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021A - 광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광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021A
KR20070068021A KR1020050129667A KR20050129667A KR20070068021A KR 20070068021 A KR20070068021 A KR 20070068021A KR 1020050129667 A KR1020050129667 A KR 1020050129667A KR 20050129667 A KR20050129667 A KR 20050129667A KR 20070068021 A KR20070068021 A KR 2007006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partition wall
r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021A/ko
Publication of KR2007006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광발생장치는 복수개의 광원부, 격벽, 기판,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는 복수개의 점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 및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기판을 수납한다. 상기 격벽은 격벽으로 입사하는 광들을 확산시킨다. 격벽의 높이에 따라 입사하는 광의 확산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휘도의 균일도를 얻을 수 있고,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 발생 장치{LIGHT GENER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4은 도 1, 2 또는 3에 도시된 광원부의 확대도 이다.
도 5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8은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광발생장치 110, 310: 광원부
111 : 적색점광원 114 :청색점광원
113, 114: 녹색점광원
120, 320: 격벽 130, 330: 기판
140, 340: 수납용기 350 : 광학부재
본 발명은 광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휘도 및 우수한 색재현성을 갖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전자 제품의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전기적 포맷 형태의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로는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 중 액정표시장치(LCD)는 액정(Liquid Crystal)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을 하지 못하는 비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한다.
광원으로서 백라이트를 사용하는데,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에지방식과 직하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중 에지방식은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램프 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 램프의 양단에 삽입되어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 홀더 및 램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면이 도광판의 측면에 끼워져 램프에서 발산된 빛을 도광판 쪽으로 반사시켜 주는 램프 반사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측면에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에지방식은 주로 랩탑형 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내구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한편, 직하방식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가 20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되기 시작하면서 중점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확산판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램프를 일렬로 배열시켜 액정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직접 조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하방식은 에지방식에 비해 광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표시장치에 적용된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선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및 평판형광램프(Flat Fluorescent Lamp, FFL)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중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광의 휘도는 냉음극선관 램프 또는 평판형광램프에서 발생된 광의 휘도보다 높고, 발광 다이오드의 소비전력은 냉음극선관 램프 및 평판형광 램프보다 낮다. 따라서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하나의 LED에서 백색광을 얻는 경우도 있지만, 적색, 청색, 녹색의 삼색 LED를 사용하여 파장이 다른 광원의 혼색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색재현성이 나타난 다. 그러나 이 경우 충분한 혼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휘도와 색얼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스크롤링이나 칼라 시퀀셜 기능을 사용하는 백라이트의 경우 분리된 구역에서 광의 분리나 경계면에서의 색, 휘도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된 구역에서 광의 분리를 방지하고, 색재현성과 휘도 균일성이 뛰어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발생장치는 복수개의 광원부, 격벽, 기판,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는 복수개의 점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 및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기판을 수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발생장치는 복수개의 광원부, 복수개의 홈을 갖는 기판,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을공급받는 광학부재, 상기 기판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는 살기 기판의 홈안에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발생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광원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가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격벽과 일체를 이루는 기 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공급받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기판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또는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100)는 복수의 광원부(110),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20), 상기광원부 (110)와 격벽(120)이 배치되는 기판(130) 및 상기 광원부(110), 격벽(120), 기판(130)을 수납하는 수납용기(140)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광원부(110)들은 기판(13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광원부(110)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미도시), 도1에서와같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열이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광원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부(110)를 둘러싸듯이 배치될 수 도 있고, 도 1과 같이 상기 광원부(110)의 양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광원부(110)에서 나오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킨다.
상기 기판(130)에는 상기 광원부(110)들과 상기 격벽(120)들이 배치된다. 상기 기판(130)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이 코팅된 금속코팅기판으로 이루어진다. 기판(13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점광원 (110)들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용기(140)는 상기 광원부(110), 상기 격벽(120), 상기 기판(130)을 수납한다. 상기 수납용기(140)의 모양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다르게 밑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수납용기(140)의 측면(미도시)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도 3에는 에지형 광발생 장치가 나타나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발생장치(300)는 복수의 광원부(310), 복수의 격벽(320), 기판(330), 수납용기(340) 및 광학부재(35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부(310)는 상기 기판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격벽(320)은 상기 복수의 광원부(310)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330)위 에 형성된다. 상기 기판(330)에는 상기 광원부(310)들과 상기 격벽(320)들이 배치된다. 상기 기판(330)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이 코팅된 금속코팅기판으로 이루어진다. 기판(33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점광원 (310)들에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부재(350)는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310)와 이웃하여 배치된다. 직하형 광 발생장치인 경우, 상기 광학부재(350)은 상기 광원부(310) 위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340)는 상기 광원부(310), 상기 격벽(320), 상기 기판(330) 및 상기 광학부재(350)를 수납한다.
