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532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7532A KR20070057532A KR1020050117079A KR20050117079A KR20070057532A KR 20070057532 A KR20070057532 A KR 20070057532A KR 1020050117079 A KR1020050117079 A KR 1020050117079A KR 20050117079 A KR20050117079 A KR 20050117079A KR 20070057532 A KR20070057532 A KR 200700575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area
- data
- divided
- key button
- sto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11: 설정부10: control unit 11: setting unit
12: 판단부 13: 데이터 처리부12: determination unit 13: data processing unit
20: 메모리 30: 키 입력부20: memory 30: key input
40: 표시부 50: 통신모듈40: display unit 5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여 메뉴 항목별로 비 공개된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for dividing the memory area to store data in different memory areas that are not disclosed for each menu item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data in a memory area when data is stored.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메뉴 항목 중 특정 메뉴 실행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가 해당 메뉴 항목의 기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xecuting a specific menu of the provided menu item, the input data is stored in the preset memory area of the corresponding menu item.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데이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 메모, 스케줄 데이터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쉽게 공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storing telephone number data, image or video data, memo, schedule data, and the like in a memory, data stored in the memory can be easily disclosed by other users.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들어 메뉴 항목별로 해당 메뉴 데이터에 대해 공개되지 않도록 차단 설정을 하기도 하나, 각각의 데이터에 대해 일일이 차단 설정을 해야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또는 각 메뉴 항목별로 차단설정을 해야하므로, 이 경우 각 메뉴 항목의 일부 데이터만을 공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recently set a block setting so that the menu data is not disclosed for each menu item,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reduced since each block data must be set individually, or each menu Since it is necessary to set a block for each item, in this case, only some data of each menu item cannot be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되어,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직접 접근이 가능하며, 설정에 따라 각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divided into one or more memory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the divided memory are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key button combination,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ach of which has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to prevent other users from easily accessing the memory reg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버튼이 구비된 키 입력부와, 분할 영역에 각각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comprising: a key input unit having a key button, a memory for storing respective data in a partition area, and a partition of the memory area;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butt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은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 는 제2단계와, 상기 메뉴 항목이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키 버튼을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p of dividing a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key button signal selected, and a menu item select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And a third step of setting data to be stored, and a third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key button for the memory area in which the menu item is s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기 설정된 조합 키 버튼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키 버튼 신호 감지 시, 감지된 키 버튼 신호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는 제2단계와,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3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a preset combination key button signal, and determining the detected key button signal when the key button signal is detected. The third feature includes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memory area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list of data stored in the found memory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 입력부(30)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50)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키 입력부(30)는 임의의 키 버튼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키 버튼 조합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분할된 특정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제어명령을 인가한다.The
이때, 상기 키 입력부(30)는 조합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30)는 '&'+'3' 버튼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 '&'+'5' 버튼에 대해서는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5' 버튼 조작 시 상기 메모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이 해제되어 사용자에게 공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For example, the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의 일부 영역이 분할되어, 설정된 메뉴 항목의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이때, 상기 메모리(20)는 설정에 따라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차단되어, 기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을 통해 인가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분할된 비공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를 공개한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20)는 '이미지1'과 '이미지2'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이미지1'은 일반적인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For example, when the
