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774A -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774A
KR20070065774A KR1020060073885A KR20060073885A KR20070065774A KR 20070065774 A KR20070065774 A KR 20070065774A KR 1020060073885 A KR1020060073885 A KR 1020060073885A KR 20060073885 A KR20060073885 A KR 20060073885A KR 20070065774 A KR20070065774 A KR 2007006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g
ontology
semantic
entry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현
서규현
최완
김명준
허성진
양재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톨로지 기술을 블로그에 접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은 블로그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된 블로그 관련 정보를 블로그 사용자인 블로거들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블로그 서버;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그들의 관계를 온톨로지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환경에서 블로그 분야의 지식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 및 상기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온톨로지를 지식베이스로 활용하는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로그, 온톨로지, 시맨틱, 블로거,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Description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EMANTIC BLOG USING THE ONTOLOG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 기능을 가지는 블로그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맨틱 네비게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를 모델링하기 위한 그래픽 표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에 의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를 온톨로지로 모델링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에 의한 블로그 카테고리 브라우징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클래스 간 관계를 이용한 지능형 탐색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에 의한 그룹핑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동적 블로그 그룹핑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엔트리 카테고리 할당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관계성을 이용한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페이지에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온톨로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추천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301: 블로그 서버
302: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 303: 그래픽 인터페이스
304: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 305: 블로그 검색 엔진
306: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 307: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
308: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 309: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온톨로지 기술을 블로그에 접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맨틱 웹 환경의 핵심 기술인 온톨로지 기술을 블로그에 접목하여 블로그 상에서 세부적이고 정확한 검색 및 브라우징을 할 수 있도록 지능형 시맨틱 블로그의 관리 기법을 제공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그란(BLOG) 인터넷을 의미하는 '웹(Web)'과 항해일지를 뜻하는 '로그(logs)'가 합쳐진 신조어로 인터넷 일기, 또는 인터넷 항해일지를 의미하며, 네티즌들이 칼럼 일기 기사 등을 올려 여론을 형성하는 일종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블로그를 만드는 네티즌을 블로거(BLOGER)라고 부른다. 블로그를 쉽게 만들고, 블로거들끼리 서로 묶어 주는 사이트들이 생긴 후 블로그의 인기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학생과 대학생들이 2001년 만든 비영리단체 웹로그인코리아(wik.ne.kr)가 국내 최초 블로거들의 모임으로 시작된 이래, 2002년 11월 이후 4개월여 만에 7만 5000여 명이 <에이블클릭>이 만든 블로그 사이 트(www.blog.co.kr)를 통해 블로거로 탄생, 1인 미디어시대를 열고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블로그가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2003년 블로그가 1000만 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상기 블로그는 개인 자격으로 글을 올린다는 점에선 기존의 게시판을 떠올릴 수도 있지만, 1인 미디어로 독특한 콘텐츠를 계속 업데이트 해 수준 높은 여론형성의 장을 만든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인 언론사 등의 게시판은 익명성과 일방성 때문에 욕설과 비방이 난무하며, 회원의 80% 이상이 콘텐츠를 올리지 않고 보기만 하는 커뮤니티는 갈수록 콘텐츠가 빈약해진다. 그러나 반면 블로그는 블로그끼리만 연결되어 있어 함부로 답글을 쓰지 않고, '1인 미디어'로 자신의 의견을 전하기 위해 계속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콘텐츠가 강화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 상에서 포스트(post)란 이용자가 생성해낸 하나의 게시물을 의미하는 단위이고, 이용자는 이러한 포스트를 각각의 주제에 맞추어 분류를 하여 웹상에 상술한 블로그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저장, 관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에 기록하는 일지(일기)'를 뜻하는 블로그는 1999년 초반에 23개에 불과했지만 불과 3-4년 만에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장하여 인터넷에 폭넓게 산재해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블로그 서비스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포털 사이트와 블로그 전문사이트가 블로그 서비스를 주도하고 있다.
상기 블로그는 기존의 홈페이지보다 쉽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고 자유로운 주제로 쉽게 의견교환을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매체보다 빠르고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미디어로 인터넷 커뮤니티의 대안으로 이미 그 위상이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블로그에서 지원하는 주목할 만한 기능으로 트랙백(trackback),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RSS 등이 있다. 상기 트랙백은 먼 댓글(Reply)로 바꿔 표현할 수 있으며 자기 블로그에 관련된 글을 남기고 원본 글은 링크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RSS(RDF Site Summary)는 블로그에 올려진 글을 XML형태로 제공하여 관심 있는 블로그를 직접 웹 브라우저를 통해 방문하지 않고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블로그는 트랙백을 통한 빠른 정보 공유가 가능하고 파일 첨부 기능 및 포토 로그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 관리가 가능하다.
