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157A - Door lock device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157A
KR20070066157A KR1020050126988A KR20050126988A KR20070066157A KR 20070066157 A KR20070066157 A KR 20070066157A KR 1020050126988 A KR1020050126988 A KR 1020050126988A KR 20050126988 A KR20050126988 A KR 20050126988A KR 20070066157 A KR20070066157 A KR 2007006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atchet
door
rotated
ratch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60516B1 (en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심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선희 filed Critical 심선희
Priority to KR102005012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516B1/en
Publication of KR2007006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5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46Ratche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door lock device is provided to release locking of a door by rotating a hand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correspondingly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A door lock device(100) is composed of a dead bolt(10) moving in a direction of being projected from or inserted into a door and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 handle(20) installed in the door to rotate for the door; and a panic unit releasing locking of the door by moving the dead bolt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handle is turned in one direction, and holding a release state of the door by preventing the dead bolt from moving when the handle is tur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Description

도어잠금장치{Door lock device}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잠금장치를 실내측에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view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to the indoor sid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데드볼트의 왕복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티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rtis for explaining a reciprocating process of a dead bolt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nic means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자동적으로 그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automatically rotates in one direction after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가 그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와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도어에 설치 가능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may be installed in a door that open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oor in which the door locking device is install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9 and 10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nic means in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도어 2...구동부재1 ... door 2 ... driving member

10...데드볼트 20...핸들10 ... dead bolt 20 ... handle

21...실내측 하우징 22...비틀림 스프링21.Interior housing 22 ... Torsion spring

30...회전부재 40...래칫기어30.Rotating member 40 ... Latchet gear

41...샤프트 50...래칫41 ... shaft 50 ... ratchet

51...지지체 52...슬라이딩부재51.Support 52.Sliding member

53...탄성부재 100,100a...도어잠금장치53.Elastic member 100,100a ... Door lock

201...수용부 211...돌기201 ... Acceptance section 211 ...

301...결합부 302...기어수용부301 ... coupling part 302 ... gear receiving part

303...돌출부 401...치303 ... protrusion 401 ...

511...가이드부 521...가압부511 ... Guide part 521 ... Pressure part

522...슬라이딩부 40a...휘일부재522 Sliding part 40a Wheel member

401a...오목부 4011...일 내측면401a ... concave part 4011 ... working inner side

4012...타 내측면4012.Other inner side

본 발명은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locking of the door can be released simply by rotating the handle on the indoor side.

일반적으로 도어잠금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잠금장치가 사용된다. In general, door locks are widely used in general homes or public buildings. Typically, door locks are used for entrance doors, bank vaults, and access controls to restrict access to specific areas.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태그(RFID),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120)과,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미도시)과, 상기 도어(1)에 삽입되는 모티스(110)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technology, 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a method such as RFID, card input, fingerprint recognition, number input. Such a door locking device generally includes an indoor housing 120 installed on an indoor side of the door 1, an outdoor housing (not shown) installed on an outdoor side of the door 1, and the door 1. It has a mortise 110 is inserted into.

상기 모티스(1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11)와, 상기 도어(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10)와, 상기 케이스(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드볼트(10)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재(2)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재(2)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원에 입력신호가 인가되어 그 구동원이 구동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10)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공(112)에 삽입 및 이탈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mortise 110 has a case 111, a dead bolt 10 which is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and the case 111. It is rotatably coupled and has a drive member (2) for linear reciprocating the dead bolt (10). The drive member 2 is connected to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Therefore, when an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source to drive the driving source, the dead bolt 10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dead bolt hole 112 formed in the door post as the driving member 2 rotates. Accordingly, the door 1 is locked and unlocked.

상기 실외측 하우징에는, 그 실외측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신호 발생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는 상기 실외측 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번호입력부 또는 지문감지부 등일 수 있다. The outdo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door housing, and a driv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rive signal for driving the drive source.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may be a number input unit or a fingerprint sensing uni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door housing.

