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445A -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445A
KR20070056445A KR1020050115080A KR20050115080A KR20070056445A KR 20070056445 A KR20070056445 A KR 20070056445A KR 1020050115080 A KR1020050115080 A KR 1020050115080A KR 20050115080 A KR20050115080 A KR 20050115080A KR 20070056445 A KR20070056445 A KR 2007005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able signal
output
clock enabl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28562B1 (en
Inventor
박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11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562B1/en
Publication of KR2007005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clock enable signal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n undesired internal clock signal and an undesired mode register set in a power down mode, by maintaining the level of a clock enable signal in the power down mode until an address and a command arrive at a latch part. In an apparatus(200) for generating a clock enable signal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e level of a clock enable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a power down enable signal is maintained for a fixed time and then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device is disabled for the fixed time by the clock enable signal. The fixed time is the time until an address and a command arrive at an address latch part and a command latch part, respectively, after an address receiver/buffer and a command receiver/buffer are turned on.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명령어 및 클럭 신호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address, a command, and a clock signal in a gener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상세 회로도,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1;

도 3 및 도4는 도 2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파워다운 모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3 and 4 are timing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a power down mode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2;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펄스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ulse generator shown in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파워다운 모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FIG. 7 is a timing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in a power down mode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어드레스 리시버/버퍼 120 : 명령어 리시버/버퍼110: address receiver / buffer 120: command receiver / buffer

130 : 클럭 리시버/버퍼 140 : 어드레스 래치부130: clock receiver / buffer 140: address latch unit

150 : 명령어 래치부 160 : 내부 클럭 발생 장치150: instruction latch unit 160: internal clock generator

170 :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 180 : 명령어 디코더170: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80: command decoder

190, 200 :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190, 200: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210 :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212 : 구동부210: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212: driver

214 : 래치부 216 : 전송 및 래치부214: latch portion 216: transmission and latch portion

220 : 지연 모델링부 230 : 펄스 발생부220: delay modeling unit 230: pulse generator

240 : 스위칭부 250 : 레벨 유지부240: switching unit 250: level holding unit

260 : 버퍼260: buffer

본 발명은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다운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내부 클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for preventing an unwanted internal clock from occurring in a power down mode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전력 메모리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낮은 전력 소모량으로 높은 셀 용량과 빠른 속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액세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 구동 전류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파워다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As the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ontinues to expand, the need for low power memory is increas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re designed to ensure high cell capacity and high speed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erefore,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es in a power-down mode that uses a minimum of drive current when the data access operation is not performed.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여,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다가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파워다운 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클럭 인에이블 신호는 외부 칩셋과 반 도체 메모리 장치 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신호로서, 외부 칩셋으로부터 메모리 장치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메모리 코어 영역으로 전달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신호가 된다.In general,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nters a power down mode as the clock enable signal is inactivated, maintains the power down mode, and releases the power down mode when the clock enable signal is activated. The clock enable signal is a signal for interfacing between the external chipset and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becomes a referenc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fer a clock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chipset to the memory device to the memory core region.

즉,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클럭 신호를 메모리 코어 영역으로 전달하고,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클럭 신호를 메모리 코어 영역으로 전달하지 않는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ransfers the clock signal to the memory core region only when the clock enable signal is activated, and maintains the power down mode in which the clock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memory core region when the clock enable signal is inactivated. do.

도 1은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명령어 및 클럭 신호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address, a command, and a clock signal in a gener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어드레스 신호(A0~An)는 어드레스 리시버/버퍼(110)에서 내부 레벨로 전환된 후(A0Z_OUT~AnZ_OUT) 어드레스 래치부(140)를 통해 내부 어드레스 신호(INT_A0~INT_An)로 출력되고, 명령어(CS, RAS, CAS, WE)는 명령어 리시버/버퍼(120)에서 내부 레벨로 전환된 후(CSZ_OUT, RASZ_OUT, CASZ_OUT, WEZ_OUT) 명령어 래치부(150)에서 내부 명령어 신호(CS2/CS2Z, RAS2/RAS2Z, CAS2/CAS2Z, WE2/WE2Z)로 출력된다. 그리고, 명령어 래치부(150)의 출력 신호(CS2/CS2Z, RAS2/RAS2Z, CAS2/CAS2Z, WE2/WE2Z)는 명령어 디코더(180)로 입력되어, 모드 레지스터 셋(MREG), 액티브 신호(ACTIVE), 프리차지 신호(PRECHARGE), 라이트 신호(WRITE) 및 리드 신호(READ)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1, the external address signals A0 to An are switched to the internal level in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110 (A0Z_OUT to AnZ_OUT) and then the internal address signals INT_A0 to An through the address latch unit 140. INT_An) and the command (CS, RAS, CAS, WE) is converted to the internal level in the command receiver / buffer 120 (CSZ_OUT, RASZ_OUT, CASZ_OUT, WEZ_OUT). It is outputted as (CS2 / CS2Z, RAS2 / RAS2Z, CAS2 / CAS2Z, WE2 / WE2Z). The output signals CS2 / CS2Z, RAS2 / RAS2Z, CAS2 / CAS2Z, WE2 / WE2Z of the instruction latch unit 150 are input to the instruction decoder 180, and the mode register set MREG and the active signal ACTIVE. The precharge signal PRECHARGE, the write signal WRITE and the read signal READ are output.

