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979A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979A
KR20070065979A KR1020050126588A KR20050126588A KR20070065979A KR 20070065979 A KR20070065979 A KR 20070065979A KR 1020050126588 A KR1020050126588 A KR 1020050126588A KR 20050126588 A KR20050126588 A KR 20050126588A KR 20070065979 A KR20070065979 A KR 2007006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hotkey
group
edit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수
임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5979A/en
Publication of KR2007006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9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loading a sentence through a short-cut number allocated to the sentence are provided to form a hot-key group using numbers corresponding to initial consonants and input the hot-key group. A sentence editing part(210) processes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editing the first sentence. A sentence storing and processing part(220) matches short-cut number corresponding to initial consonants forming the first sentence with a hot-key group to load the second sentence. A controller(230) switches into the search mode of a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while editing the first sentence through the application, loads the second sentence from th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and inserts the loaded sentence into the edited sentence in the switched mode.

Description

작성된 문장에 자동 부여된 단축 번호를 이용하여 문장을 불러오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장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ntence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에 의해 문장이 호출되는 예시이다.3 is an example in which a sentence is called by a shortcut nu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키패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eypad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하여 문장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sentence using a speed dial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이동 통신 단말기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문장 편집부210: sentence editor

215: 데이터베이스215: database

220: 문장 보관 처리부220: sentence storage processing unit

230: 제어부23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축 번호를 이용하여 핫키 형태로 저장한 문장을 필요시 불러와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sent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mporting and inserting a sentence stored in a hotkey form using a shortcut number when necessary.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장거리 의사 소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으므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communication terminals are used by many people as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ans, and in particular, mobile terminals are widely used as necessities for modern people because they can conveniently communicate on the go without regard to place. Recently, a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or is improved and the resources of the memory are increa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이에 따라, 최근에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거나 문자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지 등을 이용하지 않고 중요한 사항을 기록하는 수단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writing a text message to convey a user's intention or using a text memo function to record an important matter without using a memo paper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장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ntence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문 자 메모를 작성하기 위하여 문장 작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성한 문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위하여 일정 문장을 작성하고 작성된 문장을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문장을 편집하는 동안에 수시로 특정 문장을 불러올 수 있다. 즉, 문장 작성 모드에서 일정 메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문장 리스트를 확인하고(110), 상기 문장 리스트에서 입력할 문장을 선택하여 적절한 위치에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12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된 문장을 불러와 입력함으로써 일일이 문장을 작성하는 것 보다 용이하게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user may select a sentence writing mode in order to create a text message and a text mem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may create a predetermined sentence and store the written sentence in a database of the terminal for repeatedly using the written sentence, and may recall a specific sentence from time to time while editing the sentence. That is, in the sentence creation mode, the sentence list input to the database through the schedule menu may be checked (110), a sentence to be input may be selected from the sentence list, and the sentence may be input (120). In this way, by importing the stored sentences and entering the sentences it is easier to enter the sentences.

