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860A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860A
KR20070069860A KR1020050132435A KR20050132435A KR20070069860A KR 20070069860 A KR20070069860 A KR 20070069860A KR 1020050132435 A KR1020050132435 A KR 1020050132435A KR 20050132435 A KR20050132435 A KR 20050132435A KR 20070069860 A KR20070069860 A KR 2007006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battery
open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화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860A/en
Publication of KR2007006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8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econdary battery, which includes a vent disposed at a controlled position on the wider surface of a can to facilitate discharge of the gase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The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unit cell(12) and electrode tabs drawn from the two different electrodes of the unit cell; a can for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opened top of the can, wherein a vent(200) having an opening is formed on the wider surface(10a) of the can and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disposed over the portion of the wider surface of the can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unit cell.

Description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이차전지의 캔의 넓은 측면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wide side of the can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FIG. 1;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캔의 넓은 측면의 정면도, 3 is a front view of a wide side of a can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전지 내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캔의 넓은 측면의 응력분포도이다.4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of a wide side of a can generated by battery internal pressur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이차전지 10: 캔 1: secondary battery 10: can

10a: 캔의 넓은 측면 11: 전극조립체10a: wide side of the can 11: electrode assembly

12: 전지부 100: 캡조립체12: battery unit 100: cap assembly

200, 200': 벤트의 개구부200, 200 ': vent opening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의 넓은 측면에 형성되는 벤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gas generated inside a battery is smoothly discharged by adjusting a position of a vent formed on a wide side of a can.

통상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ellular phone, a notebook computer, a camcorder, and the like. In particula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n operating voltage of 3.6V,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nickel-cadmium batteries or nickel-hydrogen batteries, which are widely used as electronic equipment power sources, and are rapidly increasing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Moreover, althoug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 square shape, and pouch type.

이 중 각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과, 이 캔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mong these,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n.

전극조립체는 전지부와 전극탭을 포함한다. 전지부는 양극과 음극 및 이들 두 전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젤리롤 형태를 이루며, 이 전지부의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양극 및 음극탭이 각각 인출되어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battery part and an electrode tab. The battery part is wound arou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se two electrodes to form a jelly roll,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re drawn out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battery part, respectively.

캔은 각형 이차전지에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캔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캔을 이루는 재질로는 경량의 전도성 금속인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캔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가 투입되도록 개방된 상부는 캡조립체에 의해 봉해진다. The can is a metal contain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is formed by a processing method such as deep drawing. It is therefore possible for the can itself to act as a terminal.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c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which is a lightweight conductive metal, is preferable. The can becomes a container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upper portion opened to insert the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by the cap assembly.

캡조립체는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플레이트와, 단자통공을 통하여 설치되 고 그 외면에 캡플레이트와의 절연을 위한 가스켓이 위치하는 전극단자와, 캡플레이트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절연플레이트와, 이 절연플레이트의 아랫면에 설치되어 전극단자와 통전되는 단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조립체의 음극은 음극탭과 단자플레이트를 통해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은 양극탭을 통해 캡플레이트나 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cap assembly includes a cap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an electrode terminal provided through a terminal hole, and a gasket for insulating the cap plate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 insulating plat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and comprises a terminal plate that is energized with the electrode terminal.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through the negative electrode tab and the terminal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or the can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tab.

한편, 캡플레이트의 일 측에 벤트가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캔의 넓은 측면에 벤트(vent)가 형성될 수도 있다. 캔의 넓은 측면에 형성되는 벤트(이하, '측면벤트'라고도 함)는 일정 깊이의 홈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벤트의 개구부는 과충전 등으로 인하여 전지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때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파단되어 내부가스를 방출시킴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 vent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or a vent may be formed at a wide side of the can. Vents formed on the wide sides of the ca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ide vents') are portions in which openings having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The vent opening breaks preferentially than other part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increases due to overcharging, and thus releases the internal gas,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battery.

기존의 측면벤트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전지의 내부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캔이 스웰링될 때 생기는 응력의 분포만을 고려하여 벤트의 형상 및 위치와 개구부의 두께를 정하였다. In designing the existing side ven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vent and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we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distribution of stress generated when the can is swelled by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gas of the battery.