또한, 외부 클럭 신호(CLK)는 클럭 리시버/버퍼(130)에서 내부 레벨로 변환된 후(CLKZ_OUT) 내부 클럭 발생 장치(160)로 입력되며, 내부 클럭 발생 장치(160) 는 클럭 리시버/버퍼(130)에서 레벨 변환된 클럭 신호(CLKZ_OUT)와 펄스 발생 신호(PULSE_GEN)를 입력으로 하여, 내부 클럭 신호(INT_CLK) 및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170) 제어 신호(CLKZ_CKE)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clock signal CLK is input to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160 after being converted to the internal level from the clock receiver / buffer 130 (CLKZ_OUT), and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160 receives the clock receiver / buffer ( The internal clock signal INT_CLK and the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70 control signal CLKZ_CKE are output by inputting the clock signal CLKZ_OUT and the pulse generation signal PULSE_GEN which are level-converted at 130.

아울러, 외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는 클럭 리시버/버퍼(130)에서 내부 레벨로 변환된 후(CKEZ_OUT)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170)로 입력되며,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170)는 내부 클럭 발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LKZ_CKE)에 따라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CKE2Z)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 is converted into the internal level in the clock receiver / buffer 130 (CKEZ_OUT) and then input to the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70, and the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70.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 / CKE2Z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LKZ_CKE output from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160.

이어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170)의 출력 신호인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CKE2Z)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190)로 입력되고,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190)는 클럭 신호(CLKZ_OUT) 및 파워-업 신호(PWRUP)에 따라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CLK_EN) 및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를 출력한다. 그리고,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는 어드레스 리시버/버퍼(110)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1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 / CKE2Z,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70, is input to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190, and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190 is clocked. The clock enable signal CKEZ_CLK_EN and the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CKEZ_CA_EN are output according to the signal CLKZ_OUT and the power-up signal PWRUP. The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CKEZ_CA_EN controls the on / off of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110 and the command receiver / buffer 120.

파워다운 모드에서, 외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는 로우 레벨로 천이하고, 이에 따라 클럭 리시버/버퍼(130)로부터 출력되는 레벨 변환된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OUT)은 하이 레벨이 된다. 아울러, 내부 클럭 발생 장치(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LKZ_CKE)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 신호 래치부(170)가 레벨 변환된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OUT)의 레벨을 래치하여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 CKE2Z)를 출력하고, 이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190)로 입력되어,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_CLK_EN)로 출력된다.In the power-down mode, the ex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 transitions to a low level, whereby the level-converted clock enable signal CKEZ_OUT output from the clock receiver / buffer 130 becomes a high level. In addition, the clock enable signal latch unit 170 latches the level of the clock enable signal CKEZ_OUT, which is level-converted, by the control signal CLKZ_CKE output from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160, thereby causing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 CKE2 and CKE2Z), which are input to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190 and output as the clock enable signal CKE_CLK_E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1.

파워다운 모드에서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Z)가 하이 레벨이 되면, 제 1 MOS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제 2 MOS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며, 초기 파워-업시에 제 3 MOS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고 제 4 MOS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 래치부(192)로는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When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Z becomes high in the power-down mode, the first MOS transistor Q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MOS transistor Q2 is turned off, and at the initial power-up, the third MOS transistor ( Q3)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MOS transistor Q4 is turned on so that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latch unit 192.

래치부(192)로부터 출력되는 로우 레벨의 신호(CKEZ_CA_EN_PRE)는 반전되어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로 사용되고, 이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리시버/버퍼(110)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120)는 턴오프된다.The low level signal CKEZ_CA_EN_PRE output from the latch unit 192 is inverted and used as the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CKEZ_CA_EN, and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110 and the command receiver / buffer 120 are turned according to the signal. Is off.

