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457A -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 Google Patents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457A
KR20070056457A KR1020050115107A KR20050115107A KR20070056457A KR 20070056457 A KR20070056457 A KR 20070056457A KR 1020050115107 A KR1020050115107 A KR 1020050115107A KR 20050115107 A KR20050115107 A KR 20050115107A KR 20070056457 A KR20070056457 A KR 2007005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construction
box
bran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001B1 (ko
Inventor
오호석
이원형
박태동
최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11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차세대 광가입자망 구조인 FTTH(Fiber To The Home) PON 망을 구축하기 위해 전주 위나 벽면에 부착하여 전화국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을 광가입자에게 광시설로 분배공급 해주는 광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광분기함은, 전주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함밑판과, 상기 함밑판을 덮는 함덮개를 구비하며,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으로서,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는 광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들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섬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일측부;를 구비하는 광케이블의 시설부분과, 가입자에게 공급되는 광옥외선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 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옥외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타측부;를 구비하는 광옥외선의 가설부분으로 공간적으로 분리고,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에는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이 여장처리 저장부에 여장 처리된 후 어댑터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INTEGRATED OPTIC-DIVIDING BOX FOR FTTH CONSTRUC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우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저면도;
도 2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함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부덮개를 우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내부덮개를 좌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X-X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광옥외선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분기함 11: 함덮개
12: 함밑판 13: 내부덮개
21: 광케이블 인입구 22: 광케이블 인출구
23: 광케이블 인장선 고정부 24, 31: 여장처리 저장부
241, 311, 511: 곡률유지가이드 3: 광옥외선 인출구
32: 광옥외선 홀더 41: 어댑터
42, 43: 커넥터 5: 복층 프레임
51: 복층 여장처리 저장부 6: 스탑 광케이블
61: 광섬유 7: 광옥외선
본 발명은 차세대 광가입자망 구조인 FTTH(Fiber To The Home) PON 망을 구축하기 위해 전주 위나 벽면에 부착하여 전화국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을 광가입자에게 광시설로 분배공급 해주는 광분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케이블 시설부분과 광옥외선 가설부분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운용목적에 따른 광섬유들의 독립적인 배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축 작업시 발생하는 작업상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광케이블 시설부분에는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된 광케이블에 fan-out코드가 취부된 광케이블(성단케이블), 수동광소자(splitter, AWG), 또는 다심 광점퍼코드 등을 미리 설치하여 광분기함을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현장 설치시 구축시간을 절약하며 구축 후 광섬유의 품질도 향상되도록 하는 광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광분기함은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이 인입되고 인입된 광케이블의 소요 광섬유를 광점퍼 편단코드와의 융착접속한 후 광분기함 내 광어댑터를 통하여 광옥외선 및 광케이블 형태로 인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전화국사로부터의 인입광케이블,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광점퍼 편단코드와의 접속부 및 광 섬유 여장정리부가 분기함내에 존재하여야 하며, 이를 현장에서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소요시간 및 작업수행자의 기량이 필요하다.
또한 광분기함 시설구축 후 장애 및 배선 재정리를 위하여 필요 광섬유를 접속트레이에서 인출하고, 인출된 광섬유를 융착접속한 후 다시 광접속트레이에 고정하는 작업은 초보자가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추가로 일반 전용광가입자에게 광시설을 공급할 경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고, 융착접속부를 보호하는 구조물, 즉, 접속트레이가 더 많이 필요하며, 수시로 발생하는 광가입자에게로의 광케이블 공급시 해당 광섬유의 융착접속 작업이 타회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아 기존 광분기함은 구조 및 접속방법에 따라 시설 구축시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광분기함 구축시 전화국사로부터 제공되는 광케이블 설치작업 공간과 가입자에게 광시설을 공급하는 가설작업 공간을 광분기함 내에서 구분하고, 서로의 회선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광분기함 구축시 적은 시간이 소요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FTTH PON 가입자망에서 전주 또는 건물 외벽에 설치하여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된 광케이블 시설을 쉽게 구축하며, FTTH 광가입자 및 일반 전용광가입자의 수용시 각각의 가입자에게 맞는 광섬유 가이드 및 접속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수요변동 및 진화된 FTTH PON 광가입자망에도 능동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광분기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주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함밑판과, 상기 함밑판을 덮는 함덮개를 구비하며,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으로서,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는 광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들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섬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일측부;를 구비하는 광케이블의 시설부분과, 가입자에게 공급되는 광옥외선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 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옥외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타측부;를 구비하는 광옥외선의 가설부분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일체형 광분기함이다. 