속도 및 I/O 액세스인데, 여기서 이 제어의 효과는 온도 상한보다 아래로 온도를 유지하고 저장 수단에서 데이터의 언더플로우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부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처리 유닛이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인식되는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 상기 소음 발생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 출력 레벨이 상기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한 결과 상기 소음 발생 요소로부터의 소음 방해를 낮추는, 상기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장치는 렌더링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에 따라서 소음 발생 요소로부터 소음을 제어한다. 이 결과는 발생된 소음이 사용자에게 청취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 및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른 오디오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소음 발생 요소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을 따른 오디오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소음 발생 요소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5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소음 발생 요소을 제어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7) 및 저장 수단(111)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장치(101)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또한 내장형(113) 또는 외장 형 요소(117)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소음 발생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신호(109)를 사용자(103)로 렌더링하기 전, 오디오 신호(109)는 판독, 디코딩되어 저장 수단(111)에 저장되는데, 여기서 저장 수단은 FIFO 버퍼등일 수 있다. 다음에, 오디오 신호(109)의 출력 레벨 변화들이 결정된다. 출력 레벨 변호들로부터,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은 프로세서(107)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소음 발생 요소들(113, 117)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음 발생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을 아는 것이 물론 중요하다. 이는 측정들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거나 데이터는 소음 발생 요소들을 구입할 때 얻어질 수 있다. 이 제어는 발생된 소음이 저 출력 레벨에 따라서 낮추어지도록 하고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이 높아지는 곳에서 증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소음 발생 요소(113, 117)에 의해 초래되는 소음에 대한 최적의 스케쥴이 결정되고 오디오 신호(105)는 최소 방해로 사용자(103)에게 렌더링될 수 있다. 판독 오디오 신호는 "스케쥴"이 미리 5분으로 만들어지도록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어, 5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이 스케쥴은 5분 뒤 또는 앞서 갱신된다. 이 시간 간격은 또한 가변될 수 있고 저장 수단(111)의 현재 상태를 토대로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디오 장치(101)는 컴퓨터(115)로 통합되고 사용자(103)에 의해 이용됨으로써, 소음 발생 요소은 컴퓨터(115)의 내장형 요소(113)이다. 이는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 있고, 발생된 소음은 상기 드라이브들로의 입력/출력(I/O) 액세스로 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드라이브들로의 I/O 액세스는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토대로 제어되는데, 즉 출력 레벨이 높거나 특정 출력 레벨 또는 특정 소음 레벨을 초과할 때,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액세스가 허용된다. 그러므로 제어하는 파라미터는 I/O 액세스이고, 상기 제어의 효과는 저장 매체(111)들에서의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I/O 액세스로 인해 발행되는 소음을 낮추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음 발생 요소는 장치(101)에 연결되는 외장형 요소(117)이다. 외장형 소음 발생 요소(113)는 예컨대 에어컨 시스템, 냉각기, 외장형 디스크 드라이브등을 포함하고, 여기서 발생된 소음은 상기 장치들의 동작으로 인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음 발생 요소는 2개 이상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는 내장형 및 외장형 요소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는 디스크 드라이브라고 가정한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제어 파라미터는 I/O 액세스이고 제어의 효과는 저장 수단에서의 언더플로우를 피하도록 (즉, 저장 수단에 충분한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보장)하는 것인데, 그 결과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입력/출력 액세스로 인한 소음 방해를 낮춘다. 오디오 신호는 영화 또는 노래일 수 있다. 초기에, 오디오 신호의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렌더링하기 전에 단계(201; A_S)에서 판독되고 단계(203; D_A_S)에서 디코딩되고 단계(205)에서 저장된다. 이로 인해, 디코딩된 데이터(203)는 렌더링하기 전에 단계(207; Anal. D_A_S)에서 분석될 수 있다. 이 분석은 단계(207; An. D_A_S)에서 특정 시간 기간에 걸쳐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 와 같이, 출력 레벨 변화들은 단계(209; Comp.N_L)에서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을 계산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 요소는 제어된다(211; C). 소음 발생 요소가 디스크 드라이브인 경우에, 제어는 상기 드라이브들로 입력/출력(I/0)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단계(213; Ren. A_S)에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렌더링할 때, 상기 I/O 액세스로 인한 방해를 낮춘다. 명백하게, 이것은 소음 레벨이 높은 곳에서 사용자가 청취하는 영화 또는 음악에서 더 높거나 높은 파트들 동안 드라이브들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소음 레벨이 낮은 곳에서 더 낮거나 낮은 파트들 동안 액세스를 금지 또는 최소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더 높거나 높은' 및 '더 낮거나 낮은'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취가 양호한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특정될 수 있다.