상기 실내측 하우징(120)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실내측 하우징(120)에 대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121)과, 상기 구동원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12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시에, 예를 들어 배터리가 모두 다 소모되어 상기 버튼을 눌러도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나 화재 등에 의해 버튼, 모터 등이 파손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재(2)에 연결된 돌림부재(123)를 돌려서 상기 데드볼트(10)를 움직이게 하면, 상기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interior housing 120 has a handle 121 rotatably coupled to the interior housing 1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1, and generates a drive signal to the driving source. A button 122 to be provided is provided. In an emergency, for example,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motor does not operate even when the button is pressed, or when the button, the motor, or the like is damaged due to a fire or the like, the turning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2 ( When the dead bolt 10 is moved by turning 123, the locking of the door 1 can be rel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실내측에서 도어(1)를 열고 나가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버튼(122)을 눌러서 모터를 작동시키거나 돌림부재(123)를 돌린 후에, 핸들(121)을 돌리면서 도어(1)를 열게 된다. 그리고, 실외측에서 도어를 열고 들어가기 위해서도, 예를 들어 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를 작동시킨 후에, 손잡이를 돌리면서 도어(1)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이나 손잡이는 실질적으로 데드볼트를 이동시키는 역할은 하지 못하나, 사용자는 도어를 열 때에 본능적으로 또는 습관적으로 핸들이나 손잡이를 돌리게 된다. 결국, 도어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는 데드볼트(10)를 움직이기 위한 1차 동작, 예를 들어 번호를 입력하거나 버튼(122)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한 후에 2차 동작으로서 핸들이나 손잡이를 돌린다. In the door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n and exit the door 1 from the indoor sid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2 to operate the motor or turn the turning member 123, and then the handle 121 is rotated. The door 1 is opened by turning. Also, in order to open the doo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fter entering a number to operate the motor, the door 1 is opened while turning the handle. As such, the handle or the handle does not substantially move the dead bolt, but the user instinctively or habitually turns the handle or the handle when opening the door. As a result, in order to open the door, the user rotates the handle or the handle as the secondary operation after the primary operation for moving the dead bolt 10, for example, inputting a number or pressing a button 122.

그런데, 비상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지진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실내측에 있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패닉상태에 빠져 있게 되므로, 상술한 1차 동작, 즉 버튼(122)을 누르거나 돌림부재(123)를 돌려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지 못하고 오로지 2차 동작, 즉 핸들(121)을 돌리기만 한다. 따라서, 도어의 록킹이 해제 되지 못하고 실내측에 있는 사람이 갇히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an emergency,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fire or an earthquake, the person in the room is mentally panic, and thus, presses or rotates the first operation, that is, the button 122. It is not possible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door 1 by turning) and only rotate the secondary operation, that is, the handle 121. Therefore, the locking of the door is not released, and the person in the room is trapped, resulting in human injury.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도어잠금장치와는 달리, 사용자의 본능 또는 습관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한번의 동작, 즉 도어의 핸들을 돌리기만 하면 바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도어를 열고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도어잠금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described above, the door not only coincides with the instincts or habits of the user, but also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and exited by immediately releasing the door lock by simply turning the handle of the door. There is a need for a lock.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도어의 록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도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so that the locking of the door can be released simply by rotating the handle in the room side can be easily released the locking of the door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that can be easily escaped in an emergenc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uman inju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그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된 핸들의 그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지 않아 상기 도어의 록킹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패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dead bolt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the door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door The handle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and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ead bolt is moved in the immersed direction to unlock the door, the handle rotated in on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en the dead bolt is not 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nic means for maintaining the unlocking state of the do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자동적으로 그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가 그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와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도어에 설치 가능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main parts of a panic means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in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rotates in one direction automatically after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FIG. 8 is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drawing for explaining that the door lock can be installed in the door that open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oor in which the door lock is installed.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잠금장치(100)는 데드볼트(10)와, 핸들(20)과, 패닉수단을 구비한다. 3 to 8, the door l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ad bolt 10, a handle 20, and a panic means.

상기 데드볼트(10)는 도어(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데드볼트(10)는, 종래 기술에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부재(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의 외측에 마련된 번호입력부에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과, 그 실외측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번호입력부 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The dead bolt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The dead bolt 10 is connected to the drive member 2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prior art.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number is input to the number input un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1, the driving member 2 is rotated by the motor, so that the door 1 is locked and unlocked. do. Meanwhile, FIG. 3 does not show an outdoor housing installed outside the door, a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door housing, the number input unit, and the like.

상기 핸들(20)은 상기 도어(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실내측 하우징(21)에 설치된다. 상기 핸들(20)은 스냅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실내측 하우징(21)으로부 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핸들(20)에는 육각형 형상의 수용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하우징(21)은 상기 도어(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하우징(21)에는 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handle 20 is installed in the indoor housing 21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oor 1. The handle 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door housing 21 by a snap ring (not shown). Hexagonal accommodating portion 201 is formed in the handle 20. The indoor housing 21 is fixed inside the door 1. A protrusion 211 is formed in the indoor housing 21.

