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9821A -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9821A
KR20070069821A KR1020050132318A KR20050132318A KR20070069821A KR 20070069821 A KR20070069821 A KR 20070069821A KR 1020050132318 A KR1020050132318 A KR 1020050132318A KR 20050132318 A KR20050132318 A KR 20050132318A KR 20070069821 A KR20070069821 A KR 20070069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mo
voice memo
search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13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9821A/ko
Publication of KR2007006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51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메모 기록모드, 음성메모 검색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수단;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수단;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문자 변환수단; 상기 음성/문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검색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 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화자독립형 음성인식, 음성메모 검색, 음성/문자 변환,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voice memo using speaker-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 입력부 12 : 음성 입력부
13 : 음성/문자 변환부 14 : 저장부
15 : 표시부 16 : 제어부
본 발명은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음성은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 소통 수단이면서 정보 전달 수단이자, 언어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인간이 내는 의미 있는 소리이다.
인간과 기계 사이의 음성을 통한 통신 구현에 대한 시도는 과거부터 꾸준히 발전되어 왔는바, 더욱이 최근 음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 정보 처리 기술(speech information technology;SIT) 분야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함 에 따라 실생활에도 속속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정보 처리 기술을 크게 분류하면,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음성합성(speech synthesis), 화자인증(spea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음성코딩(speech coding)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음성인식은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열로 변환하는 기술이고, 음성합성은 문자열을 음성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원래의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며, 화자인증은 발화된 음성을 통하여 발화자를 추정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이며, 음성코딩은 음성 신호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이 중에서, 음성인식을 구현하는 수많은 방식 및 알고리즘은 크게 인식모델을 이용하는 방식, 언어모델을 이용하는 방식 및 인식된 문장에 대한 구문을 분석하는 방식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인식모델을 이용하는 방식은 DTM(Dynamic Time Warping), HMM(Hidden markov model), HM-Net(Hidden Markov Network) 및 ANN(Artificial Neural Network)의 방식을 포함하고, 언어모델을 이용하는 방식은 FSN(Finite State Network), 워드-페어(Word-pair) 및 엔-그램(N-gram)의 방식을 포함하며, 인식된 문장에 대한 구문을 분석하는 방식에는 CFG(Context-Free Grammar) 및 차트 파셔(Chart parser) 방식 등을 포함한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자의 음성에 의한 명령어 입력에 의하여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장치 및 방법이 수년 전 이미 개발되어 상용화된 바 있다. 위와 같은 음성인식 방식의 카테고리 중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를 위한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현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는 시간축정합(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
이것은 미리 음성 패턴 및 각각의 음성 패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무선통신 단말기 내의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하여 두고,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명령음성을 발화하면 사용자의 음성에 가장 가까운 음성 패턴을 검색함으로써, 패턴매칭을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으로 추측되는 음성 패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시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DTW 알고리즘에 의한 음성인식 방법은 각각의 명령어마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마다 별도로 음성 패턴을 미리 입력 및 등록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 및 무선통신 단말기에 텍스트의 형태로 저장시킨 주소록을 전혀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각각의 음성 패턴이 기억장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음성 파일의 형태인 데 기인한 기억장치의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더욱이, DTW 알고리즘에 의한 음성인식 방법은 화자 종속적(speaker-dependent)인 음성인식 알고리즘이라는 본질적인 한계로 말미암아, 음성 패턴을 등록해 놓은 화자의 음성만을 처리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생산 및 출하 시에 각 명령어에 대한 최적화된 음성 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일일이 각 명령어 및 전화번호에 대한 자기의 음성 패턴을 직접 하나 하나 입력 및 저장할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번거롭고 까다로운 음성 패턴 과정의 필요로 인하여 자칫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음성인식 기능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전화에 소용량의 화자독립형(speaker-independent) 음성 인식기를 탑재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텍스트 형태로 주소록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성명 및 전화번호에 대응시키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화자독립형 음성인식기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음성 패턴을 등록하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DTW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술에 비해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탁월한 인식률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입력받은 음성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상기 프레임 중 실제 음성구간만을 분리한다.
이후, 실제 음성구간의 프레임의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가우시안 확률분포로 모델링한 후 확률분포상에 표시된 확률값을 계산한다.
이후, 소정의 방식으로 구성된 인식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한다.
이후, 현재 프레임의 특징벡터와 이전프레임의 특징벡터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현재 프레임의 특징벡터가 이전프레임의 특징벡터와 유사하면 이전프레임의 확률값을 사용하여 현재프레임의 음성을 인식한다.