국내 네이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통(http://tong.nate.com)은 기존의 블로그의 기능에 여러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기존 블로그는 트랙백과 친구 만들기를 이용하여 다른 블로그와 연결을 설정했다. 통 서비스에서는 자신의 카테고리와 관심분야가 같은 다른 사람의 카테고리를 1촌 관계로 설정하면 연결된 카테고리 네트워크를 도 1과 같이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또한, 스크랩 기능을 한 차원 강화하여 다른 블로그뿐만 아니라 다른 웹 사이트의 일부분을 문서형태, 이미지 캡처 형태로 자신의 블로그에 올릴 수 있게 하였다.
외국의 경우, MIT 인공지능 연구실, IBM T.J. Watson 연구소 그리고 HP(Hewlett-Packard) 연구소의 SWAD(Semantic Web Advanced Developmen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맨틱 웹 환경에 블로그를 적용한 시맨틱 블로그, 그리고 EU의 SWAD-Europe 등 블로그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대표적인 연구로 HP의 시맨틱 블로그는 웹 사이트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 는 표준인 RDF를 이용하여 시맨틱 환경에서 더 나은 블로그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시맨틱 블로그는 시맨틱 뷰, 시맨틱 네비게이션 그리고 시맨틱 쿼리로 구성되어 있다. 시맨틱 뷰는 블로그 엔트리를 기존의 방식뿐만 아니라 엔트리를 표현하는 RDF 모델을 레코드 형식으로 표시한다. 시맨틱 네비게이션은 블로그 엔트리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를 트리 방식의 GUI와 패싯(facet) 분류를 통해 항해하고 참조한다. 마지막으로 시맨틱 쿼리는 엔트리를 기술한 RDF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에 만족하는 결과를 검색하여 제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2는 시맨틱 네비게이션의 예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시맨틱 네비게이션에서는 카테고리를 트리 모양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표시하였고, 이를 통해 카테고리에 등록된 블로그 엔트리를 검색하고 참조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지원하고 있는 블로그 시스템에서는 블로그 사용자들이 작성한 엔트리가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 비슷한 분야의 관련 정보를 찾기 힘들고 특정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생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각 블로그 사이트마다 개별적인 자체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여러 다양한 관점에 따라 블로그를 검색하고 브라우징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블로그에 등록된 엔트리 목록만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사람, 주제, 글에 관련한 목록만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맨틱 블로그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블로그의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온톨로지로 모델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지능적 탐색을 수행할 수 있는 시맨틱 블로그 브라우징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신의 블로그와 같은 주제, 관심사를 가진 다른 블로그와 동적인 연결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은, 블로그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된 블로그 관련 정보를 블로그 사용자인 블로거들에게 제공하는 블로그 서버;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엔트리 및 그들간의 관계성을 온톨로지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환경에서 블로그 분야의 지식을 구축하는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 및 상기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에 의한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하는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지식베이스로 활용하여 블로그내에 존재하는 엔트리간의 관계성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계성에 따라서 다른 블로그를 그룹핑하여 사용자 관점의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은, 블로그 도메인에서 온톨로지로 구축할 개념들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범위 안에서 블로그 용어들이 열거되며, 상기 온톨로지를 작성하기 위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각 엔트리를 제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온톨로지 작성이 완료될 경우 상기 온톨로지 작성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에 근거하여, 블로그의 엔트리에 달린 관계성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된 관계성 중에서 하나의 관계성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톨로지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관계성에 맞는 블로거를 찾아 그룹핑하여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시맨틱 블로그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블로그의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온톨로지로 모델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지능적 탐색을 수행할 수 있는 시맨틱 블로그 브라우징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자신의 블로그와 같은 주제, 관심사를 가진 다른 블로그와 동적인 연결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블로그 사이의 관계와 특성들을 온톨로지로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방대한 블로그 엔트리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관심 있는 엔트리만을 지능적으로 검색하고 브라우징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특정 주제, 특정 사람 그리고 특정 트랙백과 관계가 있는 엔트리를 선별해서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대부분의 블로그 서비스들이 글과 사진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멀티미디어와 소프트웨어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공개 소프트웨어들을 블로그 콘텐츠에 맞게 사용자에게 지원함으로써 개인의 독립적인 작업 수행 공간으로 블로그를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적용되는 시맨틱 웹의 온톨로지의 개념 및 온톨로지 언어를 설명한다. 온톨로지는 본 발명에 따라 시맨틱 블로그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시맨틱 웹에서 온톨로지는 "개념화의 규정"(a specification of a conceptualization)으로 정의된다. 즉, 해당 영역의 개념들과 이들 개념 간의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것을 온톨로지라고 한다. 이런 맥락에서 어휘사전이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야후의 주제 분류와 간은 계층 분류 카테고리도 온톨로지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온톨로지는 이러한 단순한 개념의 분류와 단순한 클래스-서브클래스 관계 외에도 개념과 개념 간의 다양한 관계와 개념의 속성과 제약조건, 그리고 추론 규칙을 가지게 된다. 온톨로지는 공유를 전제로 합의된 표현 및 사용 규칙이 정의 되어 있으며 관련지식과 관련된 개념들이 명시적 스키마에 따라 저장되어 특정 개념을 기존의 개념과 연관 지어 추가, 삭제, 갱신할 수 있고 질의 조건과 관계를 지정하여 질의, 검색, 추출 더 나아가서는 새로운 개념과 관계의 추론까지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시맨틱 웹의 온톨로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온톨로지 언어가 개발되었는데 XML과 RDF를 기반으로 DAML+OIL, OWL 등의 언어가 소개되었다. RDF는 W3C의 가장 기본적인 시맨틱 웹 언어로서 웹에 있는 자원에 관한 메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히 웹 자원을 표현하는데 기본이 되는 제목, 저자, 최종 수정일, 저작권과 같은 웹 문서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표현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웹 자원의 개념을 웹상에서 다른 것과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일반화하면 다른 목적으로도 RDF를 활용할 수 있다. DAML+OIL은 웹 온톨로지 언어로써 현재 W3C에 의하여 OWL 웹 온톨로지 언어로 계승 발전하고 있다.
