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144A -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 Google Patents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144A
KR20070061144A KR1020060051459A KR20060051459A KR20070061144A KR 20070061144 A KR20070061144 A KR 20070061144A KR 1020060051459 A KR1020060051459 A KR 1020060051459A KR 20060051459 A KR20060051459 A KR 20060051459A KR 20070061144 A KR20070061144 A KR 20070061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outer container
phantom
diffusion tenso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569B1 (ko
Inventor
유돈식
장용민
김용준
김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0682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56978A4/en
Priority to PCT/KR2006/005307 priority patent/WO2007066998A1/en
Priority to US12/096,355 priority patent/US7667458B2/en
Publication of KR2007006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3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of moving material, e.g. flow contrast angiography
    • G01R33/56341Diffusion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8Calibration of imaging systems, e.g. using test probes, Phantoms; Calibration objects or fiducial markers such as active or passive RF coils surrounding an MR a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텐서의 주요 물리량인 확산 비등방성, 확산 주축 및 확산 주축의 경로를 측정할 수 있고, 확산텐서영상(DTI)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산텐서영상용 팬텀{Phantom for diffusion tensor imag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상층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상층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하층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확산텐서의 주요 물리량인 확산 비등방성, 확산 주축 및 확산 주축의 경로를 측정할 수 있고, 확산텐서영상(DTI)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 기능에 이상이 의심될 때 실시하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뇌 속의 형태를 보는 것이기 때문에 신경의 손상으로 운동 장애가 오면 세부적인 진단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DTI)은 뇌의 신경세포를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어 보다 세부적인 진단이 가능하다.
확산텐서영상 기법은 잉크 한 방울을 물 컵에 떨어뜨리면 물의 분자운동에 따라 원 모양으로 잉크가 퍼지는 원리에 착안하여, 물 분자의 확산 방향과 속도를 측정함으로서 뇌 신경세포를 영상으로 재현한다. 즉 뇌신경의 한 부분이 막히거나 손상되면 물 분자운동에 변화가 생기고, 깊숙한 부위의 손상도 파악할 수 있어 종래 알 수 없었던 뇌질환들에 대한 진단도 가능하다.
확산텐서영상 기법은 생체조직의 구조에 따라 물 분자의 확산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이러한 확산의 비등방성(anisotropy)에 의한 생체조직의 미세구조를 규명하는 새로운 영상기법으로서 신경과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임상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뇌백질의 미세 구조의 이상은 일반적인 의료 영상에서는 규명되지 않는 질환들에 대해서도 매우 높은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의 영상 기술로는 규명하기 어려운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고 보고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확산텐서영상의 정량화를 위하여 정상조직과 손상된 조직 간의 구역화를 전산적으로 처리하려는 시도가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뇌신경질환에 대한 새로운 진단기술인 확산텐서영상의 정량화를 위해서는 먼저 확산텐서영상 기술의 정확도를 규명하기 위한 표준 팬텀의 제작이 절실히 요구 된다. 뇌백질 구조물의 확산텐서량은 나이에 따라 다르며 또한 정상인과 환자에서 다르며 아시아인과 서양인에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확산텐서영상을 뇌신경계 질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 기법이 확산텐서량을 정확히 구별해 내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확산텐서영상을 위한 표준 팬텀의 제작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텐서의 주요 물리량인 확산 비등방성, 확산 주축 및 확산 주축의 경로를 측정할 수 있고, 확산텐서영상(DTI)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 용기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튜브는 10 u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마이크로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수분 흡수 시 팽창하는 마이크로 비드가 충전된 직 경 1 cm 이하의 비금속성 튜브일 수 있다.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부에 소용돌이 형태로 및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물질은 가온 시 액화되고 냉각 시 고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물질은 액체 아크릴계 수지 또는 파라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외부 용기,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1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외부 용기,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2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2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확산텐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제2 확산텐서 측정부는 적층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튜브 및 제2 마이크로튜브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제공한다.
상기 각 외부 용기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각 마이크로튜브는 10 u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확산 측정용 물질은 마이크로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각 확산 측정용 물질은 수분 흡수 시 팽창하는 마이크로 비드가 충전된 직경 1 cm 이하의 비금속성 튜브일 수 있다.
상기 각 확산 측정용 물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부에 소용돌이 형태로 및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용 물질은 가온 시 액화되고 냉각 시 고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각 고정용 물질은 액체 아크릴계 수지 또는 파라핀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상층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은 외부 용기(11),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 및 고정용 물질(17)을 포함한다.
외부 용기(11)는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 및 고정용 물질(17)과 같은 물질들의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외부 용기(11)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외부 충격 시 잘 깨지지 않으면서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비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은 상기 외부 용기(11)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로튜브는 10 u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은 마이크로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성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이크로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성 물질은 배추 잎과 같은 채소의 잎 또는 대나무 줄기와 같은 각종 식물의 줄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은 동물의 근육 조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천연 섬유성 물질 및 동물의 근육 조직은 부패하기 쉬우므로 장기 사용에는 바람직하지 않고,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은 수분 흡수 시 팽창하는 마이크로 비드가 충전된 직경 1 cm 이하의 비금속성 튜브일 수 있다. 1 cm 이하의 튜브에 건조된 마이크로 비드를 충전한 후 증류수를 주입하여 마이크로 비드를 수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비드가 충전된 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부에 소용돌이 형태(13)로 및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14, 15, 16, 17)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배치는 확산텐서의 비등방성을 정확히 측정하면서 확산텐서의 주축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기타 기능적 배치를 위해 직사 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배열이 가능하다.