예를 들어, 스웰링시 캔의 넓은 측면의 귀퉁이부분에 가장 큰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캔의 귀퉁이부분에 측면벤트를 형성하여 내압의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비교적 두꺼운 개구부를 가질 수 있으므로 벤트 형성 작업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For example, since the greatest stress is applied to the corner of the wide side of the can during swelling, a side vent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can to make it sensitive to the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have a relatively thick opening,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the vent forming operation.

또 다른 예로, 캔의 넓은 측면의 네 귀퉁이부분 가운데 상부의 두 귀퉁이부분 사이 중앙에 측면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캔의 귀퉁이부분에 형성된 측면벤트 는, 파단시 크랙(crack)이 전지의 전(全) 부분으로 번져나가게 되고, 캔의 상부에 결합된 캡플레이트의 용접부위까지 파손될 수 있어 전극조립체 및/또는 전극탭이 손상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지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함이다.As another example, a side vent may be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wo upper corners of the four corners of the wide side of the can. The side vents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can may cause cracks to spread to all parts of the cell upon breakage, and may break up to the welds of the capplate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n, thus caus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 or an electrode. Not only is the tab damag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to solve this problem.

그러나, 측면벤트를 설계함에 있어 상기 요소 외에 내부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일어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벤트는 파단압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내부가스가 원활히 배출되어 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However, in designing the side vents, it is very important that smooth discharge of internal gas can occur in addition to the above elements. Vent is also important to break pressure itself, but rather because the internal gas is smoothly discharg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is the original purpose.

그런데, 기존의 측면벤트는 그 개구부의 상단부가 캔 내부에 수납된 전지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거나 같은 기준선 상에 위치하여 있다. 이에 따라, 스웰링에 의하여 벤트의 파단압에 이르러 벤트의 개구부가 열리더라도 내부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existing side vents,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housed in the can or on the same reference line. Accordingly, even if the vent opening is opened due to the break pressure of the vent, the internal gas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특히, 1차 반응에 의해 전지 내부의 가스압이 점점 증가하게 되면 벤트의 개구부가 파단되어 내부가스가 배출되고, 그 후에도 계속 열이 가해져 다시 전지 내부에서 보다 많은 양의 가스가 생성되는 2차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2차 반응에 의한 내부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전지가 폭발하는 등 전지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battery is gradually increased by the first reaction, the opening of the vent is broken and the internal gas is discharged, and afterwards, the secondary reaction in which a larger amount of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is continued. In this case, the internal gas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by the secondary reaction, and the battery may explod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의 넓은 측면에 형성되는 벤트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smoothly discharge gas generated inside a battery by adjusting a position of a vent formed on a wide side of a ca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지부와, 상기 전지부의 두 전극에서 각각 인출된 전극탭을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캔; 및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battery unit and electrode tabs respectively drawn from the two electrodes of the battery unit;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coupled with the open top of the can,

상기 캔의 넓은 측면에 일정 깊이로 홈이 파여 개구부를 갖는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벤트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캔의 넓은 측면 중 상기 전지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nt is formed in the wide side of the can with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t least some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among the wide sides of the can. It is done.

이때, 상기 벤트의 개구부의 한 변은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상변에 평행하면서 상기 전지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vent may be locat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while being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of the ca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11)와, 이 전극조립체(11)를 수용하는 캔(10)과, 이 캔(10)과 결합되는 캡조립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 a can 1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 and a cap assembly 100 coupled to the can 10.