한편, 온톨로지 언어로써 OWL은 관심영역의 구조를 서술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객체지향적인 방법으로 클래스(class)와 속성(property)을 써서 표현된다. 자원(resource)이 특정 OWL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이거나 특정 속성을 갖는 것을 표현할 때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RDF를 사용한다. 이러한 온톨로지 언어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Ontolingua, OntoEdit, Protege 2000, OILEd 등의 온톨로지 편집기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시맨틱 웹 구조를 블로그에 적용하고 도메인 지식으로 온톨로지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구조적이고 지능적으로 블로그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는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후술할 블로그 관리 방법들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시맨틱 웹의 구조적 특성을 블로그 상에 공유되는 콘텐츠에 적용시킨다. 즉,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할 때 시맨틱 웹 언어인 RDF나 OWL로 작성하여 블로그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명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블로그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이용해 의미에 맞는 블로그 정보를 사용자가 지능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돕고, 메타 데이터 특성을 질의에 반영시켜 블로그 질의 결과에 대한 재현율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블로그 사이와 개념과 관계 그리고 특성들을 온톨로지로 구축할 수 있는 블로그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방대한 블로그 도메인을 온톨로지로 구축함으로써 블로그 상에 존재하는 개념의 의미를 기계가 처리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블로그 온톨로지 상에 설정되어 있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블로그를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블로그 카테고리 간의 세부 관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에 적합한 형태로 관심 있는 블로그 카테고리를 순차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블로그 카테고리에 접근했을 때 이 블로그 카테고리는 다른 블로그 카테고리와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심사에 따라 링크된 관계성을 추적하여 다른 블로그 카테고리에 접근할 수 있다.
넷째, 블로그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관점에 맞게 따라 동적으로 블로그를 그룹핑하여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일촌 관계, 트랙백, 덧글 등의 관계성 위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목적에 맞는 검색을 수행하거나 다른 블로그 사이트들과 원활한 의견교환을 할 수 있다.
다섯째, 엔트리 작성 시 카테고리 추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제공되는 블로그 시스템에서는 엔트리를 작성할 때 사용자는 직접 수동적인 작업을 통해 엔트리를 해당되는 카테고리에 지정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블로그 엔트리 사용되는 용어들의 개념을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추론함으로써 자동으로 블로그 엔트리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여섯째, 사용자에게 블로그에서 수행 중인 작업에 적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추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블로그 도메인의 온톨로지와 소프트웨어를 도메인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온톨로지를 구축한 후, 이 두 온톨로지 간에 링크되어 있는 관계성을 소프트웨어 추천 메커니즘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근접한 소프트웨어를 추천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맨틱 블로그 관리를 위한 시스템(300)은 크게 블로그 서버(301),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302),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304),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306),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307),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30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그 서버(301)는 블로그 전반적인 블로그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블로그 정보를 관리하고 담겨진 정보를 블로그 사용자인 블로거(Blogger)들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302)은 온톨로지 전문가가 그래픽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블로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그들의 관계를 온톨로지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환경에서 블로그 분야의 지식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온톨로지 구축 결과는 데이터베이스나 문서 형식으로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309)에 저장되며 블로그 시스템은 저장된 온톨로지를 지식베이스로 활용한다. 상기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304)은 사용자가 블로그에서 자원을 검색할 때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질의에 사용되는 개념의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블로그 검색엔진(305)은 외부의 시맨틱 블로그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상기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306)은 엔트리의 메타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여 엔트리가 할당될 수 있는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307)은 블로그에 존재하는 관계성인 이웃(neighbor), 먼댓글(trackback), 덧글(comment), 답글(reply)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관점을 기준으로 커뮤니티를 생성하며, 상기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308)은 블로거가 수행 중인 작업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상황에 맞게 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각 모듈들의 세부 기능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블로그를 의미 기반 환경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블로그, 블로거 그리고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기본 단위가 되는 엔트리 간의 관계를 온톨로지로 모델링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블로그 시스템의 개념을 온톨로지로 표현하여 개념 간의 의미를 표현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하고 지능화된 서비스를 블로그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설명은 블로그에 사용되는 개념들을 클래스로 간주하고 클래스 간의 관계 및 속성을 모델링 한 후 이들 간의 제약사항이나 관계 링크를 설정하여 블로그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서술한다.