아울러, 래치부(192)의 출력 신호는 클럭 리시버/버퍼(130)에서 출력되는 레벨 변환된 클럭 신호(CLK_0UT, CLKZ_OUT)에 의해 구동되는 전송 및 래치부(194)로 입력되어, 전송 및 래치부(194)를 통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가 소정 폭의 펄스를 갖는 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192 is input to the transmission and latch unit 194 driven by the level-converted clock signals CLK_0UT and CLKZ_OUT output from the clock receiver / buffer 130 to transmit and latch the unit.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 may be output as a signal having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194.

한편,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의 반전 신호(CKEZ_CLK_EN_PRE)는 지연 모델링부(196)에서 지연되어 출력되고(CKEZ_CLK_EN_PRE_DELAY), 비교부(198)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의 반전 신호(CKEZ_CLK_EN_PRE)와 이의 지연 신호(CKEZ_CLK_EN_PRE_DELAY)를 비교하여,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CLK_EN)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지연 모델링부(196)는 어드레스 리시버/버퍼(110)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120)의 온/오프 시간(X)과, 리시버/버퍼(110, 120)의 출력 신호가 각각의 래치부(140, 150)로 전달되기까지의 시간(Y)을 모델링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verted signal CKEZ_CLK_EN_PRE of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 is delayed and output from the delay modeling unit 196 (CKEZ_CLK_EN_PRE_DELAY), and the comparator 198 is an inverted signal of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 ( The clock enable signal CKEZ_CLK_EN is output by comparing the CKEZ_CLK_EN_PRE and its delay signal CKEZ_CLK_EN_PRE_DELAY. In this case, the delay modeling unit 196 is configured to latch the on / off time (X) of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110 and the instruction receiver / buffer 120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 receiver / buffer 110 and 120 respectively. Model the time (Y) until delivery to the unit (140, 150).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CLK_EN)가 활성화되면, 내부 클럭 신호(INT_CLK)가 생성되고, 어드레스 래치부(140) 및 명령어 래치부(150)에 도달한 신호 레벨이 모드 레지스터 셋(MRS)을 위한 레벨이면, 명령어 디코더(180)에서 내부 MRS를 설정하게 된다.When the clock enable signal CKEZ_CLK_EN is activated, the internal clock signal INT_CLK is generated, and when the signal level reaching the address latch unit 140 and the instruction latch unit 150 is the level for the mode register set MRS. The command decoder 180 configures an internal MRS.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파워다운 모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3 and 4 are timing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in a power down mode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2.

먼저, 도 3은 1tCK동안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고 탈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가 로우 레벨로 천이하여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면,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Z)가 하이 레벨로 되어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가 하이 레벨로 출력됨으로써 어드레스 리시버/버퍼(110)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120)를 턴오프시킨다.First, FIG. 3 shows a case in which the power-down mode is maintained and escaped during 1 tCK. As illustrated, when the ex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 transitions to a low level and enters a power down mode,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Z goes high and the receiver / buffer drive signal CKEZ_CA_EN goes high.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110 and the command receiver / buffer 120 are turned off by being outputted as.

그리고, 전송 및 래치부(194)에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가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출력되고,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의 반전 신호(CKEZ_CLK_EN_PRE)와 지연 모델링부(196)에서 지연된 신호(CKEZ_CLK_EN_PRE_DELAY)의 비교를 통해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Z_CLK_EN)가 출력된다.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 is output as a pul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transmission and latch unit 194, and the inversion signal CKEZ_CLK_EN_PRE and the delay modeling unit 196 of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 are output. The clock enable signal CKEZ_CLK_EN is output by comparing the delayed signal CKEZ_CLK_EN_PRE_DELAY.

이때,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가 디스에이블되고, 지연 모델링부(196)에서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CKEZ_CLK_PRE_DELAY)가 디스에이블된 후, 반전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CKEZ_CLK_PRE)와 반전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CKEZ_CLK_PRE_DELAY)의 비교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_CLK)_EN)가 출력되는데,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반전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CLEZ_CLK_PRE)가 디스에이블된 후 이를 지연시키는 동안 원하지 않는 내부 클럭 신호(INT_CLK)가 발 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 is disabled, and the delayed power-down enable signal CKEZ_CLK_PRE_DELAY is disabled after being delayed by the delay modeling unit 196, and the inverted delay with the inverted power-down enable signal CKEZ_CLK_PRE is performed. The clock enable signal CKE_CLK_EN is output by comparing the power-down enable signal CKEZ_CLK_PRE_DELAY, which is delayed after the inverted power-down enable signal CLEZ_CLK_PRE is disabled as shown in FIG. 3.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wanted internal clock signal (INT_CLK) occurs during the process.