상기 패닉수단은 상기 핸들(20)을 일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상기 데드볼트(10)가 상기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20)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그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데드볼트(10)가 상기 도어(1)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 상기 도어(1)의 록킹 해제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The panic means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10 is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only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locking of the door 1 is performed. To release it. Accordingly,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and then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dead bolt 1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door 1. Since it is not moved, the unlocking state of the door 1 is maintained.

상기 패닉수단은 회전부재(30)와, 래칫기어(40)와, 래칫(50)을 구비한다. The panic means includes a rotating member 30, a ratchet gear 40, and a ratchet 50.

상기 회전부재(30)는 상기 핸들(2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20)에 고정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30)에는 상기 핸들의 수용부(20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육각형 형상의 결합부(3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부(301)를 상기 핸들의 수용부(20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30)가 상기 핸들(2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0)에는 기어수용부(302)와,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The rotat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handle 20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20. That is, the coupling member 301 of the hexagonal shape is formed in the rotating member 3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201 of the handle,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301 of the rotating member W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01, the rotating member 30 is rotatable with the handle 20. The rotation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gear accommodating part 302 and a protrusion 303.

상기 래칫기어(40)는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수용부(302)에 수용된다. 상기 래칫기어(40)는 상기 회전부재(3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회전부재(30)에 결합된다. 상기 래칫기어(40)에는 샤프트(41)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샤프트(41)는 상기 구동부재(2)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구동부재(2)에 연결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칫기어(40)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4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구동부재(2)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데드볼트(10)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래칫기어(40)의 치(401)들 각각은 그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래칫기어(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치(外齒)형 래칫기어이며, 그 치(401)들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ratchet gear 40 is accommodated in the gear accommodation portion 302 of the rotating member. The ratchet gear 40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30 to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rotating member 30. A shaft 41 is fixed to the ratchet gear 40, and the shaft 4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2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driving member 2. Therefore, when the ratchet gear 40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the driving member 2 connected to the shaft 41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10 is immersed. Done. Each of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40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chet gear 40 is an external tooth ratchet gear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teeth 401 are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래칫(50)은 상기 래칫기어(40)에 맞물리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칫기어(40)가 상기 핸들(2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래칫(50)은 상기 회전부재(30)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칫(50)은 상기 회전부재(30)를 매개로 상기 핸들(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래칫(50)은 상기 래칫기어(4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래칫(50)은 지지체(51)와, 슬라이딩부재(52), 탄성부재(53)를 구비한다. The ratchet 50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40 so that the ratchet gear 40 can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handle 20. The ratchet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30 by screwing. Thus, the ratchet 50 is coupled to the handle 20 via the rotating member 30. The ratchet 50 is disposed outside the ratchet gear 40. The ratchet 50 includes a support 51, a sliding member 52, and an elastic member 53.

상기 지지체(51)는 상기 회전부재(3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지체(51)에는, 상기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부(511)가 마련되어 있다. The support 51 is screwed to the rotating member 30. The support 51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511 elon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40.