현재 블로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블로그, 사용자가 블로그에 작성하는 기본 문서 단위가 되는 엔트리, 상기 엔트리가 소속되는 특정 분야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블로그에 사용되는 이러한 중요 개념들은 클래스(class)로 표현된다. 상술한 블로그, 엔트리, 카테고리 등이 이에 해당 되며 타원형 또는 원형인 ○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인스턴스(instance)는 클래스의 구체적인 객체가 되는 것으로 블로그를 예로 들었을 때 실제 개설된 개개인의 블로그가 인스턴스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인스턴스인 개설된 블로그는 유일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턴스는 그래픽 표기법으로 사각형인 □로 표기할 수 있으며 인스턴스 관계임을 나타낼 때는 점선을 사용한다.
아울러,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관계성(relationship)은 클래스 간의 관계를 단순한 연관성 정도를 표시하는 수준을 넘어 neighbor, trackback, comment, reply 등과 같이 세부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며 마름모 형인 ◇로 표기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를 모델링하기 위한 그래픽 표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에서 정의한 모델링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그래픽 표기법(400)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블로그는 엔트리를 갖는다.(410)
- 엔트리는 다른 엔트리에 trackback 할 수 있다.(420)
- http://blog.chonbuk.ac.kr/kayang/490 은 엔트리 인스턴스이다.(430)
이하, 도 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시스템의 각 모듈을 이용하여 수 행되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에 의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블로그 온톨로지 전문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온톨로지를 구축한 후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나 문서로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온톨로지 전문가는 블로그 도메인에서 온톨로지로 구축할 개념들의 범위를 결정(단계 501)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결정된 범위 안에서 블로그 용어들이 열겨(단계 502)되며, 온톨로지를 작성하기 위해 작업 모드를 선택(단계 503)하게 된다.
즉, a는 블로그 개념의 클래스를 정의하기 위한 모드(단계 504)이고, b는 클래스 간 관계성을 정의하기 위한 모드(단계 505)이다. c는 클래스와 속성을 정의한 후 각 클래스에 할당되는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모드(단계 506)이다. 한편, 온톨로지 전문가의 의도에 따라 구축된 상기 온톨로지의 클래스, 관계성, 인스턴스의 작성 결과는 각각 시각화되어 제공(단계 507, 508, 509)된다. 상기 처리 과정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단계 510). 마지막으로, 온톨로지 구축을 마치고 최종으로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나 OWL과 같은 문서로 저장(단계 511)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를 온톨로지로 모델링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5의 블로그의 클래스와 클래스 사이에 사용되는 세부적인 관계성 그리고 인스턴스를 온톨로지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블로그 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 듈(302)을 이용하여 블로그 도메인 전문가가 시각화된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다.