하지만, 문장을 작성하는 중에 특정 문장 리스트의 메뉴를 선택하는 절차는 키패드의 조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택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상기 문장 리스트에 많은 문장들이 입력된 경우에는 많은 리스트의 페이지를 넘겨 보아야 하므로 원하는 문장을 찾는 시간이 문장을 직접 작성하는 시간보다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저장 문장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이용되었으며 실제적으로 사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ocedure of selecting a menu of a specific sentence list while writing a sentence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keypad, it takes a long time to select. 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sentences are input to the sentence list, it is necessary to turn over the pages of many lists, so it may take longer to find a desired sentence than to directly write the sentence. Therefore, the conventional service for providing a stored sentence list has been very limited in use to user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s practicality is poo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장에 대응되는 특정 번호를 입력하여 원하는 문장을 입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a desired sentence by inputting a specific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의 초성에 대응하는 숫자 들을 이용하여 핫키 그룹을 형성하고 그 핫키 그룹을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문장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단축 번호를 이용한 문장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tence editing method using a shortcut number to form a hotkey group using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haracter of a charac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call a desired sentence by inputting the hotkey group.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장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처리하는 문장 편집부;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문장 보관 처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통하여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sentence editing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sentence editing; A sentence storage processor for matching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forming the edited sentence into a hotkey group for calling the sentence, and storing the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n a database; And switching to a mode for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during sentence editing throug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retrieving the sentence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switched mode. And a control unit for loading and inserting the edited sente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한 문자 편집 방법은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diting a character using a shortcut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s included in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forming a sentence to be edited. Matching a sentence with a hotkey group for retrieving a sentence and storing the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n a database; Switching to a mode for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during sentence editing; And retrieving a corresponding sentence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switched mode and inserting the sentence into the edited sentence.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술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문장 편집부(210), 문장 보관 처리부(220), 데이터베이스(215), 제어부(230), 입력 수단(240), 출력 수단(250), 및 무선 송수신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 sentence editing unit 210, a sentence storage processing unit 220, a database 215, a control unit 230, an input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nd a wireless unit. It includes a transceiver 260.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문장을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application)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정 문장에 대응하는 번호들로 핫키 그룹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응용에서 상기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편집 중인 문장에 원하는 문장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The mobile terminal 200 forms a hotkey group with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ntenc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editing a sentence, and edits a sentence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hotkey group in at least one application. It is proposed to be able to input the desired sentence i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문장을 작성하는 동안에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특정 문장에 대응하는 번호로 핫키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핫키 그룹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입력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tches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constituting the edited sentence with a hotkey group for calling up the sentence, while creating the sentence. The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s stored in the database 215. At this time,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earch mode of the database 21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during the sentence edit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215 in the switched mode, a corresponding sentence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215 and inserted into the edited sentence. 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form a hotkey group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ntence and input a desired sentence using the hotkey group.

상기 문장 편집부(210)는 문장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처리한다. 상기 응용은 문자 메시지, 메모, 및 기타 편집을 위한 다른 응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작성 모드, 문자 메모 작성 모드 등 문자를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문장 편집부(210)가 동작한다.The sentence editing unit 210 processes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sentence editing. The application may correspond to a text message, a memo, and other applications for editing. That is, the sentence editing unit 210 operat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mode for inputting or editing a text such as a text message writing mode or a text memo writing mode.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220)는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시킨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저장된 문장에서 각 음절의 초성들은 단축 번호들과 매칭되고 각 단축 번호들이 그룹을 이루어서 핫키 그룹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로서 D 램의 고속 쓰기 능력 및 플래시 메모리의 비활성 기능을 하나의 D 램에 구현한 NV(Non-Volatile) D 램, NAND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entence storage processor 220 matches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forming the sentence to be edited with a hotkey group for retrieving the sentence, thereby matching the corresponding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with the database 215. ). The database 215 stores and manages the at least one sentence. The consonants of each syllable in the stored sentence may be matched with shortcut numbers, and each shortcut number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hotkey group. In addition, as the database 215, a non-volatile DRAM (NV) DRAM, a NAND memory, and the like, which implements the fast write capability of the RAM and the inactive function of the flash memory, may be used in one DRAM.

또한,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220)는 일정 메뉴를 통하여 문장 보관함에 문장 추가 시에 동작한다. 이외에도,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220)는 상기 적어도 하 나의 응용을 통하여 문장 편집 중에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이나 문자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21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된 경우에는 언제나 저장된 문장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예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ntence storage processor 220 operates when the sentence is added to the sentence storage box through a certain menu. In addition, the sentence storage processor 220 may operate during sentence editing throug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writing a text message or writing a text memo, the stored data can be recalled whenever an application program or the like is executed that allows access to the database 215 so that text can be written. do. An example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단축 번호에 의해 문장이 호출되는 예시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되는 키패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n example in which a sentence is called by a shortcut nu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2,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keypad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f FIG. 2.