상기 슬라이딩부재(52)는 상기 지지체의 가이드부(51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52)는 상기 가이드부(511)를 따라서 상기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2)의 단부는 상기 래칫기어(40)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2)에는 가압부(521)와, 슬 라이딩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52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래칫기어의 치(401)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52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재(30)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래칫기어의 치(401)에 대해 그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부분이다. The sliding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511 of the support. Therefore, the sliding member 52 is disposed to reciprocat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40 along the guide portion 511. An end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52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40. The sliding member 52 is formed with a pressing portion 521 and a sliding portion 522. As shown in FIG. 4, the pressing unit 521 presses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when the rotating member 30 rotates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sliding part 522 is formed to be inclined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ratchet gear against the tooth 401 of the ratchet gear when the rotation member 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It is the part which slid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40.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슬라이딩부재(52)를 상기 래칫기어(4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탄성부재(53)는 그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51)에 접촉지지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재(52)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3)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elastic member 53 elastically biases the sliding member 5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ing member 52 is engaged with the ratchet gear 40. The elastic member 53 is install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5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member 52.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53 is compos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놓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20)이 그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자리로 위치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은 그 일단부가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돌기(211)에 접촉지지되며 그 타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돌출부(303)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은 상기 핸들(2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들(20)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부재(30)도 상기 핸들(20)과 함께 회전할 뿐만 아니라 그 회전부재의 돌출부(303)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의 타단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의 타단부도 상기 핸들(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22)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성 변형되게 되므로, 상기 핸들(20)을 놓게 되면 그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20)이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자리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20)은 제자리로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n released, the handle 2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 to be in position. Done. 6 and 7,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22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11 of the indoor housing,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rovided by the protrusion 303 of the rotating member. It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The torsion spring 22 is fitted to the handle 20. Since the torsion spring 22 is installed in this manner,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rotation member 30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20 as well as the protrusion 303 of the rotation member. Since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22 is presse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22 also rotates with the handle 20. In addition, since the torsion spring 22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in the one direction, when the handle 20 is released, the handle 2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 Rotated in place, the ratchet gear is in a state rotated in one direction. Thus, the handle 20 is in place while the locking of the door 1 is releas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잠금장치(100)에 있어서, 핸들(20)을 돌려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door 1 by rotating the handle 20 in the door lock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데드볼트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공에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핸들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에는 비틀림 스프링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래칫(50)과 래칫기어(4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맞물려 있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locked by inserting the dead bolt into the dead bolt hole formed in the door holder, the handl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s shown in FIG. 6, and the torsion spring is in an undeformed state at this time. The ratchet 50 and the ratchet gear 40 are then engaged as shown in FIG. 4.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기 위해서, 핸들(20)을 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핸들(20)과 회전부재(30)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래칫(50)과 래칫기어(40)가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부재(30)에 그 회전부재(3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래칫(50), 특히 래칫의 슬라이딩부재(52)의 가압부(521)가 핸들(20)의 회전시 래칫기어의 치(401)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기어(40)가 회전부재(3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기어(40)도 그 핸들(2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샤프트(41)가 래칫기어(40)와 함께 회전하도록 그 래칫기어(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샤프트(41)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재(2)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0)가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도어(1)를 열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at is, counterclockwise, in order to unlock the door in the room and open the door, the handle 20 and the rotating member 30 rotate together. Since the ratchet 50 and the ratchet gear 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ressing of the ratchet 50, in particular the sliding member 52 of the ratchet, fixed to the rotating member 30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rotating member 30. The part 521 presses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counterclockwise when the handle 20 rotates. Thus, the ratchet gear 40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the rotation member 30. As such,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ratchet gear 40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the handle 20, and the shaft 41 rotates together with the ratchet gear 40. Since it is fixed to the ratchet gear 40, the drive member 2 connected to the shaft 41 also rotates. Therefore, since the dead bolt 10 is moved in the direction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it is possible to unlock the door 1 to open the door (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를 열게 되면, 핸들(20)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20)의 회전 과정에서, 비틀림 스프링(22)의 타단부는 회전부재의 돌출부(303)가 회전함에 따라 그 핸들(2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비틀림 스프링(22)은 탄성변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들(20)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핸들(20)을 놓게 되면 그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핸들(20)은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1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2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20,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handle 20 as the protrusion 303 of the rotating member rotates, thus the torsion spring ( 22 is in the elastically deformed state.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20 is shown in FIG. 7, when the handle 20 is released, the handle 2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 It is located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그리고, 핸들(20)이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회전부재(30)에 결합된 래칫(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그 래칫(50), 특히 래칫의 슬라이딩부재(52)의 슬라이딩부(522)는 래칫기어의 치(401)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래칫기어의 치(401)를 가압하지 못하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부재(30)에 결합된 래칫(50)은 래칫기어의 치(401)들을 지나면서 그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만을 할 뿐 그 래칫기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그 래칫기어의 치(401)를 가압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20)이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래칫기 어(40)가 그 핸들(2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게 되므로, 도어(1)의 록킹해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1)를 열고 난 후에, 핸들(20)을 놓더라도 그 핸들(20)만이 제자리로 회전할 뿐 데드볼트(10)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e handle 20 rotating clockwis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 to return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6, the ratchet 50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30 is also clockwise. In this process, the ratchet 50, in particular the sliding part 522 of the sliding member 52 of the ratchet, slides with respect to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and thus cannot press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As shown in FIG. 5, the ratchet gear 40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as the rotating member 30 rotates clockwise, the ratchet 50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30 reciprocat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40 while passing through the teeth 401 of the ratchet gear. It will only prevent the ratchet gear 40 from pressing the tooth 401 of the ratchet gear so that the ratchet gear 40 rotates clockwise. Thu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handle 2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 since the ratchet gear 40 stops without rotating with the handle 20, the door 1 The unlocked state will be maintained. Therefore, after opening the door 1, even if the handle 20 is released, only the handle 20 is rotated in place, the dead bolt 10 is not moved.