'GlobalCategory'는 블로그 도메인의 지식을 정의하는 온톨로지로서 블로그가 분류될 수 있는 카테고리를 클래스 계층으로 표현한 것이다. 블로그 클래스는 엔트리 클래스와 'has' 관계에 있으며 이 관계는 각각의 인스턴스에 상속된다. 예를 들어, 블로그 인스턴스인 'http://blog.chonbuk.ac.kr/kayang'(601)는 엔트리 인스턴스인 'http://blog.chonbuk.ac.kr/kayang/490'(602)를 가진다(has). 이때, 상기 엔트리는 그 내용의 의미에 따라 'GlobalCategory'의 하위 클래스와 링크를 맺는다. 예를 들어 최근 데이터베이스 동향에 관한 내용을 담는 엔트리 602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블로그 온톨로지 용어의 인스턴스로 정의함으로써 그 연관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로그 개념과 이들의 세부적인 관계성을 기계가 판독 가능한 온톨로지로 명백하게 명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유되어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하기 코드는 상기 도 6에서 보인 블로그 모델링을 고차원의 추론 기능을 제공하는 온톨로지 언어인 OWL로 변환한 결과 중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owl:Class rdf:about="http://ktech.chonbuk.ac.kr/ontology#Blog"/>
<owl:Class rdf:about="http://ktech.chonbuk.ac.kr/ontology#entry"/>
<rdf:Property rdf:about="http://ktech.chonbuk.ac.kr/ontology#has"
rdf:type="http://www.w3.org/2002/07/owl#ObjectProperty">
<rdfs:domain rdf:resource="http://ktech.chonbuk.ac.kr/ontology#Blog"/>
<rdfs:range rdf:resource="http://ktech.chonbuk.ac.kr/ontology#entry"/>
</rdf:Property>
<j.0:Blog
rdf:about="http://ktech.chonbuk.ac.kr/ontology#blog.chonbuk.ac.kr/kayang">
<j.0:has>http://ktech.chonbuk.ac.kr/ontology#blog.chonbuk.ac.kr/kayang/490</j.0:has>
</j.0:Blog>
<j.0:entry rdf:about="http://ktech.chonbuk.ac.kr/ontology#blog.chonbuk.ac.kr/kayang/490"
rdf:type="http://ktech.chonbuk.ac.kr/ontology#Database"/>
한편, 블로그 상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 블로그 온톨로지에 설정되어 있는 관계성을 이용한 지능적인 브라우징과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거는 블로그 카테고리 클래스가 다른 카테고리 클래스와 맺고 있는 관계성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지능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는 온톨로지에 설정된 관계성을 이용하여 지능적으로 블로그 카 테고리를 브라우징 모듈 처리 흐름도이며 각각 도 8 및 도 10과 함께 상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에 의한 블로그 카테고리 브라우징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클래스 간 관계를 이용한 지능형 탐색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온톨로지인 블로그 카테고리 클래스와 그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관계성을 이용한 브라우징을 보인 것으로 블로거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지능적인 블로그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진' 카테고리, '경제' 카테고리, 컴퓨터공학??카테고리 등 각 블로그 카테고리 정보가 블로거에게 제시(단계 701). 이때, 블로거가 영상 처리에 사용되는 장치들에 관련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컴퓨터공학'의 하위 클래스인 '영상처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단계 702), 이것이 가지고 있는 관계성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받는다(단계 703).
그런 다음, 관계성 정보 중 deviceOf 관계를 추적하여 '디지털카메라' 블로그 카테고리에 접근할 수 있다(단계 704). 마지막으로 '디지털 카메라' 카테고리의 블로그를 둘러보던(단계 705) 블로거는 관심이 가는 자신의 흥미 분야를 따라 관련 있는 관계성을 따라감으로써 블로그 카테고리 탐색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디지털 카메라' 분야의 블로그를 둘러보던 블로거는 카메라 구입에 관심을 갖게 되고 관련 물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디지털 카메라' 클래 스와 'sells' 관계를 맺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 카테고리에 들러 관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처럼 블로거는 특정 카테고리에서 세부적 의미를 표현하는 관계성을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 관계 링크를 추적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블로그 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서비스를 블로그 클래스 간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진보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능적인 블로그 브라우징 이외에도 온톨로지를 통해 패싯화된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점을 반영하여 블로그를 분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블로그는 다양한 분야의 내용이 담긴 엔트리들을 담고 있으며 각 엔트리는 담고 있는 내용에 따라 적절한 블로그 카테고리에 소속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블로그는 동시에 여러 개의 블로그 카테고리에 속할 수 있으며 이는 각 블로그가 검색 관점에 따라 동적으로 분류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에 의한 그룹핑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동적 블로그 그룹핑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온톨로지를 패싯으로 이용한 동적 그룹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술한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304)을 통해서 상기 도 9의 처리 과정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중세 서양 미술' 분야에 대한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있고, 블로그의 엔트리들이 각 내용에 따라 블로그 카테고리의 인스턴스로서 할당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각 블로그의 엔트리는 그 내용에 따라 '시대별'로 혹은 '화풍별'로 해당 카테고리 클래스에 링크될 수 있다. 우선 블로그 카테고리들을 블로거에게 제시하고(단계 901), '화풍'에 대한 관점으로 블로그를 분류하고자 할 때 블로거는 '화풍' 카테고리를 선택한다(단계 902). 그런 다음,'화풍'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인 '추상파', '인상파', '입체파' 등 분류에 따라 할당된 엔트리를 가진 블로그를 그룹핑할 수 있다(단계 903).
