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975A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3975A KR20070063975A KR1020050124439A KR20050124439A KR20070063975A KR 20070063975 A KR20070063975 A KR 20070063975A KR 1020050124439 A KR1020050124439 A KR 1020050124439A KR 20050124439 A KR20050124439 A KR 20050124439A KR 20070063975 A KR20070063975 A KR 200700639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hot water
- cold
- safety
- water purifi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048246 Gallicrex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ake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losed.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ck valve for water intak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pen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가능상태에서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n the water intake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취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 3의 안전콕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cock valve of FIG. 3 is opened by an operation of a water intake lever;
도 5는 취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 3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가 연속 개방된 상태를 나태내는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Fig. 3 is continuously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lever.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의 안전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cover of the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잠금상태에서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n the intake lock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잠금상태에서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n the intake lock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안전콕 밸브 110 : 밸브하우징 117 : 상부캡100: safety cock valve 110: valve housing 117: upper cap
117 : 상부캡 120 : 단속로드 130 : 탄성수단117: upper cap 120: intermittent rod 130: elastic means
140 : 밸브체 150 : 취수레버 153 : 회동결합부140: valve body 150: water intake lever 153: rotating coupling part
155 : 요크부 157 : 회전축 160 : 안전덮개155: yoke portion 157: rotation shaft 160: safety cover
163 : 받침턱 165 : 손잡이편 167 : 요크수용부163: base 165: handle 167: yok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은 안전콕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정수기, 냉온수기 등에 구비되는 안전콕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ock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cock valve provided in a cold / hot water purifier, a cold / hot water dispenser, and the like.
정수기는 필터들 및/또는 멤브레인 등에 의하여 원수를 정수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이 정수를 취수하여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 있어서, 냉수와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경우 정수를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가 내장되며,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는 각각 별도의 관로를 통해 냉수 취수구와 온수 취수구와 연결된다. 따라서, 냉수 취수구와 온수 취수구에는 각각 밸브가 설치되며, 또한 이 각 밸브를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냉수취수레버와 온수취수레버가 차례로 설치된다. The water purifier is a device made to purify raw water by filters and / or membranes, store it in a storage tank, and take the purified water to drink it with confidence. In such a water purifier, a cold water tank for cooling and storing purified water and a hot water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purified water when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taken in, and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re each cold water through separate pipes. It is connected to the intake and the hot water intake. Therefore, valves are provided at the cold water intake port and the hot water intake port, respectively, and the cold water intake lever and the hot water intake lever are provided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valves.
일반적인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는, 대략 기역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입구(22)는 냉/온수공급관(12)에 의해 냉/온수탱크(10)와 연결되는 밸브몸체(20)와, 밸브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26)을 통해 밸브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을 갖는 밸브체(32)와, 하단은 밸브체(32)에 결합되고 상단은 결합핀(52)에 의해 취수레버(50)의 상단과 힌지결합되는 단속로드(34)와, 그리고 삽입공(26)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캡(28)과, 상부캡(28)과 밸브체(32)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6)을 구비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take cock valve of the gener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intake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eformed shape, the
따라서, 취수레버(50)의 하단에 컵을 대고 취수레버(50)를 후방으로 선회조작하면 취수레버(50)의 상단이 선회하여 상부캡(28)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단속로드(34)를 위로 견인함으로써 밸브체(32)가 그 측벽 상부가 굴곡축소되면서 상승하여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가 개방된다. Accordingly, when the cup is placed on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냉/온수탱크(10)로부터 냉/온수공급관(12), 밸브몸체(20)의 출구(24)를 통해 컵에 음용수를 취수할 수 있다. 취수된 컵을 취수레버(50)로부터 떼어내면 단속로드(34)의 상승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36)의 탄성력이 발휘되면서 단속로드(34) 및 밸브체(32)가 하강하고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는 밸브체(32)에 의해 다시 폐쇄되고 취수레버(50)도 원위치로 선회한다.Therefore, drinking water may be taken into the cup from the cold /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의 구조는 냉수 취수용으로 뿐만 아니라 온수 취수용으로 사용되는 실정 하에서,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가 온수취수레버를 냉수취수레버로 오인하여 잘못 조작함으로써 배출되는 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는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취수레버를 조작할 경우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intake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is used not only for cold water withdrawal but also for hot water withdrawal, especially when the elderly and children misunderstand the hot water intake lever as the cold intake lever and discharge it. There is a risk of burns due to hot water. That is, the conventional intake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does not have a separate safet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burned by hot water if the user inadvertently manipulates the intake lever.