그리고, 도어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 도어를 닫게 되면 그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공지의 자동잠금수단에 의해 그 도어가 다시 록킹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부를 문설주에 설치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 그 마그네틱부를 감지하여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제1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래칫을 래칫기어와 맞물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회전부재에 설치하고, 제2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래칫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감지부가 마그네틱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된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의해 래칫의 슬라이딩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한 후에 모터가 구동되어 구동부재가 회전됨으로써 도어가 다시 록킹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가 다시 록킹된 후에는, 이동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어 탄성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래칫(50)이 래칫기어(4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래칫기어(40)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When the door is closed after the door is unlocked, the door may be locked again by a known automatic locking means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For example, the magnetic part is installed in the door holder,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magnetic part is installed to detect and sequentially generate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is driven by the first signal to match the ratchet with the ratchet gear. If the mov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member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iting direction, and the ratchet gear is rotated clockwise by driv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second signal,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magnetic part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Accordingly, after the sliding member of the ratchet is moved upward by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equentially generated, the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member so that the door is locked again. After the door 1 is locked in this manner, the operation of the moving device is stopped, and the ratchet 50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4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 so that the ratchet gear 40 Meshed with) again.

한편, 도어잠금장치(100)는 도어(1)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그 도어(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그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핸들(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도어(1)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가 열리는 방향에 따라 도어잠금장치의 세팅, 특히 핸들(20)의 회전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래칫(50)을 회전부재(30)에서 분리 한 후에 뒤집어서 그 회전부재(30)에 다시 설치하기만 하면, 그 재설치 전에는 핸들(20)을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었던 것과 달리 그 재설치 후에는 핸들(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만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우측에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된 도어에 도 3에 도시된 도어잠금장치(100)가 설치된 경우에 그 도어잠금장치(100)를 좌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잠금장치(100)를 우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로부터 분리한 후에, 핸들(20)을 실내측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하여 180˚ 회전시켜 다시 그 실내측 하우징(21)에 결합하고, 그 후에 래칫(50)을 회전부재(30)에서 분리하고 뒤집어서 다시 결합한 후에 핸들(30)의 회전방향이 변경된 도어잠금장치(100)를 좌측에 힌지부가 마련된 도어에 새롭게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lock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1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 is opened, in which case the user watches the handle 20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door 1 is opened after rotating in th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In this way, even when the setting of the door lock device, in particula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 is opened, the ratchet 50 is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30 and then turned upside down. 30), the door could be unlocked only if the handle 20 was rotated counterclockwise, for example, before the reinstallation. Only when it is rotated can the door be unlocked. For example, when the door lock device 100 shown in FIG. 3 is installed in a door provided with a hinge part (not shown) on the right side, the door lock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door provided with a hinge part on the left side. First, the door lock device 100 is detached from the door provided with the hinge part on the right side, and then the handle 20 is detached from the interior housing 21 and rotated 180 ° to be coupled to the interior housing 21 again. After the ratchet 50 is detached from the rotating member 30, turned upside down and then re-engaged, the door locking device 100 in whic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30 is changed may be newly installed in the door provided with the hinge part on the left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에 1차 동작 및 2차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한 후에 도어를 열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실내측에서 핸들(20)을 돌리기만 하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도어(1)를 열고 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의 록킹해제 과정이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측에 있는 사람이 비상시,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비록 정서적으로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경우라도 단순히 핸들만을 돌림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므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door can be opened after sequentially performing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locking of the door 1 is achieved by simply turning the handle 20 in the room side. The door 1 can be opened and exited by releasing i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locking process of the door is very eas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for example, in case of fire, even if a person on the indoor side is in an emotional panic state, the door can be opened by simply turning the handle, there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jury. .