다음으로, 블로거는 분류된 블로그 그룹인 '추상파'를 선택할 수 있고(단계 904), 상기 '추상파'에 속한 엔트리들을 지닌 블로그 그룹 내에서 브라우징할 수 있다(단계 905). 이와 같이 온톨로지는 패싯 기능을 수행하여 블로거의 다양한 관점을 반영할 수 있다. 게다가 온톨로지가 일종의 디렉터리 구조로 검색 범주를 특정화 시켜줌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사에 따라 검색 분야를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같은 범주 내의 블로그 간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한다. 아울러, 온톨로지의 도메인 지식을 이용하여 전문가가 사용하는 용어를 검색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관점에서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온톨로지를 이용한 엔트리 카테고리 할당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여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지능적인 블로그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의 처 리 흐름도을 설명하며, 도 12를 통해 상기 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306)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엔트리가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명시하지 않아도 엔트리에 사용된 단어의 시맨틱을 통해 자동으로 카테고리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XML문서가 존재(단계 1101)하고 OWL로 작성된 카메라 온톨로지가 시맨틱 웹 상에 존재할 때 XML 문서에 사용된 개념들을 구축된 온톨로지와 비교(단계 1102)함으로써 이 문서가 카메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엔트리에 사용된 개념들 즉 메타 데이터와 적합한 용어를 온톨로지에서 찾을 때까지 상술한 비교 과정은 반복된다(단계 1103). 한편, 상기 도 12에서 제시된 엔트리에서 사용된 메타 데이터 중 'SLR'은 블로그 카테고리 온톨로지에서 'Camera' 의 자식 클래스인 'SLR'과 매치된다. 이러한 처리 방식을 통해 블로그 시스템은 엔트리가 해당될 수 있는 카테고리 리스트로 'SLR'과 'Camera'등을 사용자에게 추천 카테고리로 제시(단계 1104)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엔트리에 대한 카테고리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추천된 리스트 중 선택(단계 1105)하여 엔트리의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관계성을 이용한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페이지에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30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블로그 내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에 맞게 동적으로 커뮤니티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블로그에서는 관심 있는 블로그와 일촌(neighbor) 관계를 맺고 자주 찾아가는 블로그는 즐겨찾기(favorite)로 설정하여 최신 동향을 실시간으로 검색해 볼 수 있다. 또한 블로그 사용자는 다른 블로그를 방문하여 관심 있는 엔트리에 대한 트랙백(trackback)을 걸거나 답글(reply)이나 댓글(comment) 등을 달 수 있다. 이처럼 블로그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기반으로 일촌별, 트랙백 관계별, 덧글 관계별 등 사용자가 원하는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307)에서는 우선 해당 블로그의 엔트리에 달린 최근 덧글, 최근 트랙백 등과 같은 관계성을 블로거에게 제시한다(단계 1301). 이때, 상기 블로거는 여러 관계성 중에서 사용자의 관점에 맞고 가장 관심이 가는 관계성을 선택한다(단계 1302). 그런 다음, 해당 엔트리에 트랙백이나 덧글 등의 관계를 통해 작성한 엔트리의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블로거들을 찾아 트랙백, 덧글 등의 관계성에 따라 블로그를 그룹핑하여 일종의 커뮤니티를 생성한다(단계 1303).
한편, 생성된 커뮤니티로 이동(단계 1304)한 블로거는 구성원 간의 활발한 정보공유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최신 정보를 검색해 접근할 수 있다(단계 1305). 상기 도 14는 블로그 페이지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블로그 페이지에 사용자가 작성한 엔트리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갖거나 혹은 공감을 지닌 다른 외부 블로그 사용자가 덧글이나 트랙백 등을 달 수 있다. 이때, 엔트리를 작성한 블로그 사용자는 자신의 글에 달린 새로운 의견을 보기 위해 트랙백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블로그에 방문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된 트랙백에 많은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블로그의 방문한 다음 다시 자신의 블로그로 돌아와 다른 트랙백을 찾아가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블로그를 일정한 규칙성 없이 계속적으로 방문함으로써 원래 자신이 찾으려 했던 정보 검색의 방향을 상실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감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로그상에 보여지는 관계성을 위주로 동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자 목적에 맞는 검색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른 블로그의 엔트리에 트랙백을 단 이들은 우선 엔트리에서 다루고 있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가진 구성원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블로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이 구성원들에 대한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트리에 대해 트랙백을 단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혹은 덧글을 단 구성원을 중심으로 손쉽게 커뮤니티를 생성한다면 사용자는 그 커뮤니티를 항해함으로써 좀 더 단순화된 방법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온톨로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추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5는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의 처리 흐름도이며,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308)은 소프트웨어 온톨로지와 블로그 카테고리 온톨로지와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블로거가 블로그 상에서 처리 중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추천한다.