또한, 상기 메모리(2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어부(10)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제어 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11)와, 상기 설정부(11)를 통해 설정된 임의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감지하는 판단부(12)와, 분할된 메모리 영역별 메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설정부(11)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선택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선택된 키 버튼 조합 시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제어명령이 인가되도록 설정한다.The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 조합에 서로 다른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상기 설정부(11)는 '0'+'1' 버튼 신호 인가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파티션1'로 접근하도록 설정하고, '0'+'2'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티션2'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설정부(11)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이 공개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설정부(11)는 설정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 시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판단부(12)는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인가된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지를 판단한다.The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인가된 키 버튼 신호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 신호인 경우,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In this case, when the applied key button signal is an access signal to the divided memory area, the
즉,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인 경우, 상기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중 인가된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That is, when the divided memory areas are 'partition 1', 'partition 2', and 'partition 3', the
또한,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키 버튼 조합에 의해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접근 시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peration when accessing a memory area divided by a specific key button combination, the
이때, 상기 판단부(12)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검색한다.In this case, when the input user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user information, the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실행 시,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의 선택 여부를 감지한다.The
즉, 상기 판단부(12)는 특정 메뉴 항목의 데이터 저장 시, 상기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 또는 분할되어 비공개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That is, when storing data of a specific menu item, the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명령에 따라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영역을 분할한다.The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설정 키 버튼 수에 따라 상기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을 5번 설정하는 경우, 그에 따라 '파티션1', '파티션2', '파티션3', '파티션4', '파티션5'와 같이 5개의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버튼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임의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 선택된 메뉴 항목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자동으로 임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The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파티션1'에 대해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파티션2'에 대해서는 스케줄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파티션3'에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데이터 저장 시, 일반 메모리 영역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메모리 영역 중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The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분할된 '파티션1'에는 '스케줄 데이터', '파티션2'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2' 버튼 조작 시 '파티션2'에 접근하여, 상기 '파티션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된 데이터 리스트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 일반 메모리 영역과 분할된 메모리 영역 간 데이터의 이동 및 복사가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3)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할된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반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th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키 버튼 '#'+'1'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 영역 중 일부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 '파티션#1'에 대한 메뉴 항목을 설정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ertain key button '#' + '1' is selected, a part of the memory area is divided, and the divided memory area ' Set the menu item for partition # 1 '.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분할된 '파티션#1'에 대해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메뉴 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명령에 따라 상기 '파티션#1'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this case, when the phone book menu is selected for the partition 'partition #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data to be stored in th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른 키 버튼 '#'+'2' 설정 시에는 상기 '파티션#1'과는 다른 메모리 영역 '파티션#2'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파티션#2'에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하고, 또 다른 키 버튼 '#'+'3' 설정 시 분할된 메모리 영역인 '파티션#3'에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sets another key button '#' +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vides a memory area 'partition # 2' different from the 'partition # 1' and photographs the partition 'partition # 2'. Alternatively, the video data is set to be stored, and when another key button '#' + '3' is set, the message data is stored in th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1' 버튼이 조작되면, 설정에 따른 인증동작 수행 후 전화번호부DB에 접근하여 일부 또는 전체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하고, '#'+'2' 또는 '#'+'3' 버튼 조작 시에는 그에 따른 사진/동영상DB 또는 메시지DB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preset '#' + '1' button is operated,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hone book DB after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so that some or all of the phone number data is output to the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에 따른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김태희, 핸드폰:01031730000, 집:025008000, 직장:0220330001, 그룹:친구'와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입력 시,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3a, when entering the phone number data, such as 'Name: Kim Tae Hee, Mobile Phone: 01031730000, Home: 025008000, Workplace: 0220330001, Group: Friends' When a storage command for the input telephone number data is input, a message for selecting a memory area in which the input telephone number data is stored is generated and output.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b와 같이 '일반 DB'와 분할된 '사용자 DB' 중 버튼 조작에 따라 '사용자 DB'가 선택되면,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설정에 따라 비밀번호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파티션#1'에 해당 전화번호 데이 터가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password authent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c and 3d when the 'user DB'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user DB' divided from the 'normal DB' as shown in FIG. The phone number data is stored in the preset 'partition # 1'.