이러한 무효 내부 클럭 신호(INT_CLK)에 의해 명령어 래치부(150)에 도달한 명령어에 의해 모드 레지스터 세팅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모드 레지스터 셋 또한 무효한 신호이기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The mode register setting is performed by an instruction reaching the instruction latch unit 150 by the invalid internal clock signal INT_CLK. Since the mode register set is also an invalid signal,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es abnormally.

도 4는 2tCK동안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고 탈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도 역시, 반전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CKEZ_CLK_PRE)가 디스에이블된 후 이를 지연시키는 동안 원하지 않는 내부 클럭 신호(INT_CLK)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무효 MRS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FIG. 4 shows a case in which the power-down mode is maintained and escaped for 2 tCK, and in this case, an unwanted internal clock signal INT_CLK is also applied while delaying the inverted power-down enable signal CKEZ_CLK_PRE after it is disabled. Occurs, which causes a problem of invalid MRS.

이러한 문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환경(Process, Voltage, Temperature, PVT) 및 주파수에 의존적인 파워다운 구간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고주파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된다.This problem may occur frequently in power down periods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Process, Voltage, Temperature, PVT) and frequency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 problem is exacerbated in the case of a high frequency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워다운 모드에서 내부 클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capable of opera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normally by preventing an internal clock from being generated in a power-down mode. .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파워다운 모드에서 클럭 인에이블 신호의 레벨을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래치부에 도달하는 시간 동안 유지하여, 파워다운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내부 클럭 신호 및 모드 레지스터 셋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clock enable signal in the power down mode for the time that the address and the instruction reach the latch, so that an unwanted internal clock signal and mode register set are not generated in the power down mode. There i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럭 발생 장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의 레벨을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내부 클럭 발생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ck generation device maintains a level of a clock enable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a power down enabl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s controlled by the clock enable signal. And disabling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for the specified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는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의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및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하기 위한 지연 모델링부; 상기 지연 모델링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다운 모드를 탈출하기 위한 파워다운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파워다운 해제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거나 탈출하기 위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유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ower down enable signal and a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by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and the clock signal; A delay modeling unit configured to delay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by a predetermined time; A puls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ower down release signal for escaping a power down mode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A switching unit controlled according to a power down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and a power down releas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And a level maintain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lock enable signal for maintaining or escaping a power-down mod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200)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지연 모델링한 신호(NET1D)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는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는 어드레스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가 턴온되어,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각각의 래치부에 도달하는 시간 동안 지연 모델링되며,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가 인에이블되어 있는 동안 내부 클럭 발생 장치가 디스에이블되도록 하여 파워다운 모드에서 내부 클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abled by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and is applied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NET1D, which is a delay model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which is disabled by operation, is output. Here,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is delayed modeled for the time that the address and command receiver / buffer is turned on, so that the address and command reaches each latch, and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is turned on. While enabled,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is disabled to prevent internal clock generation in power-down mode.

그리고,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200)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가 출력된 후,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지연 모델링한 신호(NET1D)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가 출력될 때까지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의 레벨을 유지하는 레벨 유지부를 포함하고, 레벨 유지부의 출력단에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LEZ_CLK_EN)를 내부 클럭 발생 장치 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한다.When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200 outputs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and then outputs a pulse generated by a signal NET1D delayed modeling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It further includes a level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and further includes a buffer for transmitting the clock enable-bar signal (CLEZ_CLK_EN) to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etc.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level holding unit. .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신호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다.5A is a block diagram of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200)는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Z, CKE2) 및 클럭 리시버/버퍼(130)에서 레벨 변환된 클럭 신호(CLKZ_OUT)에 의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 및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LEZ_CA_EN)를 생성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10),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소정 시간 지연하기 위한 지연 모델링부(220), 지연 모델링부의 출력 신호(NET1D)에 응답하여, 파워다운 모드를 탈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230),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10)의 출력 신호와 펄스 발생부(23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칭부(240) 및 스위칭부(240)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거나 탈출하기 위한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 (CKEZ_CLK_EN)를 출력하는 레벨 유지부(250)를 포함하고, 레벨 유지부(25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를 기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wered by internal clock enable signals CKE2Z and CKE2 and a clock signal CLKZ_OUT level-converted by the clock receiver / buffer 130.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210 generating the down enable signal NET1 and the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CLEZ_CA_EN, and the delay modeling unit 220 for delaying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by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NET1D of the delay modeling unit, a pulse generator 230 generating a signal for escaping the power-down mode and an output signal and the pulse generator 230 of the power-down enable signal generator 210 are generated. A level maintaining unit 250 outputting a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for maintaining or escaping a power-down mod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240 and the switching unit 240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 And level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260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ranch 250 for transmitting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to other devices.

