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118A -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118A
KR20070061118A KR1020060048234A KR20060048234A KR20070061118A KR 20070061118 A KR20070061118 A KR 20070061118A KR 1020060048234 A KR1020060048234 A KR 1020060048234A KR 20060048234 A KR20060048234 A KR 20060048234A KR 20070061118 A KR20070061118 A KR 2007006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real
index
time
lea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40B1 (ko
Inventor
장호욱
이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사용한 학습자간의 토론 및 정보교환과 같은 실시간 협력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학습자들의 협력 참여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지수와 학습 그룹 전체의 상호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에게 공지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협력 학습 활동시 대화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확인에 의한 학습자간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갱신하는 실시간 협력 참여도 갱신 단계; 협력 학습 참여자들이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마다 해당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를 갱신하는 발/수신지수 갱신 단계; 및 학습자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 또는 발/수신지수의 편차에 따라 협력 촉진 안내문을 발송하는 안내문 발송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 환경 등에 이용됨.
실시간 협력학습, 대화도구, 상호작용, 협력 참여도, 발신지수, 수신지수

Description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Promotion method of participants’ promotion over synchronous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chatting tools}
도 1 은 일반적인 이러닝 협력학습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학습자별 실시간 협력 발신횟수 및 수신횟수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개인별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 발송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학습 그룹 상호작용 지수 및 분포도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 용 촉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협력학습이 발생하는 기간의 중간 과정에서 학습자들간의 협력 참여도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상호작용 지수를 계산하여 학습자 개인별 및 그룹 전체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실시간 이러닝(E-learning)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을 높여 실시간 협력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러닝 협력학습은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학습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 과제를 여러 명의 학생들이 상호 의존하여 공동으로 해결함으로써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형태의 학습방식으로, 지식 기반 사회에서 필요한 지식을 활용하고 창출할 수 있는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자기 주도력, 문제 해결 능력을 육성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성공적인 협력학습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협력학습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자들을 단순히 그룹화하는 것은 우수 학습자의 지나친 독주로 인한 독불장군 현상이나 열등 학습자의 수동적 참여로 인한 무임승차 현상에 의해 학습자들 간의 상호 불만 및 책임 전가로 인해 오히려 학습효율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닝 협력학습은 일반적으로 준비, 도입, 전개, 정리의 과정으로 학습 행위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이러닝 협력학습 절차를 준비(101), 도입(팀 구성 및 배치(102), 학습목표 인식(103), 학습계획 수립(104)), 전개(개별학습(105), 팀 협력학습(106)), 정리(결과공유 및 정리(107), 평가 및 성찰(108)) 과정으로 좀 더 세분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팀 협력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며, 협력과정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대화도구를 이용하는 실시간 협력학습 방식과 토론 게시판, 메일, 쪽지 등을 이용하는 비실시간 협력학습 방식 및 두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혼합 협력학습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존의 실시간 협력학습 방식에서 제공되는 대화도구는 학습 내용에 대한 의견 교환, 토론 기능 제공 및 학습자간 정보를 교환하는 용도만 사용될 뿐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화도구에서의 새로운 메시지 수신 여부, 대화 초대 알림, 대화 주제에 대한 머리글 부여 등의 기능들은 학습의 편의성을 높이는 데는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방식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화도구를 사용한 학습자간의 토론 및 정보교환과 같은 실시간 협력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학습자들의 협력 참여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지수와 학습 그룹 전체의 상호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에게 공지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협력 학습 활동시 대화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확인에 의한 학습자간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갱신하는 실시간 협력 참여도 갱신 단계; 협력 학습 참여자들이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마다 해당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를 갱신하는 발/수신지수 갱신 단계; 및 학습자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 또는 발/수신지수의 편차에 따라 협력 촉진 안내문을 발송하는 안내문 발송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 환경 등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공지의 실시간 협력학습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그 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학습자별 실시간 협력 발신횟수 및 수신횟수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실시간 협력학습 활동시 대화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확인에 의한 학습자간 실시간 협력 참여도 계산 및 대화 메시지 송수신 형태에 따른 학습자들의 발신지수와 수신지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실시간 협력 활동이 종료 시점인지를 판단하여(201), 종료 시점이면 종료하고, 종료 시점이 아닐 경우 실시간 협력도구 사용을 시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202).
상기 판단 결과(202), 실시간 협력도구 사용을 시작하지 않을 경우, "201"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실시간 협력도구 사용을 시작할 경우 협력도구 사용자를 확인한 후(203) 대화도구 사용자들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증가시키고(204),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여(205),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대화 메시지의 입력을 계속 확인하고, 입력되었을 경우 메시지 송신자 발신 횟수를 증가시키고(206), 메시지 수신자 수신 횟수를 증가시킨다(207).