제어 기준들이 충족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면, 오디오 신호(213; Ren. A_S)는 사용자(215)로 렌더링되지만, 이는 소음이 상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메모리(111)에서 언더플로우를 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단계들은 현재 다음 시간 간격 동안 반복될 것이다(217).
도 3은 오디오 신호(305)를 사용자(303)에게 렌더링할 때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307)를 이용하여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301)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 오디오 장치는 컴퓨터(315)의 일부이고 소음 발생 요소(313)는 컴퓨터에서 냉각 팬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제어 파라미터는 냉각 팬의 팬 속도이고 제어 효과는 컴퓨터(315) 내의 온도가 주어진 최대 온도 레벨보다 낮고 동시에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한다. 다른 소음 발생 요소 들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상기 내장형(113) 및/또는 외장형 소음 발생 요소들과 같을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동시에, 컴퓨터(315)의 온도는 항상 주어진 최대값 보다 아래에 있도록 보장된다. 여기서, 팬 속도의 함수로 냉각 팬(313)에 의해 생성된 소음을 아는 것이 당연히 중요하다. 이 정보는 측정될 수 있거나 냉각 팬(313)을 구입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309)는 사용자(203)에게 렌더링하기 전에 판독, 디코딩되어 저장 수단(311)에 저장된다. 이 저장 수단은 FIFO 버퍼 등일 수 있다. 다음에, 오디오 신호(309)의 출력 레벨 변화들이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 요소(313)가 제어된다.
게다가, 온도계(315)로부터 출력되는 온도는 판독되고 컴퓨터(315)에서 온도 전개를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출력 레벨 변화들뿐만 아니라 예측된 온도를 토대로, 냉각 팬(313)의 통풍기 속도가 제어된다. 온도계(315)는 또한 예측된 온도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용되고, 이로 인해 컴퓨터(315) 내에서 있을 수 있는 과열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온도를 예측할 때, 열역학 모델이 적용되어, 컴퓨터(315) 내의 주 열원 및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를 고려한다. 예측된 온도는 또한 특정 유형의 컴퓨터(315)에 대한 경험적 모델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냉각을 위한 최적의 스케쥴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303)는 초기에 저출력이지만 그 후에 상대적으로 고출력 레벨인 노래를 청취한다. 그 후, 이 스케쥴 또는 제어는 바람직하게는 저 출력 레벨 동안 그리고 상기 저 출력 레벨 동안 발생될 수 있는 가능한 과열이 발생되기 직전까지 팬 속도를 낮추어 냉각 성능을 최대화한다. 고출력 레벨 동안, 이 스케쥴은 가능한 부가적인 시스템 냉각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팬 속도로 인해 생성된 소음이 사용자(303)에게 현저하지 않기 때문이다.
냉각 팬(313) 이외에도, 제어될 하나 이상의 소음 발생 요소들,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상기 내장형(113) 및/또는 외장형(117) 소음 발생 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 제어는 부가적으로 상기 부가적인 소음 발생 요소들을 토대로 한다. 예를 들면, 소음 발생 요소들이 냉각 팬(313) 및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면, 제어는 냉각 팬(313)(즉, 냉각)의 속도 및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를 기반으로 한다. 이 제어의 바람직한 효과는 컴퓨터의 온도가 소정의 상한 온도보다 낮고 동시에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가 예를 들어 저장 수단(111)에서의 언더플로우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케쥴 또는 제어가 소음이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보다 아래인 기준을 충족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스케쥴은 중단되어야 하며, 그렇치 않다면, 예를 들어 컴퓨터 내의 과열이나 저장 수단(111) 내의 언더플로우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냉각 팬으로부터의 소음 방해가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낮추어지도록 냉각 팬일 수 있는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소음 발생 요소들은 제어가 복잡한 최적화 문제를 갖도록 하는 1개 이상의 발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그러나, 우리는 냉각 팬만이 소음 발생 요소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 파라 미터는 단지 팬 속도이고, 상기 제어의 영향은 냉각 팬의 주변에서 최적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냉각 팬이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초기에, 오디오 신호는 단계(401; A_S)에서 오디오 어댑터에 의해 렌더링되며, 단계(403; D_A_S)에서 디코딩되고 단계(405; St)에서 저장된다. 저장되고 디코딩된 데이터(D_A_S; 403)는 시간에 걸쳐서 단계(407; Anal. D_A_S)에서 분석되고,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은 단계(407)에서 시간에 걸쳐서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417; Comp.N_L)에서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게다가, 컴퓨터에서 온도는 측정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온도 전개는 바람직하게는 단계(409; Temp.)에서 예측된다. 단계(407)에서 시간에 걸쳐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에 관계하는 정보를 토대로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 및 냉각 성능은 단계(411; Esti. Cool. Perf.)에서 평가된다. 측정된 온도는 컴퓨터에서 초기 온도를 측정하도록 적응되고 또한 예측된 온도가 차후 시점에서 정확한지를 측정하도록 적응됨으로써, 컴퓨터 내에서 가능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토대로, 냉각 팬은 단계(413; C)에서 제어되고 오디오 신호는 단계(415; Ren. A_S)에서 사용자에게 렌더링된다. 다음에, 단계(401 내지 419)는 반복된다(421).