한편, 근래에 들어 통상적인 냉온정수기의 취수용 콕밸브에 사용되는 수직단속로드(垂直斷續 Rod) 외에 수평단속로드(水平斷續 Rod)를 설치하는 등의 이중 단속되는 구조를 갖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취수용 콕밸브가 일부 제시되고 있으나, 수평단속로드 등과 같은 별도의 잠금 수단을 밸브에 구비시킴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고, 동시에 조립작업과 고장 시 그 수리 및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safety device having a double-interrupted structure such as installing a horizontal intermittent rod in addition to a vertical intermittent rod used for a water intake valve of a conventional cold / hot water purifier is provided. Some of the intake cock valves have been provided, but by providing a separate locking means such as a horizontal intermittent rod in the valve, its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추가적인 구성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취수가능상태 및 취수잠금상태의 전환이 용이한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cock valve for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can be easily switched between a water intake state and a water intake lock state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a complicated additional configuration.
또한, 기존의 냉온정수기에도 큰 구조변경 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취수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취수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는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안전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ist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an be applied as it is without a large structural change, and the user is to provide a safety cock valve that can prevent the burn accident by hot water by inadvertently operating the intake lever in the intake lock st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 및 취수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취수구를 연결하고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수용부를 포함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수 용부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속로드와; 상기 밸브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속로드를 하측으로 편향시키는 탄성수단과; 상기 단속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속로드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취수구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하우징 상부로 돌출된 상기 단속로드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요크부를 포함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회동결합부로부터 상기 취수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취수레버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요크부의 하면 사이에 개재된 채로 상기 단속로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부에 돌출된 받침턱을 구비하는 안전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덮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상기 폐쇄위치에 구속시킬 수 있는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valve housing and the inlet and the inlet, the valve housing comprising a valve receiv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inlet and forming a passage; An intermittent rod coupled to the valve water portion so as to be movable; Elastic means disposed in the valve accommodation portion and biasing the intermittent rod downward; A valve bod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termittent rod to mov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of the intake port in conjunction with a shanghai east of the intermittent rod; A rotation coupling part including a rotation shaft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intermittent rod protruding from the valve housing, and a yoke part form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rotation shaft; A water intake lever extending from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intake port; It includes a safety cover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intermittent ro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yoke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jaw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afety cover. A safety cock valve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capable of restraining the valve body in the closed position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받침턱은 상기 단속로드를 중심으로 한 쌍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요크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턱은 각각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갖고 양측부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astic means may be a coil spring, and the support jaw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air is opposed to each other around the intermittent rod and the yoke portion is accommoda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base jaw has an arc shape as a whole and the height decreases toward both sides.
여기서, 상기 요크부는 상기 회동결합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 측으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yoke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has an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about the rotation axis.