고정용 물질(17)은 상기 외부 용기(11)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용 물질(17)은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12 내지 16)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상기 외부 용기(11)의 수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용 물질(17)은 가온 시 액화되고 냉각 시 고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용 물질(17)은 액체 아크릴계 수지 또는 파라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MRI magnet bore에 설치된 뇌전용 코일 내에 설치하고, magnet의 정중앙으로 코일을 이동하고 localization 영상을 획득 한다. 상기 획득된 localization 영상을 이용하여 먼저 해부학적 T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localization 영상을 이용하여 spin-echo EPI 계열의 확산텐서영상 펄스 시퀀스를 사용하여 확산강조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획득된 확산강조영상을 수학적 모델에 기반한 영상후처리 과정을 통해 확산텐서 영상을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상층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을 도시하는 하층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확 산텐서영상용 팬텀 두 개를 적층한 구조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외부 용기(31a), 상기 제1 외부 용기(31a)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1 확산 측정용 물질(32a 내지 36a), 및 상기 제1 외부 용기(31a)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확산 측정용 물질(32a 내지 36a)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용 물질(37a)을 포함하는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외부 용기(31b), 상기 제2 외부 용기(31b)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2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2 확산 측정용 물질(32b 내지 36b),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31b)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산 측정용 물질(32b 내지 36b)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용 물질(37b)을 포함하는 제2 확산텐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제2 확산텐서 측정부는 적층되어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마이크로튜브 및 제2 마이크로튜브의 직경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1 확산 측정용 물질(32a 내지 36a) 및 상기 제2 확산 측정용 물질(32b 내지 36b)의 배치 형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의 확산영상용 팬텀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확산 측정용 물질의 배치 형태를 달리하는 경우 및/또는 마이크로튜브의 직경을 상이하게 하는 경우 확산텐서의 방향성 및 확산텐서영상의 최소 분해능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 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에 의하면 확산텐서의 주요 물리량인 확산 비등방성, 확산 주축 및 확산 주축의 경로를 측정할 수 있고, 확산텐서영상(DTI)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확산텐서영상용 팬텀은 자기공명영상(MRI) 확산텐서영상(DTI)의 품질을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2.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외부 용기,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1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제1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외부 용기,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2 마이크로튜브의 다발로 이루어진 제2 확산 측정용 물질, 및 상기 제2 외부 용기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확산 측정용 물질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용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확산텐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산텐서 측정부 및 제2 확산텐서 측정부는 적층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튜브 및 제2 마이크로튜브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튜브는 10 u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마이크로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수분 흡수 시 팽창하는 마이크로 비드가 충전된 직경 1 cm 이하의 비금속성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측정용 물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부에 소용돌이 형태로 및 상기 수용 공간의 가장자리에 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물질은 가온 시 액화되고 냉각 시 고화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물질은 액체 아크릴계 수지 또는 파라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KR1020060051459A 2005-12-08 2006-06-08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KR10079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824013A EP1956978A4 (en) 2005-12-08 2006-12-08 GHOST FOR IMAGING DIFFUSION TENSOR
PCT/KR2006/005307 WO2007066998A1 (en) 2005-12-08 2006-12-08 Phantom for diffusion tensor imaging
US12/096,355 US7667458B2 (en) 2005-12-08 2006-12-08 Phantom for diffusion tensor im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525 2005-12-08
KR20050119525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44A true KR20070061144A (ko) 2007-06-13
KR100799569B1 KR100799569B1 (ko) 2008-01-31

Family

ID=3835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59A KR100799569B1 (ko) 2005-12-08 2006-06-08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7458B2 (ko)
EP (1) EP1956978A4 (ko)
KR (1) KR100799569B1 (ko)
WO (1) WO2007066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83B1 (ko) * 2015-08-18 2016-11-2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먼 자기공명영상 장비 코일 내 삽입형 외부표준참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1885U1 (de) * 2004-12-23 2005-05-12 Brainlab Ag Phantom zur Faserbahnverfolgung
PL385276A1 (pl) * 2008-05-26 2009-12-07 Instytut Fizyki Jądrowej Pan Im. Henryka Niewodniczańskiego Anizotropowy fantom dyfuzji dla kalibracji dowolnej sekwencji obrazowania MR, DTI oraz sposób kalibracji dowolnego tomografu MR
WO2010130040A1 (en) * 2009-05-14 2010-11-18 University Health Network Phantom for contrast imaging calibration
CN102334991B (zh) * 2011-07-29 2016-04-20 泰山医学院 磁共振弥散张量成像质量控制综合测试体模
WO2016007939A1 (en) 2014-07-11 2016-01-14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Universal, modular temperature controlled mri phantom for calibrated anisotropic and isotropic imaging including hollow fluid filled tubular textiles for calibrated anisotropic imaging