전극조립체(11)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부(12)와, 이 전지부(12)에 결합되어 전기를 외부로 인출하는 전극탭(16, 17)으로 이루어진다. 전지부(12)는 통상 전기용량을 높이기 위해 양극(13) 및 음극(15)을 넓은 판형으로 형성한 뒤, 이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14)를 양극(13)과 음극(15) 사이에 개재하여 적층하 고, 와형으로 권취하여 이른바 '젤리롤(Jelly Roll)' 형태로 만든다. 음극(15) 및 양극(13)은 각각 구리 및 알미늄 포일로 이루어진 집전체 각각에 음극 활물질인 탄소와 양극 활물질인 코발트산 리튬 등을 코팅시켜 형성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4)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져 있다. 세퍼레이터(14)는 양극(13) 및 음극(1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전지부(12)에는 각 전극과 연결된 양극 및 음극탭(16, 17)이 인출되어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탭(16, 17)에는 전지부(12)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계부에 극판(13, 15)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테이프(18)가 감겨져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1 includes a battery part 12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electrode tabs 16 and 17 coupled to the battery part 12 to draw electricity to the outside. The battery unit 12 usually forms the positive electrode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15 in a wide plate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capacitance, and then interposes the separator 14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15 to insulate them from each other. It is then laminated, rolled up into a vortex to form a so-called 'Jelly Roll'. The negative electrode 15 and the positive electrode 13 may be formed by coating carbon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cobalt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on a current collector made of copper and aluminum foil. The separator 14 is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copolymer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Separator 14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positive electrode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15 is advantageous to prevent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In the battery unit 12,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16 and 17 connected to each electrode are drawn out. The insulating tape 18 is wound arou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16 and 17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3 and 15 at the boundary portion drawn out of the battery unit 12.

캔(1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각형 이차전지에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캔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캔을 이루는 재질로는 경량의 전도성 금속인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캔(10)은 전극조립체(11)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11)가 투입되도록 개방된 상부는 캡조립체(100)에 의해 봉해진다. 캔의 넓은 측면에는 벤트(200)가 형성되는데, 이 벤트(2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an 10 is a metal contain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s shown, and formed by a processing method such as deep drawing. It is therefore possible for the can itself to act as a terminal.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c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which is a lightweight conductive metal, is preferable. The can 10 becomes a contain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upper part open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introduced is sealed by the cap assembly 100. A vent 200 is formed on the wide side of the ca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캡조립체(100)는 캡플레이트(110)와, 전극단자(130)와, 절연플레이트(140)와, 단자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플레이트(110)에는 단자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극단자(130)가 그 외면에 캡플레이트(110)와의 절연을 위하여 가스켓(120)을 위치시킨 채 단자통공(1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캡플레이 트(110)의 아랫면에는 절연플레이트(1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절연플레이트(140)의 아랫면에는 단자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플레이트(150)에는 전극단자(13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The cap assembly 100 includes a cap plate 110, an electrode terminal 130, an insulating plate 140, and a terminal plate 150. The cap plate 110 has a terminal through hole 111 formed therein,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0 penetrates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111 with the gasket 120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o insulate the cap plate 110. Is installed. An insulating plate 14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10, and a terminal plate 15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140.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30 is coupled to the terminal plate 150.

전극조립체(11)의 음극(15)은 음극탭(17)과 단자플레이트(150)를 통하여 전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극조립체(11)의 양극(13)의 경우에는 양극탭(16)이 캡플레이트(110)나 캔(10)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단자플레이트(150)의 하부에는 절연케이스(19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극성을 달리하여 전지를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negative electrode 15 of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30 through the negative electrode tab 17 and the terminal plate 150. In the case of the positive electrode 13 of the electrode assembly 11, the positive electrode tab 16 is welded to the cap plate 110 or the can 10. An insulating case 190 may be further installed below the terminal plate 150.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may be designed by changing the polarity.

캡플레이트(110)의 일 측에는 캔(1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주입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해액 주입 후 상기 전해액주입공(112)을 밀폐시키는 밀봉부(160)가 형성된다.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2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the can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110, and a sealing unit 160 for seal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12 after electrolyte injection is provided. Is formed.

캔의 넓은 측면에 형성된 벤트(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Vent 200 formed on the wide side of the ca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캔의 넓은 측면(10a)에 일정 깊이로 홈이 파여 개구부(200)를 갖는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벤트의 개구부(200)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캔의 넓은 측면(10a) 중 전지부(12)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 vent having a groove 20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a wide side surface 10a of the can, and a vent having an opening 200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can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12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벤트는 일정 깊이의 홈을 갖는 개구부(200)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과충전 등으로 인하여 전지의 내부가스에 의한 압력이 증가할 때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파단되어 내부가스를 방출시킴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Vent is a part in which the opening 20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nd when the pressure due to the internal gas of the battery increases due to overcharging, etc., the vent breaks preferentially than other parts to release the internal gas,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Do it.