상술된 바와 같이, 스케쥴 또는 제어가 소음이 어떤 시간 기간에 걸쳐서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보다 낮은 기준을 충족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팬속도(또는 다른 소음 발생 요소)의 제어 또는 스케쥴은 중단되거나 무시되어야 한다(419). 이 예의 결과는 팬 속도가 소음 레벨 한계를 초과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소음 발생 요소가 냉각 팬이라는 가정하에서 컴퓨터 내의 과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렌더링할 때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뿐만 아니라 도 6의 예는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다이어그램은 시간(t)의 함수로서 데시벨(dB)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을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레벨은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수평축 상에 도시된 시간은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노래의 총 지속기간 또는 이 노래의 시간 간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소음 발생 요소들은 냉각 팬 및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이다. 상기 소음 발생 요소들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냉각 팬의 속도 및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에 관계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행하는 것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들로의 I/O 액세스 동안 생성된 소음 및 속도의 함수로 팬으로부터의 소음을 간단히 측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팬 및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입할 때 이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정보를 가지면, 냉각 팬 및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는 제어됨으로써, 소음 방해를 낮춘다. 도 1 내지 도 4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냉각 팬의 주변에서 예측된 온도는 또한 부가적인 제어 파라미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출력 레벨에 따라서 냉각 팬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시간 라인을 표시하고 수직축은 I/O 액세스로 인한 소음 및 냉각 팬의 회전속도이다. 초기에 냉각 팬이 동작하지 않는다. 곡선(503) 및 계단 함수(501)는 생성된 소음을 낮추기 위한 냉각 팬의 통풍 속도 및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에 대한 스케쥴을 표시한다. 이 예에서, 통풍기 속도는 출력 레벨이 특정 소음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 t1에서 실질적으로 계단형으로 증가한다. 이 속도는 시간 t2까지 또는 시간 간격 dt'=t2-t1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5a)에 도시된 소음 전개는 제 1 소음 피크에 도달한 후 어떤 시간 동안 출력 레벨이 낮게 머물도록 되기 때문에, 시간 간격 (dt')에 걸쳐서 가능한 많은 냉각 실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다면, 과열이 나중 시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간, 회전 속도가 시간 t3에서 활성화되지만 출력 레벨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낮은 팬 속도는 짧은 시간 기간, 즉 dt''에 걸쳐서 허용된다. 그러나, 초기 냉각 성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 장치 내의 온도는 소정 최대값보다 낮아질 수 있다. 출력 레벨이 다시 증가되는 시간 (t5)에서, 통풍기 속도는 증가되지만 초기 만큼 증가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온도가 최대값보다 여전히 아래로 있기 때문이다. 이 회전 속도는 시간 기간 dt'''에 걸처셔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전체 시간에 걸쳐서 냉각 팬 및 통풍기에 의해 발생한 소음의 합이 상위 소음 레벨보다 아래에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할 때 방해가 낮아지도록 한다.
도 5c) 및 d)는 상기 냉각 팬의 통풍 속도 및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에 대한 스케쥴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5c)는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냉각 팬의 주변에서 실제 온도 곡선(507)의 예를 도시하고, 곡선(505)은 저장 수단에 데이터의 파일링을 나타낸다. 도 5d)는 팬 속도 및 I/O 액세스로 인해 생성된 소음의 합이다. 도 5d)의 곡선과 도 5a)에 도시된 곡선을 비교함으로써, 이 곡선은 실질적 으로 도 5a)의 곡선의 형태를 따르고 인식가능한 소음 레벨보다 낮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b)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로 렌더링할 때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이 예는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명확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속도의 계단형 증가와 대조적으로, 냉각 팬의 제어는 자신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이것이 실질적으로 출력 레벨 곡선(601)의 형태를 따르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I/O 액세스(603)에 대응하는 곡선이 도시된다. 도 6c) 및 d)는 도 5c) 및 d)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곡선들(605, 607)을 도시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괄호안에 배치된 임의의 참조 번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단어 "포함하는"은 청구항에 열거된 것 이외의 다른 소자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별개의 소자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러 수단을 열거한 장치의 청구항에서, 여러 수단들은 동일한 하드웨어의 아이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수단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인용되었다는 것이 이들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Claims (8)

  1. 오디오 신호(109)를 렌더링할 때 사용자(103)에 의해 인식되는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109)의 저 출력 레벨이 상기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한 결과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로부터의 소음을 낮추는,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는 냉각 팬이고, 상기 제어는 상기 냉각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의 주변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 및 또한 상기 냉각 팬의 속도를 제어할 때 제어 파라미터로서 상기 예측된 온도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특성을 더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는 디스크 드라이브이고, 상기 소음 발생 요소의 제어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로의 입력/출력 액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는 2개 이상의 소음 발생 요소들을 포함하는, 소음 발생 요소 제어 방법.