JP1554670S (ko) * 2015-06-10 2016-07-25
CA2987792C (en) 2015-09-04 2018-10-23 Synaptive Medical (Barbados) Inc. Cerebrospinal diffusion phantom
USD790709S1 (en) * 2015-09-28 2017-06-27 Synaptive Medical (Barbados) Inc. Tube anisotropic diffusion phantom
USD790067S1 (en) * 2016-06-27 2017-06-20 Synaptive Medical (Barbados) Inc. Tube isotropic diffusion phantom
US11959990B2 (en) 2018-06-16 2024-04-16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MRI phantom having filaments of integral textile axon simulations and anisotropic homogeneity MRI phantom using the filaments
EP3807667A4 (en) 2018-06-16 2022-06-01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MRI PHANTOM WITH FILAMENTS MADE OF INTEGRATED TEXTILE AXON SIMULATIONS AND MRI PHANTOME WITH ANISOTROPIC HOMOGENEITY USING THE FILAMENTS
EP3671344A1 (de) * 2018-12-20 2020-06-24 Technische Universität Wi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hantoms für biologische systeme
CN109887395A (zh) * 2019-01-03 2019-06-14 浙江大学 一种用于磁共振弥散张量成像重建算法验证的电纺直写仿生模型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1520C (en) * 1989-02-24 1992-12-15 Ernest L. Madsen Contrast resolution tissue mimicking phantoms for nuclear magetic resonance imaging
US6720766B2 (en) * 1995-04-14 2004-04-13 Kevin J. Parker Thin film phantoms and phantom systems
US6318146B1 (en) * 1999-07-14 2001-11-2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ulti-imaging modality tissue mimicking materials for imaging phantoms
US6409515B1 (en) 1999-08-03 2002-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Imaging system phantom
US6493574B1 (en) 2000-09-28 2002-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libration phantom and recognition algorithm for automatic coordinate transformation in diagnostic imaging
US7157696B2 (en) * 2002-04-04 2007-01-02 Synarc, Inc. Test object for calibration of imaging measurements of mammalian skeletal joints
KR100517889B1 (ko) 2003-05-09 2005-09-30 주라형 영상정합 정확성 평가용 팬텀
DE202005001885U1 (de) * 2004-12-23 2005-05-12 Brainlab Ag Phantom zur Faserbahnverfolgung
US7612560B2 (en) * 2007-04-24 2009-11-03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electively adjustable phantom that is compatible with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and enviro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83B1 (ko) * 2015-08-18 2016-11-2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먼 자기공명영상 장비 코일 내 삽입형 외부표준참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6978A4 (en) 2011-10-05
US7667458B2 (en) 2010-02-23
KR100799569B1 (ko) 2008-01-31
US20080284437A1 (en) 2008-11-20
WO2007066998A1 (en) 2007-06-14
EP1956978A1 (en)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569B1 (ko) 확산텐서영상용 팬텀
Zhu et al. Fusing DTI and fMRI data: a survey of methods and applications
Potgieser et al. The role of diffusion tensor imaging in brain tumor surge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hnson et al. Local mechanical properties of white matter structures in the human brain
US20200256943A1 (en) Mri phantom including hollow fluid filled tubular textiles for calibrated anisotropic imaging
Malhi et al. Making sense of neuroimaging in psychiatry
Widjaja et al. Subcortical alterations in tissue microstructure adjacent to focal cortical dysplasia: detection at diffusion-tensor MR imaging by using magnetoencephalographic dipole cluster localization
Rajasekaran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of the spinal cord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US10725136B2 (en) Cerebrospinal diffusion phantom
Mueller et al. Diffusion MRI and its role in neuropsychology
Osuka et al. Evaluation of ventriculomegaly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correlations with chronic hydrocephalus and atrophy
Lee et al. Normal regional fractional anisotropy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brain measured on a 3 T MR scanner
Bandopadhyay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diagnosis of epilepsy: scope of MicroRNA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Van et al. An introduction to model-independent 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Busato et al. In vivo imaging techniques: a new era for histochemical analysis
Zoccatelli et al. Adv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in brain tumours surgical planning
Watanabe et al. Flexible ex vivo phantoms for validation of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on a clinical scanner
CN105842641A (zh) 一种基于1h-19f-31p原子核的多通道三维核磁共振成像方法
Jellema et al. Advanced intraoperative MRI in pediatric brain tumor surgery
Guidetti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of tendons and ligaments at ultra-high magnetic fields
US11959990B2 (en) MRI phantom having filaments of integral textile axon simulations and anisotropic homogeneity MRI phantom using the filaments
Demnitz et al. Diffusion MRI: Introduction
Al Qadi Application of Diffusion MRI and DTI Tractography to Study of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Diseases at 7T
Vollmar et al.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in extratemporal lobe epilepsy
Kasa Diffusion Kurtosis Imaging in Temporal Lobe Epilep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