여기에서, 레벨 유지부(250)는 지연 모델링부(220)에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지연시키는 동안 스위칭부(240)의 제어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가 인에이블되도록 하고, 지연 모델링부(220)의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스위칭부(240)의 제어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를 디스에이블시킨다.Here, the level maintaining unit 250 enables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240 while the delay modeling unit 220 delays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When the delay time of the delay modeling unit 220 elapses,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is disabled by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240.

도 5b를 참조하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10)는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 CKE2Z) 및 파워-업 신호(PWRUP) 신호에 따라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동부(212), 구동부(212)의 출력 신호를 래치하여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를 출력하는 래치부(214), 래치부(214)의 출력 신호로부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생성하기 위한 전송 및 래치부(2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210 starts an operation of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in accordance with internal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and a power-up signal PWRUP signal. The latch unit 214 for latc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212 and the driver 212 to output the receiver / buffer drive signal CKEZ_CA_EN and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214. And a transmit and latch portion 216 for generating.

여기에서, 구동부(212)는 전원단자(VDD)와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되어 내부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2Z)의 반전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Q11), 출력 단자와 접지단자(VSS) 간에 직렬 접속되어, 각각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 및 파워-업 신호(PWRUP)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및 제 3 MOS 트랜지스터(Q12, Q13) 및 전원단자(VDD)와 출력 단자간에 접속되어 파워-업 신호(PWRUP)에 의해 구동되는 제 4 MOS 트랜지스터(Q14)로 이루어진다.Here, the driving unit 212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output terminal and driven by the inverted signal of the internal clock enable-bar signal CKE2Z. The first MOS transistor Q11,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S transistors Q12 and Q13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output terminal, which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VSSs and driven by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 and the power-up signal PWRUP, respectively. A fourth MOS transistor Q14 is connected and driven by the power-up signal PWRUP.

파워다운 모드에서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CKE2Z)는 하이 레벨로 천이하므로, 제 1 MOS 트랜지스터(Q11)는 턴온되고 제 2 MOS 트랜지스터(Q12)는 턴오프된다. 또한, 초기 파워-업 시에 파워-업 신호(PWRUP)는 로우 레벨이므로 제 3 MOS 트랜지스터(Q13)는 턴오프되고 제 4 MOS 트랜지스터(Q14)는 턴온되어, 구동부(212)의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이 된다. 구동부(212)의 출력 신호는 래치부(214)에서 로우 레벨로 래치되어, 하이 레벨의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CKEZ_CA_EN)가 출력되고, 이로 인하여, 어드레스 리시버/버퍼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가 턴오프된다.Since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CKE2Z transitions to the high level in the power-down mode, the first MOS transistor Q1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MOS transistor Q12 is turned off. In addition, since the power-up signal PWRUP is at the low level at the initial power-up, the third MOS transistor Q13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MOS transistor Q14 is turned on, so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212 is high. It becomes a level. The output signal of the driver 212 is latched to the low level by the latch unit 214, and a high level receiver / buffer drive signal CKEZ_CA_EN is output, whereby the address receiver / buffer and the command receiver / buffer are turned off. do.

여기에서, 제 1 및 제 4 MOS 트랜지스터는 P타입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고, 제 2 및 제 3 MOS 트랜지스터는 N타입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fourth MOS transistors may be configured as P-type MOS transistors, and the second and third MOS transistors may be configured as N-type MOS transistors.