이러한 구성은 광케이블 시설부분과 광옥외선 가설부분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서로의 작업에 대한 광섬유 손상 및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은 광분기함의 일측 반부에 마련되고, 상기 광옥외선 가설부분은 광분기함의 타측 반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케이블의 시설부분과 광옥외선의 가설부분의 경계선 부근을 회전축으로 하여 광분기함과 힌지 연결된 반부 크기의 내부덮개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서로의 작업에 대한 광섬유 손상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에는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이 여장처리 저장부에 여장 처리된 후 어댑터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광케이블이 미리 분기 설치된 광분기함을 공급함으로써 광분기함 내부 접속 등에 대한 설치시간을 단축하고, 광분기함의 전송품질을 균일화함으로써 전화 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과 광분기함 접속시 소요시간 감소 및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케이블 접속부는 스탑 광케이블, 수동광소자, 또는 다심 광점퍼코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장 처리 저장부는 함밑판에 장착되는 복층 프레임에 의해 복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광분기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서로 분리 설치할 수 있어 광섬유 상호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복층 프레임은 함밑판에 착탈 가능하게 함밑판에 장착되어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의 함밑판 하단에는 광케이블의 인입구 및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광옥외선 가설부분의 함밑판 하단에는 복수개의 광옥외선을 인출하는 광옥외선 인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옥외선 인출구는 광분기함의 내부로부터 광옥외선 홀더가 끼워지며, 상기 광옥외선 홀더는 내부에 광옥외선을 끼우는 수용부가 마련된 두개의 반원통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원통의 외측 둘레로는 광옥외선 인출구에 걸림 구조를 제공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하부로는 원통의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옥외선 홀더는 광옥외선이 당겨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어댑터들은 기울기가 주어진 채 복층으로 배열되어서 어댑터 간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함밑판의 높이가 상기 함덮개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함밑판과 함덮개는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우측면도, 그리고 도 1c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광분기함(1)은 전주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함밑판(12), 함밑판의 전면에서 힌지(h1, h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함덮개(11)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덮개(11)는 외부인이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함밑판(12)에 고정된다. 여기서 함덮개(11)와 함밑판(12)의 개폐가 힌지에 의한 회전 개폐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함덮개(11)를 함밑판(12)으로부터 높게 설치하여, 즉 함밑판(12)과 함덮개(11) 사이의 공간인 광섬유 저장 및 접속부를 넓게 확보하고, 또한 함덮개(11)의 높이를 함밑판(12)의 높이보다 더 높게 하여, 함덮개(11) 오픈시 함밑판(12)의 옆면으로 인해 작업자가 작업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여 후술할 어댑터(41)와 커넥터(42, 43)의 삽입 및 탈착작업을 편리하게 하였다.
광분기함(1)의 함밑판(12) 저면에 있어서, 좌측으로는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미도시)과 광분기함(1) 외부에서 접속되는 스탑 광케이블(6)이 삽지된 광케이블 인입구(21)와, 광분기함(1) 내부에서 스탑 광케이블(6)로부터 분기된 광케이 블이 인출되는 광케이블 인출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으로는 상기 광분기함(1) 내에서 스탑 광케이블(6)로부터 분기 연결된 광옥외선(7; 도 3 참조)이 인출되는 광옥외선 인출구(3)가 다수(예를 들면 용량에 따라 8개 내지 32개 정도) 형성되어 있다. 광케이블 인출구(23)로부터 인출된 광케이블은 다른 광분기함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광옥외선 인출구(3)로부터 인출된 광옥외선은 가입자에게 연결된다.
도 2는 도 1a의 광분기함의 함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부덮개를 우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부덮개를 좌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체형 광분기함의 정면도이다.
도 1의 함덮개(11)를 열면 내부에는 광섬유 저장 및 접속부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광섬유 저장 및 접속부는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의 설치 및 분기 부분(시설부분)을 좌측으로, 가입자에게 연결되는 광옥외선의 설치 및 접속부분(가설부분)을 우측으로, 물리적으로 각각 구분하고, 이를 함밑판(12)의 상하 중앙부에 힌지(h2) 연결된 내부 덮개(13)로 덮고 있다. 여기서 내부 덮개(13)는 광섬유 저장 및 접속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광분기함(1) 면적의 반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의 설치 및 분기 작업시에는 내부 덮개(13)를 도 2와 같이 우측으로 젖혀 우측에 있는 광옥외선에 작업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작업자가 가입자에게 공급되는 광옥외선의 설치 및 접속 작업시에는 내부 덮개(13)를 도 3과 같이 좌측으로 젖혀 좌측에 있는 광케이블 및 광섬유에 작업의 영형이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분기함(1)의 좌측 하단부에 설치된 광케이블 인입구(21) 에는 스탑 광케이블(6)이 광케이블 인장선 고정부(23)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스탑 광케이블(6)의 선단부에서 분기된 광섬유(61)들은 광섬유의 허용곡율반경을 유지하도록 여장처리저장부(24)의 곡률유지가이드(241) 주변으로 감겨져 정리된 상태에서 광분기함(1)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어댑터(41)에 커넥터(42)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섬유(61)의 여장처리 저장부(6)를 3곳에 산재시켜 광섬유의 곡률유지 및 배선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유지보수시 해당 광섬유를 쉽게 식별하여 운용시의 작업여건을 향상하였다.