XML/RDF 로 명세된 엔트리는 블로그 온톨로지의 인스턴스로 연결되어 있다(601). 즉, XML/RDF 로 명세된 엔트리가 작성(단계 1501)되면, 상기 엔트리와 블로그 온톨로지 간에 설정된 링크를 따라 블로그 카테고리의 온톨로지 용어를 탐색한다(단계 1502). 이때, 블로그 온톨로지와 소프트웨어 온톨로지는 각 용어의 연관 관계에 따라 관련 있는 용어 간에 개별적인 의미를 지닌 관계성이 지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되는 블로그 온톨로지 용어와 관계성을 맺고 있는 소프트웨어 온톨로지 용어를 링크를 통해 탐색(단계 1503)한다. 이때, 상기 탐색 결과(단계 1504)로 소프트웨어 온톨로지의 인스턴스로 등록된 소프트웨어 객체 목록을 블로거에게 제시(단계 1505)한다. 한편, 상기 블로거는 작업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제공받아 작업처리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단계 1506).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블로그 온톨로지 중 '인터넷 신문' 카테고리에 속하는 엔트리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작업으로 동영상 처리작업이나 이미지 작업 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인터넷 신문에는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이미지를 주로 삽입하므로 이러한 사실을 온톨로지로 표현한다면 '인터넷 신문'은 소프트웨어 온톨로지 중 '그래픽' 용어와 '삽입하다(put)'라는 관계성을 가진다고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온톨로지 중 '그래픽'에는 'PhotoWORKS', 'Paint Shop' 등의 소프트웨어가 인스턴스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소프트웨어 정보를 작업을 수행하는 블로거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로그 상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려던 사용자는 상황에 맞게 적합한 소프트웨어 목록을 제시받고 그 중 최적의 소프트웨어를 선택, 제공받음으로써 효율적인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그에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인 온톨로지 구조를 적용하여 클래스, 관계성, 인스턴스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지능적인 브라우징 및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에 산재해 있는 많은 블로그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관계성을 파악하여 모델링함으로써 이들 중에서 관심 있는 것만을 즉각적으로 시각화된 기법을 이용하여 통합 브라우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그에 사용되는 온톨로지는 추론기능을 지원하는 언어인 OWL로 표현되어 보다 다양한 브라우징 기법 및 정확하고 세부적인 추론 기 법을 지원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블로그 상에서 온톨로지가 제공하는 지식과 추론 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이를 기반으로 개별적인 관점에 맞게 블로그를 동적으로 그룹핑하고 브라우징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로그 내에서 작업과 연관된 소프트웨어를 추천하는 기능은 서비스온 넷 기술과 연동하여 다양한 공개 소프트웨어 활용과 스트리밍 서비스 확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블로그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된 블로그 관련 정보를 블로그 사용자인 블로거들에게 제공하는 블로그 서버;
    블로그에서 사용되는 엔트리 및 그들간의 관계성을 온톨로지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환경에서 블로그 분야의 지식을 구축하는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 및
    상기 블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모듈에 의한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하는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톨로지 구축 결과를 지식베이스로 활용하여 블로그내에 존재하는 엔트리간의 관계성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관계성에 따라서 다른 블로그를 그룹핑하여 사용자 관점의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동적 커뮤니티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성은,
    이웃, 먼댓글, 덧글, 답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지식베이스로 활용하여 블로그의 카테고리 온톨로지 용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블로그 온톨로지 용어와 관계성을 맺고 있는 소프트웨어 온톨로지 용어를 탐색하여, 해당 소프트웨어 온톨로지의 인스턴스로 등록된 소프트웨어 객체 목록을 블로거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추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블로그에서 자원을 검색시,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질의된 개념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의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형 브라우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지식 베이스로 활용하여, 블로그 클래스간의 관계성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는 블로그 카테고리가 가지고 있는 관계성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외부의 시맨틱 블로그를 대상으로 사용자 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블로그 검색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엔트리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정의된 용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용어를 찾고, 해당 용어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엔트리 카테고리 추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7. 블로그 도메인에서 온톨로지로 구축할 개념들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범위 안에서 블로그 용어들이 열거되며, 상기 온톨로지를 작성하기 위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각 엔트리를 제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
    온톨로지 작성이 완료될 경우 상기 온톨로지 작성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에 근거하여, 블로그의 엔트리에 달린 관계성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된 관계성 중에서 하나의 관계성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톨로지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관계성에 맞는 블로거를 찾아 그룹핑하여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블로그 온톨로지의 인스턴스로 연결된 명세서 엔트리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엔트리와 블로그 온톨로지 간에 설정된 링크를 따라 블로그 카테고리의 온톨로지 용어를 탐색하는 단계;
    해당되는 블로그 온톨로지 용어와 관계성을 맺고 있는 소프트웨어 온톨로지 용어를 링크를 통해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 결과로 소프트웨어 온톨로지의 인스턴스로 등록된 소프트웨어 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각 엔트리를 제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작업 모드가 클래스 정의 모드일 경우, 상기 클래스를 제시하고, 계층 화면을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각 엔트리를 제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작업 모드가 관계성 정의 모드일 경우, 상기 관계성을 제시하고, 링크 정보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온톨로지 작성을 위한 각 엔트리를 제시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작업 모드가 인스턴트 정의 모드일 경우, 상기 인스턴트를 제시하고, 해당 인스턴트 정보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OWL의 온톨로지 문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각 블로그 카테고리 리스트가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가 가지고 있는 관계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관계성 정보로부터 특정 관계성을 선택하면, 해당 관계성을 갖는 해당 블로그 카테고리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한 블로그 카테고리를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 블로그 카테고리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제공된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별로 해당 블로그를 그룹핑하는 단계;
    분류된 블로그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블로그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블로그 그룹 내에서 이동한 블로그 카테고리를 브라우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15.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서로부터 엔트리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엔트리의 메타 데이터와 매칭되는 온톨로지 용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엔트리 내용과 적합한 카테고리 리스트를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카테고리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엔트리의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방법.