도 3의 (3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안녕하세요' 라는 문장을 입력하려고 하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장의 초성들을('ㅇ ㄴ ㅎ ㅅ ㅇ') 입력한다. 상기 초성들은 도 4의 키패드상의 숫자키 대로 0, 5, 0, 7, 0을 순서대로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숫자들을 입력함에 따라 위 문장의 각 초성들을 입력할 수 있고, 이상의 5가지 초성들이 모이게 되면 도 3의 (320)과 같이 '안녕하세요' 라는 문장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ㅇ'(0)와 같이 초성 하나만으로는 위의 '안녕하세요' 라는 문장이 생성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ㅇ'에 해당하는 단어나(안전, 이전 등)에 해당하는 단어는 무수히 존재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사용자가 지정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310) of Figure 3, when the user tries to enter the sentence 'hello'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puts the consonants ('ㅇ ㅎ ㅅ ㅇ') of the sentence to be input. The initial consonants may be displayed by sequentially inputting 0, 5, 0, 7, 0 using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of FIG. 4. That is, as the numbers are input, each of the above consonants of the sentence may be input, and when the above five consonants are gathered, the sentence 'hello' may be automatically completed as shown in (320) of FIG. 3. At this time, the above 'Hello' sentence is not generated by only the consonants such as 'ㅇ' (0). Because the word corresponding to 'ㅇ' (safety, transfer, etc.) can exist innumerably, it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specifically designates it.

결국, 상기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들은 적어도 2 이상(2포함?????)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을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복되는 단어가 생성될 수 있는 경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핫키 그룹별 해당 문 장은 적어도 2 이상의 음절들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초성들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응하는 문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문장들이 상기 초성들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은 숫자, 그림 문자, 기호, 문장 부호, 외국 문자 또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에 한정하지 않고 입력될 수 있는 모든 문자, 그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키 그룹을 입력하는 경우에 공백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각 문장을 보다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혼동되는 일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아빠가 방에...'(ㅇ ㅃ ㄱ (공백) ㅂ ㅇ...)라는 문장과 '아빠가방에...'(ㅇ ㅃ ㄱ ㅂ ㅇ...)는 구분되어야 하는 문장이므로 공백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As a result, hotkeys for retrieving the senten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sonants included in at least two syllables, so a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uplicate words. . In addition, such a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s set to consist of at least two syllables, so that a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first consonants can be generated so that sentences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can be u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s. do.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sentences for each hotkey grou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umbers, pictograms, symbols, punctuation marks, foreign characters, or emoticons, and may include all characters, pictures, and the like, which are not limited to Korean. have. In addition, when inputting the hotkey group, a space is recognized so that each sentence can be further divided and distinguished and confusion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sentence 'Daddy is in the room' (ㅇ ㅃ ㄱ (blank) ㅂ ㅇ ...) and 'Daddy's bag ...' (ㅇ ㅃ ㄱ ㅂ ㅇ ...) should be distinguished. Because it is a sentence, it can be separated by a space.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특히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통하여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핫키 등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핫키 그룹에 복수개의 문장들이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대응되는 문장들을 모두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ㅅ ㄱ ㅈ ㅅ ㅇ'(7, 1, *, 7, 0)를 입력하면 '시계주세요' 및 '시간주세요' 라는 문장이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7, 1, *, 7, 0)' 를 입력한 후에 1, 2, 3 등 각 문장 별로 숫자키를 추가로 입력함으로써 상호 구분 입력을 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30 is in charge of the overall control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15 is inputted according to input of a schedule hotkey or the like during sentence editing throug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n the switched mode, the sentence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and inserted into the edited senten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provide a menu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ll of the corresponding sentences when a plurality of sentences correspond to the hotkey group. For example, if you enter 'ㅅ ㄱ ㅈ ㅅ ㅇ' (7, 1, *, 7, 0), the sentences 'please give me' and 'time please' may correspon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In addition, after inputting '(7, 1, *, 7, 0)', mutually distinguishing input may be performed by additionally inputting numeric keys for each sentence such as 1, 2, and 3.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연관된 통신 단말기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기저 대역 신호(baseband signal)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로서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typically includes a processor function for processing all data on a commun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a modem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 more DSPs are provided to process internal signals, such as baseband signals, the operation of each mode may be faster due to the higher processing speed. As the controller 230, a mobile station modem (MSM),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OMAP),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입력 수단(240)은 상기 핫키 그룹을 입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초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 키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및 음성 인식 모듈 등이 하나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0 is a device for inputting the hotkey group or inputting a consonant for retrieving a corresponding sentence from a database. A keypad, a touch screen, a touch pad, and a voice recognition module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출력 수단(250)은 상기 입력 수단(240)에 의해 입력된 초성에 따라 상응하는 문장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LCD, 유기 LED, PDP, LED 등 시각적 출력 수단, 벨소리, 컬러링, MP3 등 다양한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 청각적 출력 수단, 및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촉각적 출력 수단이 최소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The output means 25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sentence accor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nputted by the input means 240, a visual output means such as LCD, organic LED, PDP, LED, etc.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t least one of audible output means such as speakers, earphones, and the like that can output various music such as ringtones, coloring, and MP3, and a vibration motor may be used.