한편, 안전덮개는 상면을 이루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림부와, 상기 림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손잡이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afety cov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sc portion constituting an upper surface, a rim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 portion, and a plurality of handle pieces protruding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가능상태에서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취수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 3의 안전콕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가 연속 개방된 상태를 나태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in the water-collectable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afety cock valve of Figure 3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ake lev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FIG. 3 is continuously opened,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afety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100)를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밸브하우징(110)은 대략 기역자형으로 형성되고, 유입구(113)는 온수공급관에 의해 온수탱크와 연결된다(온수공급관과 온수탱크는 도 1의 도면부호 12 및 10 참조).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밸브하우징(110)의 유입구(113)와 취수구(115)와의 사이에는 밸브수용부(119)가 형성되되, 밸브하우징(110)의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으나 상부캡(117)이 결합됨으로써 밸브수용부(119)의 상부가 밀폐된다. 따라서, 안전콕밸브(100)가 개방될 시에는 취수구(115)를 통하여 온수가 토출될 수 있다.The
밸브수용부(119) 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을 갖는 밸브체(140)와, 하단부는 밸브체(14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캡(117) 및 안전덮개(16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속로드(120)와, 상부캡(117)의 하면 과 밸브체(14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30)을 구비한다.In the
안전콕 밸브(100)의 개폐조작을 위하여, 상부캡(117) 및 안전덮개(160)를 관통하여 안전덮개(16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속로드(120)의 상단은, 취수레버(15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동결합부(153)과 힌지결합된다.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회동결합부(153)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며 그 사이에 빈공간을 갖는 요크부(155)와, 요크부(155) 사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57)로 구성되며, 단속로드(120)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회전축(157)이 끼워짐으로써 회전축(157)을 중심으로 취수레버(150)가 안전콕 밸브(1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선회될 수 있게 된다. 요크부(155)의 하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7)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3 and 8, the
한편, 안전덮개(160)는 상부캡(117)과 회동결합부(153) 사이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전덮개(160)는 전체적으로 상부캡(117)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면에 상향 돌출된 받침턱(163)을 갖고, 그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안전덮개(160)를 손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편(165)을 구비한다. 또한, 그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홀에는 단속로드(120)의 상단이 끼워져 돌출됨으로써, 상부캡(117)을 커버하는 동시에 단속로드(1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안전덮개(16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안전덮개(160)의 내면과 상부캡(117)의 외면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받침턱(163)은 안전덮개(16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속로드(1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상호 대향하도록 한 쌍이 배치 되며, 한 쌍의 받침턱(163) 사이의 안전덮개(160)의 상면 상의 공간은 요크수용부(167)가 된다. The
받침턱(163)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갖고, 단속로드(120)를 중심으로 안전덮개(16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받침턱(163)의 양측부는 높이가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The supporting
또한, 안전덮개(160)의 회전위치에 따라 요크부(155)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받침턱(163)의 이격된 거리 즉 요크수용부(167)의 폭은 회동결합부(153)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요크수용부(167)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paced apart distance of the pair of
도 3에서와 같이 안전덮개(160)를 회전시켜 받침턱(163)이 안전콕 밸브(100)의 전방과 후방측에 위치하게 되면, 받침턱(163)의 상부와 요크부(155)의 경사진 저면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맞닿게 된다. 이때, 하방으로 발휘되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덮개(160)의 받침턱(163)이 요크부(155)와 상부캡(117) 사이에 협지되면서, 취수레버를 전후방으로 조작할 경우에 받침턱(163)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태 즉 안전콕 밸브(100)의 취수가능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콕 밸브(100)의 취수가능상태에서 취수레버(150)의 조작에 따라 안전콕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태 및 연속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safety cock valve is selectively opened and continuously op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50)의 하단에 컵(미도시)을 대고 취수레버(150)를 후방으로 밀면 취수레버(150)가 선회하는 동시에 회동결합부(153)가 전방으로 선회하면서 요크부(155)의 저면이 받침턱(163)의 상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축(157)에 힌지결합된 단속로드(120)가 위로 견인되고, 밸브체(140)의 상단 벽체가 굴곡축소되면서 취수구(115)를 막고 있던 밸브체(140)의 하단이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안전콕 밸브(100)가 개방되어 컵에 취수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cup (not shown) is pushed to the lower end of the
