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338A -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338A
KR20070060338A KR1020050119641A KR20050119641A KR20070060338A KR 20070060338 A KR20070060338 A KR 20070060338A KR 1020050119641 A KR1020050119641 A KR 1020050119641A KR 20050119641 A KR20050119641 A KR 20050119641A KR 20070060338 A KR20070060338 A KR 2007006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keypad
guide
slide uni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훈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338A/en
Publication of KR2007006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3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A sliding keypad of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protect a main keypad by a slide part when closing the slide part,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battery by differently setting the size of power provided to a displa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lide part is opened. A slide part(600) includes an auxiliary keypad(610) having at least one key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is slidably moved on a main body(200) of a mobile terminal. Guide bars(400) are disposed on the main body(200) of the mobile terminal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 part(600). The slide part(600) includes a guide plate(620) on which the auxiliary keypad(610) is attached. The slide part(600) includes a pair of guide protrusions(621) slidably moved along guide grooves(410) of the guide bars(400) and attached at both sides of the slide part(600).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패드가 슬라이딩 업(UP) 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avigation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slid up;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3;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4;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키패드에 슬라이딩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사용자의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of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by a user by providing a sliding function to a navigation keypad.

최근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통화만을 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동영상, 인터넷, 위성방송 수신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함으로서, 현대인에게 중요한 생활 필 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Recently, the mobile terminal is not only a voice call function but also supports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Internet, satellite broadcasting, etc., has become an important living necessity for modern people.

또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딩 타입, 로테이션 타입, 가로보기 타입 등의 타입이 있다.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has a type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liding type, a rotation type, and a landscape view type.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형태에 다양한 방식으로 통화를 시도한다.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폴더를 열어야 하는 동작을 먼저 수행한 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In general, mobile terminals attempt to make calls in various ways. A user of a folder-type portable terminal may perform a call after first performing an operation of opening a folder.

또한,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슬라이딩하여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som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must slide to perform a call.

이에 비해 바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전화를 수신하거나 착신할 경우 간단한 키 조작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바 타입 휴대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키패드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들을 수행하는 일반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r type portable terminal has an advantage of making a call with a simple key operation when receiving or receiving a call. However, a bar-type portable terminal has a navigation keypad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and a general keypad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except for the navigation function.

또한,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네비게이션 키패드와 일반 키패드, 표시부는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r-type portable terminal expo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to the outside. Due to these problems, the navigation keypad, the general keypad, and the display portion may be easily damaged due to external influences.

또한, 바 타입 휴대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키패드와 일반 키패드, 표시부가 휴대 단말기의 일면에 모두 구성된다. 따라, 네비게이션 키패드와 일반 키패드가 휴대 단말기에서 차지하는 사이즈가 증가될수록 표시부가 차지하는 사이즈는 감소된다. In addition, the bar typ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navigation keypad, a general keypad, and a display unit on on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as the size of the navigation keypad and the general keypad in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decreases.

현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이즈 큰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희망한다. 또한, 사이즈가 작은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Currentl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desire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large display unit. 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mall display un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efficiently support various services desired by a us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키패드가 차지하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pose a method for adjusting the size occupied by the keypad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표시부가 차지하는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ize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손상되기 쉬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와 표시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minimizing damage to a keypad and a display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asily damage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가 배치된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including an auxiliary keypad having at least one key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slidingly moving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disposed on the main body of a portable terminal and including a guide ba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 unit.

또한, 본 발명은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pad, wherein the keypad,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 버턴이 배치된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와,At least one key butt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keypad, the sliding portion sliding on the main body,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단말기의 본체 상에 체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An elastic part fastened to the slide part and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상기 본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 버턴과 표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main body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key button, a display part, and a guide ba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 part on one surface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200), 표시부(300), 메인 키패드(700), 가이드 안내 홈(410), 가이드 바(400), 가이드돌기(621), 탄성부(510), 고정나사(520), 슬라이드부(60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ing keyp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200, a display unit 300, a main keypad 700, a guide guide groove 410, a guide bar 400, a guide protrusion 621, an elastic part 510, and a fixing screw. 520, the slide unit 600.

상기 슬라이드부(600)는 가이드판(620), 보조키패드(61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이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The slide unit 600 includes a guide plate 620 and an auxiliary keypad 610. Obviously, other components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20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가이드 바(40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이드 바(400)는 상기 슬라이드부(600)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을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two guide bars 400 which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he guide bar 400 includes the guide guide groove 410 for guiding the slide unit 600 to slide.