상기 무선 송수신부(260)는 기지국과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본원 발명에 따른 작성된 문장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다른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transceiver 260 may perform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wave with a base station, or may transmit the prepared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one, CDMA-2000 (1X, 3X)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ommunication such as Dual Band / Dual Mode phone,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 Smart phone, mobile phone, etc. Features may include portable devices,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erminal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Media Gateway Control (MEGACO),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WiBro Terminals, MP3 Players, Mobile Devices such as MD Players, and International Roaming and Expand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 provided by IMT-2000 ation-2000)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which refers to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based terminal, and the like, and include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nd a Bluetooth (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GPS chip to enable location tracking through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a wired / wireless LAN card,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s interpreted as a generic term for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certain arithmetic operation.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 동 통신 단말기(200)를 동작 과정의 단계에 따라 설명을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operation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하여 문장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sentence using a speed dial nu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시킨다(S510). 또한, 문자 메시지 등을 작성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문장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정 메뉴를 통하여 문장 보관함에 문장 추가 시에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tches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constituting the edited sentence with a hotkey group for calling up the sentence, thereby matching the corresponding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with a database ( 215) (S510). In addition, when a sentence is repeatedly used while writing a text message or the like, the user may easily store the sentence in the database 215 by operating when adding a sentence to the sentence storage box through a certain menu. do.

이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편집을 위한 응용들은 문장 편집 중에도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22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을 위한 응용들로서 문자 메시지, 메모, 및 기타 편집을 위한 응용 등이 해당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allow a user to easily input a sentence, applications for editing may allow the sentence storage processor 220 to operate even during sentence editing. The applications for editing may correspond to text messages, memos, and other applications for editing.

다음에,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핫키 그룹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215)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한다(S520). 이에 따라,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S530)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한다(S540). 이때, 문장을 불러오는데 사용되는 상기 핫키 그룹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룹별 해당 문장에는 숫 자, 그림 문자, 기호, 문장 부호, 외국 문자 또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도록 하여 사용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만약 하나의 핫키 그룹에 복수개의 문장들이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대응되는 문장들을 모두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장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긴 문장을 작성하거나 반복되는 문장을 작성할 때 빠르고 편리하게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Next, when a certain hotkey group is input while editing a sentence, the database 215 is switched to a search mode (S520). Accordingly, the sentence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S530)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215 in the switched mode and inserted into the sentence being edited (S540). In this case, the hotkey group used to retrieve a sente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sonants included in at least two syllables. The range of use may be expand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numbers, pictograms, symbols, punctuation marks, foreign characters or emoticons in the corresponding sentences for each group. In addition, if a plurality of sentences correspond to one hotkey group, the controller 230 provides a menu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ll of the corresponding sentences so that the sentences can be inpu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refore, when a long sentence is written or a repetitive sentence is writt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sentence can be input quickly and convenientl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한 문장 편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2 내지 도 3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So far,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a sentence editing method using a speed dial nu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mentioned contents of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3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t is.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한 문장 편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sentence editing method using the speed dial nu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but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such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특정 문장에 대응하는 번호로 핫키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핫키 그룹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입력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긴 문장을 작성하거나 반복되는 문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otkey group may be form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ntence and a desired sentence may be input using the hotkey group, the user may create a long sentence or repeat a sentenc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writing quickly and conveniently.