한편, 래치부(214)의 출력 신호는 전송 및 래치부(216)를 통과하여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로 출력되는데, 전송 및 래치부(216)는 레벨 변환된 클럭 신호(CLKZ_OUT) 및 그 반전신호(CLK_OUT)에 의해 구동되어 래치부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전송 게이트(T11), 제 1 전송 게이트(T1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반전소자(IV11), 제 1 반전소자(IV11)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는 제 2 반전소자(IV12), 레벨 변환된 클럭 신호(CLKZ_OUT) 및 그 반전신호(CLK_OUT)에 의해 구동되어 제 2 반전소자(IV12)의 출력 신호를 제 1 반전소자(IV11)로 출력하는 제 2 전송 게이트(T12)를 포함한다.The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214 passe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latch unit 216 and is output as a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The transmission and latch unit 216 is a level-converted clock signal CLKZ_OUT and The inverted signal CLK_OUT is driven to invert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fer gate T11 and the first transfer gate T11 that transmits the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and outputs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Driven by the first inverting element IV11, the second inverting element IV12 for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inverting element IV11, the level-converted clock signal CLKZ_OUT, and the inverting signal CLK_OUT The second transmission gate T12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inversion element IV12 to the first inversion element IV11.

래치부(214)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로 됨에 따라, 전송 및 래치부(216)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면, 즉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가 인에이블되면, 스위칭부(240)의 제 1 MOS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어, 스위칭부(240)의 출력 레 벨은 로우가 되고, 레벨 유지부(250)를 통해 하이 레벨의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가 출력된다.As the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214 becomes low level,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and latch unit 216 becomes high level, that is, when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is enabled, the switching unit 240 The first MOS transistor Q21 is turned on, and the output level of the switching unit 240 becomes low, and the high level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is output through the level maintaining unit 250.

여기에서, 스위칭부(240)는 출력 단자와 접지단자(VSS) 간에 접속되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Q21) 및 전원단자(VDD)와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되어 펄스 발생부(230)의 출력 신호(DIS_P)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MOS 트랜지스터(Q22)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벨 유지부(250)는 스위칭부(240)의 출력 신호와 파워-업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클럭 인에에블-바 신호(CKE_CLK_EN)를 출력하는 논리 소자(252) 및 논리 소자(252)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스위칭부(240)의 출력 단자로 제공하는 반전 소자(254)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unit 24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VSS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S transistor Q21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output terminal driven by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And a second MOS transistor Q22 driven by the output signal DIS_P of the pulse generator 230. In addition, the level maintaining unit 250 inputs an output signal and a power-up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240, and outputs a clock enable-bar signal CKE_CLK_EN to the logic element 252 and the logic element 252. And an inverting element 254 that i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to provide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240.

이와 같이,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200)는 스위칭부(240)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인 동안 하이 레벨의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_CLK_EN)를 출력한다.As such,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200 outputs a high level clock enable-bar signal CKE_CLK_EN while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240 is at a low level.

한편,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는 지연 모델링부(220)로 입력되어 소정 시간 지연되는데, 이 지연 시간은 어드레스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가 턴온되어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각각의 래치부로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각각의 래치부에 도달하면, 파워다운 모드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파워다운 모드 인에이블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is input to the delay modeling unit 220 and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ch is a delay time until the address and command receiver / buffer are turned on and the address and command reach each latch uni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In other words, when the address and the instruction reach the respective latch portions, the power down mode enable signal is delayed to escape from the power down mode.

지연 모델링부(220)의 출력 신호인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는 펄스 발생부(230)로 입력되고, 펄스 발생부(230)는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가 디스에이블되는 시점 즉, 파워다운 모드가 해제되는 시점에 인에이블되 는 파워다운 해제 신호(DIS_P)를 출력한다.The delay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D, which is an output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220, is input to the pulse generator 230, and the pulse generator 230 is configured to disable the delay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D. A power down release signal DIS_P that is enabled at a time point, that is, when the power down mode is released, is output.

파워다운 해제 신호(DIS_P)가 인에이블되면, 스위칭부(240)의 제 2 MOS 트랜지스터(Q22)가 턴온되고,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보다 먼저 디스에이블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에 의해 제 1 MOS 트랜지스터(Q21)가 턴오프되어, 스위칭부(240)의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이 된다.When the power down release signal DIS_P is enabled, the second MOS transistor Q22 of the switching unit 240 is turned on and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 that is disabled before the delayed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D. ), The first MOS transistor Q21 is turned off,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240 is at a high level.

이때, 파워-업 신호(PWRUP) 또한 하이 레벨이 되어 레벨 유지부(250)는 로우 레벨의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를 출력하여 파워다운 모드가 해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wer-up signal PWRUP also becomes a high level, and the level maintaining unit 250 outputs a low level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to release the power-down mode.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펄스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이다.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ulse generator shown in FIG. 5.