상기 가이드판(620)은 상기 가이드 바(400)의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에 결합 되어 상기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621)를 구비하고 있다. The guide plate 620 is provided with the guide protrusion 621 coupled to the guide guide groove 410 of the guide bar 400 to allow the slide unit 600 to slide.

상기 가이드 돌기(621)는 상기 가이드 판(620)의 양 측면의 일부분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 돌기(62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621)는 상기 가이드판(620)의 양 측면 전부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621 protrudes in a protrusion shape on a portion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620. However, the guide protrusion 62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621 may protrude in a protrusion shape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620.

상기 고정 나사(520)는 상기 탄성부(510)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판(620)에 고정 시킨다. 상기 탄성부(510)의 다른 일측은 본체(200)에 고정된다. The fixing screw 520 fixes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10 to the guide plate 620.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10 is fixed to the body 200.

상기 보조키패드(610)는 상기 가이드판(620)의 상단에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부(600)는 상기 보조키패드(610)와 상기 가이드판(62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400)의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한다.The auxiliary keypad 61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guide plate 620. The slide unit 600 includes the auxiliary keypad 610 and the guide plate 62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groove 410 of the guide bar 400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상기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딩 동작은 상기 탄성부(5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드부(600)에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동작 한다.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 unit 600 automatically operates when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upward or downward to the slide unit 600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510.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이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본체(200)는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400)는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됨을 자명하다.The main body 200 may include a pair of guide bars 400 for inducing the slide unit 600 to slide. It is apparent that the guide bar 400 is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the slide unit 600 can slide.

상기 가이드판(620)의 상기 가이드돌기(621)는 상기 가이드 바(400)의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에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드부(600)는 쉽게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 하도록 상기 가이드판(620)과 본체(200) 사이에 탄성부(51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The guide protrusion 621 of the guide plate 620 is fitted into the guide guide groove 410 of the guide bar 400. The slide unit 600 is connected between the guide plate 620 and the main body 200 by using the elastic unit 510 so as to be easily slid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510)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판(620)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200)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5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부(600)의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한다. 상기 탄성부(510)는 탄성력을 가진 토션 스프링, 포고핀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510 is fixed to the guide plate 620,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main body 200, the slide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510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unit 600 is supported. The elastic portion 510 may include a torsion spring, a pogo pin, and the like having elasticity.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측면 구성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3은 보조키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 되지 않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되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3 and 4 show side views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sliding keypad shown in FIG. 1, respectively. In particular,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lide unit 600 including the auxiliary keypad is not sliding, and FIG.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lide unit 600 is sli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키패드(700)는 상기 슬라이드부(600)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보조 키패드(610)는 상기 슬라이드부(6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보조 키패드(610)만을 이용 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keypad 7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lide unit 60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and the auxiliary keypad 61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lide unit 600. Therefore, a user ma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100 using only the auxiliary keypad 610.

또한, 상기 메인 키패드(700)는 슬라이드부(6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음으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하는 것이 상기 보조 키패드(610)라 면, 사용자는 상기 메인 키패드(700)를 상기 가이드판(620)에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keypad 7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lide unit 600, the main keypad 7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otecting the keypad. As described above, if it is the auxiliary keypad 610 to minimize external influence, the user may attach the main keypad 700 to the guide plate 620.

이때, 상기 가이드판(620)의 가이드돌기(621)는 상기 가이드 바(400)의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의 낮은 위치(제1위치: 슬라이드부(600)가 닫힌 상태)에 안착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621 of the guide plate 620 is seated at a low position (first position: the sliding part 600 is closed) of the guide guide groove 410 of the guide bar 400. .

도 4는 상기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620)의 상기 가이드 돌기(621)는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을 따라서 상기 탄성부(51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의 높은 위치 (제2위치: 슬라이드부(600)가 열린 상태)에 안착한다.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보조 키패드(610)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키패드(700)도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보조 키패드(610)와 메인 키패드(700)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 할 수 있게 된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lide unit 600 is slid. The guide protrusion 621 of the guide plate 620 is sli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510 along the guide guide groove 410 to the high position of the guide guide groove 410 (second position: The slide unit 600 is seated in the open state.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exposes not only the auxiliary keypad 610 but also the main keypad 700 to the outside, and a user inputs desired information using the auxiliary keypad 610 and the main keypad 700. You can do it.