이후, 실시간 협력도구 사용을 종료할지를 판단하여(208), 종료할 경우 "201" 과정으로 진행하고, 종료하지 않을 경우 "205"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학습자별 실시간 협력 발신횟수 및 수신횟수 계산 과정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간 협력학습 활동은 협력학습 활동기간 내에 여러 번 대화도구가 사용되며, 대화도구가 사용되는 기간 내에는 학습 참여자들간에 대화 메시지 입력에 의한 의견 및 정보교환 행위가 여러 번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화도구가 사용될 때의 학습자들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갱신하는 단계와 협력학습 참여자들이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마다 발신지수 혹은 수신지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두 단계는 시계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기준을 만족함에 따라 해당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발신 횟수는 대화도구를 사용하면서 새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른 학습자에게 보내는 경우 메시지 송신자의 발신횟수가 하나 증가하며, 수신횟수는 다른 학습자로부터 메시지를 받은 경우 메시지 송신자에 대한 메신지 수신자의 수신횟수가 하나 증가된다. 학습자들의 발신횟수는 n명의 협력학습 참여자가 있는 경우 n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수신횟수는 n명의 협력학습 참여자가 있는 경우 (n-1) x (n-1)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A, B, C, D의 4명으로 구성된 학습 그룹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 A가 D와 대화도구에 동시 접속한 횟수가 5이며 C와 동시 접속한 횟수는 1이라면, A와 D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는 높은 반면에 A와 C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는 낮게 계산되며, 그에 따라 학습자간 균등한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유지하기 위 한 협력촉진 안내문을 발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A, B, C, D의 4명으로 구성된 학습 그룹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 A가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하여 B에게 보낸 경우 A의 발신 횟수를 하나 증가시키게 되며, A에 대한 B의 수신 횟수도 하나 증가시킨다. B가 A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작성하여 A에게 보낸 경우 B의 발신 횟수를 하나 증가시킴과 함께 B 대한 A의 수신횟수도 하나 증가시킨다. 이때, C와 D는 메시지 교환을 통한 협력행위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발신 횟수 및 다른 참여자들에 대한 수신횟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개인별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를 개인별 메시지 발신 횟수와 수신 횟수와 학습 그룹의 전체 학습자수와의 비율에 의해 계산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1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2
협력학습에서의 발신지수는 어떤 행위자(A)가 다른 행위자(B)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를 보내는 관계의 정도를 말한다. 즉, 한 행위자가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의 범위가 넓으면서 협력과정에서 여러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람의 메시지에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개진하는 활동을 많이 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발신지수가 높은 행위자는 학습자들간에 적극적으로 관계망을 만들어 가는 학습자로 설명할 수 있다.
수신지수는 어떤 행위자(A)가 다른 행위자(B)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를 받는 관계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한 행위자가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인기도를 말한다. 수신지수가 높다는 의미는 주제 토론 활동에서 여러 사람에게서 정보를 제공받거나 의견 교환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많이 받는 경우를 말하며, 수신지수가 높은 행위자는 학습자들간에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인기있는 학습자로 설명할 수 있다.
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은 게시판을 이용한 비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에 비해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의 수치가 상당히 크게 나오는데 비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의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는 일반적으로 3~5 정도가 요구되지만 실시간 협력학습은 비실시간 협력학습에 비해 최대 10배 이상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협력학습은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의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학습 참여자들간의 발신 및 수신지수의 고른 분포가 보다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에서 한 학습자의 발신지수가 너무 크게 나온다는 것은 다른 학습자들의 의견 개진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의미가 있어 독불장군 효과의 발생 위험성 이 증가하게 된다.
하기의 [표 1]은 개인별 발신지수와 수신지수에 의한 학습 그룹내 개인별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발신지수와 수신지수의 상, 중, 하 기준은 학습목적 및 협력유형에 따라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3
하기의 [표 2]는 학습자간 대화도구 동시 참여 빈도에 의한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실시간 협력 참여도 역시 학습목적 및 협력유형에 따라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4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개인별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 발송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개인별 발신지수와 수신지수 결과와 실시간 협력 참여도에 의해 참여도가 낮은 학습자에게 참여를 촉구하는 안내문을 보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학습자별 발신지수, 수신지수,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점검한 후(301),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가 지수편차 허용범위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302,303), 지수편차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발송한 후(304), "301"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302,303), 지수편차 허용범위 이하이면, 실시간 협력 참여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305),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301" 과정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발송하는 과정(304)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보내는 기준은 학습목적에 따라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은 발신지수, 수신지수, 실시간 협력 참여도 기준에 따라 최대 3번의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받을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는 학습그룹의 발신지수와 수신지수를 계산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5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6
여기서, 학습그룹의 발신지수와 수신지수는 전체 학습자들의 발신지수와 수신지수를 합하여 이를 구성원 수(학습자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학습그룹 전체의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가 높더라도 학습자들의 고른 기여도에 의한 지수 상승이 아닌 일부 학습자들에 의해 지수 상승이 주도되어 학습자들간 지수 편차가 많은 경우에는 바람직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으며, 학습그룹의 상호작용 응집성이 약하다고 판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중 학습 그룹 상호작용 지수 및 분포도 계산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개인별 발신지수와 수신지수에 의해 학습그룹의 발신 및 수신지수와 응집도를 계산하여 학습그룹내 학습자들에게 안내문을 보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학습그룹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를 계산하여(401), 학습자 지수 분포도 를 계산한 후(402),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발송한다(403).