이러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음성메모 검색에 적용하여 종래의 음성메모 검색의 문제점,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메모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저장되어 있는 음성메모를 일일이 청취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기 위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메모 기록모드, 음성메모 검색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수단;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수단;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 여 문자(text)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문자 변환수단; 상기 음성/문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검색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음성메모와 상기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상호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상기 저장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메모를 저장하고 있는 단계;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검색용 음 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음성메모 기록모드, 음성메모 검색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1),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해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12),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하 기 위한 음성/문자 변환부(13), 상기 음성/문자 변환부(13)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상기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 검색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 및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는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검색용 문자로 변환하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호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와 음성/문자 변환부(13)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상호 연관지어(일예로 저장번지 매칭) 저장부(14)에 저장함으로써,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검색용 문자를 매칭시켜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모드설정용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메모 기록모드 및 음성메모 검색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키 입력부(11)를 통해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음성메모를 입력받는다(201).
이후, 음성/문자 변환부(13)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다(202).
이후,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와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상호 연관지어 저장부(14)에 저장한다(203).
이후, 키 입력부(11)를 통해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다(204).
이후, 음성/문자 변환부(13)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다(205).
이후,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한다(206). 즉,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에서 검색용 문자를 포함하는 음성메모를 검색한다.
이후, 상기 검색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한다(207). 여기서, 상기 목록은 기록날짜, 시간, 제목, 용량 등을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저장부(14)에 저장하고 있다(301).
이후, 키 입력부(11)를 통해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 입력 부(12)를 통해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다(302).
이후, 음성/문자 변환부(13)는 음성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다(303).
이후, 상기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로 변환한다(304).
이후,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한다(305). 즉,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에서 검색용 문자를 포함하는 음성메모를 검색한다.
이후, 상기 검색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한다(306). 여기서, 상기 목록은 기록날짜, 시간, 제목, 용량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 성메모와 매칭시켜 효율적으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음성메모 기록모드, 음성메모 검색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수단;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수단;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 및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문자 변환수단;
    상기 음성/문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검색된 음성메모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text)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메모와 함께 저장하고,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하고 있는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와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음성메모와 상기 음성/문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상호 연관지어(일예로 저장번지 매칭)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메모 기록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음성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음성메모와 상기 변환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상호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상기 저장한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
  4.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성메모를 저장하고 있는 단계;
    음성메모 검색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검색용 음성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검색용 음성을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음성메모를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검색용 문자와 문자 형식의 음성메모를 매칭시켜 해당 음성메모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한 음성메모의 목록(기록날짜, 시간, 제목, 용량)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방법.
KR1020050132318A 2005-12-28 2005-12-28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69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318A KR20070069821A (ko) 2005-12-28 2005-12-28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318A KR20070069821A (ko) 2005-12-28 2005-12-28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821A true KR20070069821A (ko) 2007-07-03

Family

ID=3850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318A KR20070069821A (ko) 2005-12-28 2005-12-28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98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96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term discovery and voice-to-voice search on mobile device
US82445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xtual representation of an audio message to a mobile device
US97429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intent in IVR using natural language queries
CN100403828C (zh) 一种便携式数字移动通讯设备及其语音控制方法和系统
Rudnicky et al. Survey of current speech technology
US5732187A (en) Speaker-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ing speaker independent models
US9177545B2 (en) Recognition dictionary creating devic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voice synthesizer
US8374862B2 (en) Method, software and device for uniquely identifying a desired contact in a contacts database based on a single utterance
US20070112568A1 (en)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US7471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voice tag
EP2747077A1 (en) Voice recognition system, recognition dictionary logging system, and audio model identifier series generation device
WO2001099096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a entree vocale, terminal d'utilisateur et systeme central
JP2013195823A (ja) 対話支援装置、対話支援方法および対話支援プログラム
EP1851757A1 (en) Selecting an order of elements for a speech synthesis
CN101825953A (zh) 一种语音输入和拼音输入相结合的中文输入法产品
TW200304638A (en) Network-accessible speaker-dependent voice models of multiple persons
US20070129945A1 (en) Voice quality control for high quality speech reconstruction
JP5510069B2 (ja) 翻訳装置
KR20010020871A (ko) 개선된 어구 저장, 사용, 변환, 전달 및 인식을 갖춘 음성제어된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A2597826C (en) Method, software and device for uniquely identifying a desired contact in a contacts database based on a single utterance
KR20070069821A (ko) 화자독립형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메모 검색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1039468A (ja) 電子辞書で音声認識を用いた単語探索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270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2392992B1 (ko)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호출 명령어 설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JP4445371B2 (ja) 認識語彙の登録装置と音声認識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