Claims (11)

문장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처리하는 문장 편집부; A sentence editing unit processing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sentence editing;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문장 보관 처리부; 및A sentence storage processor for matching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forming the edited sentence into a hotkey group for calling the sentence, and storing the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n a database;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을 통하여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하는 제어부Switch to a mode for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during sentence editing through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recall the sentence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switched mode. And a control unit inserted into the sentence being edit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는 일정 메뉴를 통하여 문장 보관함에 문장 추가 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sentence storage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ble when the sentence is added to the sentence storage box through a menu.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장 보관 처리부는 문장 편집 중에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sentence keeping processor automatically operates during sentence edi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은 적어도 2 이상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hotkey group for retrieving the sente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sonants included in at least two syllab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은 적어도 2 이상의 음절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hotkey group comprises at least two syllab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은 문자 메시지, 메모, 또는 편집을 포함하는 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herein said at least on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comprising a text message, a memo, or an ed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은 숫자, 그림 문자, 기호, 문장 부호, 외국 문자 또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corresponding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ncludes at least one of numbers, pictograms, symbols, punctuation marks, foreign characters or emotic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핫키 그룹은 공백을 위한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hotkey group comprises a key for a blan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핫키 그룹에 복수개의 문장들이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대응되는 문장들을 모두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controller provides a menu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ll of the corresponding sentences when a plurality of sentences correspond to the hotkey group. 편집되는 문장을 이루는 일정 길이의 음절들에 포함된 초성들에 대응되는 단축 번호들을 해당 문장을 불러오기 위한 핫키 그룹으로 매칭시켜서 상기 핫키 그룹별 해당 문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는 단계;Matching the shortcut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syllables of a certain length constituting the edited sentence into a hotkey group for retrieving the sentence, and storing the sentence for each hotkey group in a database; 문장 편집 중에 일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Switching to a mode for search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during sentence editing; And 상기 전환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핫키 그룹의 입력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문장을 불러와 상기 편집 중인 문장에 삽입하는 단계Retrieving a corresponding sentence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 of any one hotkey group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switched mode and inserting the sentence into the edited senten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를 이용한 문장 편집 방법.Sentence editing method using a shortcut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0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0.
KR1020050126588A 2005-12-21 2005-12-2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KR200700659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88A KR20070065979A (en) 2005-12-21 2005-12-2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88A KR20070065979A (en) 2005-12-21 2005-12-2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979A true KR20070065979A (en) 2007-06-27

Family

ID=3836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88A KR20070065979A (en) 2005-12-21 2005-12-2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9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3715A1 (en) Text editing
US893488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80020090A1 (en) Keyword based message handling
JP418456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US200901986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 phrase input
JP2012522284A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based text input
US8996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rase replacement
CN101682667A (en)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for searching items of different types
KR10081159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on Idle Screen
KR10068829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phone number included in contents of text message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70065979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sentences using short number automatically assigned on written sentences
KR20070107888A (en) Cellular phone and data searching method the same
KR20070068552A (en) Method of operating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function action key by inputting phoneme un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WO20070839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53857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startup method
KR20070070474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asily entering korean characters
US7664498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read out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JP3590967B2 (en) E-mail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editing program thereof
KR20080068793A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for mobil
JP4637490B2 (en) Mobile terminal and data display method
KR20070030399A (en) Input method for virtual keyboard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WO20110372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JP2002351866A (en) Portable terminal system
JP53524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startup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