  7. 처리 유닛이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들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8. 오디오 신호(109)를 렌더링할 때 사용자(103)에 의해 인식되는 소음 방해를 낮추도록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하는 오디오 장치(101)에 있어서,
    -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변화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레벨 변화들을 이용하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저 출력 레벨이 상기 소음 발생 요소(113, 117)를 제어한 결과 상기 소음 발생 요소로부터의 소음 방해를 낮추는, 상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KR1020077012029A 2004-10-28 2005-10-20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70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5375 2004-10-28
EP04105375.2 2004-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253A true KR20070070253A (ko) 2007-07-03

Family

ID=3612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029A KR20070070253A (ko) 2004-10-28 2005-10-20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80671A1 (ko)
EP (1) EP1817650A2 (ko)
JP (1) JP2008525925A (ko)
KR (1) KR20070070253A (ko)
CN (1) CN101048723A (ko)
WO (1) WO20060461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584A1 (ko) * 2021-03-03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팬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팬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7262A2 (en) * 2006-10-26 2008-05-15 Krichtafovitch Igor A Range hood with electrostatically assisted air flow and filtering
FR2924569A1 (fr) 2007-12-04 2009-06-05 Thomson Licensing Sas Procede de controle de la vitesse d'un ventilateur a l'aide d'une mesure du son ambiant et appareil electronique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8295504B2 (en) 2008-05-06 2012-10-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fan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loudness data
US20100079094A1 (en) * 2008-09-30 2010-04-01 Beltman Willem M Enclosure acoustic compensation
JP5423153B2 (ja) * 2009-05-29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EP2525359A1 (en) 2011-05-20 2012-11-21 Eldon Technolog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a user's ability to perceive hard drive noise
US10551887B2 (en) * 2017-06-05 2020-02-04 Nzxt Inc. Control device for fan sta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174A (ja) * 1996-11-11 1998-05-29 Xing:Kk カラオケ装置
JP3048947B2 (ja) * 1997-03-04 2000-06-05 群馬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雑音低減方式
US6757481B1 (en) * 1999-09-22 2004-06-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s and disk drive-containing devices having selectively controllable and/or adaptive quiet and high performance modes of operation
US6591198B1 (en) * 2000-11-22 2003-07-0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ise outputs of devices in response to ambient noise levels
US6494381B2 (en) * 2000-12-21 2002-12-17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Cooling fan in sync with audio output level
US6998048B1 (en) * 2002-12-09 2006-02-14 Keith Dobie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effluent
TW591362B (en) * 2003-06-24 2004-06-11 Quanta Comp Inc Low noise notebook computer and its system operating status control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584A1 (ko) * 2021-03-03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팬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팬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5925A (ja) 2008-07-17
CN101048723A (zh) 2007-10-03
EP1817650A2 (en) 2007-08-15
US20090080671A1 (en) 2009-03-26
WO2006046179A3 (en) 2006-10-12
WO2006046179A2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0253A (ko) 소음 발생 요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092261A1 (en) Reducing annoyance by managing the acoustic noise produced by a device
US9552804B2 (en) Managing acoustic noise produced by a device
US829550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fan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loudness data
US7974743B2 (en) Temperature controll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7941231B1 (en) Ambient noise level sampling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device
US10888022B2 (en) Fan speed control in electronic devices
WO2008091664A1 (en) Noise reduction in a system
US7289291B1 (en) Disk drives and methods allowing for super silent seeks
US8159775B2 (en) Vibration identification and attenuation system and method
US10342157B2 (en) Fan control of a computer system based on power ratio
US20040243405A1 (e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utonomic manipulation of noise sources within computers
TWI589112B (zh) 電子裝置的風扇控制方法
TWI592578B (zh) 電子裝置的風扇控制方法
US20040240675A1 (en) Autonomic manipulation of noise sources within computers
US20020067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oustic management in a computer
US20230315173A1 (en) Content-aware noise abatement for cooling devices
TWI817298B (zh) 動態調整風扇轉速之電子系統和方法
US20230289233A1 (en) Default operating modes
KR20080023546A (ko) 컴퓨터시스템
WO2006070433A1 (ja) 電子装置,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7304921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system
JP2007157321A (ja) ピックアップヘッドの出力調整方法、光ディスク情報再生装置
US20050069141A1 (en) Electronic device
JP200911063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読み出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