도시한 것과 같이, 펄스 발생부(230)는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의 반전 신호를 제 1 입력으로 하고,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의 지연 신호를 제 2 입력으로 하여, 지연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가 디스에이블되는 시점에 소정 폭의 펄스 신호를 파워다운 해제 신호(DIS_P)로 출력하는 논리 소자(232)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pulse generator 230 uses the inverted signal of the delay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D as the first input and the delayed signal of the delay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D as the second input. And a logic element 232 for outputting a pul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s the power down release signal DIS_P at a time when the delayed power down enable signal NET1D is disabled.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는 반전소자(234)에 의해 반전시킬 수 있고, 제 2 입력 신호는 예를 들어 짝수 개의 반전소자가 직렬 접속된 지연부(236)에 의해 원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Here, the first input signal may be inverted by the inverting element 234, and the second input signal may be delayed by a desired time by the delay unit 236 having an even number of inverting elements connected in series. .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파워다운 모드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FIG. 7 is a timing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in a power down mode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5.

도시한 것과 같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가 인에이블되어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여 스위칭부(240)의 제어에 의해 레벨 유지부(250)로부터 하이 레벨의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_CLK_EN)가 출력되도록 한 후,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를 지연 모델링한 신호(NET1D)가 디스에이블되는 시점에 파워다운 모드 해제 신호(DIS_P)를 출력하여, 스위칭부(240)의 제어에 의해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가 로우 레벨로 천이하도록 하여, 파워다운 모드를 탈출한다.As shown,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is enabled to enter the power-down mode and the high level clock enable-bar signal CKE_CLK_EN from the level maintaining unit 250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240. ) Is outputted, and a power-down mode release signal DIS_P is output when the signal NET1D delay-modeling the power-down enable signal NET1 is disabled,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240. Allow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to transition to the low level to exit the power down mode.

이때, 클럭 인에이블-바 신호(CKEZ_CLK_EN)는 지연 모델링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NET1D)가 디스에이블될 때까지 그 레벨이 유지되기 때문에, 파워다운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내부 클럭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ock enable-bar signal CKEZ_CLK_EN is maintained at that level until the delay modeled power-down enable signal NET1D is disabled, thereby preventing an unwanted internal clock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ower-down mode. As a result, malfunc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다운 모드 여부를 결정하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의 지연 모델링된 신호가 디스에이블될 때까지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파워다운시의 레벨을 유지하도 록 함으로써, 파워다운 모드에서 불필요한 내부 클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olling the clock enabl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in a power down mode, the clock enable signal is powered down until the delay modeled signal of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is disabled. By maintaining this level, unnecessary internal clock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power-down mode.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파수에 무관하게 파워다운 모드가 유지되기 때문에, 고속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down mode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n be ensured.