상기와 같이, 학습그룹의 발신지수와 수신지수가 기 설정된 조건에 미달하는 경우나 상호작용의 응집성이 미비한 경우 학습그룹의 모든 참여자에게 안내문을 발송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에서 학습 참여자들의 협력학습 참여도를 대화도구의 단순 사용시간 분석이 아닌 대화도구 사용시의 수신과 발신 빈도를 구분하여 학습자간 참여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시간 협력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 개인별 협력 참여도와 함께 학습 그룹 전체의 협력 참여도 밀도를 비교 분석하여 학습자들에게 공지함으로써, 일부 학습자의 상호작용 독점 현상을 막고 모든 참여자가 활발하게 협력학습에 참여하도록 하여 학습그룹 전체의 참여도 응집 현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실시간 협력학습이 발생하는 기간의 중간 과정에서 학습자들간의 참여도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상호작용 지수를 계산하여 학습자 개인별 및 그룹 전체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실시간 협력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에 있어서,
    실시간 협력 학습 활동시 대화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확인에 의한 학습자간 실시간 협력 참여도를 갱신하는 실시간 협력 참여도 갱신 단계;
    협력 학습 참여자들이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마다 해당 발신지수 및 수신지수를 갱신하는 발/수신지수 갱신 단계; 및
    학습자의 실시간 협력 참여도 또는 발/수신지수의 편차에 따라 협력 촉진 안내문을 발송하는 안내문 발송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신지수 갱신 단계에서는,
    실시간 협력학습의 개인별 발신지수를 개인별 메시지 발신 횟수와 학습그룹의 전체 학습자의 비율에 의해 계산하고, 실시간 협력학습의 개인별 수신지수를 개인별 메시지 수신 횟수와 학습그룹의 전체 학습자의 비율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 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협력학습의 개인별 발신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7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협력학습의 개인별 수신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8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문 발송 단계는,
    학습자들간 실시간 협력 참여도가 낮은 학습자에게 학습참여를 촉진하는 안내문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별 발신지수와 수신지수에 의해 학습그룹의 발신 및 수신지수를 계산하고 학습자들의 지수 편차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에게 학습참여 촉진 안내문을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그룹 전체의 발신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06037894012-PAT00009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그룹 전체의 수신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수학식 4]
    Figure 112006037894012-PAT00010
KR1020060048234A 2005-12-08 2006-05-29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KR100810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0062 2005-12-08
KR1020050120062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18A true KR20070061118A (ko) 2007-06-13
KR100810540B1 KR100810540B1 (ko) 2008-03-10

Family

ID=3835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234A KR100810540B1 (ko) 2005-12-08 2006-05-29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239A (ko) * 2018-01-12 2022-03-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 감지 및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메시징 서비스와의 인터랙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359B1 (ko) * 2001-03-30 2007-01-15 동유전자 주식회사 학습시스템 구현장치
KR100635543B1 (ko) 2004-12-15 2006-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토론 게시판을 이용한 비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239A (ko) * 2018-01-12 2022-03-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 감지 및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메시징 서비스와의 인터랙션
US11356399B2 (en) 2018-01-12 2022-06-07 LINE Plus Corporation User context recognition in messaging service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messaging service based on user context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540B1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ller et al.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n an e-learning course
Nippard Social presence in the web-based synchronous secondary classroom
Chou A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of student interaction i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Bak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nes et al. Online communities for teachers and lifelong learners: A framework for comparing similaritie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communities of interest
Hathorn et al. Online collaboration: Making it work
Heiberger et al. Have you Facebooked Astin lately? Using technology to increase student involvement
Zharova et al. Problems and opportunities of using LMS moodle before and during COVID-19 Quarantine: Opin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boh Stephen E-counselling implementation: Consideration during the covid-19 deepen crisis in Nigeria
KR100810540B1 (ko) 대화도구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 참여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Knop-Huelss et al. Being POPC together: Permanent connectedness and group dynamics
Watanuki et al. Development of Individual Virtual Competences: Practices in Brazilian Companies
Istrate Principles of communication used in public administration
TsaI Level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learning to teach
Yan et al. The small-world and scale-free structure of an internet technological community
KR100635543B1 (ko) 토론 게시판을 이용한 비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자간상호작용 촉진 방법
Gamage The impact of project management in virtual environment: A software industry perspective
Kriek Mobile social media for a privat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n South Africa
Pascal Enabling chance interaction through instant messaging
Niraula Communication in business organizations
Obilor The Use of Mobile Phone and Social Relationships in Lagos Metropolis
KR20120122493A (ko)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이용한 실시간 협력학습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촉진 방법
Bagińska The role of internal communication in business management in the city of Czestochowa
Baughman et al. Executive Summary VCE COVID19 Reflections
Lu Study on the Impact of WeChat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College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