그리고, 도어잠금장치를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그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기 위해서 그 도어잠금장치, 특히 핸들의 회전방향을 새롭게 세팅하는 경 우에 있어서도, 래칫(50)을 회전부재(30)에서 분리하여 뒤집은 후에 다시 그 회전부재(30)에 나사결합하기만 하면 되는 간편한 방식으로 그 핸들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The ratchet 50 is rotated by the rotation member 30 even when the door locking device, in particula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is newly set in order to install the door locking device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After detaching and flipping ove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can be easily changed in a simple manner by simply screwing the rotating member 30 again.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패닉수단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9 and 10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main parts of the panic means in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잠금장치(100a)는 데드볼트(10)와, 핸들(20)과, 패닉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패닉수단은 회전부재(30)와, 휘일부재(40a)와, 래칫(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지시되고 다소 변경되었으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되어 지시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9 and 10, the door locking device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ad bolt 10, a handle 20, and a panic means. The panic means includes a rotating member 30, a wheel member 40a, and a ratchet 5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me modifications are made, but corresponding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addition of a '.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상기 휘일부재(40a)는 상기 회전부재의 기어수용부(302)에 수용된다. 상기 휘일부재(40a)는 상기 회전부재(3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회전부재(30)에 결합된다. 상기 휘일부재(40a)에는 샤프트(41)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샤프트(41)는 상기 구동부재(2)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구동부재(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휘일부재(40a)는, 그 휘일부재(40a)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10)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휘일부재(40a)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휘일부재(40a)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40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401a)는 상기 휘일부재(40a)의 반경방향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 어져 있다. 상기 오목부(401a)에는 상기 래칫(50)이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401a)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일 내측면(4011) 및 타 내측면(40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 내측면(4011) 및 타 내측면(40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칫의 가압부(521)는 상기 내측면들(4011,4012) 각각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칫의 슬라이딩부(522)는 상기 내측면들(4011,4012) 각각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wheel member 40a is accommodated in the gear accommodation portion 302 of the rotating member. The wheel member 40a is coupled to the rotary member 30 to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rotary member 30. The shaft 41 is fixed to the wheel member 40a, and the shaft 4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2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driving member 2. The wheel member 40a is connected to the dead bolt 10 so that the dead bolt 1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10 is immersed when the wheel member 40a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wheel member 40a has a circular sh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member 40a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401a which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ecess 401a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member 40a. The ratchet 50 is engaged with the recess 401a. The recess 401a is provided with an inner side surface 4011 and another inner side surface 401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one inner side surface 4011 and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4012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521 of the ratchet i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inner surfaces 4011 and 4012, and the sliding portion 522 of the ratche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ner surfaces 4011 and 4012.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잠금장치(100a)에 있어서,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래칫(50)이 휘일부재의 오목부(401a)에 맞물려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20)을 일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의 가압부(521)가 휘일부재(40a)의 오목부(401a)의 일 내측면(4011)을 가압하게 되어 휘일부재(40a)가 핸들(2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휘일부재(40a)가 핸들(2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면, 그 휘일부재(40a)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41)도 회전하고 그 샤프트(41)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재(2)도 회전하게 되므로, 데드볼트(10)가 도어(1)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도어(1)를 열 수 있게 된다. In the door locking device 10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atchet 50 is engaged with the recess 401a of the wheel member in the locked state as shown in FIG. 9.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the pressing portion 521 of the ratchet causes the inner side surface 4011 of the recess 401a of the wheel member 40a to press. The wheel member 40a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20. When the wheel member 40a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20 in this manner, the shaft 41 fixed to the wheel member 40a also rotates and the driving member 2 connected to the shaft 41 also rotates. Because of the rotation, the dead bolt 10 is moved in the direction immer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 Thus, the door 1 can be opened 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door 1.

이와 같이 도어(1)를 열게 되면, 핸들(20)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핸들(20)을 놓게 되면 그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핸들(20)은 일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door 1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2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7, and thus, when the handle 20 is released as described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spring 2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handle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on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to be position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6.