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일반 DB'가 선택되면 일반적으로 공개된 전화번호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s 3e and 3f, when the 'general DB'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to allow the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in the generally released telephone number DB.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분할된 '사용자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거나, 반대로 '사용자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일반 DB'로 이동 또는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s. 4 and 5, move or copy the phone number data stored in the 'general DB' to the partitioned 'user DB', or conversely to the 'user DB' It is possible to move or copy the stored phone number data to the 'normal DB'.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기덕', '김남진', '김태우', '김혜수', '남성택' 등과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출력된 전화번호 데이터 중 '김혜수'에 대한 메뉴 버튼이 조작되고, 이때 도 4b와 같이 버튼 조작에 따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혜수"를 파티션#1로 이동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put when the phone number data stored in the 'normal DB', such as 'Kim Ki-deok', 'Kim Nam-jin', 'Kim Tae-woo', 'Kim Hye-su', 'Men Seong-taek', etc. Among the phone number data, the menu button for 'Kim Hye-Soo' is operated. At this time, if the 'Move' comman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as shown in FIG. 4B, do you want to move 'Kim Hye-Soo' to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예'가 선택되면, 도 4d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하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DB에 저장된 상기 '김혜수'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사용자 DB의 '파티션#1'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yes', it performs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with the password entered as shown in Figure 4d, the telephone number data of the 'Kim Hye-su' stored in the general DB as shown in Figure 4e is the user DB Move to 'Partition # 1' and save it.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분할된 사용자 DB 중 '파티션#1'에 저장된 '김사랑', '김태희', '김혜수', 박세 리', '정지훈' 등과 같은 전화번호 데이터 출력 시, 도 5b와 같이 선택된 '박세리'에 대해 '복사' 명령이 인가되면, 도 5c와 같이 '"박세리"를 일반 DB에 복사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5a, 'Kimsarang', 'Kim Tae-hee', 'Kim Hye-su', 'Kim Se-ri', 'Jeong Ji-hoon' stored in 'partition # 1' among the user DB partitioned by user setting When outputting telephone number data such as the like, if a 'copy' command is applied to the selected 'Pak' as shown in FIG. 5B, a confirmation message such as 'Do you want to copy the' Pak 'to the general DB?'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로 인증동작을 수행 후 사용자 DB의 '파티션#1'에 저장된 '박세리'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일반 DB로 복사되어 저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ure 5d and 5e, afte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with the input password, the phone number data of 'Pak Seri' stored in 'partition # 1' of the user DB is copied to the general DB To be stor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up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임의로 조합된 키 버튼 설정 시, 임의의 키 버튼이 선택되면(S1), 선택된 키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을 분할한다(S2).When an arbitrarily combined key button is set, if an arbitrary key button is selected (S1), the memory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signal is divided (S2).
이때,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 선택 시(S3), 명령에 따라 수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5).At this time, when selecting a menu item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S3), when manually selecting the menu item according to a command (S4), the data of the selected menu item is set to be stored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S4). S5).
반면, 자동으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4),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데이터가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설정한다(S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sired to automatically select the menu item (S4), the data of the menu item arbitrarily selected among the unset menu items are set to be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S6).
이때, 상기 임의로 선택된 메뉴 항목은 분할된 다른 메모리 영역에 설정되지 않은 메뉴 항목 중 사용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randomly selected menu item may automatically select a menu item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menu items which are not set in another divided memory area.
상기 선택된 임의의 키 버튼 조합에 따라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메뉴 항목의 DB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S7), 상기 설정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S8).According to the selected key button combination, the menu item is set to move to a DB of a menu item set in the divided memory area (S7), and the setting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S8).
이때, 상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에만 상기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하고, 다른 키 버튼 신호 인가 시에는 해당 메모리 영역 이외의 분할된 메모리 영역에 대해서는 비공개 설정한다.At this time, the data stored in the divided memory area is released only when the signal is applied by the set key button combination, and when the other key button signal is applied, the divided memory area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is set to be private.
특정 메뉴 실행 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S9), 명령에 따라 분할된 사용자 DB 또는 일반 DB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0), 사용자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이 설정된 사용자 DB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1).When saving the input data when executing a specific menu (S9),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ave to the user DB or general DB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command (S10), if you want to save in the user DB, the user DB set the corresponding menu item The data is stored in (S11).
이때,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일반 DB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 메모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S12).In this case, when the input data is to be stored in the general DB, the corresponding data is stored in the general memory area (S1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임의의 조합 키 버튼 조작 시(S21),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분할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여(S25), 검색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을 시도한다(S26).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a predetermined combination key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S21), the manipulated key button signal is read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partition memory area (S25), and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e found memory area. (S26).
이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데이터 리스트를 생성하고,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S27).At this time, th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is searched to generate the searched data list and output on the display screen (S27).