취수된 컵을 취수레버(150)로부터 떼내면 단속로드(120)의 상승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단속로드(120)가 다시 하강함에 따라 취수구(115)는 밸브체(140)에 의해 다시 폐쇄되고 취수레버(150)도 원위치로 선회하게 된다. 이처럼 안전덮개(160)의 회전위치에 따라 안전콕 밸브(1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take cup is removed from the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50)를 전방으로 대략 90도 가량 선회시키면 회동결합부(153)의 후면이 받침턱(163)의 상면과 면접촉하게 되면서 회동결합부(153) 및 취수레버(150)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승된 단속로드(120) 및 벨브체(140)의 위치도 유지하게 됨으로써 안전콕 밸브(100)를 연속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간단한 조작으로 연속 취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잠금상태에서의 냉온정수기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안전콕 밸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안전덮개(160)의 회전조작에 따른 안 전콕 밸브(100)의 취수잠금상태를 설명한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safety cock valv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n the intake lock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afety cock valve of FIG. Hereinafter, the intake lock state of th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덮개(160)를 회전시켜 받침턱(163)이 안전콕 밸브(1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게 되면, 회동결합부(153) 하측의 요크부(155)가 요크수용부(167, 도 6참조)에 수용된다. 이때에, 취수레버(150)를 전후방으로 조작해도 받침턱(163)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없는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취수레버(150)는 헛돌게 되며 단속로드(120)는 위로 견인되지 않아 안전콕 밸브(100)는 개방되지 않는다. 즉, 안전콕 밸브(100)의 취수잠금상태가 되어 사용자(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등)가 부주의하게 취수레버를 조작할 경우도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안전덮개(160)를 회전시켜 받침턱(163)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복잡한 추가적인 구성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안전콕 밸브(100)의 취수가능상태 및 취수잠금상태의 전환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rotates the
또한, 기존의 냉온정수기에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덮개를 더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냉온정수기에도 큰 구조변경 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콕 밸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afety cover having a simple structure in the exist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cock valve that can be applied as it is without large structural changes to the exist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취수레버 상단의 요크부와 밸브하우징 상단의 상부캡 사이에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받침턱을 구비한 안전덮개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취수가능상태 및 취수잠금상태의 전환이 용이한 냉온정수기의 안전콕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incorporating a safety cover with a supporting jaw serving as a supporting point of the lever between the yoke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intake lever and the upper cap of the upper end of the valve housing, the water intake is simple. A safety cock valve for a cold / hot water purifier that can be easily switched between a possible state and a water intake lock state can be provided.
또한, 기존의 냉온정수기에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덮개를 더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냉온정수기에 큰 구조변경 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콕 밸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afety cover having a simple structure in the exist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cock valve that can be applied as it is without large structural changes to the exist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439A KR20070063975A (en) | 2005-12-16 | 2005-12-16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439A KR20070063975A (en) | 2005-12-16 | 2005-12-16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5413U Division KR200409995Y1 (en) | 2005-12-16 | 2005-12-16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3975A true KR20070063975A (en) | 2007-06-20 |
Family
ID=3836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4439A KR20070063975A (en) | 2005-12-16 | 2005-12-16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6397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1917A (en) * | 2015-11-03 | 2017-05-12 | 코웨이 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harging residual water of water outlet |
-
2005
- 2005-12-16 KR KR1020050124439A patent/KR20070063975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1917A (en) * | 2015-11-03 | 2017-05-12 | 코웨이 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harging residual water of water outl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53925B2 (en) | Beverage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 |
CN104276355B (en) | The key of beverage-container | |
US6263520B1 (en) | Water discharging system for toilet | |
WO1998056677A1 (en) | Cap for beverage container | |
FR2524790A1 (en) | COFFEE MAKER | |
CN103224087A (en) | Cap of drink container | |
KR200409995Y1 (en)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
CN106580054A (en) | Upper cover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thereof and linkage sliding block for cooking appliance | |
JP2007522399A (en) | Pressure vessel sealing device | |
KR20070063975A (en) | Safety cock valve of hot and cool water purifier | |
KR101191520B1 (en) | Cold and hot single cock | |
CN205107315U (en) | Upper cover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and be used for cooking utensil's interlock slider thereof | |
KR100702675B1 (en) |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 |
KR101164359B1 (en) | Cold and hot single cock assembly | |
CN205107394U (en) | Upper cover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and be used for cooking utensil's interlock slider thereof | |
KR100794120B1 (en) | Cock having rotary type lev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 |
JP2019515213A (en) | Safety faucet for hot water | |
KR101214756B1 (en) | Cold and hot single cock unit | |
JP3224167U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 |
KR100322197B1 (en) | Valve of purified water dispenser | |
CN208640440U (en) | A kind of pot lid and insulating pot | |
KR200364319Y1 (en) | Safe faucet valve | |
KR100768781B1 (en) | Cock assembly having selective discharge function of cold and hot water | |
KR102010651B1 (en) |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
KR102248959B1 (en) | A non-power valve for a water stream type water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