광학 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광학 부재(350)는 광원부(310)들과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배치된다. 광학 부재(350)는 광원부(310)들로부터 발생되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혼합하여 거의 백색 광에 가까운 광을 출사한다. 광학부재(310)는 일 예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 PMMA) 재질로 형성된다.
광학 부재(350)는 광원부(3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확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일 수 있다. 확산판은 광을 확산시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확산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확산판은 일 예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 Methyl Methacrylate : PMMA)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광의 확산을 위한 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는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광의 경로를 다시 한번 변경하여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광학 시트는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광을 정면 방향으로 집광시켜 광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집광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는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광을 다시 한번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140)의 모양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다르게 밑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수납용기(140)의 측면(미도시)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다른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은 도 1,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광원부의 확대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부(110)는 4개의 점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점광원은 하나의 적색점광원(111), 하나의 청색 점광원(112), 두 개의 녹색점광원 (113, 114)를 포함한다. 상기 점광원들은 일례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적색 점광원(111)과 청색 점광원(112)는 제 1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 녹색점광원(113)과 제 2 녹색 점광원(114)은 상기 적색 청색점광원(111,112)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 된다. 일 예로 상기 4개의 점광원은 사각형의 네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녹색 점광원 두 개는 서로 대각선 위치에 배치된다.
적색 발광다이오드의 피크 파장은 약 620 ~ 약 650㎚이며, 상기 녹색 발광다이오드의 피크 파장은 약 510 ~ 약 530㎚이며,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피크 파장은 약 450 ~ 약 470㎚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광원부(110)는 적색점광원, 청색 점광원, 녹색점광원 3개의 점광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광원부(110)를 구성하는 점광원들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1에 도시된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격벽(120)은 상기 광원부(110)중 제 1광원부의 점광원중 청색점광원(112)와 상기 제 1광원부 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 2광원부(110)의 점광원중 적색점광원(1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120)의 높이와 너비는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격벽은 상기 광원부(110)중 제 1광원부의 점광원 중 녹색점광원(113,114)와 상기 제1광원부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 2광원부(110)의 점광원중 녹색점광원(113,114) 사이에 배치 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120)은 상부(121)와 하부(122)로 나누어 진다. 상기 격벽(120)에 도달하는 광에 대해 살펴본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에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가깝게 배치되고, 청색 발광다이오드가 멀게 배치된 경우를 살핀다. 이 경우 광의 입사량은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격벽에는 적색광이 청색광에 비해 더 많이 입사하게된다. 이에 따라 색편차가 나타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색이 주된 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에서는 적색을 많이 확산시켜 손실이 많이 나타나게 하고 녹색, 청색 순으로 손실이 나타나게 한다. 이렇게 하면 경계에서 가까운 발광다이오드로 인해 발생하는 색편차가 개선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일 예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120)은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120)은 상부(121a)와 하부(122a)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상부(121a)는 하부(122a)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격벽 상부(121a)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와 상기 격벽 하부(122a)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가 다르게된다. 상기 격벽 상부(121a)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122a)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120)의 측면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121b)는 하부(122b)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는 물질이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 상부(121b)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와 상기 격벽 하부(122b)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가 다르게된다. 상기 격벽 상부 (121b)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122b)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120)의 측면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121c)에는 하부(122c)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 상부(121c)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와 상기 격벽 하부(122c)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가 다르게된다. 상기 격벽 상부(121c)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122c)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도 6d를 참조 하면, 상기 격벽은 광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 상부(121d)의 두께는 상기 격벽 하부(122d)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상기 격벽의 상부(121d)에서 변경되는 광량은 상기격벽 하부(122d)에서 변경되는 광량보다 적고, 따라서 상기 격벽하부(122d)에서 광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도 7d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격벽이 예시로 되어 있으나 프리즘 모양이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다른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발생장치(700)은 복수의 광원부(710), 기판(730), 수납용기(74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730)에는 상기 광원부(710)이 배치되는 위치에 홈(720)이 형성된다. 상기 홈(720)의 모양은 사각플레이트 형상일수도 있고, 원형 일수도 있고 다각형일 수 있다. 또 상기 홈(720)의 측면(721)은 측면의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얇을 수도 있고, 두꺼울수도 있고 동일 할 수도 있다.