그리고, 핸들(20)이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래칫의 슬 라이딩부재(52)의 슬라이딩부(522)가, 휘일부재(40a)의 오목부(401a)의 일 내측면(4011)과 마주하는 타 내측면(4012)에 대해 슬라이딩되므로, 래칫(50)이 휘일부재(40a)를 가압하지 못하고 그 휘일부재(40)의 반경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핸들(20)이 복귀하는 과정에서, 휘일부재(40a)는 회전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고정되게 되며, 래칫(50)은 휘일부재(40a)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그 회전부재(40a)와 함께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래칫의 슬라이딩부재(52)는 탄성부재(53)에 의해 휘일부재(40a)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다.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handle 20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6, the sliding portion 522 of the sliding member 52 of the ratchet is on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401a of the wheel member 40a. Since the other inner surface 4012 facing 4011 is slid, the ratchet 50 does not press the wheel member 40a and mov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member 40.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handle 20, the wheel member 40a is fix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without rotating, and the ratchet 50 is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member 40a. It rotates with the member 40a and is located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Here, the sliding member 52 of the ratchet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member 40a by the elastic member 53.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의 록킹을 해제하고 핸들(20)을 제자리로 복귀시킨 후에, 그 도어(1)를 닫게 되면, 공지의 자동잠금수단에 의해 그 도어(1)를 다시 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부를 문설주에 설치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 그 마그네틱부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설치하고, 입력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래칫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감지부가 마그네틱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발생된 입력신호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어 구동부재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어가 다시 록킹되게 된다. 이 때에, 휘일부재(40a)는 다시 도 9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휘일부재(40a)의 오목부(401a)에는 래칫(50)이 다시 맞물리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door 1 and returning the handle 20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losing the door 1, the door 1 can be locked again by a known automatic locking means. It becomes possible. For example, if the magnetic part is installed in the door holder,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magnetic part is installed to detect the magnetic part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he ratchet gear is rotated clockwise by driving the motor by the input signal.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magnetic unit, and the motor is driven by the inpu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is, so that the driving member is rotated so that the door is locked again. At this time, the wheel member 40a is rotated again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9, whereby the ratchet 50 is engaged again with the recess 401a of the wheel member 40a.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칫이 결합된 회전부재가 핸들에 고정되며 래칫기어가 샤프트에 의해 데드볼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래칫기어를 핸들에 고정하고 래칫이 결합된 회전부재를 데드볼트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휘일부재를 핸들에 고정하고 래칫이 결합된 회전부재를 데드볼트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ratchet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is fixed to the handle and the ratchet ge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ead bolt by the shaft, the ratchet gear is fixed to the handle and the ratchet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Can also be configured to connect to deadbolts. Likewi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member may be fixed to the handle, and the ratchet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rotating member to the dead bol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칫이 래칫기어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래칫이 래칫기어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핸들에 대해 그 핸들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가상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래칫이 핸들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chet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but the ratchet is not sli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and is virtually parallel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handle. 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Likewise,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che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칫이 래칫기어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래칫을 래칫기어의 내부에 배치하여 그 래칫기어를 내치(內齒)형 래칫기어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부가 휘일부재의 내주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래칫이 휘일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ratche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utside the ratchet gear, the ratchet may be configured to be an internal ratchet gear by arranging the ratchet inside the ratchet gear. . Similar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ncave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member and the ratchet may be arranged inside the wheel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칫기어의 치들이 각각 그 래칫기어의 반경방향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그렇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respectively, it is obvious that it may not be so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래칫기어가 샤프트에 의해 데드볼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래칫기어와 데드볼트 사이에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장치가 설치됨으로써 그 래칫기어의 회전력이 기어장치를 통해서 데드볼트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휘일부재와 데드볼트 사이에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따.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ratchet ge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ead bolt by the shaft, a gear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ears between the ratchet gear and the dead bolt is install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atchet gear to the gear devic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o deadbolts. Likewi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ar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heel member and the dead bol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래칫이 회전부재를 매개로 핸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래칫이 회전부재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ratche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andle via the rotating member, the ratchet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휘일부재에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하나의 오목부에 하나의 래칫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휘일부재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들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래칫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recess is formed in the wheel member and one ratche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recess, but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in the wheel member and correspond to the recesses. The ratchet of the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측에서 핸들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도어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의 록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상시에도 실내측에서 용이하게 탈출 할 수 있게 되므로, 인명 피해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cking of the door can be released simply by rotating the handle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easily unlock the do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escape from the indoor side even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ersonal injury.