여기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여장처리저장부를 복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X-X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여장처리저장부를 2층의 복층으로 설치하기 위해 복층 프레임(5)을 함밑판(12)에 장착하고, 그 프레임(5)에 곡률유지가이드(511)를 마련하여 여장처리저장부(51)를 더 설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복층 프레임(5)은 함밑판(12)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복층 프레임(5)에 의한 2층의 여장처리저장부(51)는, 하나의 여장처리저장부(24)에 복수의 광섬유(61)를 감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호 영향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광분기함(1)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어댑터(41)들을 배치시킴에 있어서도 복층으로 구성하면서 기울기를 주어 배치하면, 어댑터 간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광분기함(1) 내의 여장처리저장부(24, 51)와 어댑터(41)에 이르기 까지 스탑 광케이블(6)의 광섬유(61)를 미리 분기 설치해 놓으면, 작업자는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미도시)을 상기 광분기함(1)의 하부의 별도의 광접속함체(미도시)에서 스탑 광케이블(6)과 융착 접속 및 외피 접속을 통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현장에서 별도의 광케이블 분기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로서 스탑 광케이블(6) 대신 수동광소자(예를 들면, 스플리터나 AWG)를 광분기함(1)의 좌측 시설부분 내부 하단에 미리 실장시켜놓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장처리저장부(24, 51)와 어댑터(41)에 이르기까지 수동광소자의 광섬유(61)를 미리 분기 설치해 놓으면, 작업자는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을 상기 광분기함(1)의 하부의 광케이블 인입구(21)를 통해 광분기함(1) 내로 삽입하고, 삽입된 광케이블을 수동광소자와 융착접속하기만 하면 별도의 광케이블 분기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스탑 광케이블(6) 대신 다심 광점퍼 코드를 광분기함(1)의 좌측 시설부분 내부 하단에 미리 실장시켜놓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장처리저장부(24, 51)와 어댑터(41)에 이르기까지 다심 광점퍼코드의 광섬유(61)를 미리 분기 설치해 놓으면, 작업자는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을 상기 광분기함(1)의 하부의 광케이블 인입구(21)를 통해 광분기함(1) 내로 삽입하고, 삽입된 광케이블을 다심 광점퍼코드와 융착접속하기만 하면 별도의 광케이블 분기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광분기함 구조는 상기 스탑 광케이블(6), 수동광소자, 다심 광점퍼코드 등의 광케이블 접속부에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된 광케이블을 융착접속하 는 것만으로 광케이블의 설치 및 분기가 가능하므로, 인건비를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광분기함(1)의 가설부분, 즉 가입자측에 제공되는 광옥외선의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가입자 신설 작업을 위해서, 작업자는 광옥외선 인출구(3)를 통해 광옥외선(7)을 광분기함(1) 내부의 가설 부분 내로 삽입시키고, 광옥외선(7)을 곡률이 유지되도록 곡률유지가이드(311)에 감아 여장처리저장부(31)로 정리하며 커넥터(43)를 통해 어댑터(41)로 접속시킨다. 가설부분 작업시 현장조립형 광컨넥터(43)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구조에서 추가적인 광섬유 보호 구조물인 접속트레이(미도시) 등을 제거하여 간략한 광분기함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옥외선(7)이 당겨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옥외선 인출구(3)의 상부에서 광옥외선(7)을 광옥외선 홀더(32)로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광옥외선 홀더(32)의 사시도이다. 홀더(32)는 내부에 광옥외선(7)을 끼울 수 있는 수용부(321)가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반원통이 연결부(322)를 통해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홀더(32)의 내부는 광옥외선 구조에 따라 그 형태를 맞춰 가공할 수 있다. 광옥외선 홀더(32)를 벌린 상태에서 광옥외선 인출구(3)를 통해 내부 배선된 광옥외선(7)을 넣고 감싼 뒤 광분기함(1) 내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인출구(3)에 걸림홈(323)이 걸리도록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걸림턱(323)의 하부는 홀더(32)의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인출구(3)에 홀더(32)를 삽입할 때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은 광분기함 내에 스탑 광케이블과 같은 전화국사로부터의 광케이블 접속부를 미리 설치하여 공급함으로써 광분기함 내부 접속 등에 대한 설치시간을 단축하고, 광분기함의 전송품질을 균일화함으로써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과 광분기함 접속시 소요시간 감소 및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분기함 내에서 전화국사로부터 온 광케이블 시설부분과 가입자로의 광시설을 공급하는 가설부분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광케이블 시설부분 작업 시에는 내부 덮개가 가설부분을 덮고 가설부분 작업 시에는 시설부분을 덮음으로써 서로의 작업에 대한 광섬유 손상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광분기함의 복잡한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고안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후 품질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였고, 향후 진화된 FTTH PON 광가입자 망에서의 중간분기점(Remote Node)으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미래형 광분기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전주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함밑판과, 상기 함밑판을 덮는 함덮개를 구비하며,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으로서,