상기 가이드 안내 홈(410)은 계단 모양의 레일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드 개방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부(300)와 일정간격을 유지 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표시부(3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guide guide groove 410 has a stepped rail shape, which prevents the display unit 300 from being damaged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300 when the slide unit 600 is slide-opened. To do that.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5는 보조키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 되지 않았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되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5 and 6 show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sliding keypad shown in FIG. In particular,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lide unit 600 including the auxiliary keypad is not slid, and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lide unit 600 is sli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넓은 표시부(300)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수신 통화를 시도하거나, 별도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인터넷, 위 성TV, 동영상 등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넓은 표시부(3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기능키는 상기 보조 키패드(61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a wide display unit 300. In general, when a user attempts to receive an incoming call or watches an Internet, a satellite TV, a video, etc. using a separate function key, the wide display unit 300 may be used as shown in FIG. 5. The separate function key may be located on the auxiliary keypad 610.

도 6은 상기 슬라이드부(6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로 상기 메인 키패드(7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메인 키패드(700) 상에 위치하고 있는 키 버턴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거나,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IG. 6 illustrates that the main keypad 70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slide unit 600 is slid and moved. In this case, the user may attempt a call or perform a necessary function by using a key button located on the main keypad 700.

또한,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6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표시부(300)의 일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표시부(300)의 일부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부(300)의 일부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some areas of the display unit 3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lide unit 60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power is not supplied to some areas of the display unit 300 that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 Since power is not supplied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00 as described abov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saved.

또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TV 영상이나 동영상을 구동시킨 다음 휴대 단말기를 도 5와 같은 상태로 천이시켜 상기 TV 영상이나 동영상을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ontinue to watch the TV image or video by driving the TV image or video in a state as shown in FIG. 6 and then transition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5.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사이즈가 작아서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받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 키패드와 메인 키패드를 일체화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하며, 보조 키패드를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서 표시부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바의 가이드 안내 홈을 계단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서 슬라이드부가 열린 상태에서 표시장치와 슬라이드부를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서 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부가하여 슬라이드부가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메인 키패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부로 제공하는 전원의 크기를 달리 설정 함으로서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small, various video services cannot be satisfactorily received, the auxiliary keypad and the main keypad are separately configured without being integrated, and the size of the display is made by sliding the auxiliary keypad.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 guide groove of the guide bar in a step shap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isplay device by separating the display device from the slid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pen state. In addition, the main keypad can be protected by the slide unit in the closed state. By setting the size of the power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lide unit is opened or clo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Claims (1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In the keypad of a mobile terminal,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가 배치된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including an auxiliary keypad having at least one key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slidingly moving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guide bar disposed 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보조 키패드를 부착하고 있는 가이드 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slide unit,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late attached to the auxiliary keypa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바의 가이드 안내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양 측면에 부착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slide unit,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guide guide groove of the guide bar, at least a pair of guide protrusion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lide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향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slide unit, when the sliding of the mobi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측이 상기 슬라이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상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slice portion, the other side is further fixed to the mobile terminal bod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메인 키패드와 상기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 가 하향 슬라이딩 되었을 경우, 상기 메인 키패드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keypad and the auxiliary keypad, and when the slide portion slides downward, the main keypad is disposed to b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slid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향 슬라이딩 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이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단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lide unit slides upward,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slide unit.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슬라이드가 상향 슬라이딩 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And when the slide is slid upward, power is not supplied to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guide bars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extend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안내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The guide bar includes a guid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unit to move.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keypad, the keypad,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 버턴이 배치된 보조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와,At least one key butt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keypad, the sliding portion sliding on the main body,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단말기의 본체 상에 체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An elastic part fastened to the slide part and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상기 본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키 버턴과 표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ain body includes a guide ba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key button, the display unit and the slide unit on one surface.
KR1020050119641A 2005-12-08 2005-12-08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KR200700603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641A KR20070060338A (en) 2005-12-08 2005-12-08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641A KR20070060338A (en) 2005-12-08 2005-12-08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338A true KR20070060338A (en) 2007-06-13

Family

ID=3835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641A KR20070060338A (en) 2005-12-08 2005-12-08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033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015A (en) * 2013-02-25 2014-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015A (en) * 2013-02-25 2014-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0345B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165B1 (en)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42877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slide mechanism
EP1422911A2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75947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JP2005286994A (en) Slide type mobile phone module
US20050260887A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30162B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60338A (en) Sliding 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KR100799623B1 (en) Cellular phone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100454729B1 (en) Slide type radiotelephone
KR100710319B1 (en) Semi-auto slide module and slide phone having the slide module
KR20070026924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otation, hinge modul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on
KR20070071462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5759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974678B1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366237Y1 (en) Sliding type radiotelephone
KR100539805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714516B1 (en)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able horizontally and perpendicularly
KR100617740B1 (e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20050109643A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N100452806C (en) Open and close device for antenna projection type mobile phone with sliding cover
KR100762144B1 (en) Slide modu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0315B1 (en) Connecting devic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678065B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