이러한 벤트의 개구부는 스웰링시 전지 내부의 응력분포 및 전지부 상단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pening of the vent may have various shapes at various pos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side the battery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during swelling.

먼저, 전지부 상단의 높이를 고려하여 벤트의 개구부의 위치를 살펴본다. First, the position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전지부 상단의 높이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스웰링시 내부가스압에 의해 벤트의 개구부가 열릴 때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벤트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전지부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battery compartment means that the gas can be smoothly discharged when the opening of the vent is opened by the internal gas pressure during swelling. For this purpose,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located above the top of the battery compartment. It means that it needs to be located.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개구부(200, 200')의 한 변(상변)은 캔의 넓은 측면(10a)의 상변에 평행하면서 캔의 넓은 측면(10a) 중 전지부(12)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 따라서, 내부가스압에 의해 벤트의 개구부(200, 200')가 열리면 전지부(12)로 인해 가스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2 and 3, one side (upper side) of the openings 200, 200 ′ is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10 a of the can, and the top of the battery unit 12 of the wide side 10 a of the can. It is located abov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refore, when the openings 200 and 200 ′ of the vent are opened by the internal gas pressure, the discharge of the gas is not disturbed by the battery unit 12, and thus the gas may be smoothly discharged.

벤트의 개구부(200)의 상변(210)은 캔의 넓은 측면(10a)의 상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상변(210)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보다 벤트의 개구부(200)의 파단이 용이하다. 또한, 캔의 중앙에 직선으로 형성된 상변(210)이 기울지 않고 캔의 상변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벤트의 개구부(200)에 전지 내압가스에 의한 응력이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벤트의 파단압 설계가 용이해진다.The upper side 210 of the vent opening 200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The upper side 210 of the ven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rather than the curved opening 200. It is easy to break.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ide 210 formed in a straight line at the center of the can is not inclined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can, the stress caused by the battery pressure gas acts uniformly on the opening 200 of the vent, so that the break pressure design of the vent is achieved. It becomes easy.

한편, 전지의 내부가스에 의하여 스웰링된 캔(여기서, 캔은 장변이 48.7mm, 단변이 33.8mm인 경우)의 넓은 측면(10a)의 응력분포를 보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의 변부분(21), 평면부분(22), 제 1 귀퉁이부분(23), 제 2 귀퉁이부분(24) 의 순으로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캔이 내부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스웰링될 때 귀퉁이부분(23, 24)에서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swelled by the internal gas of the battery (where the can has a long side of 48.7 mm and a short side of 33.8 mm), a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side portion 21, the planar portion 22, the first corner portion 23,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24. That is, when the can is swelled by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gas, the greatest stress is generated in the corner portions 23 and 24.

벤트의 개구부(200)의 상변은 캔의 넓은 측면(10a)의 상변에서 2.0∼3.0㎜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부(12)의 상단은 캔의 넓은 측면(10a)의 상변에서 통상 3.0㎜ 정도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이격 거리가 3.0㎜보다 크면, 내부가스압에 의해 벤트의 개구부(200)가 열리더라도 전지부(12)로 인해 가스의 배출이 방해받게 되므로,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게 된다. 한편, 2.0㎜보다 작으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력이 가장 약한 캔의 변부분(21)에 인접하여 상기 벤트의 상변의 파단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전지의 안정성을 해하게 된다.The upper side of the vent opening 200 is preferably 2.0 to 3.0 mm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part 12 is normally spaced about 3.0 mm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surface 10a of the can. Therefor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greater than 3.0mm, even if the opening 200 of the vent is opened by the internal gas pressure, the discharge of the gas is prevented by the battery unit 12, the gas can not be smoothly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when smaller than 2.0 mm, as shown in FIG. 4, since the break of the upper side of the said vent is not easy adjacent to the edge 21 of the can which is the weakest in stress, the battery stability is impaired.

다음으로, 스웰링시 전지 내부의 응력분포를 고려하여 벤트의 개구부의 위치 및 형상을 살펴본다.Nex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pening of the vent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side the battery during swelling.