    전화국사로부터 공급되는 광케이블과 연결되는 광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되는 광섬유들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섬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일측부;를 구비하는 광케이블의 시설부분과,
    가입자에게 공급되는 광옥외선이 여장 처리되는 여장 처리 저장부와; 여장 처리된 광옥외선들이 결합되는 어댑터의 타측부;를 구비하는 광옥외선의 가설부분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은 광분기함의 일측 반부에 마련되고, 상기 광옥외선 가설부분은 광분기함의 타측 반부에 마련되며,
    상기 광케이블의 시설부분과 광옥외선의 가설부분의 경계선 부근을 회전축으로 하여 광분기함과 힌지 연결된 반부 크기의 내부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에는 광케이블 접속부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이 여장처리 저장부에 여장 처리된 후 어댑터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접속부는 스탑 광케이블, 수동광소자, 또는 다심 광점퍼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처리 저장부는 함밑판에 장착되는 복층 프레임에 의해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프레임은 함밑판에 착탈 가능하게 함밑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시설부분의 함밑판 하단에는 광케이블의 인입구 및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광옥외선 가설부분의 함밑판 하단에는 복수개의 광옥외선을 인출하는 광옥외선 인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옥외선 인출구는 광분기함의 내부로부터 광옥외선 홀더가 끼워지며,
    상기 광옥외선 홀더는 내부에 광옥외선을 끼우는 수용부가 마련된 두개의 반원통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원통의 외측 둘레로는 광옥외선 인출구에 걸림 구조를 제공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하부로는 원통의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들은 기울기가 주어진 채 복층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밑판의 높이가 상기 함덮개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함밑판과 함덮개는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TTH 망 구축을 위한 광분기함.
KR1020050115107A 2005-11-29 2005-11-29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KR10097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107A KR100975001B1 (ko) 2005-11-29 2005-11-29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107A KR100975001B1 (ko) 2005-11-29 2005-11-29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457A true KR20070056457A (ko) 2007-06-04
KR100975001B1 KR100975001B1 (ko) 2010-08-09

Family

ID=3835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107A KR100975001B1 (ko) 2005-11-29 2005-11-29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4B1 (ko) * 2006-10-12 2008-01-30 수시스템 주식회사 옥외 통신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067B2 (ja) * 2001-02-13 2004-04-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配線箱
JP2005300895A (ja) * 2004-04-12 2005-10-27 Fujikura Ltd 光接続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4B1 (ko) * 2006-10-12 2008-01-30 수시스템 주식회사 옥외 통신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001B1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675E1 (en) Optical fiber interconnect cabinets, termination modules and fiber connectivity management for the same
RU2670183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добавления разветвителей
US7496269B1 (en) Fiber optic enclosure
EP2573602B1 (en) Modular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a user network of a building
US7274850B2 (en) Fiber optic splice enclosure
US9684142B2 (en) Rapid distribution terminal
US20190072736A1 (en) High density distribution frame with an integrated splicing compartment
MXPA06010478A (es) Pedestal de terminacion optica.
KR100645503B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EP3317707B1 (en) Optical termination box and assembly
KR101694313B1 (ko) 이동 가능한 광분기어댑터가 수용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US10564376B2 (en) Fiber optic interior distribution cabinets
KR200405463Y1 (ko) 광분기함
KR100975001B1 (ko) Ftth 구축을 위한 일체형 광분기함
RU181686U1 (ru) Разветвитель
KR200423984Y1 (ko) 세대단자함용 광분배함
EP2538255B1 (en) Cable coupling device with overlength storage for jumper cables
EP3905709A1 (en) Outdoor telecommunications cabinet
JP2008158340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