예를 들어, '#'+'3' 버튼 조작 시, 상기 '#'+'3' 버튼 신호에 해당되는 파티션을 검색하여, '파티션#3'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 + '3' button is operated, the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 + '3' button signal is searched so that the message data list stored in the
만일, 기 설정된 키 버튼 조합에 의한 신호 인가 시, 설정에 따라 별도의 인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S22),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기 설정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S23),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공개되도록 한다(S24).When a signal is applied by a predetermined combination of key buttons, if a separate authent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etting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the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identical (S23), and only when they match. Data stored in the memory area is disclosed (S24).
이때, 상기 표시화면에 출력된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동 또는 복사 명령이 인가된 경우(S28),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영역으로 해당 데이터가 이동 또는 복사되도록 한다(S29).At this time, when a move or copy command for the selected data among th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applied (S28), the corresponding data is moved or copied to the selected memory area according to the button manipulation (S2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idea is prot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별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비공개 설정하고, 기 설정된 키 버튼 조작에 의해서만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데이터 저장 시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차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storage function for each are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divided into one or more memory areas according to a command and set privately, and are moved to a corresponding memory area only by a predetermined key butto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ata from other users by enabling the access of the user, and by selecting the memory area to be stored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when saving the data,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separate data blocking operation, which greatly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It work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7532A true KR20070057532A (en) | 2007-06-07 |
KR101139452B1 KR101139452B1 (en) | 2012-04-30 |
Family
ID=383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7079A KR101139452B1 (en) | 2005-12-02 | 2005-12-02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945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1730B1 (en) | 2015-04-02 | 2016-08-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
US9836398B2 (en) | 2015-04-30 | 2017-12-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6557A (en) * | 2001-12-28 | 2003-07-0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direct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using shortcut keys |
KR100486542B1 (en) * | 2002-11-08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limiting the right to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40104206A (en) * | 2003-06-03 | 2004-12-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mory controlling method in the mobile station |
JP2005115492A (en) | 2003-10-03 | 2005-04-28 | Nec Corp | Cellular phone and mail security processing method |
-
2005
- 2005-12-02 KR KR1020050117079A patent/KR10113945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1730B1 (en) | 2015-04-02 | 2016-08-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
US9424192B1 (en) | 2015-04-02 | 2016-08-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
US9760490B2 (en) | 2015-04-02 | 2017-09-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
US9760489B2 (en) | 2015-04-02 | 2017-09-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vate memory table for reduced memory coherence traffic |
US9836398B2 (en) | 2015-04-30 | 2017-12-0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
US9842050B2 (en) | 2015-04-30 | 2017-12-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dd-on memory coherence directo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9452B1 (en) | 2012-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6866B1 (en) | Terminal for canceling lock function and release method for locking thereof | |
KR20120066894A (en) | Method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 |
JP4742022B2 (en) | Mobile terminal and program | |
KR10113945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torage by part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
JP6796662B2 (en)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its calling method | |
JP2007028405A (en) | Telephone system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lock func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lock method | |
JP2014014194A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 |
US8019852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igning preference items | |
KR101574243B1 (en) | Method unsecured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symbol | |
KR100661553B1 (en) | The alternative data hid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5827867A (en) | Method for making call rapidly by shaking mobile phone | |
KR10063822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manage phone-book by level and its operating method | |
JP6082139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20070071389A (en) | A method of protection data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25479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a telephone number and an item related there to in a terminal | |
KR20060077143A (en) | Data security establish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7889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usage of mobile phone | |
KR10067347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man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 |
KR10117416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by noticing a pattern using key input in a portable terminal | |
KR20150009660A (en) | Smart Phone for possibling a Cryptography-Input of reveng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
JP2021036460A (en) | Calling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100712845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ing vibration and its calling method | |
KR100848377B1 (en) | Data Rocking Control Method based on Number Information in Mobile Phone | |
KR20140139704A (en) | User terminal, method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in user terminal,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transmission device thereof | |
KR101135788B1 (en) | Method for image management in wireless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