각각의 홈(720)은 불규칙하게 배열 될 수 있고, 열이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배열 될 수 있다. 또 홈(720)은 도 7과 다르게 특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홈(720)은 광원부 하나만을 수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열 혹은 행을 이루는 광원부들을 수납하도록 특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710),상기 기판(730)및 수납용기(740)는 상술한 광발생장치(100)의 광원부(110),기판(130) 및 수납용기(140)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홈(720)의 측면(721)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는 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또는 상기 홈(720)의 측면(721)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가 다르게된다.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도 8은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발생장치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발생장치(800)는 복수의 광원부(810), 상기 복수의 광원 부가 배치되는 기판(830), 상기 기판(83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810)사이에 배치되는 격벽(820), 상기 광원부(810), 상기 기판(830)을 수납하는 수납용기(84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810)들은 기판(13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광원부(810)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열이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도 있다. 상기 격벽(820)은 상기 기판(83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820)의 측면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는 물질이 도포된다.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상기 격벽(820)의 측면에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 광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떨어지도록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의 확산도가 다르게된다. 상기 격벽 상부에 도달하는 광은 상기 격벽 하부에 도달하는 광보다 확산이 많이 되어 손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이로써 색편차가 개선된다.
이와 같은 광발생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색을 갖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부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격벽에 도달하는 광에 대해 확산의 정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각 광원부에 의해 발생하는 광들의 색편차를 줄이므로써, 색과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광원부;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 및 격벽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광을 공급받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1개의 적색 점광원, 1개의 청색 점광원, 2개의 녹색 점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점광원과 청색점광원은 제 1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녹색 점광원은 상기 적색, 청색 점광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제 2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발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광원부중 제 1광원부의 점광원중 청색 점광원과 상기 제 1광원부 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 2광원부의 점광원중 적색 점광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부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확산재가 도포 되어있고, 상기 격벽하부에 도포되어 있는 확산재는 상기 격벽 상부에 도포되어 있는 확산재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확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은, 상기 격벽 상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격벽의 상부의 두께는 상기 격벽의 하부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발생장치.
  10. 상기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들은 매트릭스 배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1. 상기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들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2.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광원부;
    복수개의 홈을 갖고 복수개의 홈안에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광원부으로부터 광을 공급받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기판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1개의 청색, 2개의 녹색, 1개의 적색의 점광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는 광 발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점광원과 청색점광원은 제 1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녹색 점광원은 상기 적색, 청색 점광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제 2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발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마주보는 상기 홈의 면에는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물질이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마주보는 상기 홈의 면에는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홈 하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은, 상기 홈 상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7.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광원부;
    상기 복수개의 광원부가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격벽과 일체를 이루는 기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공급받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기판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확산재가 도포 되어있고, 상기 격벽하부에 도포되어 있는 확산재는 상기 격벽 상부에 도포되어 있는 확산재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확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 하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은, 상기 격벽 상부에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보다 광을 더 잘 확산시키는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생장치.
KR1020050129667A 2005-12-26 2005-12-26 광 발생 장치 KR20070068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667A KR20070068021A (ko) 2005-12-26 2005-12-26 광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667A KR20070068021A (ko) 2005-12-26 2005-12-26 광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021A true KR20070068021A (ko) 2007-06-29

Family

ID=3836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667A KR20070068021A (ko) 2005-12-26 2005-12-26 광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0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297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095637B1 (ko) 광 발생 장치,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KR100780223B1 (ko) 색 얼룩 향상을 위한 led 면 광원 및 이를 구비하는lcd 백라이트 유닛
JP2006018261A (ja)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デバイ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KR2006009539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2380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70006453A (ko) 광 발생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04342587A (ja)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200888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174348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819652B1 (ko) 엘이디 백라이트 장치
JP439513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具備した液晶表示装置
KR10110842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KR101042698B1 (ko) 면광원 장치
KR20070068021A (ko) 광 발생 장치
KR20080015302A (ko) 광학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60028895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352104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0565744B1 (ko)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
KR101165731B1 (ko)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70013573A (ko) 프리즘 시트,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KR20060001567A (ko) 휘선이 방지된 액정표시장치
KR101330788B1 (ko) 멀티 블록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KR2008005851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694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