Claims (14)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클럭 인에이블 신호의 레벨을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내부 클럭 발생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nd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clock enable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disabling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for the specified time by the clock enable signal.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정된 시간은 어드레스 리시버/버퍼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가 턴온되어,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각각 어드레스 래치부 및 명령어 래치부에 도달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nd the specified time is a time at which an address receiver / buffer and an instruction receiver / buffer are turned on so that an address and an instruction reach an address latch section and an instruction latch sec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지연시킨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의 레벨을 유지하는 레벨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is configured to output the clock enable signal until the pulse signal is output in response to a signal delaying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is output. And a level holding unit for holding a lev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레벨 유지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기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level maintaining unit,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ffer for transmitting the clock enable signal to other devices.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의해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및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A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ower down enable signal and a receiver / buffer drive signal by the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and the clock signal;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하기 위한 지연 모델링부;A delay modeling unit configured to delay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by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지연 모델링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파워다운 모드를 탈출하기 위한 파워다운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A puls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ower down release signal for escaping a power down mode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파워다운 해제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칭부; 및A switching unit controlled according to a power down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and a power down releas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And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파워다운 모드를 유지하거나 탈출하기 위한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유지부;A level maintaining unit outputting a clock enable signal for maintaining or escaping a power-down mod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레벨 유지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기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further comprises a buffe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level maintaining unit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clock enable signal to another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레벨 유지부는 상기 지연 모델링부에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지연시키는 동안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도록 하고, 상기 지연 모델링부의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level maintaining unit enables the clock enable signal to be enabled by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while delaying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by the delay modeling unit. When the delay time of the delay modeling unit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And enabling the clock enable signal to be disabl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내부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및 파워-업 신호 신호에 따라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구동부;The power down enable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a driver configured to initiate an operation of the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internal clock enable signal and a power-up signal signal; 상기 구동부의 출력 신호를 래치하여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래치부; 및A latch unit for latching an output signal of the driver to output a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And 상기 래치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송 및 래치부;A transmission and latch unit for generating a power down enable signal from an output signal of the latch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전송 및 래치부는 클럭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래치부의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전송 게이트;A first transmission gate driven by the clock signal to transmit and output the latch signal of the latch unit; 상기 제 1 전송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반전소자;A first inversion device for outputting a power down enable signal by i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gate; 상기 제 1 반전소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는 제 2 반전소자; 및A second inversion element i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inversion element; And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2 반전소자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반전소자로 출력하는 제 2 전송 게이트;A second transfer gate driven by the clock signal to output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inverting element to the first inverting elemen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위칭부는 전원단자와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펄스 발생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MOS 트랜지스터; 및A first MOS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and driven by an output signal of the pulse generator; And 상기 출력 단자와 접지단자 간에 접속되어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MOS 트랜지스터;A second MOS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driven by the power down enable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레벨 유지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와 파워-업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클럭 인에에블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소자; 및A logic device configured to output the clock enable signal by inputting an output signal and a power-up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And 상기 논리 소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단자로 제공하는 반전 소자;An inverting element i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logic element and providing the inverted signal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논리 소자는 낸드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And the logic element is a NAND ga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지연 모델링부는 상기 리시버/버퍼 구동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 리시버/버퍼 및 명령어 리시버/버퍼가 턴온되어, 어드레스 및 명령어가 각각 어드레스 래치부 및 명령어 래치부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파워다운 인에이블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delay modeling unit turns on an address receiver / buffer and an instruction receiver / buffer by the receiver / buffer driving signal to delay the power-down enable signal until an address and an instruction reach the address latch unit and the instruction latch unit, respectively. And a clock enable signal generator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펄스 발생부는 상기 지연 모델링부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하고, 상기 지연 모델링부 출력 신호의 지연 신호를 제 2 입력으로 하여, 상기 지연 모델링부의 출력 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시점에 소정 폭의 펄스 신호를 파워다운 해제 신호로 출력하는 논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발생 장치.The pulse generating unit uses the inverted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output signal as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delay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output signal as the second input, and is pre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delay modeling unit is disabled. And a logic element for outputting a pulse signal having a width as a power down release signal.
KR1020050115080A 2005-11-29 2005-11-29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100728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080A KR100728562B1 (en) 2005-11-29 2005-11-29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080A KR100728562B1 (en) 2005-11-29 2005-11-29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445A true KR20070056445A (en) 2007-06-04
KR100728562B1 KR100728562B1 (en) 2007-06-15

Family

ID=3835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080A KR100728562B1 (en) 2005-11-29 2005-11-29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5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49B1 (en) * 2006-11-24 2008-05-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ep power down mode control circuit
US9099992B2 (en) 2013-05-29 2015-08-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751B2 (en) 1998-11-30 2004-08-04 富士通株式会社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20000041581A (en) * 1998-12-23 2000-07-15 김영환 Clock buffer of low current
JP3420120B2 (en) 1999-06-29 2003-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system
JP4060527B2 (en) 2000-12-19 2008-03-12 富士通株式会社 Clock synchronous dynamic memory
KR100528788B1 (en) * 2003-06-27 2005-1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49B1 (en) * 2006-11-24 2008-05-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eep power down mode control circuit
US9099992B2 (en) 2013-05-29 2015-08-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562B1 (en)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9641B2 (en) Active cycle control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100911923B1 (en) Memory and memory ic with reset function, method for memory reset
JPH07262777A (en) Data output buffer
KR20100108792A (en) Pipe latch circuit and semiconb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KR100304195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External Clock Signal
KR10082477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different time point of initialization for row path and column path, and method of initializing the same
KR100599216B1 (en) Output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KR100464937B1 (en) Test mode flag signal generator of semiconductor memory
KR10072856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f Clock Enable Signal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2013005085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initial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US6346823B1 (en) Pulse generator for providing pulse signal with constant pulse width
US7120083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lumn address
US20090097330A1 (en) Fuse latch circuit and fuse latch method
KR20160133073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for conducting initialization operation
US7800431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7522469B2 (en) Memory device having small clock buffer
US726302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power mode at high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mode thereof
KR100362201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lock control circuit
KR10058383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non power down mode and memory system us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210136277A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lock generation
KR20070063291A (en) Data masking circuit
KR100335976B1 (en) Semiconductor storage and data reading methods with two or more memory blocks
US20080147919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07499B1 (en) Counter circuit for data prefetch
KR20060129659A (en) Command decoding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