도 2 및 도 3 을 살펴보면, 벤트의 개구부(200, 200')의 형상은 한 변이 열린 다각형이고, 상기 열린 부분은 캔의 넓은 측면(10a)의 중앙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있다. 2 and 3, the openings 200 and 200 ′ of the vents have a polygon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the open portion is positioned toward the center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도 3 을 참조하면, 스웰링시 캔의 넓은 측면(10a)의 귀퉁이부분에 가장 큰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캔의 네 귀퉁이부분 가운데 상부의 두 귀퉁이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측면벤트(200')를 형성하여 내압의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이 경우, 비교적 두꺼운 개구부(200')를 가질 수 있으므로 벤트 형성 작업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since the greatest stress is applied to the corners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during swelling, the side vent 200 ′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two upper corners of the four corners of the can. To react sensitively to the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In this case, since it may have a relatively thick opening 2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the vent forming operation.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벤트의 개구부(200)는 한 변이 열린 사각의 형상 (

Figure 112005077459641-PAT00001
-형)을 띄고 있다. 이때, 상기 벤트는 캔의 넓은 측면(10a)의 네 귀퉁이부분 가운데 상부의 두 귀퉁이부분 사이 중앙에 위치하여 있다. 이 경우, 내압에 의해 벤트의 개구부(200) 파단시 캔의 과도한 파손을 막아 전극조립체 및/또는 전극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opening 200 of the vent has a rectangular shape (one side of which is open)
Figure 112005077459641-PAT00001
-Type). At this time, the vent is located at the center between the two corners of the top of the four corners of the wide side 10a of the can. In this case, excessive breakage of the can at the time of breaking the opening 200 of the vent may be prevented by internal pressur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 or the electrode tab.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캔의 넓은 측면에 형성되는 벤트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전지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vent formed on the wide side of the can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so that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n be discharged smoothly. have.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encompas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Claims (7)

전지부와, 상기 전지부의 두 전극에서 각각 인출된 전극탭을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캔; 및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차전지에 있어서,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battery unit and electrode tabs respectively drawn from the two electrodes of the battery unit;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상기 캔의 넓은 측면에 일정 깊이로 홈이 파여 개구부를 갖는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벤트의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캔의 넓은 측면 중 상기 전지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 vent is formed in the wide side of the can with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t least some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unit among the wide sides of the can.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벤트의 개구부의 한 변은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상변에 평행하면서 상기 전지부의 상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One side of the vent opening is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of the can and 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bov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battery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벤트의 개구부의 상기 한 변은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상변에서 2.0∼3.0㎜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vent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2.0 to 3.0mm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de side of the ca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벤트의 개구부의 형상은 한 변이 열린 다각형이고, 상기 열린 부분은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중앙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opening of the vent has a polygon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the open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center of the wide side of the ca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벤트의 개구부는 한 변이 열린 사각의 형상(
Figure 112005077459641-PAT00002
-형)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The opening of the vent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one side open (
Figure 112005077459641-PAT00002
-)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벤트는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네 귀퉁이부분 가운데 상부의 두 귀퉁이부분 사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vent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center between the two corners of the top of the four corners of the wide side of the ca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벤트는 상기 캔의 넓은 측면의 네 귀퉁이부분 가운데 상부의 두 귀퉁이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vent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two corners of the upper corner of the four corners of the wide side of the can.
KR1020050132435A 2005-12-28 2005-12-28 Secondary battery KR200700698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435A KR20070069860A (en) 2005-12-28 2005-12-28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435A KR20070069860A (en) 2005-12-28 2005-12-28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860A true KR20070069860A (en) 2007-07-03

Family

ID=3850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435A KR20070069860A (en) 2005-12-28 2005-12-28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98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2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824850B1 (en) Method for forming vent of secondary battery
KR100824878B1 (en) Secondary battery
EP2264811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8855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95680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29097B1 (en) Secondary battery
KR20080037869A (en) Secondary battery
KR10069684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09871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60751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88592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88574B1 (en) Secondary battery
KR10128589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6075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82489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70441B1 (en) Secondary battery
KR101084919B1 (en) Secondary battery
EP2947710B1 (en) Secondary battery
KR20070069860A (en) Secondary battery
KR100788555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59859B1 (en) Secondary battery
KR20070108752A (en) Secondary battery
KR100749635B1 (en) Secondary battery
KR101305461B1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