KR1020060073885A 2005-12-20 2006-08-04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5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89 2005-12-20
KR20050126389 2005-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774A true KR20070065774A (ko) 2007-06-25

Family

ID=3836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85A KR20070065774A (ko) 2005-12-20 2006-08-04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77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981A2 (en) * 2007-09-14 2009-03-26 Exigen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a software framework based on semantic modeling and business rules
KR100918847B1 (ko) * 2007-10-15 2009-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톨로지 인스턴스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0093101A1 (ko) * 2009-02-10 2010-08-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로그 포스트를 온톨로지 기반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09923B1 (ko) * 2010-04-12 2011-01-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톨로지 기반의 서비스 속성 관리 모듈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1108845A2 (ko) * 2010-03-05 2011-09-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 블로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8601021B2 (en) 2010-01-19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perie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981A2 (en) * 2007-09-14 2009-03-26 Exigen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a software framework based on semantic modeling and business rules
WO2009038981A3 (en) * 2007-09-14 2009-05-07 Exigen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a software framework based on semantic modeling and business rules
KR100918847B1 (ko) * 2007-10-15 2009-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톨로지 인스턴스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US8055661B2 (en) 2007-10-15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ntology instance
WO2010093101A1 (ko) * 2009-02-10 2010-08-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로그 포스트를 온톨로지 기반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8601021B2 (en) 2010-01-19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xperien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WO2011108845A2 (ko) * 2010-03-05 2011-09-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 블로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11108845A3 (ko) * 2010-03-05 2012-02-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 블로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009923B1 (ko) * 2010-04-12 2011-01-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톨로지 기반의 서비스 속성 관리 모듈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1129479A1 (ko) * 2010-04-12 2011-10-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톨로지 기반의 서비스 속성 관리 모듈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8469A1 (en) Automatic mapping of a location identifier pattern of an object to a semantic type using object metadata
Bizer et al. Dbpedia-a crystallization point for the web of data
Andrews et al. A classification of semantic annotation systems
US200900770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tology modeling based on the exchange of annotations
Laleci et al. A semantic backend for content management systems
Strobbe et al. Interest based selec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for rich communication services
Alahmari et al. Evaluating Semantic Browsers for Consuming Linked Data.
Melucci et al. Advanced topics in information retrieval
KR20070065774A (ko) 온톨로지를 이용한 시맨틱 블로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umar World towards advance web mining: A review
Davies et al. Next generation knowledge access
Bouadjenek et al. Personalized social query expansion using social annotations
Orlandi et al. Semantic search on heterogeneous wiki systems
US20210109984A1 (en) Suggesting documents based on significant words and document metadata
Torre Interaction with Linked Digital Memories.
Babu et al. Web mining using semantic data mining techniques
Feddaoui et al. Multidimensional user profile construction for Web services selection: social networks case study
Molina et al. Semantic Capabilities for the Metrics and Indicators Cataloging Web System.
JP2007512607A (ja) データ記憶手段からの情報アイテム検索
Arnicans et al. Intelligent integration of information from semistructured web data sources on the basis of ontology and meta-models
Kalou et al. Semantic web rules and ontologies for developing personalised mashups
Tvarozek et al. Reinventing the web browser for the semantic web
JP4607798B2 (ja) コミュニティ形成支援装置、コミュニティ形成支援方法およびコミュニティ形成支援プログラム
Passant et al. Using linked data to build recommender systems
Buccafurri et al. Dealing with semantic heterogeneity for improving Web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