그리고, 래칫을 분리한 후에 뒤집어서 다시 장착하기만 하면,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게 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잠금장치를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n, after removing the ratchet and turning it over again, the door can be unlocked by rotating the hand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Therefore, the door locking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Claims (7)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도어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데드볼트와, A dead bolt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rotruding and immersing with respect to the doo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그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핸들과, A handle installed inside the door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oor; 상기 핸들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된 핸들의 그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지 않아 상기 도어의 록킹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패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ead bolt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be immersed so that the locking of the door is released.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ead bolt is not moved. And a panic means for maintaining the unlocking state of the do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닉수단은, The panic means,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래칫기어와, A ratchet gear connected to the dead bolt so that the dead bolt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is immersed in rotation in one direction;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에 결합되며, 상기 래칫기어가 상기 핸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래칫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래칫을 포함하며, A ratchet coupled to the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the ratchet gear engaging the ratchet gear to be selec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handle, the ratchet being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engage the ratchet gear;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래칫이 상기 래칫기어의 치를 상기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래칫기어가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ratchet presses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in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ratchet gear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래칫이 상기 래칫기어의 치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래칫기어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And the ratchet is slid relative to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ratchet gear does not rotat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에 결합된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상기 래칫은,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상기 래칫기어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그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The ratchet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member, 상기 래칫은 상기 래칫기어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And the ratchet is disposed outside the ratchet gear.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래칫기어의 치들 각각은 그 래칫기어의 반경방향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Each of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상기 래칫은 상기 회전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The ratchet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닉수단은,The panic means,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되며, 오목부를 가지는 휘일부재와, A wheel member connected to the dead bolt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is immersed in rotation in one direction, the wheel member having a recess;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에 결합되며, 상기 휘일부재가 상기 핸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휘일부재의 오목부에 맞물리며, 상기 휘일부재의 오목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래칫을 포함하며, Coupled to the handle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the wheel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recess of the wheel member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handle, and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engage the recess of the wheel member. Including ratchet, 상기 래칫은,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오목부의 일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오목부의 일 내측면과 마주하는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The ratchet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on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and another inner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 sliding portion that is slid relative to the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휘일부재가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래칫이 상기 휘일부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wheel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and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he rotary member does not rotate and the ratchet contacts the wheel member.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while rotating.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닉수단은,The panic means,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에 결합된 래칫기어와, A ratchet gear coupled to the handle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상기 래칫기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래칫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ratchet gear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ratchet gear, and connected to the dead bolt so that the dead bolt is moved in the immersive direction when rotating in the one direction;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래칫을 포함하며, A ratchet coupled to the rotatable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rotatable member, the ratchet meshes with the ratchet gear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engage the ratchet gear;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래칫기어의 치가 상기 래칫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pressurize the ratchet so that the rotating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래칫기어의 치가 상기 래칫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And the ratchet gear is slid with respect to the ratchet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rotating member does not rota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닉수단은, The panic means,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핸들에 결합되며, 오목부를 가지는 휘일부재와, A wheel member coupled to the handle to be rotatable with the handle and having a recess; 상기 휘일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휘일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데드볼트가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wheel member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ed relative to the wheel member, and connected to the dead bolt so that the dead bolt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ad bolt is immersed in rotation in one direction;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그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휘일부재의 오목부와 맞물리며, 상기 휘일부재의 오목부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으되어 있는 래칫을 포함하며, A ratchet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rotating member and engaged with the recess of the wheel member, the ratchet being resilient in a direction to engage with the recess of the wheel member, 상기 래칫은, 상기 핸들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오목부의 일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오목부의 일 내측면과 마주하는 타 내측면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The ratchet may include a pressing part for pressing on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inner surface facing on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 sliding portion that is slid relative to the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휘일부재가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핸들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래칫이 상기 휘일부재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wheel member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and when the handl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he rotary member does not rotate and the ratchet contacts the wheel member.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while rotating.
KR1020050126988A 2005-12-21 2005-12-21 Door lock device KR100760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88A KR100760516B1 (en) 2005-12-21 2005-12-21 Door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88A KR100760516B1 (en) 2005-12-21 2005-12-21 Door lock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57A true KR20070066157A (en) 2007-06-27
KR100760516B1 KR100760516B1 (en) 2007-09-20

Family

ID=3836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988A KR100760516B1 (en) 2005-12-21 2005-12-21 Door lock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5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2B1 (en) 2007-01-08 2008-01-31 박지순 Door lock device
KR200468707Y1 (en) 2012-07-20 2013-08-30 주식회사 아이레보 Assembly for connecting clutch of gear box for anti panic assembly
KR101618543B1 (en) 2014-09-23 2016-05-10 (주)메이즈텍 Door lock employing punch card key recognition mechanism, and handle device for the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14Y1 (en) 2005-10-17 2005-12-27 주식회사 현대금속 Mortice door lock with overrid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516B1 (en)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230A (en) Door lock
KR100760516B1 (en) Door lock device
US20100156594A1 (en) Biometric Lock
KR100799932B1 (en) Door lock device
JP2007285088A (en) Mounting seat for electric lock
KR20060114840A (en) Back set for door lock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thereby
KR101196054B1 (en) Handle unit of door lock device and door lock device having it
WO2009090982A1 (en) Dial lock
KR100763884B1 (en) Door lock apparatus
GB2407615A (en) Security chain with mechanical lock and manual release
KR100994344B1 (en) Door lock device
CN208441648U (en) A kind of lockset
RU2664658C1 (en) Electromechanical lock
WO2009028991A2 (en) Mechanically locking or blocking electronic device
KR200409191Y1 (en) Digital door lock assembly
JP2005048418A (en) Crime preventive system of electric lock for door
KR20110048400A (en) Door lock device
KR101771198B1 (en) Door lock
RU170823U1 (en) ELECTROMECHANICAL LOCK
KR102265062B1 (en) Door lock confirmation device for double safe
KR20090071341A (en) Door lock device
WO2008056948A1 (en) Door lock device
KR20080065515A (en) Door lock device
CN211950010U (en) Padlock
KR20080048296A (en) Door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